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740B1 -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740B1
KR102385740B1 KR1020200135941A KR20200135941A KR102385740B1 KR 102385740 B1 KR102385740 B1 KR 102385740B1 KR 1020200135941 A KR1020200135941 A KR 1020200135941A KR 20200135941 A KR20200135941 A KR 20200135941A KR 102385740 B1 KR102385740 B1 KR 10238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cut
support
cutting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
조운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3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mould osc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롤러; 피처리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단부; 및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상기 절단부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롤러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Apparatus for cutting object and Method for cutting object}
본 발명은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처리물에서 발생되는 절단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는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와 반연속주조(Semi-continuous casting)를 이용하여 주편을 생산한다. 연속주조는 일정한 형상의 주형에 용강을 연속하여 주입하고, 주형 내에서 반응고된 용강의 주편을 주형의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인발하여 슬라브, 블롬, 빌렛 등과 같은 반제품을 제조하는 주조 방식이다.
반연속주조(예컨데, 수직주조)는 주편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예컨데, 700mm 내지 1000mm의 두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주편을 주조하는 경우 사용된다. 반연속주조는 하부가 정반에 의해 막혀있는 주형에 일정한 양의 용강을 주입하고, 정반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반응고된 주편을 수직한 방향으로 인발한 후 절단하여 반제품을 제조하는 주조 방식이다.
여기서, 반연속주조 방식으로 생산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주편은 정반과 분리되면서, 전단부에 돌기 형상의 헤드 크롭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토치 절단기를 이용하여 헤드 크롭을 포함한 주편의 전단부를 절단하였다.
하지만, 주편의 전단부를 절단함에 있어서, 헤드 크롭이 붙어있는 절단물이 이송롤러들 사이의 이격된 틈으로 낙하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낙하하는 절단물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이송롤러의 주변 장치들과 충돌하며 고장을 발생시켰다. 또한, 낙하하는 절단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에서 발생된 절단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하측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을 절단할 수 있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롤러; 피처리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단부; 및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상기 절단부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롤러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이웃하는 이송롤러들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절단부와 나란하게 정렬되는 이격공간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는, 이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기와, 상기 지지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에 연결되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들 중 일 이송롤러에 결합된 일 지지기와 타 이송롤러에 결합된 타 지지기의 길이의 합은, 상기 일 이송롤러와 상기 타 이송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짧다.
상기 지지기는, 상기 일 지지기와 상기 타 지지기 사이의 간격이 피처리물이 절단될 폭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절단부는, 이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절단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기 절단부와 상기 이격공간을 정렬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길이조절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기의 상부에 상기 이송롤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기; 및 상기 보조지지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지지기에 연결되는 동력기;를 포함한다.
일 보조지지기와 타 보조지지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일 지지기와 상기 타 지지기 사이의 간격보다 짧고 피처리물이 절단될 폭보다 길다.
