KR20200065967A -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967A
KR20200065967A KR1020180152946A KR20180152946A KR20200065967A KR 20200065967 A KR20200065967 A KR 20200065967A KR 1020180152946 A KR1020180152946 A KR 1020180152946A KR 20180152946 A KR20180152946 A KR 20180152946A KR 20200065967 A KR20200065967 A KR 20200065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lock
payoff reel
sui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157B1 (ko
Inventor
허양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인출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제1 페이오프릴 및 제2 페이오프릴과, 제1 페이오프릴과 제2 페이오프릴 사이에 배치되며 경사슈트를 갖는 스키드장치와, 제2 페이오프릴 근방에 배치되며 경사적치대를 갖는 슬리브 적치장치와, 제1 페이오프릴과 스키드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페이오프릴의 멘드릴에서 슬리브를 분리하여 경사슈트에 제공하는 제1 슬리브 분리장치와, 제2 페이오프릴과 슬리브 적치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제2 페이오프릴의 멘드릴에서 슬리브를 분리하여 경사적치대에 제공하는 제2 슬리브 분리장치 및 경사슈트를 타고 내려가는 슬리브를 경사적치대로 안내하도록 경사슈트와 경사적치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되어 경사슈트와 경사적치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APPARATUS FOR WITHDRAWING SLEEV FROM PAY OFF REEL}
본 발명은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페이오프릴의 멘드릴로부터 슬리브를 인출하여 적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압연 제조 공정의 냉간 압연 라인에는 스트립이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각 공정으로 투입된다. 대부분 코일의 내경부에는 슬리브가 끼어져 있고, 이러한 슬리브는 슬리브 인출장치에 의하여 코일 풀기 작업 후 맨드릴로부터 인출된다.
멘드릴로부터 슬리브의 인출은 코일카를 이용하고, 분리된 슬리브는 코일카를 이용하여 소정의 보관장소로 이동시키거나, 페이오프릴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랜스퍼카를 이용하여 보관장소로 운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슬리브 인출방법은 맨드릴에 슬리브 인출과 페이오프릴에 코일의 장입 작업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코일카 고장 시에는 슬리브 인출 및 코일 장입이 불가하고, 복수의 페이오프릴이 구비된 복잡한 라인 설비에서는 더욱더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9-0019948호(1999.09.16 출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페이오프릴의 멘드릴에 끼워진 슬리브를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는 페이오프릴 스트립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제1 페이오프릴 및 제2 페이오프릴;과, 상기 제1 페이오프릴과 상기 제2 페이오프릴 사이에 배치되며, 경사슈트를 갖는 스키드장치;와, 상기 제2 페이오프릴 근방에 배치되며, 경사적치대를 갖는 슬리브 적치장치;와, 상기 제1 페이오프릴과 상기 스키드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페이오프릴의 멘드릴에서 슬리브를 분리하여 상기 경사슈트에 제공하는 제1 슬리브 분리장치;와, 상기 제2 페이오프릴과 상기 슬리브 적치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페이오프릴의 멘드릴에서 슬리브를 분리하여 상기 경사적치대에 제공하는 제2 슬리브 분리장치; 및 상기 경사슈트를 타고 내려가는 슬리브를 상기 경사적치대로 안내하도록 상기 경사슈트와 상기 경사적치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경사슈트와 상기 경사적치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슈트;를 포함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리브 분리장치와 상기 제2 슬리브 분리장치는 각각 상기 멘드릴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위에서 상기 멘드릴 쪽을 향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수직블록과, 상기 수직블록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멘드릴에 삽입된 슬리브를 파지할 수 있는 집게부가 설치된 주승강블록과, 상기 주승강블록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단에 슬리브가 얹혀지는 받침대가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보조승강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키드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슈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가 상단에 구비된 회전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슈트는 상기 경사슈트와 상기 경사적치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설치된 슈트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승강블록은 상기 수직블록 내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하고, 상기 보조승강블록은 상기 주승강블록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과 상기 보조승강블록 내부에 구비된 너트에 의한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보조승강블록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받침축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축에는 받침대모터의 축에 결합된 구동피니언과 맞물리는 종동피니언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고정블록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승강블록 외면에 설치된 모터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회전블록 외주에 설치된 링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와, 상기 경사슈트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상부 반원판부재와, 상기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와 상기 반원판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틸팅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에는 상기 틸팅축 주위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반원판부재에 형성된 핀홀과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홀 중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경사슈트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페이오프릴이 구비된 설비에서 스트립의 분리 및 적재를 신속히 수행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분리장치의 받침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키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키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슈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10)는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페이오프릴(1,3)의 각 멘드릴(2,4)에 장착된 슬리브(5)를 신속히 분리 및 적재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10)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제1 페이오프릴(1)과 제2 페이오프릴(3)에 설치된 슬리브(5)를 분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10)는 제1 페이오프릴(1)과 제2 페이오프릴(3)에서 분리된 슬리브(5)를 적치하는 슬리브 적치장치(20)와, 제1 페이오프릴(1)의 멘드릴(2)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하기 위한 제1 슬리브 분리장치(30)와, 제2 페이오프릴(3)의 멘드릴(4)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하기 위한 제2 슬리브 분리장치(40)와, 제1 슬리브 분리장치(30)에 분리된 슬리브(5)를 받아 슬리브 적치장치(20)로 전달하기 위한 스키드장치(50)와, 슬리브 적치장치(20)의 경사적치대(21)와 스키드장치(5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연결하여 스키드장치(50)에서 굴러 떨어지는 슬리브(5)를 경사적치대(21)로 안내하는 연결슈트(60)를 포함한다.
