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834B1 -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 Google Patents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834B1
KR101910834B1 KR1020170034446A KR20170034446A KR101910834B1 KR 101910834 B1 KR101910834 B1 KR 101910834B1 KR 1020170034446 A KR1020170034446 A KR 1020170034446A KR 20170034446 A KR20170034446 A KR 20170034446A KR 101910834 B1 KR101910834 B1 KR 10191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ridge
along
mai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314A (ko
Inventor
윤인규
윤성아
윤진효
Original Assignee
윤인규
윤성아
윤진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규, 윤성아, 윤진효 filed Critical 윤인규
Priority to KR102017003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83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는 교량의 켄틸레버부에 걸려 지지되고,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주 고정부, 그리고 상기 주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주 고정부의 외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직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주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켄틸레버부 및 스틸박스에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조물 또는 중장비의 사용 없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간 이동이 가능하여, 특수 장비의 사용을 배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주변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교량의 보수 및 점검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MOVABLE SCAFFOLD FOR BRIDGE}
본 발명은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접적으로 교량에 설치되어 별도의 구조물 또는 중장비의 사용 없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량 또는 고가교 등의 구조물을 보수하거나, 상기 구조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해서, 작업자를 해당 작업위치로 근접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특수 장비가 사용되어 왔다.
특수 장비는 대표적으로 굴절차, 공간비계, 크레인, 랙작업차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수 장비는 일부 교량을 제외하는 교각 통과가 어렵고, 일부 장비들은 교각을 통과하기 위하여 별도의 중장비를 필수적으로 이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특수 장비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대한 보수 또는 안전점검을 수행할 경우, 상기 특수 장비를 이용할 때마다, 고가의 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주변 도로 및 차량을 통제해야 하므로 인근 도로에 교통체증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실질적인 점검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에 따라 단순히 망원경 혹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피상적으로 점검부위를 육안으로만 점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3046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량의 켄틸레버부 및 스틸박스에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조물 또는 중장비의 사용 없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는 교량의 켄틸레버부에 걸려 지지되고,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주 고정부, 그리고 상기 주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주 고정부의 외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직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주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고정부는 상기 교량의 켄틸레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교량의 켄틸레버부에 수직방향으로 걸려 지지되는 주 지지부, 그리고 상기 주 지지부에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주 이동부가 안착되어 상기 주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주 이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주 이송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주 이송레일부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주 이송레일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주 이송레일부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에는 상기 주 이동부에 치합되는 제1 래크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 이동부는 상기 제1 걸림턱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보조 지지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보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보조 지지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의 펜스가 설치되는 탑승부, 상기 펜스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탑승부를 상기 펜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래크기어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기어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주 이송레일부의 타 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에 안착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 기어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롤러, 그리고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롤러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부 및 상기 탑승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상기 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의 단부에는 상기 제2 구동부에 걸려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구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펜스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펜스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펜스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걸림턱에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치합되는 제2 래크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래크기어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펜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기어부, 상기 제2 기어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 상기 제2 기어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펜스의 타 측에 형성된 제2 걸림턱에 접촉되고,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 기어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펜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롤러, 그리고 상기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롤러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탑승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교량의 스틸박스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고정부, 상기 보조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보조 고정부의 외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이동부, 그리고 상기 보조 이동부와 상기 주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교량의 스틸박스에 수직방향으로 걸려 지지되는 클램핑부,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에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보조 이동부가 안착되어 상기 보조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이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 걸림턱이 형성되는 보조 이송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턱은 상기 보조 이송레일부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이송레일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보조 이송레일부의 일 측에 형성된 제3 걸림턱에는 상기 보조 이동부에 치합되는 제3 래크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제3 래크기어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3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기어부, 상기 제3 기어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3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 모터, 상기 제3 기어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조 이송레일부의 타 측에 형성된 제3 걸림턱에 안착되고, 상기 제3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3 기어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3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롤러, 그리고 상기 제3 모터 및 상기 제3 롤러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3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3 연결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3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켄틸레버부 및 스틸박스에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조물 또는 중장비의 사용 없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간 이동이 가능하여, 특수 장비의 사용을 배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주변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교량의 보수 및 점검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특수 장비의 사용을 배제함에 따라, 자유롭게 교량의 전 구간을 이동 가능하고, 작업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기존 특수 장비가 이동되거나, 제어되는 시간이 배제되어 신속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점검부위에 인접한 위치에서 직접적으로 교량을 점검하게 되어, 교량의 안전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주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주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보조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제2 구동부 및 탑승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보조 고정부 및 보조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주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100)(이하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100)'라 함)는 직접적으로 교량(200)에 설치되어 별도의 구조물 또는 중장비의 사용 없이, 교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이동식 비계로서, 주 고정부(10)를 포함한다.
