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759B1 -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759B1
KR102294759B1 KR1020190128319A KR20190128319A KR102294759B1 KR 102294759 B1 KR102294759 B1 KR 102294759B1 KR 1020190128319 A KR1020190128319 A KR 1020190128319A KR 20190128319 A KR20190128319 A KR 20190128319A KR 102294759 B1 KR102294759 B1 KR 10229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slab
transport carriage
holder
derail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057A (ko
Inventor
윤경수
김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2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7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 B22D11/148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 이송 캐리지가 주행하는 한 쌍의 트랙과 상기 트랙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및 상기 트랙 유지구의 돌출된 단부가 수용되는 트랙 유지구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트랙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트랙 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Derailment Prevention Apparatus Of Track For Slab Transporting Carriage}
본 발명은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은 일정한 형상의 주형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주형 내에서 반응고된 주편을 주형의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인발하여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주조 방식이다.
이러한 연속주조공정에서 생산된 반제품 슬라브(slab)는 절단기(Torch Cutting Machine)에 의하여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후, 후속공정을 위하여 이송 테이블에 공급되어 이송된다.
도 1은 종래의 슬라브 이송 테이블에서 슬라브의 비정상 진입에 의한 충돌 사고를 도시화한 상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슬라브 이송 테이블에서 캐리지 트랙 탈선 사고를 도시화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종래의 슬라브 이송 테이블에서 캐리지 트랙 탈선 사고 발생 시 캐리지 트랙 복구 작업을 도시화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브 이송 테이블은 슬라브 이송 캐리지(20)가 제 1방향으로 왕복 주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트랙(1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랙(10)은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40)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41)에 안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가 주행할 수 있는 트랙 가이드(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랙(10) 사이에 각각 복수 개의 이송 롤러(30)가 제 2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절단기(Torch Cutting Machine)에 의하여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슬라브(S)가 상기 이송 롤러(30)를 통하여 상기 제 1방향과 수직인 제 2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에 안착되면,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에 의하여 제 1방향으로 이송되어 후속 공정이 수행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슬라브(S1)가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에 안착되어 제 1방향으로 이송 중일 때, 제어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상기 이송 롤러(30)에 의하여 제 2방향으로 제 2슬라브(S2)가 투입되는 경우 제 1, 2슬라브(S1, S2) 간에 충돌이 발생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슬라브(S) 간의 충돌 사고 발생 시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랙(10)이 상기 가이드 롤러(41)에서 탈선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탈선된 트랙(10`)을 복구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M)가 탈선된 트랙(10`)을 와이어 로프(W)에 고정하고, 천정 등에 구비된 크레인(C)의 호이스트 후크(H)에 상기 와이어 로프(W)를 체결한 후, 수신호를 통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구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탈선된 트랙(10`)을 가이드 롤러(41)에 정확하게 안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레인(C)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트랙(10`)을 작업자(M)가 지렛대 등의 공구 등을 이용하여 미세한 위치 조정을 하는 원시적인 작업이 동반되므로 충돌 및 협착사고의 위험이 항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탈선된 트랙(10`)을 복구하기 위한 작업은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연속주조 공정의 지연을 발생시켜 슬라브 제품의 생산량 자체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브 공급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슬라브 간의 충돌 시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이 가이드 롤러부터 탈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의 탈선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연속주조 공정 중 슬라브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브 간의 충돌 시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이 가이드 롤러부터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가 주행하는 한 쌍의 트랙과 상기 트랙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및 상기 트랙 유지구의 돌출된 단부가 수용되는 트랙 유지구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트랙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트랙 유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랙 유지구의 돌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랙 유지구는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 측에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헤드와 표면에 볼트탭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을 관통하여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 측에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바디와 상기 트랙에 삽입된 트랙 유지구 바디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2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랙은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가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 레일이 구비되는 트랙 가이드와 상기 트랙 가이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트랙 가이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는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브 안착부와 하부에 상기 주행 레일에 안착되는 4개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 유지부의 높이는 상기 슬라브 안착부 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랙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의 높이는 상기 트랙의 