제1 슬리브 분리장치(30)는 제1 페이오프릴(1)의 근방에 배치되어 제1 페이오프릴(1)의 멘드릴(2)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하여 스키드장치(50)에 제공하고, 제2 슬리브 분리장치(40)는 제2 페이오프릴(3)의 근방에 배치되어 제2 페이오프릴(3)의 멘들릴(4)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하여 슬리브 적치장치(20)에 제공한다.
제1 슬리브 분리장치(30)와 제2 슬리브 분리장치(40)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 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분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분리장치의 받침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슬리브 분리장치(30,40)는 페이오프릴(1,3)과 이웃하는 바닥에 설치된 레일(6)을 따라 멘드릴(2,4)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블록(31)과, 이동블록(31) 위에서 멘드릴(2,4) 쪽을 향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수직블록(32)과, 수직블록(32)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주승강블록(33)과, 주승강블록(33)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보조승강블록(34)을 포함한다.
주승강블록(33)은 바닥에 설치된 주실린더(35)의 구동에 의하여 레일(6)을 따라 맨드릴(2,4)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한다. 주실린더(35)는 멘드릴(2,4)에 장착된 슬리브(5)를 집게부(36)가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블록(31)을 이동시키고, 집게부(36)가 슬리브(5)를 파지한 후에는 슬리브(5)를 멘드릴(2,4)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블록(31)을 이동시킨다.
수직블록(32)은 하단이 수직블록(32) 위에 결합된 한 쌍의 힌지블록(37)을 관통하는 힌지축(37a)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수직블록(32)은 이동블록(31) 위에 설치된 회동실린더(38)의 구동에 의하여 멘드릴(2,4)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동실린더(38)는 집게부(36)가 멘드릴(2,4)에 장착된 슬리브(5)를 파지하는 경우 회동실린더(38)의 로드를 신장시켜 수직블록(32)을 멘드릴(2,4) 쪽을 향해 회동시킨다.
주승강블록(33)은 수직블록(32) 상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수직블록(32)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주승강블록(33)은 수직블록(32)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39)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39)는 집게부(36)가 슬리브(5)를 파지하기 위해 수직블록(32)이 회동한 상태에서 집게부(36)가 슬리브(5)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주승강블록(33)을 이동시킨다.
주승강블록(33)의 상단에는 서로 오므리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부(36)가 설치된다.
한 쌍의 집게부(36)는 주승강블록(33)의 양측에 설치된 집게축(36a)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할 수 설치되고, 집게축(36a)을 회전 구동시키는 집게구동부(41)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집게구동부(4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집게축(36a)에 설치된 피니언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모터의 동력을 피니언에 전달하는 벨트, 체인, 렉기어 등의 동력전달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승강블록(34)은 주승강블록(33) 상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주승강블록(33)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보조승강블록(34)은 주승강블록(33)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승강구동부(4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보조승강구동부(42)는 주승강블록(33) 내부에 설치되며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42a)와, 모터(42a)의 축에 결합된 나사축(42b)과, 보조승강블록(34) 내부에 결합되며 나사축(42b)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42c)를 포함한다.
보조승강블록(34)은 모터(42a)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축(42b)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나사축(42b)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보조승강블록(34)은 주승강블록(33)이 상승한 상태에서 보조승강구동부(42)의 구동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한다. 이는 슬리브(5)를 스키드장치(50) 또는 슬리브 적치장치(20)에 넘기는 경우 보조승강블록(34) 위에 배치되는 스키드장치(50) 또는 슬리브 적치장치(20)의 부품과 주승강블록(33)에 설치된 집게부(36)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조승강블록(34) 상단에는 슬리브(5)를 받친 후 스키드장치(50) 또는 슬리브 적치장치(20)에 넘기기 위한 받침대(43)가 설치된다.
