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256B1 -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256B1
KR101225256B1 KR1020110051614A KR20110051614A KR101225256B1 KR 101225256 B1 KR101225256 B1 KR 101225256B1 KR 1020110051614 A KR1020110051614 A KR 1020110051614A KR 20110051614 A KR20110051614 A KR 20110051614A KR 101225256 B1 KR101225256 B1 KR 10122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roduct
crop
cutting
roller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107A (ko
Inventor
홍종철
임경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25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heavy work, e.g. ingots, slabs, blooms, or billet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orm is unimportant ; Rolling combined with forging or pressing
    • B21B1/026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horizontal casting
    • B22D11/047Means for joining tundish to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롤러테이블에 의한 제품이송경로 상에 제1크롭슈트(41)와 제2크롭슈트(42)가 배치되고, 상기 제1크롭슈트(41)쪽에 제1절단기(11)가 배치되고, 상기 제2크롭슈트(42)측에 제3절단기(13)가 배치되며, 상기 제1절단기(11)로부터 제품의 절단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절단기(12)가 배치된다.
제품이 이송되어 오면 상기 제3절단기(13)에 의해 제품의 두부크롭이 먼저 절단되고, 이후 상기 제1절단기(11)와 제2절단기(12)에 의해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된 2본씩의 정상제품이 생산된다. 제품의 미부크롭은 상기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절단된다.
연속적인 절단공정 진행중에는 제품의 두부크롭 절단을 위해 별도로 소모되는 시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continous casting product}
본 발명은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단대기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설비는 상부에 구비된 턴디쉬에 용강을 공급받고, 상기 턴디쉬의 하부에 설치된 몰드를 통해 용강을 배출하며, 이후 다단의 압연을 거쳐서 슬라브, 빌렛, 빔블랭크 등의 중간제품을 제조하는 설비이다.
또한, 상기 중간제품을 다시 압연하여 각종 형강, 봉강, 철근 등의 최종 제품을 생산한다.
상기와 같이 연속주조를 통해 생산된 제품은 그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주문처의 요구대로 절단하여 공급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연속주조 제품을 연속적으로 절단할때 절단대기시간이 감소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는, 제품을 이송하는 롤러테이블과;
상기 롤러테이블의 측부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 및 제3절단기와;
상기 제1절단기의 앞쪽에 설치된 제1크롭슈트와;
상기 제3절단기의 앞쪽에 설치된 제2크롭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절단기와 상기 제3절단기는 상기 롤러테이블의 측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절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테이블은 복수 개로 분할 구성되고, 그 중 상기 제2절단기와 제3절단기의 이동범위에 속하는 롤러테이블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크롭슈트의 측부에 제품에서 절단된 크롭이 낙하하여 담겨지는 수거함이 설치되고, 상기 제1크롭슈트의 측부에서 상기 수거함으로 제품에서 절단된 크롭을 이송하는 롤러테이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절단기로부터 제품이송방향 앞쪽에 제품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제품 절단방법은, 고정된 제1절단기의 앞쪽으로 절단하려는 제품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스토퍼를 배치하고, 상기 제1절단기의 뒤쪽으로 상기 제품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2절단기를 배치하며, 상기 제2절단기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설치된 제2크롭슈트의 측부에 제3절단기를 배치하는 설비조정단계와;
롤러테이블을 따라 제품이 이송되면 상기 제3절단기로 제품의 두부크롭을 절단하는 두부크롭 절단단계와;
상기 두부크롭이 절단된 제품이 상기 스토퍼에 이르러 정지되고, 상기 제1절단기와 상기 제2절단기가 제품을 절단하는 제품 절단단계와;
상기 제품 절단단계의 반복과정 중에 제품의 미부크롭이 상기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절단되는 미부크롭 절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비조정단계에서 상기 제2절단기의 톱날과 롤러테이블의 롤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절단기의 앞쪽에 위치한 롤러테이블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공정으로 최초 이송되는 제품을 제외한 두번째 이후로 진입되는 제품에 의해서는 두부크롭 절단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품의 미부크롭은 제품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절단된다.