상기 보조지지기는,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일면에 회전 가능한 회전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단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기; 및 상기 측정기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동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는, 상기 이송롤러에 접촉하고, 일단이 상기 지지기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고,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송롤러들의 하측에 설치되는 풀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송롤러들 상으로 피처리물을 유입시키는 과정; 절단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이송롤러에 연결된 지지기를 전개하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 중에, 피처리물에서 발생되는 절단물을 상기 지지기로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를 전개하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하여 상기 지지기를 피처리물의 하면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를 피처리물의 하면에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을 향하도록 당겨 상기 지지기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물을 상기 지지기로 지지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 전에,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이송방향으로 상기 절단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를 전개하는 과정은, 변경된 절단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하도록 전개된 상기 지지기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가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될 직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기의 일부를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은, 수직 주조된 주편을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물을 상기 지지기로 지지하는 과정은, 상기 주편과 동일한 두께이고 상기 주편보다 폭이 짧은 절단 주편을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피처리물에서 발생되는 절단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피처리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을 절단하여 절단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절단물이 낙하하여 주변 설비가 손상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에서 절단될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피처리물을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의 실수율을 향상시키면서 절단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을 지지하고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을 지지하고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피처리물에서 발생된 절단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피처리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피처리물은 수직 주조된 주편을 포함할 수 있고, 절단물은 피처리물에서 발생된 주편과 두께가 동일하고 폭이 짧은 절단 주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물은 피처리물에서 모두 절단되어 분리된 상태이거나, 혹은 피처리물에서 일부만 절단되어 붙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피처리물 제거장치는 제철소의 제강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연속주조설비 및 연속주조공정에 적용되거나, 혹은 반연속주조설비(예컨데, 수직주조설비) 및 반연속주조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철소의 반연속주조설비 및 반연속주조공정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처리물 절단장치(100)는 피처리물(S)이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10),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도록 이송경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단부(120) 및 복수의 이송롤러(110) 중 절단부(120)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롤러(110)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 절단장치(100)는 피처리물(S)에서 발생된 절단물(C)을 이송롤러(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11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이송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경로는 피처리물(S)이 운반되는 경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리물(S)의 길이방향(이하 이송방향이라 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송롤러(110)는 피처리물(S)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폭방향은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이송롤러(110)는, 이송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이송레일(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이송롤러(110)가 이송레일(111)의 상부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차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쌍의 이송레일(111) 상에 배치된 복수의 이송롤러(110)가 이송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110)는 이송롤러(1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송롤러 구동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이송롤러(110)가 회전하며, 피처리물(S)을 이송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이송롤러(110)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이송롤러(110)들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하, 사이공간이라 함)(112)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이공간(112)으로 절단물(C)이 낙하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후술하는 지지부(130)를 이용하여 절단물(C)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지지부(130)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절단부(120)는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120)는 절단부 몸체(121), 절단기(122) 및 절단 구동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21)는 이송경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절단부 몸체(121)는 복수의 이송롤러(110) 중 일부의 이송롤러(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절단기(122)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기(122)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절단부 몸체(121)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절단기(122)가 서로 근접되며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기(122)는 천연액화가스(LNG), 산소 등과 같은 연료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고, 화염을 분사하여 피처리물(S)을 용융시켜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절단기(122)는 피처리물(S)과 분리된 절단물(C)이 생성될 때까지,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또는, 피처리물(S)에 절단물(C)이 붙어있도록 피처리물(S)을 일부 절단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절단기(122)가 피처리물(S)과 분리된 절단물(C)이 생성될 때까지 피처리물(S)을 절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절단 구동기(123)는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절단부 몸체(1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절단 구동기(123)가 절단기(122)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절단부(120)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롤러(110)에 설치되며, 회전하며 유입된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130)는 피처리물(S)이 지지된 상태에서 절단될 수 있도록, 피처리물(S)을 하부에서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지지기(131) 및 구동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131)는 이송롤러(1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송롤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반경방향은 폭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들일 수 있다. 