받침대(43)는 슬리브(5)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보조승강블록(34)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받침축(44)과 연결되어 받침축(44)과 함께 회동한다. 받침대(43)는 받침축(44)의 축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된 받침암(43a)을 매개로 받침축(44)과 연결될 수 있다.
받침축(44)은 보조승강블록(34) 상단에 설치된 받침대구동부(45)에 의해 회전함에 의해 받침대(43)는 틸팅 가능하다. 받침대구동부(45)는 양방향 회전 가능한 받침대모터(45a)와, 받침대모터(45a)의 축에 결합된 구동피니언(45b)과, 구동피니언(45b)과 맞물리도록 받침축(44)에 설치된 종동피니언(45c)을 포함한다.
받침대구동부(45)는 받침대(43)에 지지된 슬리브(5)를 이웃하는 스키드장치(50) 또는 슬리브 적치장치(20)에 넘기는 경우 받침축(44)를 회전시켜 받침대(43)를 틸팅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키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키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키드장치(50)는 바닥에 지지되는 고정블록(51)과, 고정블록(51)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승강블록(52)과, 승강블록(52)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회전블록(53)과, 회전블록(53) 상단에 결합되는 경사슈트(54)를 포함한다.
고정블록(51)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승강블록(52)은 고정블록(5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고정블록(51) 내부에 구비된 승강구동부(5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55)는 하단이 고정블록(51)의 내부 바닥에 연결되고, 상단이 승강블록(52)의 하면에 연결되는 전기식, 유압식, 공압식 실린더 중 하나를 포함한다. 승강구동부(55)는 승강블록(52)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의해 경사슈트(54)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회전블록(53)은 승강블록(52)의 상단 내부에 하측이 삽입되며, 승강블록(52) 상단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블록(52)의 상단에는 오목하게 움푹 들어간 수용부(52a)가 형성되고, 수용부(52a)의 바닥에는 회전블록(53)이 축 결합되는 축부재(56)가 설치된다.
회전블록(53)의 하단에는 축부재(56)의 수직축(56a)이 결합되는 베어링(56b)이 설치된다. 회전블록(53)은 회전구동부(57)에 의해 축부재(56)의 수직축(56a)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회전구동부(57)는 승강블록(52)의 상부측 외주에 설치되는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57a)와, 회전블록(53)의 하부측 외주에 설치된 링기어(57b)와, 모터(57a)의 동력을 링기어(57b)에 전달하기 위해 링기어(57b)와 맞물리도록 모터(57a)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7c)를 포함한다.
회전구동부(57)는 스키드장치(50)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경사슈트(54)의 회전방향을 조절함에 의해 경사슈트(54)가 주변 구조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스키드장치(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승강구동부(55)와 함께 슬리브 적치장치(20)의 경사적치대(21)와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경사슈트(54)의 높이 및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회전블록(53)의 상단에는 경사슈트(54)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58)가 구비된다.
각도조절부(58)는 회전블록(53)의 상면에 대한 경사슈트(54)의 틸팅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블록(53)의 상단에는 틸팅축(58a)이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58b)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고, 경사슈트(54)의 하면에는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58b) 사이에 끼워지며 틸팅축(58a)이 관통하는 상부 반원판부재(58c)가 하부로 볼록한 형태로 결합된다.
하부 반원판부재(58b)의 틸팅축(58a) 주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홀(58d)이 형성되고, 상부 반원판부재(58c)에는 틸팅 시 복수의 각도조절홀(58d)과 일치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핀홀이 형성된다.