상하 이동 범위의 1.2 ~ 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랙 유지구와 상기 트랙 유지부는 각각 상기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는 슬라브의 공급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슬라브 간의 충돌에 의하여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이 가이드 롤러로부터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이 탈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연속주조 공정을 위한 슬라브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슬라브 이송 테이블에서 슬라브의 비정상 진입에 의한 충돌 사고를 도시화한 상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슬라브 이송 테이블에서 캐리지 트랙 탈선 사고를 도시화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슬라브 이송 테이블에서 캐리지 트랙 탈선 사고 발생 시 캐리지 트랙 복구 작업을 도시화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의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에 있어서,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에 있어서, 슬라브 충돌 사고 발생 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를 이용한 슬라브 이송 테이블의 상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이송 테이블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의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에 있어서,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 장치는 트랙(100)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110)와 상기 트랙(100)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트랙 유지부(1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랙(100)은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의 주행 경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주행 레일(101)이 형성되는 트랙 가이드(102)와 상기 트랙 가이드(102)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트랙 가이드 지지부(10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트랙 가이드 지지부(103)의 하측 단부는 가이드 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는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브 안착부(210)와 하부에 상기 주행 레일(101)에 안착되는 4개의 휠(2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는 휠(220)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주행 레일(101)을 형성된 돌기 또는 홈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트랙(100)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는 상기 트랙(1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등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10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의 일단 또는 양단에 실린더나 도르레 등의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트랙 유지구(110)는 상기 트랙(100)의 길이 방향에 중심을 대칭으로 상기 트랙(10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랙 유지구(110)는 상기 트랙(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 유지구(110)는 돌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랙 유지구(110)는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 측에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헤드(111)와 표면에 볼트탭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100)을 관통하여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 측에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바디(112)와 상기 트랙(100)에 삽입된 트랙 유지구 바디(112)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2너트(113,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랙 유지구(110)는 볼트로서 트랙 유지구 헤드(111)가 상기 트랙 가이드(102) 측에 위치하고 트랙 유지구 바디(112)가 상기 트랙(10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트랙(10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 1너트(113)와 제 2너트(114)는 스패너 등의 공구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트랙 유지구(110)를 상기 트랙(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너트(113)와 제 2너트(114)의 체결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트랙 유지구(110)의 측면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트랙 유지부(120)는 상기 트랙 유지구(110)의 단부가 수용되는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트랙(100)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트랙 유지구 바디(112)의 단부가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랙 유지부(120)는 상기 트랙(100)의 양측에 대칭으로 지면 또는 구조물 등의 베이스(B)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트랙 유지구 바디(112)의 단부가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의 높이는 상기 트랙(100)의 상하 이동 범위의 1.2~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와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랙(100)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트랙 유지구(110)는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의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7과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잇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랙(100)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트랙 유지구(110)는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의 상측에 위치한다.
일례로, 상기 트랙(100)의 상하 이동 범위가 80mm이고, 상기 트랙 유지구(110)가 직경이 20mm인 볼트인 경우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은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폭이 250mm이고 높이가 1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에 있어서, 슬라브 충돌 사고 발생 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트랙(100)에 충격이 가해져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트랙 유지구(110)가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121)에 걸림으로써 상기 트랙(100)이 가이드 롤러에서 탈선이 될 수 있는 각도까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는 슬라브의 공급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슬라브 간의 충돌에 의하여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이 가이드 롤러부터 탈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브 안착부(210)에 슬라브가 안착되어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가 상기 트랙(100)을 따라 주행 중인 경우 슬라브가 상기 트랙 유지부(1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 유지부(120)의 높이는 상기 슬라브 