또한, 지지기(131)는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을 수 있다. 즉, 지지기(131)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지지기(131)는 내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31d)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기(131)의 관통홀(131d)에 이송롤러(110)가 삽입되며, 지지기(131)가 이송롤러(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기(131)는 이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즉, 지지기(131)가 이송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피처리물(S)의 하면과 접촉하고, 피처리물(S)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지지기(131)가 이송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전개 상태라 하고,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미전개 상태라 한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이송방향과 폭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지지기(131)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이송롤러(110)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기(131)는 이송롤러(110)의 전체에 설치되거나, 혹은 중심부에 설치되거나, 혹은 양측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지지기(131)가 이송롤러(110)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지지기(131)는 절단부(120)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롤러(110)들 중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하나의 이송롤러(1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기(131)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하나의 이송롤러(110)에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지지기(131)는 절단부(120)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이송롤러(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기(131)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이송롤러(110)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을 절단할 때, 한쌍의 이송롤러(110) 중 일 이송롤러(110a)에 결합된 일 지지기(131a)가 절단물(C)을 지지하고, 타 이송롤러(110b)에 결합된 타 지지기(131b)가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이송롤러(110a)는 한쌍의 이송롤러(110) 중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된 이송롤러(110)일 수 있고, 타 이송롤러(110b)는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된 이송롤러(110)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지지기(131)가 한쌍의 이송롤러(110)에 설치되 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는 지지기(131)가 일 이송롤러(110a)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타 이송롤러(110b)의 양측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총 4개로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을 지지하고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기(131a)의 반경방향 길이(L1)와 타 지지기(131b)의 반경방향 길이(L1)의 합은 사이공간(112)의 이송방향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는 사이에 이격공간(131c)을 갖을 수 있다. 즉,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가 전개 상태일 때,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 사이의 틈이 이격공간(131c)일 수 있다. 따라서, 사이공간(112)의 길이(L2)는 일 지지기(131a)의 길이(L1)와 타 지지기(131b)의 길이(L1)와 이격공간(131c)의 길이(L3)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131c)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절단부(120)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는 피처리물(S)이 절단될 폭(이하, 절단폭이라 함)(W)보다 이격공간(131c)의 길이(L3)가 더 길도록, 이송롤러(1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이격공간(131c)의 길이(L3)가 절단될 폭(W)보다 길도록, 일 지지기(131a)의 길이(L1) 및 타 지지기(131a)의 길이(L1)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격공간(131c)과 절단부(120)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고,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가 피처리물(S)을 지지하면서 분사되는 화염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기(132)는 지지기(131)가 전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지지기(1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132)는 와이어(132a), 풀리(132b) 및 실린더(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32a)는 일단이 지지기(131)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린더(132c)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32a)는 지지기(131)를 상부로 당길 수 있도록, 이송롤러(110)의 상부를 경유하여 실린더(132c)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32a)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예컨데 4개로 마련되는 지지기(131)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풀리(132b)는 이송롤러(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132a)를 안내할 수 있다. 즉, 풀리(132b)는 이송롤러(110)의 상부를 경유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132c)로 연결되는 와이어(132a)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풀리(132b)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예컨데 4개로 마련되는 와이어(132a)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풀리(132b)는 각각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지지기(13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132c)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이송롤러(110)의 하측 및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일 이송롤러(11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132a)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132c)는 이송방향으로 신장 수축하며 와이어(132a)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지지기(13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는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및 공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는 절단물(C)을 이송경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는 크롭카(Crop ca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는 주편제조공정에서 절단물을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송롤러(110)가 피처리물(S)을 이송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다. 