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556B1 -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556B1
KR101257556B1 KR1020100094673A KR20100094673A KR101257556B1 KR 101257556 B1 KR101257556 B1 KR 101257556B1 KR 1020100094673 A KR1020100094673 A KR 1020100094673A KR 20100094673 A KR20100094673 A KR 20100094673A KR 101257556 B1 KR101257556 B1 KR 10125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rolling
cut
upper fram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075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5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8Bumpers, stop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2End of product
    • B21B2273/14Front end or leading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압연 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한 텅을 절단하도록 이송대의 중간에 설치된 텅 절단기(110)와, 상기 텅 절단기에서 상기 텅을 절단하도록 상기 압연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12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설치된 상프레임(121)과, 상기 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를 향하여 돌출된 압연재 정지 아암(122)과,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상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수단(123)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절단하고자 하는 압연재를 정확히 멈추게 하여 텅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감지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해 텅이 절단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조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가동율을 향상시키고, 텅을 지난 지점을 절단하는 과대절단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여 압연재의 회수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tongue in rolling line}
본 발명은 압연라인의 압연 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하는 텅(tongue)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절단하는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압연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압연공정을 거치게 되는 바, 상기 압연공정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제작된 슬래브, 블룸, 빌렛 등을 2개의 회전하는 롤(Roll) 사이에 끼워 가늘고 길게 성형하는 것이다.
압연기는 상온 또는 고온에서 회전하는 롤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키면서 재료의 소성변형을 통해 판재, 봉재, 형강재 등을 성형하는 장치인 바, 상기 압연기와 압연기 사이에 이송가이드가 설치되어 압연재를 다음 공정의 압연롤러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형강재는 사상압연이 완료된 후 냉각상을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교정기를 거쳐 교정되어 완제품으로 성형되는 과정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압연라인의 압연 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하는 텅(tongue)을 용이하게 절단하여 제거하는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는, 압연 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한 텅을 절단하도록 이송대의 중간에 설치된 텅 절단기와, 상기 텅 절단기에서 상기 텅을 절단하도록 상기 압연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설치된 상프레임과, 상기 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를 향하여 돌출된 압연재 정지 아암과,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상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 또는 실린더기구로 되어 있다.
한편,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는, 압연 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한 텅을 절단하도록 이송대의 중간에 설치된 텅 절단기와, 상기 텅 절단기에서 상기 텅을 절단하도록 상기 압연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설치된 상프레임과, 상기 압연재의 절단위치에 따라 상기 압연재의 정지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상프레임에 설치된 가변수단과, 상기 가변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를 향하여 돌출된 압연재 정지 아암과,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가변수단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상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진시키는 보조구동수단과, 상기 보조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은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보조구동수단은 구동모터 또는 실린더 기구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에 의하면, 절단하고자 하는 압연재를 정확히 멈추게 하여 텅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감지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해 텅이 절단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조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가동율을 향상시키고, 텅을 지난 지점을 절단하는 과대절단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여 압연재의 회수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텅 절단장치로 절단할 텅이 형성된 압연재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텅 절단장치가 설치되는 압연라인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4는 도3의 작동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4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한된 폭과 두께를 갖는 압연재의 헤드부에는 압연시에 압하에 의한 연신이 발생하여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재(1)의 단부에 텅(2, tongue)이 생성된다.
상기 텅(2, tongue)은 압연이 계속됨에 따라 그 길이가 지속적으로 증대되므로 압연 씹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압연 중에 텅 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절단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텅 절단장치가 설치된 압연라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주설비에서 슬라브, 빔블랭크, 빌렛(Billet) 등의 형태로 제조된 압연소재는 압연공장으로 이송되어 가열로(10)에서 재 가열된 후, 조 압연기(20)와 중간 압연기(30) 및 사상 압연기(40)를 거치면서 압연이 마무리된 다음, 냉각상(60)(61)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시스템을 거치면서 냉각된다.