따라서, 제품의 절단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지 않게 됨으로써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제품의 절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으로부터 절단 제거된 크롭들은 모두 수거함으로 수거되어 재활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품 절단 방법의 예시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는 제품을 이송하는 롤러테이블(20~24)과, 상기 롤러테이블의 측부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제1절단기(11)와 제2절단기(12) 및 제3절단기(13), 그리고 상기 롤러테이블의 설치경로상에 설치된 제1크롭슈트(41)와 제2크롭슈트(42)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기(11,12,13)들은 모터에 의해 원형의 톱날이 회전되면서 제품을 절단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롤러테이블의 측부에서 롤러테이블쪽으로 즉, 롤러테이블에 올려진 제품쪽으로 전진 및 후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톱날을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단기(11)는 롤러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는 이동할 수 없는 고정형 절단기이고, 상기 제2절단기(12)와 제3절단기(13)는 롤러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절단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크롭슈트(41)와 상기 제2크롭슈트(42)는 상기 롤러테이블의 설치경로 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1크롭슈트(41)는 상기 제1절단기(11)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2크롭슈트(42)는 상기 제3절단기(13)가 배치된 위치의 앞쪽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롤러테이블(20~24)은 다수의 롤러테이블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상기 제2크롭슈트(42)의 앞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절단기(12)와 제3절단기(13)의 이동범위에 속하는 롤러테이블(22,23)은 유압실린더(22a,23a)에 의해 밀려지거나 당겨져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절단기(11)의 앞쪽에는 그 부분에 배치된 롤러테이블(20)의 롤러 사이로 승강되는 스토퍼(30)들이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30)는 제품을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에 해당되는 스토퍼만 상승되어 있게 되고, 제품 절단 후에는 하강하여 롤러테이블(20)을 따라 절단된 제품이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10m로 제품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절단기(11)로부터 10m 앞쪽에 배치된 스토퍼가 상승되고, 12m로 제품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절단기(11)로부터 12m 앞쪽에 배치된 스토퍼가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크롭슈트(42)의 설치 범위 내에는 이송되는 제품의 두부크롭을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에서 제품이 감지되면 롤러테이블(24)의 작동이 중지되어 제품이 정지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3절단기(13)가 작동되면 제품에서 두부크롭이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를 이용하면, 롤러테이블을 따라 절단공정으로 진입되는 제품의 두부크롭을 제3절단기(13)로 미리 절단하고, 상기 제2크롭슈트(42)에 의해 제품이송경로 상에서 신속히 배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품이 제1절단기(11)에 이르렀을때 제품을 정지시키고 제1절단기(11)에 의해 두부크롭을 제거할 필요 없이 바로 제1절단기(11)와 제2절단기(12)를 동시에 작동시켜 최초의 제품절단작업시부터 2본(本)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 생산속도가 증가된다.
즉, 절단장치로 최초로 진입되는 제품은 두부크롭 절단을 위해 제3절단기앞에서 정지하는 별도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지만, 이후 진입되는 제품들은 앞서 진입된 제품이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에 의해 정해진 제품길이로 절단되고 있는 동안 상기 제3절단기에서 두부크롭이 절단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제품에 대한 절단공정을 진행하면 할수록 제품의 두부크롭 절단을 위한 정지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전체적인 생산속도는 크게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가 동시에 작동되는 절단작업이 반복되면 결국 제품 후미의 미부크롭이 상기 제1절단기 또는 제2절단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절단되게 되고, 이와 같이 절단된 미부크롭은 상기 제1크롭슈트(41)을 통해 제품 이송경로 상에서 배출 제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크롭슈트(42)의 측부에는 상기 제2크롭슈트(42)에서 배출되는 두부크롭이 낙하하여 담겨질 수 있는 수거함(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크롭슈트(41)의 측부와 상기 수거함(50)의 사이에는 상기 제1크롭슈트(41)에서 배출되는 미부크롭을 상기 수거함(50)으로 이송하는 롤러테이블(60)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품의 절단공정 진행중에 발생하는 두부크롭과 미부크롭은 전량 상기 수거함(50)으로 수거되며, 수거함(50)에 담겨진 크롭들은 새로운 용강의 생산에 재활용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압연제품 절단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길이로 제품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2절단기(12)와 제3절단기(13) 및 스토퍼(30)를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키는 설비조정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설비조정단계에서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제1절단기(11)를 기준으로 제품이송방향의 앞쪽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제품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30)를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제1절단기(11)를 기준으로 제품이송방향의 뒤쪽으로 상기 제품길이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제2절단기(12)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절단기(13)는 상기 제2크롭슈트(42)의 뒤쪽으로 인접하여 배치한다. 즉, 전술한 센서에 의해 제품의 두부크롭이 감지되어 제품이 정지하였을때 상기 제3절단기(13)가 제품의 두부크롭을 절단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설비조정단계가 실시된 이후, 롤러테이블이 작동되어 제품이 이송되어 오면 먼저 상기 제3절단기(13)에 의한 두부크롭 절단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두부크롭 절단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크롭슈트(42)의 설치공간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제품이 감지되어 정지되면 상기 제3절단기(13)가 작동되어 제품의 두부크롭이 절단되고, 절단된 두부크롭은 상기 제2크롭슈트(42)를 통해 배출된다.