절단기(122)는 일 이송롤러(110a)와 타 이송롤러(11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32c)는 신장된 상태일 수 있고, 와이어(132a)를 통해 실린더(132c)와 연결된 지지기(131)는 미전개 상태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피처리물(S)에서 절단될 부분이 절단기(12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일 이송롤러(110a)와 타 이송롤러(110b)의 사이로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132c)가 수축하며, 와이어(132a)를 당겨줄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a)에 장력이 인가되며 지지기(13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지지기(131)가 회전하며 전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지지기(131)가 피처리물(S)의 하면과 접촉하며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전개된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 사이의 이격공간(131c)과 절단부(120)의 절단기(122)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절단기(122)가 화염을 분사하여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구동기(123)가 한쌍의 절단기(122)를 피처리물(S)의 양단부에서 피처리물(S)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는 계속 전개 상태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절단기(122)가 피처리물(S)을 절단하여 피처리물(S)과 분리된 절단물(C)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절단물(C)은 사이공간(112)의 이송방향길이(L2)보다 짧은 폭을 갖지만, 하측에서 일 지지기(131a)가 지지하고 있어 낙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배출부가 일 지지기(131a) 상에 안착된 절단물(C)을 이송경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피처리물 절단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절단부(130)의 절단부 몸체(121)는 이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송레일(11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절단부 몸체(121)는 이송경로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절단부 몸체(121)가 사이공간(112)의 이송방향의 길이(L2)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절단부(120)에 따라, 절단부(120)와 이격공간(131c)을 상하방향에 대하여 정렬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30)는 이동하는 절단부(120)에 대응하여 이격공간(131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지지부(130)는 이송방향에 대하여, 일 지지기(131a) 및 타 지지기(131b) 사이의 간격(L3)보다 좁고 절단될 폭(W)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이격공간(131c)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처리물(S)을 절단함에 있어서,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절단될 부분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절단물(C)의 폭이 최대한 짧아지도록 절단될 부분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절단부(120)가 사이공간(112)에서 이송방향으로 소정거리를 이동하며 피처리물(S)이 절단될 부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130)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정된 절단될 부분의 위치와 이격공간(131c)을 정렬시킬 수 있다. 지지부(130)는 보조지지기(133), 동력기, 측정기(135) 및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격공간(131c)이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 사이의 공간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보조지지기(133)는 피처리물(S)의 하면과 접촉하며,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지지기(133)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을 수 있다. 즉, 보조지지기(133)는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기(133)는 하면에 내측을 함몰된 슬릿을 구비하며, 슬릿에 후술하는 레일(134)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보조지지기(133)는 지지기(131)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조지지기(133)는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지지기(131a)에 설치되는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지지기(131b)에 설치되는 타 보조지지기(133b) 사이의 간격(L3')은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 사이의 간격(L3)보다 짧고, 피처리물(S)이 절단될 폭(W)보다 길 수 있다. 여기서,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 사이의 간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격공간(131c)일 수 있다.
또한,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는 이격공간(131c)의 길이(L3')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가 이격공간(131c)의 길이(L3')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이동한 절단부(120)와 이격공간(131c)을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단기(122)가 이동하더라도, 절단기(122)의 화염에 의해 보조지지기(133)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기(133)는 피처리물(S)과 접촉하는 일면에 회전 가능한 회전롤러(133c)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롤러(133c)는 보조지지기(133)의 상면에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일 보조지지기(133a) 및 타 보조지지기(133b)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회전롤러(133c)가 공회전하며 일 보조지지기(133a) 및 타 보조지지기(133b)와 피처리물(S)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회전롤러(133c)를 통해 이송방향에 대한 피처리물(S)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일 보조지지기(133a) 및 타 보조지지기(133b)만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격공간(131c)을 절단기(122)에 정렬시킬 수 있다.
동력기는 보조지지기(13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동력기는 동력을 발생시켜 보조지지기(133)를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기는 레일(134) 및 동력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34)은 지지기(13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134)은 보조지지기(133)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보조지지기(133)를 지지할 수 있다. 레일(134)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보조지지기(133)의 슬릿에 결합될 수 있다.