안착부(210)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를 이용한 슬라브 이송 테이블의 상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를 이용한 슬라브 이송 테이블은 이송롤러(300)와 작업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브 이송 테이블은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트랙(100)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트랙(100)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트랙 유지구(110)와 트랙 유지부(12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트랙(100)의 사이에는 각각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는 작업판(40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브 이송 테이블은 상기 트랙(100)과 작업판(400) 사이마다 상기 트랙(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 롤러(3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송 롤러(300)는 상기 트랙(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브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송 롤러(300)에 의하여 상기 트랙(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송된 슬라브가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에 안착되면,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200)가 상기 트랙(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어 후속 공정으로 이송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를 이용한 슬라브 이송 테이블은 슬라브의 공급 오류로 인하여 슬라브 간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트랙(100)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속주조 공정을 위한 슬라브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트랙
101. 주행 레일
102. 트랙 가이드
103. 트랙 가이드 지지부
110. 트랙 유지구
111. 트랙 유지구 헤드
112. 트랙 유지구 바디
113. 제 1너트
114. 제 2너트
120. 트랙 유지부
121. 트랙 유지구 수용홈
200. 슬라브 이송 캐리지
210. 슬라브 안착부
220. 휠
300. 이송 롤러
400. 작업판

Claims (7)

  1. 슬라브 이송 캐리지가 주행하는 한 쌍의 트랙;
    상기 트랙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 길이가 조절 가능한 트랙 유지구; 및
    상기 트랙 유지구의 돌출된 단부가 수용되는 트랙 유지구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트랙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트랙 유지부;를 포함하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유지구는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 측에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헤드와
    표면에 볼트탭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을 관통하여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 측에 형성되는 트랙 유지구 바디와
    상기 트랙에 삽입된 트랙 유지구 바디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2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가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 레일이 구비되는 트랙 가이드와 상기 트랙 가이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트랙 가이드 지지부를 포함하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이송 캐리지는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브 안착부와 하부에 상기 주행 레일에 안착되는 4개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 유지부의 높이는 상기 슬라브 안착부 보다 낮게 형성되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트랙 유지구 수용홈의 높이는 상기 트랙의 상하 이동 범위의 1.2 ~ 1.5배인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유지구와 상기 트랙 유지부는 각각 상기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는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KR1020190128319A 2019-10-16 2019-10-16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KR10229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319A KR102294759B1 (ko) 2019-10-16 2019-10-16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319A KR102294759B1 (ko) 2019-10-16 2019-10-16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57A KR20210045057A (ko) 2021-04-26
KR102294759B1 true KR102294759B1 (ko) 2021-08-26

Family

ID=7573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319A KR102294759B1 (ko) 2019-10-16 2019-10-16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7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352B1 (ko) * 2010-03-23 2010-12-13 주식회사 흥국 무한궤도용 롤러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06B1 (ko) * 2001-05-23 2007-07-06 주식회사 포스코 전복방지용 회전형 수평테이블 캐리지
KR100776038B1 (ko) * 2001-12-22 2007-11-16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이송용 수평 테이블
KR100776039B1 (ko) * 2001-12-22 2007-11-16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이송용 수평 테이블의 캐리지
KR100570594B1 (ko) * 2004-04-23 2006-04-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롤러테이블의 슬래브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352B1 (ko) * 2010-03-23 2010-12-13 주식회사 흥국 무한궤도용 롤러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57A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36289A1 (en) Saw table, band saw apparatus and a method for sawing
JPH05115949A (ja) 酸素切断ばり用の機械式のばり取り装置を備えた連鋳機
KR102294759B1 (ko)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CN201873911U (zh) 滑动式钢轨夹持装置
KR101431029B1 (ko) 스카핑 어셈블리 및 스카핑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슬라브 스카핑 장치
AU778461B2 (en) Oxygen cutting of slabs
KR102385740B1 (ko)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CN209455994U (zh) 扶正器钢板剪切吊装机
JP2013112510A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CN219193516U (zh) 一种pcb板中转车定位装置
CN219859069U (zh) 一种建筑物料用轨道运输装置
CN209049947U (zh) 挤压机铝型材锯压料组件的防护装置
KR102320671B1 (ko) 시편의 냉각 및 운반 장치
CN219945058U (zh) 用于梯式架桥的焊接机
KR102208574B1 (ko) 자재 가공 시스템
KR20120136117A (ko) 이송 트랙 복구 장치
JPS6296216A (ja) 棒材搬送装置
KR200445687Y1 (ko) 게이지 스토퍼 장치
KR101751287B1 (ko)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 절단 방법
JPS62213914A (ja) 鋼片のガス溶断スラグ除去装置
JP4088355B2 (ja) 切断機における丸材供給装置
SU9868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пакета проката
JPH0640404Y2 (ja) リニアモーター駆動の搬送装置
KR20210041923A (ko) 복귀 장치 및 방법
JPS63204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