이후, 상기 제1절단기(11)와 제2절단기(12)에 의해 정해진 길이로 제품을 절단하는 제품 절단단계가 실시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제3절단기(13)에 의해 두부크롭이 제거된 상태의 제품이 롤러테이블을 따라 진행하여 제2절단기(12)와 제1절단기(11)를 통과하여 전방 단부가 상기 스토퍼(30)에 닿아 정지할 때까지 이송된다.
상기 스토퍼(30)에 의해 제품이 정지되면 상기 제1절단기(11)와 제2절단기(12)가 동시에 작동하여 한 번에 2본(本)의 제품을 절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품 절단단계가 동일하게 반복되고, 결국 제품의 후미가 진행되어 오면 마지막 절단단계에서 상기 제1절단기(11) 또는 제2절단기(12)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제품 후미의 미부크롭이 절단되는 미부크롭 절단단계가 실시된다.
이후 절단된 미부크롭은 뒤이어 진입되는 제품의 이송을 위해 롤러테이블이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크롭슈트(41)로 낙하하여 제품이송경로상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먼저 진입된 제품이 절단되는 동안 후에 진입되는 제품의 두부크롭을 상기 제3절단기(13)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전체공정 진행 시간중에 2번째 이후에 진입되는 제품에 대한 두부크롭 제거를 위한 정지시간이 별도로 소모되지 않게 된다. 이에 연속적으로 제품 절단공정이 실시될 때 두부크롭 절단에 소모되는 시간이 감소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에는 연속주조된 87m짜리 H빔을 12m짜리 제품 7본(本)으로 절단하는 실제 절단예가 묘사되어 있다. 상기 H빔은 전후단의 두부크롭과 미부크롭 각 1.5m 절단분을 포함하여 총 87m의 길이를 가진다.((12m × 7本)+(1.5m × 크롭 2개) = 87m)
도시된 바와 같이, 본격적인 제품 절단단계가 실시되기 전에 상기 두부크롭 절단단계에서 상기 제3절단기에 의해 두부크롭이 절단된다.
이후, 상기 제품 절단단계에서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에 의해 동시에 2본의 제품이 절단된다. 상기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의 1회 작동에 의한 2본의 제품 절단단계를 하나의 절단 사이클로 보면, 총 3사이클의 절단단계가 반복된 후에는 미부크롭 1.5m를 포함하여 잔여 제품의 길이는 13.5m가 된다.