동력부재는 보조지지기(133)와 연결되며 보조지지기(13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부재는 모터일 수 있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보조지지기(13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기(133)에는 레일(13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동휠이 구비될 수 있고, 동력부재가 구동휠을 회전시켜 보조지지기(133)를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측정기(135)는 이송방향에 대하여 보조지지기(133)와 절단기(122)의 이격된 거리(L4)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측정기(135)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보조기기기(133)의 단부와 절단기(122) 사이의 수평 이격거리(L4)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기(135)는 일 지지기(131a) 및 타 지지기(131b)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측정기(135)는 지지기(131) 및 보조지지기(133)가 전개 상태일 때, 보조지지기(133)에서 절단기(122)까지의 이격된 거리(L4)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35)는 측정기(135)에서 보조지지기(133)의 단부까지의 수평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측정기(135)에서 절단기(122)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후, 두 거리의 차를 통해 보조기기기(133)의 단부와 절단기(122) 사이의 수평 이격거리(L4)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일 지지기(131a)에 설치된 일 측정기(135)는 일 보조지지기(133a)로부터 절단기(122)까지의 이격된 거리(L4)를 측정하고, 타 지지기(131b)에 설치된 타 측정기(135)는 타 보조지지기(133b)로부터 절단기(122)까지의 이격된 거리(L4)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35)는 레이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측정기(135) 및 동력부재와 연결되며, 측정기(135)의 측정결과에 따라 동력부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가 동력부재를 작동시켜, 절단기(122)의 변경된 위치에 따라 보조지지기(133)를 이동시켜, 절단기(122)와 이격공간(131c)을 정렬시킬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을 지지하고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로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송롤러(110)가 피처리물(S)을 이송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다. 절단기(122)는 일 이송롤러(110a)와 타 이송롤러(11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32c)는 신장된 상태일 수 있고, 와이어(132a)를 통해 실린더(132c)와 연결된 지지기(131) 및 보조지지기(133)는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 즉 미전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기(133)는 단부가 지지기(131)의 단부와 위치가 일치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보조지지기(133)는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피처리물(S)이 절단될 부분이 절단기(12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피처리물(S)을 일 이송롤러(110a)와 타 이송롤러(110b)의 사이로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132c)가 수축하며, 와이어(132a)를 당겨줄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a)에 장력이 인가되며, 지지기(13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지지기(131)가 회전하며 지지기(131) 및 보조지지기(133)가 전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지지기(131)가 회전할 때, 보조지지기(133)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지지기(131)가 회전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때까지, 동력부재가 보조지지기(133)를 레일(134) 상에서 타 이송롤러(110b)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지지기(131) 상에서 위치가 변경된 보조지지기(133)가 피처리물(S)의 하면과 접촉되며,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 사이의 이격공간(131c)과 절단부(120)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절단부 몸체(121)가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며 절단기(122)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피처리물(S)의 실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단될 부분의 위치를 처음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기(135)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보조기기기(133)의 단부와 절단기(122) 사이의 수평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가 동력부재를 구동시켜 위치가 변경된 절단기(122)와 이격공간(131c)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를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피처리물(S)과 접촉한 이송롤러(110)가 공회전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일 보조지지기(133a) 및 타 보조지지기(133b)만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격공간(131c)을 절단부(120)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때,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는 이격공간(131c)의 이송방향 길이(L3')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절단기(122)가 화염을 분사하여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구동기(123)가 한쌍의 절단기(122)를 피처리물(S)의 양단부에서 피처리물(S)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는 전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절단기(122)가 피처리물(S)을 절단하여 피처리물(S)과 분리된 절단물(C)을 만들어낼 수 있다. 여기서, 절단물(C)은 사이공간(112)의 이송방향 길이(L2)보다 짧은 폭을 갖지만, 하측에서 일 보조지지기(133a)가 지지하고 있어 낙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배출부가 일 보조지지기(133a) 상에 안착된 절단물(C)을 이송경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방법은 이송롤러(110)들 상으로 피처리물(S)을 유입시키는 과정(S110), 절단부(12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이송롤러(110)에 연결된 지지기(131)를 전개하는 과정(S120), 피처리물(S)을 절단하는 과정(S130), 피처리물(S)을 절단하는 과정 중에 피처리물(S)에서 발생되는 절단물(C)을 지지기(131)로 지지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피처리물 절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다른 피처리물 절단방법을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피처리물 절단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동일한 동작은 함께 설명하고, 상이한 동작은 각각의 실시 예를 나누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4(a)를 참조하면, 이송롤러(110)들 상으로 피처리물(S)을 유입시킬 수 있다(S110). 즉, 피처리물(S)이 이송롤러(110)에 안착되고, 복수의 이송롤러(110)가 회전하며 피처리물(S)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단부 몸체(121)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절단기(122)가 일 이송롤러(110a)와 타 이송롤러(110b)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32c)는 신장된 상태일 수 있고, 와이어(132a)를 통해 실린더(132c)와 연결된 지지기(131)는 미전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지지기(133)는 단부가 지지기(131)의 단부와 위치가 일치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절단부(12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이송롤러(110)에 연결된 지지기(131)를 전개할 수 있다(S120).