경사슈트(54)의 틸팅각도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각도조절홀(58d) 중 하나와 핀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58e)에 의해 경사슈트(54)는 틸팅각도가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슈트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슈트(60)는 슬리브(5)가 슬리브 적치장치(20)로 이동할 때 슬리브 적치장치(20)의 경사적치대(21)와 스키드장치(50)의 경사슈트(54)의 이격된 사이공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연결슈트(60)는 경사적치대(21)에서 연장되는 구성을 도시하나, 경사슈트(54)에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키드장치(50)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에는 경사슈트(54)의 양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슈트(60)는 경사적치대(21)의 단부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연결슈트(60)는 경사적치대(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경사적치대(21) 하면에 구비된 슈트구동부(61)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슈트구동부(61)는 경사적치대(21) 하면에 결합된 전기식, 공압식, 유입식 실린더 중 하나인 슈트실린더(61a)를 포함한다. 슈트실린더(61a)는 진퇴 이동하는 로드(61b)의 단부가 연결슈트(60)의 하면에 연결됨에 따라 연결슈트(60)는 로드(61b)의 진퇴 이동에 따라 경사적치대(21)의 단부에서 인출하거나 인입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장치(50)의 경사슈트(54)는 주변 구조물의 운용에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블록(53)의 회전에 따라 슬리브(5)를 슬리브 적치장치(20) 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과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페이오프릴(1,3)의 멘드릴(2,4)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하는 경우 슬리브 적치장치(20)와 인접한 제2 슬리브 분리장치(40)를 먼저 이용하여 제2 페이오프릴(3)의 멘드릴(4)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하여 슬리브 적치장치(20)로 운반한 후 제1 슬리브 분리장치(30)를 이용하여 제1 페이오프릴(1)의 멘드릴(2)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한다.
제2 페이오프릴(3)의 멘드릴(4)에 장착된 슬리브(5)를 분리하는 경우, 도 8(a)에서와 같이 집게부(36)가 펼쳐진 상태에서 슬리브(5)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레일(6)을 따라 이동블록(31)이 이동하고, 도 8(b)와 같이 펼쳐진 집게부(36)가 슬리브(5)와 마주하도록 수직블록(32)이 회동된다. 그리고, 도 8(c)와 같이 집게부(36)는 오무리도록 동작되어 슬리브(5)를 파지하고, 슬리브(5)를 움켜진 상태에서 이동블록(31)을 이동시켜 맨드릴(4)에서 슬리브(5)를 분리시킨다.
슬리브(5)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 8(d)에서와 같이 수직블록(32)은 원 위치로 복귀시키고, 집게부(36)는 펼쳐진다. 집게부(36)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슬리브(5)는 받침대(43)에 지지된 상태이다.
이후, 도 8(e)에서와 같이, 주승강블록(33)에 구비된 집게부(36)가 상부에 위치되는 경사적치대(21) 또는 경사슈트(54)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로 주승강블록(33)이 상부로 이동된 후 받침대(43)에 지지된 슬리브(5)가 경사적치대(21)와 경사슈트(54) 사이공간에서 상부로 출몰하도록 보조승강블록(34)이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받침대(43)는 경사적치대(21) 쪽을 향해 틸팅함에 따라 받침대(43)에 지지된 슬리브(5)는 경사적치대(21)로 낙하된 후 슬리브 적치장치(20)에 적치된다.
제2 페이오프릴(3)의 슬리브(5)를 분리한 후에는 제1 페이오프릴(1)의 멘드릴(2)에 장착된 슬리브(5)는 동일한 과정(도 8의 (a)~(e))을 통하여 제1 슬리브 분리장치(30)에 의해 분리된 후 경사슈트(54)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도 8(f)에서와 같이, 연결슈트(60)는 경사적치대(21)와 경사슈트(54)를 연결하도록 경사적치대(21)의 단부에서 인출된 상태이므로 경사슈트(54)를 따라 이동하는 슬리브(5)는 연결슈트(60)를 거쳐 슬리브 적치장치(20)에 적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의 페이오프릴의 슬리브를 분리하는 경우, 기존 코일카 또는 트랜스퍼카 설비를 이용한 슬리브 인출 방법 대비 신속한 슬리브 인출이 가능하고, 슬리브 인출과 동시에 페이오프릴의 코일 장입이 가능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제1 페이오프릴, 3: 제2 페이오프릴,
5: 슬리브, 10: 슬리브 인출장치,
20: 슬리브 적치장치, 21: 경사적치대,
30: 제1 슬리브 분리장치, 31: 이동블록,
32: 수직블록, 33: 주승강블록,
34: 보조승강블록, 36: 집게부,
40: 제2 슬리브 분리장치, 43: 받침대,
50: 스키드장치, 51: 고정블록,
52: 승강블록, 53: 회전블록,
54: 경사슈트, 57: 회전구동부,
58: 각도조절부, 60: 연결슈트.