따라서, 4사이클 단계에서는 상기 제1절단기만에 의해서 12m길이를 가지는 정상 제품과 미부크롭이 절단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4사이클만에 1개 제품의 절단이 완료되고, 이때 미부크롭은 상기 제1크롭슈트(41)의 직전에 위치하므로 즉시 제1크롭슈트(41)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H빔이 12m 더 긴 99m의 길이를 가진 것이라면, 상기 제4사이클에서도 12m짜리 정상제품 2본이 절단되고, 미부크롭은 상기 제2절단기에 의해 절단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뒤이어 진입되어 미리 두부크롭이 절단된 다른 제품을 상기 스토퍼쪽으로 이송하기 위해 롤러테이블이 작동되기 때문에 상기 후방 제품의 진행과 더불어 상기 절단된 미부크롭이 진행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제1크롭슈트(41)로 낙하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제품 절단공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1,12,13 : 절단기 20~24 : 롤러테이블
22a,23a : 유압실린더 30 : 스토퍼
41,42 : 크롭슈트 50 : 수거함
60 : 롤러테이블

Claims (7)

  1. 제품을 이송하는 롤러테이블과;
    상기 롤러테이블의 측부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 및 제3절단기와;
    상기 제1절단기의 앞쪽에 설치된 제1크롭슈트와;
    상기 제3절단기의 앞쪽에 설치된 제2크롭슈트;
    를 포함하는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절단기와 상기 제3절단기는 상기 롤러테이블의 측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절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은 복수 개로 분할 구성되고, 그 중 상기 제2절단기와 제3절단기의 이동범위에 속하는 롤러테이블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크롭슈트의 측부에 제품에서 절단된 크롭이 낙하하여 담겨지는 수거함이 설치되고, 상기 제1크롭슈트의 측부에서 상기 수거함으로 제품에서 절단된 크롭을 이송하는 롤러테이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기로부터 제품이송방향 앞쪽에 제품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6. 고정된 제1절단기의 앞쪽으로 절단하려는 제품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스토퍼를 배치하고, 상기 제1절단기의 뒤쪽으로 상기 제품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2절단기를 배치하며, 상기 제2절단기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설치된 제2크롭슈트의 측부에 제3절단기를 배치하는 설비조정단계와;
    롤러테이블을 따라 제품이 이송되면 상기 제3절단기로 제품의 두부크롭을 절단하는 두부크롭 절단단계와;
    상기 두부크롭이 절단된 제품이 상기 스토퍼에 이르러 정지되고, 상기 제1절단기와 상기 제2절단기가 제품을 절단하는 제품 절단단계와;
    상기 제품 절단단계의 반복과정 중에 제품의 미부크롭이 상기 제1절단기와 제2절단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절단되는 미부크롭 절단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주조 제품 절단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비조정단계에서 상기 제2절단기의 톱날과 롤러테이블의 롤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절단기의 앞쪽에 위치한 롤러테이블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제품 절단방법.

KR1020110051614A 2011-05-30 2011-05-30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10122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14A KR101225256B1 (ko) 2011-05-30 2011-05-30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14A KR101225256B1 (ko) 2011-05-30 2011-05-30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07A KR20120133107A (ko) 2012-12-10
KR101225256B1 true KR101225256B1 (ko) 2013-01-22

Family

ID=4751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14A KR101225256B1 (ko) 2011-05-30 2011-05-30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9792A (zh) * 2014-12-15 2016-06-22 Posco公司 切割设备及切割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792B1 (ko) * 2018-07-03 2020-05-26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614A (ja) * 1994-11-29 1996-06-18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クロップ切断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614A (ja) * 1994-11-29 1996-06-18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クロップ切断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9792A (zh) * 2014-12-15 2016-06-22 Posco公司 切割设备及切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07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380B2 (ja) 鋳造・圧延・複合設備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5785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ut to length bars in a steel mill
CN101821064B (zh) 用于切割材料锭坯的切割机
CN103600172B (zh) 一种开卷落料方法
CN103624081B (zh) 铸造轧制复合设备的中间轧机区域
KR20150044935A (ko) 조합식 연속 주조 및 압연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2143944U (zh) 用于由金属熔液来制造浇铸连铸坯的连铸设备
KR101225256B1 (ko) 연속주조 제품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20160085763A (ko) 긴 금속 제품 제조용 제강 플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1456066B (zh) 一种楔形铸坯在线切割方法及设备
US3631959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stings from continuous casting machines
JP2018518369A (ja) 鋳造圧延方式において、金属的な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RU264048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методом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овмещенной с прокаткой
KR20120011755A (ko) 조강류 금속제품용 온도 유지 및/또는 가열장치와 관련방법
RU25619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и возможного нагрева длинномер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CN107671127B (zh) 用于棒材编组收集台架防止圆钢尾部弯曲装置及控制方法
CN105689792B (zh) 切割设备及切割方法
CN107427872B (zh) 连铸轧制方法及连铸轧制装置
CN219785985U (zh) 车牌模具报废设备
KR101257556B1 (ko)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JP2013166175A (ja) 鋳物の切断装置と、それを利用する鋳造装置
CN116651896A (zh) 一种车牌模具报废设备
JP2005219300A (ja) シートプレス成形設備
CN115591942A (zh) 一种esp轧线事故快速处理工艺
JPS59102511A (ja) 鋼片の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