도 4(b)를 참조하면, 피처리물(S)이 절단될 부분이 절단기(12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이송롤러(110)가 피처리물(S)을 일 이송롤러(110a)와 타 이송롤러(110b)의 사이로 운반할 수 있다. 이후, 절단부(12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이송롤러(110)에 연결된 지지기(131)를 전개할 수 있다. 이때, 일 이송롤러(110a)에 결합된 일 지지기(131a)만 전개시키거나, 혹은 일 지지기(131a)와 타 이송롤러(110b)에 결합된 타 지지기(131b)를 모두 전개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일 지지기(131a) 및 타 지지기(131b)를 모두 전개시키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32c)가 수축하며, 와이어(132a)를 당겨줄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a)에 장력이 인가되며, 지지기(13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지지기(131)가 전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전개 상태의 지지기(131)가 피처리물(S)의 하면과 접촉하며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피처리물(S)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하여 지지기(131)를 피처리물(S)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처리물(S)이 절단될 직하부는 절단기(122)에 의해 피처리물(S) 절단될 부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절단기(122)의 하측 소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피처리물(S)이 절단될 직하부는 지지기(131)가 화염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이격공간(131c)과 동일한 영역일 수 있다.
만일, 지지기(131)가 피처리물(S)이 절단될 직하부를 지지할 경우, 피처리물(S)을 절단한 지지기(131)의 화염이 지지기(131)에 접촉되어 지지기(131)를 파손시킬 수 있다. 이에, 지지기(131)가 피처리물(S)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하여 피처리물(S)을 지지하므로, 화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피처리물(S)이 절단될 직하부를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의 사이 공간인 이격공간(131c)으로 기술하여 피처리물 절단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지지기(131)가 피처리물(S)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해 전개되는 과정에서, 절단부(120)의 절단기(122)와 이격공간(131c)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131)가 회전할 때, 보조지지기(133)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기(131)가 회전하는 동안, 동력부재가 보조지지기(133)를 레일(134) 상에서 타 이송롤러(110b)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지지기(131) 상에서 위치가 변경된 보조지지기(133)가 피처리물(S)의 하면과 접촉하며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는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으며 이격되고, 소정의 공간이 이격공간(131c)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격공간(131c)이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 사이의 공간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피처리물을 절단할 수 있다(S130). 이때, 피처리물(S)에서 발생되는 절단물(C)을 지지기(131)로 지지할 수 있다(S140).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절단기(122)가 화염을 분사하여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절단기(122)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는 와이어(132a)에 의해 당겨진 상태일 수 있다. 즉, 일 지지기(131a)와 타 지지기(131b)는 계속 전개 상태로 절단되는 피처리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절단기(122)가 피처리물(S)을 절단하여 피처리물(S)과 분리된 절단물(C)을 만들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폭을 갖는 절단물(C)을 일 지지기(131a)가 지지하므로, 절단물(C)이 낙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배출부가 일 지지기(131a) 상에 안착된 절단물(C)을 이송경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 몸체(121)가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며 절단기(12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피처리물(S)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절단될 부분의 위치를 처음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측정기(135)가 변경된 절단기(122)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어기가 동력부재를 작동시켜, 위치가 변경된 절단기(122)와 이격공간(131c)이 정렬되도록 일 보조지지기(133a)와 타 보조지지기(133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피처리물(S)과 접촉한 이송롤러(110)가 공회전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일 보조지지기(133a) 및 타 보조지지기(133b)만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격공간(131c)을 절단부(120)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후, 절단기(122)가 화염을 분사하여 피처리물(S)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지지기(131)를 통해 절단물(C)을 지지하므로, 절단물(C)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배출부로 일 보조지지기(133a) 상에 안착된 절단물(C)을 이송경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피처리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을 절단하여, 절단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절단물이 낙하하여 주변 설비가 손상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이 가공될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여 피처리물을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의 실수율을 향상시키면서 피처리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피처리물 절단장치 110: 이송롤러
120: 절단부 120: 지지부
S: 피처리물 C: 절단물

Claims (17)

  1. 피처리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롤러;
    피처리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단부; 및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상기 절단부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롤러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절단부가 이동하여 변경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길이조절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이웃하는 이송롤러들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절단부와 나란하게 정렬되는 이격공간을 갖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이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기와, 상기 지지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에 연결되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들 중 일 이송롤러에 결합된 일 지지기와 타 이송롤러에 결합된 타 지지기의 길이의 합은, 상기 일 이송롤러와 상기 타 이송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피처리물 절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는, 상기 일 지지기와 상기 타 지지기 사이의 간격이 피처리물이 절단될 폭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절단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기 절단부와 상기 이격공간을 정렬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이격공간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피처리물 절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기의 상부에 상기 이송롤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기; 및
    상기 보조지지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지지기에 연결되는 동력기;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일 보조지지기와 타 보조지지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일 지지기와 상기 타 지지기 사이의 간격보다 짧고 피처리물이 절단될 폭보다 긴 피처리물 절단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기는,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일면에 회전 가능한 회전롤러;를 구비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단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기; 및
    상기 측정기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동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1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이송롤러에 접촉하고, 일단이 상기 지지기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고,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송롤러들의 하측에 설치되는 풀리;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장치.