Claims (8)

  1.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제1 페이오프릴 및 제2 페이오프릴;과, 상기 제1 페이오프릴과 상기 제2 페이오프릴 사이에 배치되며, 경사슈트를 갖는 스키드장치;와, 상기 제2 페이오프릴 근방에 배치되며, 경사적치대를 갖는 슬리브 적치장치;와, 상기 제1 페이오프릴과 상기 스키드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페이오프릴의 멘드릴에서 슬리브를 분리하여 상기 경사슈트에 제공하는 제1 슬리브 분리장치;와, 상기 제2 페이오프릴과 상기 슬리브 적치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페이오프릴의 멘드릴에서 슬리브를 분리하여 상기 경사적치대에 제공하는 제2 슬리브 분리장치; 및 상기 경사슈트를 타고 내려가는 슬리브를 상기 경사적치대로 안내하도록 상기 경사슈트와 상기 경사적치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경사슈트와 상기 경사적치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슈트;를 포함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 분리장치와 상기 제2 슬리브 분리장치는 각각 상기 멘드릴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위에서 상기 멘드릴 쪽을 향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수직블록과, 상기 수직블록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멘드릴에 삽입된 슬리브를 파지할 수 있는 집게부가 설치된 주승강블록과, 상기 주승강블록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단에 슬리브가 얹혀지는 받침대가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보조승강블록을 포함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상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슈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가 상단에 구비된 회전블록을 포함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슈트는 상기 경사슈트와 상기 경사적치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설치된 슈트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승강블록은 상기 수직블록 내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하고, 상기 보조승강블록은 상기 주승강블록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과 상기 보조승강블록 내부에 구비된 너트에 의한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보조승강블록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받침축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축에는 받침대모터의 축에 결합된 구동피니언과 맞물리는 종동피니언이 설치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고정블록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승강블록 외면에 설치된 모터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회전블록 외주에 설치된 링기어를 포함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와, 상기 경사슈트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상부 반원판부재와, 상기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와 상기 반원판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틸팅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반원판부재에는 상기 틸팅축 주위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반원판부재에 형성된 핀홀과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홀 중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경사슈트의 각도는 조절되는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KR1020180152946A 2018-11-30 2018-11-30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KR10213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946A KR102135157B1 (ko) 2018-11-30 2018-11-30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946A KR102135157B1 (ko) 2018-11-30 2018-11-30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67A true KR20200065967A (ko) 2020-06-09
KR102135157B1 KR102135157B1 (ko) 2020-07-17

Family

ID=7108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946A KR102135157B1 (ko) 2018-11-30 2018-11-30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633B1 (ko) * 2023-12-21 2024-05-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슬리브 인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948A (ko) 1997-08-30 1999-03-25 양재신 자동차 도어포켓 취부구조
KR20040041448A (ko) * 2002-11-11 2004-05-17 주식회사 포스코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KR20040105935A (ko) * 2003-06-10 2004-12-17 주식회사 포스코 게이트형 슬리브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948A (ko) 1997-08-30 1999-03-25 양재신 자동차 도어포켓 취부구조
KR20040041448A (ko) * 2002-11-11 2004-05-17 주식회사 포스코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KR20040105935A (ko) * 2003-06-10 2004-12-17 주식회사 포스코 게이트형 슬리브 인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633B1 (ko) * 2023-12-21 2024-05-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슬리브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157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8302A (en) Coil and mandrel separating machinery
AU2011232722A1 (en) Vertical sheet metal decoiling system
US4706905A (en) Reel stand
US60002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spiral pipe manufacturing
KR102135157B1 (ko)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TWI24127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 roll of material from load position to an unwind position
WO2014017370A1 (ja) 継目無金属管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349868B2 (ko)
WO2011104851A1 (ja) 重量物カセット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US3291415A (en) Strip coiling apparatus
WO2014017372A1 (ja) 継目無金属管の製造方法、マンドレルミル及び補助治具
KR20180067615A (ko) 열간 압연 제품을 환형 코일로 형성하기 위한 코일 감기 시스템 및 방법
JPH0648562A (ja) リール領域でリングに巻回された被圧延材料の輸送装置
CN111547549A (zh) 用于大径宽比带卷轴向上卸卷的防倾翻装置及上卸卷方法
KR20180021304A (ko) 슬리브 교환에 사용되는 지그 및 이를 사용하는 슬리브 교환 장치
KR100419649B1 (ko) 텐션릴 슬리브 인입장치
US3679150A (en) Rolling mill
KR20040041448A (ko)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US2964203A (en) Coil stripping apparatus
CN212424825U (zh) 用于大径宽比带卷轴向上卸卷的防倾翻装置
CN220348379U (zh) 一种卷筒摆放支撑通用工装
CN215438936U (zh) 薄膜卷材的装卸装置
CN212668791U (zh) 一种电缆牵引拖车设备
JP7278904B2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用巻取軸の施工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67039B1 (ko) 스크랩 슬리브 코일의 슬리브 자동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