압연이 마무리된 압연제품은 제품 절단기(50)에서 상기 냉각상(60)(61)의 길이에 맞추어 적당한 길이로 분할하기 위해 절단되거나 압연재의 제조공정상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발생하는 불량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단부와 후단부를 절단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냉각상(60)(61)을 거친 형강 등의 압연제품은 절단기(도시안됨)에서 소정길이로 맞추어 재절단되는 한편 교정기(도시안됨)를 거치면서 교정되고 이송되어 정렬된 후 벤딩장치(도시안됨)로 묶어져 완제품으로 출고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압연 중의 압연재에 발생된 텅을 절단하기 위해 상기 조압연기(20)와 중간 압연기(30) 사이의 이송대(70) 상에는 텅 절단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텅 절단장치(100)는 상기 중간 압연기(30)와 사상 압연기(40)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텅 절단장치(10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제1실시예), 압연 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한 텅을 절단하도록 이송대(70)의 중간에 설치된 텅 절단기(110)와, 상기 텅 절단기(110)에서 상기 텅을 절단하도록 상기 압연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120)와, 상기 텅 절단기(110) 및 상기 스토퍼(12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도시안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텅 절단기(110)는 상기 이송대(70)의 폭방향을 따라 전후진 하면서 압연재를 절단하는 톱날(111) 및 구동부(11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기 텅 절단기(110)는 공지의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이송대(70)의 상측에 설치된 상프레임(121)과, 상기 상프레임(1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70)를 향하여 돌출된 압연재 정지 아암(122)과,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122)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상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수단(123)을 포함한다.
상기 상프레임(121)은 다수의 포스트(124)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이송대(70)의 상측에 위치하며, 판에 의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122)은 상기 상프레임(121)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플랜지(121a)에 핀(125)으로 힌지결합된 아암 형태로서, 상기 플랜지(121a)에 결합되는 레버부(122a)와, 상기 레버부(122a)의 하단부에서 상기 텅 절단기(110) 측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부(1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부(122a)의 후면에는 플랜지(122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2c)에는 상기 구동수단(123)의 후술하는 실린더 로드가 핀(126)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123)은 구동모터 또는 실린더 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실린더 기구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상프레임(121)에는 실린더 본체(123a)가 상프레임(12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123a)에 구비된 실린더 로드(123b)의 단부가 상기 핀(126)에 의해 상기 플랜지(122c)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압연라인 텅 절단장치에서, 텅을 절단할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123)을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123b)를 인출시키면 압연재 정지 아암(122)이 회동하여 그 접촉부(122b)가 압연재(1)의 텅(2)에 접촉되어 압연재(1)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텅 절단기(110)를 작동시켜 톱날(111)을 이송대(10)의 폭방향으로 전후진시키면서 텅(2)을 용이하게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압연재(1)가 상기 스토퍼(120)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므로, 감지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해 텅이 절단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조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가동율을 향상시키고, 텅을 지난 지점을 절단하는 과대절단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여 압연재의 회수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텅 절단장치(200)는 압연 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한 텅을 절단하도록 이송대(70)의 중간에 설치된 텅 절단기(210)와, 상기 텅 절단기(210)에서 상기 텅을 절단하도록 상기 압연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220)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220)는 상기 이송대(70)의 상측에 설치된 상프레임(221)과, 상기 압연재의 절단위치에 따라 상기 압연재의 정지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상프레임(221)에 설치된 가변수단(230)과, 상기 가변수단(2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70)를 향하여 돌출된 압연재 정지 아암(222)과,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222)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가변수단(230)에 설치된 구동수단(22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텅 절단기(21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변수단(230)은 상기 상프레임(221)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더(231)와, 상기 슬라이더(231)를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상프레임(221)에 설치된 보조구동수단(232)와, 상기 보조구동수단(23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31)을 이송하는 이송수단(233)을 포함한다.