  12. 이송롤러들 상으로 피처리물을 유입시키는 과정;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이송방향으로 절단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
    절단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이송롤러에 연결된 지지기를 전개하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 중에, 피처리물에서 발생되는 절단물을 상기 지지기로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를 전개하는 과정은, 변경된 절단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하도록, 전개된 지지기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를 전개하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될 직하부를 피하여 상기 지지기를 피처리물의 하면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를 피처리물의 하면에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을 향하도록 당겨 상기 지지기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물을 상기 지지기로 지지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가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될 직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기의 일부를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방법.
  17.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및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을 절단하는 과정은, 수직 주조된 주편을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물을 상기 지지기로 지지하는 과정은, 상기 주편과 동일한 두께이고 상기 주편보다 폭이 짧은 절단 주편을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절단방법.
KR1020200135941A 2020-10-20 2020-10-20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KR10238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41A KR102385740B1 (ko) 2020-10-20 2020-10-20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41A KR102385740B1 (ko) 2020-10-20 2020-10-20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740B1 true KR102385740B1 (ko) 2022-04-12

Family

ID=8118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41A KR102385740B1 (ko) 2020-10-20 2020-10-20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560B1 (ko) * 2022-08-04 2022-12-29 연풍이삭영농조합법인 배추 진공포장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071A (en) * 1991-07-12 1993-03-23 Bethlehem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oss free burning of slabs
KR20190066329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071A (en) * 1991-07-12 1993-03-23 Bethlehem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oss free burning of slabs
KR20190066329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560B1 (ko) * 2022-08-04 2022-12-29 연풍이삭영농조합법인 배추 진공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1406B2 (ja) 金属ビレットを水平鋳造及び切断する装置と方法
KR102385740B1 (ko)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CN202143944U (zh) 用于由金属熔液来制造浇铸连铸坯的连铸设备
KR100879847B1 (ko) 용융 금속으로부터 압연된 금속 스트립을 연속적으로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US7378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itting steel slabs
US46029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longitudinal parting of rectangular metal plate bars, in particular of cut-to-length continuous-casting plate slabs
KR20000012954A (ko) 수직로의 스트립 인입위치 교정장치
KR20210001788U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US4398699A (en) Device for removing fused slags on slabs
US6519990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rolling mill
KR101751280B1 (ko) 주편처리장치
KR100334216B1 (ko) 냉각 컨베이어 상에 중첩 패턴으로 배출되는 링들을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
EP01620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he free passage of heavy-gauge material through a flying drum shear
US7140284B2 (en) Device for cold cutting elongate members along a longitudinal axis
JPH03210951A (ja) 連続鋳造鋳片の溶断ダレ除去方法及び装置
JP3225985U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
KR102294759B1 (ko)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KR100453435B1 (ko) 스트립용권취장치
KR20130059870A (ko) 토치절단장치
KR100705676B1 (ko) 슬라브 절단기용 슬라브 지지장치
US3540522A (en) Slab cut-off mechanism supported for cooperating movement with lowering trough
KR101257556B1 (ko)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KR101596103B1 (ko) 핀치롤 채터링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핀치롤 채터링 저감 방법
KR101059202B1 (ko) 빌레트 절단설 자동 제거 장치
JPH06198398A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機のトリミ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