상기 상프레임(221)은 다수의 포스트(224)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이송대(70)의 상측에 위치하며, 빔에 의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 프레임(221)의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더(231)가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도록 한쌍의 레일(241)(2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222)은 상기 슬라이더(231)의 단부 저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대(231a)에 핀(225)으로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아암 형태로서, 상기 돌출대(231a)에 결합되는 레버부(222a)와, 상기 레버부(222a)의 하단부에서 상기 텅 절단기(210) 측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부(2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부(222a)의 후면에는 플랜지(222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22c)에는 상기 구동수단(223)의 실린더 로드(223b)가 핀(226)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223)은, 실린더 본체(223a)가 상프레임(221) 및 슬라이더(231)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231)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223a)에 구비된 실린더 로드(223b)의 단부가 상기 핀(226)에 의해 상기 플랜지(222c)에 힌지 결합된 한쌍의 실린더 기구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 구동수단(232)는 구동모터 또는 실린더 기구로 되어 있을 수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수단(233)은 상기 보조구동수단(232)의 구동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슬라이더(231)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231)에 전동나사결합된 이송스크류(233a)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233)은 일반적인 전동나사방식의 이송기구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한쌍의 레일(241)(241')는 서로 이어진 연결부(24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242)에는 상기 이송스크류(233a)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베어링(233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압연라인 텅 절단장치에서, 텅을 절단할 경우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223)을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223b)를 인출시키면 압연재 정지 아암(222)이 회동하여 그 접촉부(222b)가 압연재(1)의 텅(2)에 접촉되어 압연재(1)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텅 절단기(110)를 작동시켜 톱날(111)을 이송대(70)의 폭방향으로 전후진시키면서 텅(2)을 용이하게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압연라인 텅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보조구동수단(232)을 작동시켜 이송수단(233)의 이송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31)을 이송시켜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222)의 정지 위치를 가변하는 가변수단(230)에 의해 절단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압연재의 규격에 따라 차이가 생기는 텅(tongue)의 절단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업작업 및 압연재의 회수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 텅 절단기 120, 220 : 스토퍼
121, 221 : 상 프레임 122, 222 : 압연재 정지 아암
123, 223 : 구동수단 230 : 가변수단
231 : 슬라이더 232 : 보조구동수단
233 : 이송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압연중에 압연재의 단부에 발생한 텅을 절단하도록 이송대의 중간에 설치된 텅 절단기와, 상기 텅 절단기에서 상기 텅을 절단하도록 상기 압연재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설치된 상프레임과, 상기 압연재의 절단위치에 따라 상기 압연재의 정지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상프레임에 설치된 가변수단과, 상기 가변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를 향하여 돌출된 압연재 정지 아암과,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가변수단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상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진시키는 보조구동수단과, 상기 보조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연재 정지 아암은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수단은 구동모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KR1020100094673A 2010-09-29 2010-09-29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KR10125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673A KR101257556B1 (ko) 2010-09-29 2010-09-29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673A KR101257556B1 (ko) 2010-09-29 2010-09-29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075A KR20120033075A (ko) 2012-04-06
KR101257556B1 true KR101257556B1 (ko) 2013-04-23

Family

ID=4613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673A KR101257556B1 (ko) 2010-09-29 2010-09-29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089B1 (ko) * 2018-08-27 2020-07-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절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190U (ko) 1975-04-02 1976-10-20
JPH0740135A (ja) * 1993-08-04 1995-02-10 Kobe Steel Ltd 被切断材の先端揃え方法
JPH07299647A (ja) * 1994-05-09 1995-11-14 Sumitomo Metal Ind Ltd 長尺材のストッパ装置及び長尺材の切断設備
JP2001058205A (ja) 1999-08-20 2001-03-06 Kawasaki Steel Corp 条鋼製品の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190U (ko) 1975-04-02 1976-10-20
JPH0740135A (ja) * 1993-08-04 1995-02-10 Kobe Steel Ltd 被切断材の先端揃え方法
JPH07299647A (ja) * 1994-05-09 1995-11-14 Sumitomo Metal Ind Ltd 長尺材のストッパ装置及び長尺材の切断設備
JP2001058205A (ja) 1999-08-20 2001-03-06 Kawasaki Steel Corp 条鋼製品の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075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70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cut line in strip sheet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strip sheet glass
JP2008529815A (ja) 棒材を剪断加工するための剪断加工装置を有する成形機械
CN107921600B (zh) 用于板状元件、特别是瓷砖和板、天然石材、玻璃或类似物的研磨机
KR101630911B1 (ko) 연주압연방법
KR20150044935A (ko) 조합식 연속 주조 및 압연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57047B1 (ko) 스트립 절단장치
KR101257556B1 (ko)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US3246552A (en) Shearing apparatus
TWI496633B (zh) 由金屬熔融物製造厚鋼板的方法與垂直連續鑄造裝置
KR100588346B1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1354930B1 (ko) 연속주조 공정의 슬라브 측면 스케일 제거장치
CN213495668U (zh) 一种粗轧前夹送辊
US10286432B2 (en)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63555B1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1225256B1 (ko)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20120122071A (ko) 교정기의 철강 제품 가이드 장치
JP6304498B2 (ja) 熱間鋼片のサイジングプレスにおけるキャンバー抑制方法
CN103831476A (zh) 一种用于圆柱形铝棒切割的热切割机
KR101310986B1 (ko) 슬라브 가공장치
JP4686841B2 (ja) 小断面鋳片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107457303A (zh) 一种冲床裁切寸动装置
KR20160002238A (ko) 플라즈마 절단부를 포함하는 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연판 제조공정
JP4757708B2 (ja) 厚鋼板の製造設備
KR20090006447U (ko) 냉각수 분사노즐의 위치조절장치
JP2011088267A (ja) 棒状ワークの切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