주 고정부(10)는 교량(200)의 켄틸레버부(210)에 걸려 지지되고, 교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안내한다.
주 고정부(10)는 주 지지부(11) 및 주 이송레일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 지지부(11)는 교량(200)의 켄틸레버부(2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교량(200)의 켄틸레버부(210)에 수직방향으로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교량(200)의 켄틸레버부(210)는 교량(200)의 폭방향 측 단부에 위치하여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난간형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지지부(11)는 상기한 상측으로 돌출된 난간형상의 켄틸레버부(2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부위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주 지지부(11)는 켄틸레버부(210)가 교량(200)의 본체와 이격된 구간 없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재가 복수의 절곡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켄틸레버부(210)가 교량(200)의 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경우, 켄틸레버부(210)의 둘레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체인링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주 지지부(1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켄틸레버부(21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주 이송레일부(13)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링바 등과 같은 복수개의 결속부재를 통하여 주 지지부(11)에 결합되고, 외측에는 레일구조가 형성되어 후술할 주 이동부(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주 이송레일부(13)의 외면에는 주 이동부(20)가 안착되어 주 이동부(20)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주 이동부(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걸림턱(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턱(131)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이송레일부(13)의 폭방향을 따라 주 이송레일부(13)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 이송레일부(13)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131)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이동부(20)에 치합되는 제1 래크기어(133)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100)는 주 이동부(2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주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보조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제2 구동부 및 탑승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 이동부(20)는 주 고정부(10)에 지지되어 주 고정부(10)의 외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직방향을 향하는 중심축(CA)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주 이동부(20)는 복수개의 구동계, 회전 가능한 지지구조물, 작업자의 탑승이 가능한 탑승부(24), 그리고 각 부위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 이동부(2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주 이동부(20)는 제1 구동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1)는 제1 걸림턱(131)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제1 걸림턱(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구동부(21)는 제1 래크기어(133)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제1 걸림턱(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기어부(211), 및 제1 기어부(21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 기어부(21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21)는 제1 기어부(211)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주 이송레일부(13)의 타 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131)에 안착되고, 제1 기어부(211)의 회전 시 제1 기어부(211)와 함께 회전되어 제1 걸림턱(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롤러(213), 및 제1 모터(212) 및 제1 롤러(213)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제1 연결부(23)와 결합되어 제1 연결부(23)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2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프레임(214)의 외측에는 후술할 제1 연결부(23)와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 이동부(20)는 보조 지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22)는 제1 구동부(21)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중심축(CA)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보조 지지부(2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3)와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회전부(221), 및 회전부(221)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부(221)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후술할 제2 연결부(26)와 결합되어 후술할 제2 구동부(25) 및 후술할 탑승부(24)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브래킷(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221)의 상측에는 상술한 제1 연결부(23)와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지지브래킷(223)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연결부(26)와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체결수단은 샤클(shackle)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 이동부(20)는 제1 구동부(21) 및 보조 지지부(2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23)는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체인 블록(chain block)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연결부(2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주 이동부(20)는 탑승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부(24)는 보조 지지부(22)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내측에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의 펜스(243)가 설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탑승부(24)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부(241), 및 지지부(241)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펜스(2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펜스(243)의 단부에는 제2 구동부(25)에 걸려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구동부(2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걸림턱(24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턱(2431)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243)의 폭방향을 따라 펜스(243)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펜스(243)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걸림턱(2431)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25)에 치합되는 제2 래크기어(2431a)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 이동부(20)는 제2 구동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25)는 펜스(243)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탑승부(24)를 상기 펜스(2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2 구동부(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크기어(2431a)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펜스(2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기어부(251), 및 제2 기어부(25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2 기어부(25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2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25)는 제2 기어부(251)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펜스(243)의 타 측에 형성된 제2 걸림턱(2431)에 접촉되고, 제2 기어부(251)의 회전 시 제2 기어부(251)와 함께 회전되어 펜스(2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롤러(253), 및 제2 모터(252) 및 제2 롤러(253)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제2 연결부(26)와 결합되어 탑승부(24)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2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프레임(254)의 외측에는 후술할 제2 연결부(26)와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체결수단은 샤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 이동부(20)는 보조 지지부(22) 및 제2 구동부(25)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연결부(26)는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체인 블록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연결부(26)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100)는 교량(200)의 스틸박스(220)에 지지되어 탑승부(24)를 지지하는 보조 고정부(30) 및 보조 고정부(30)의 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보조 이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의 보조 고정부 및 보조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고정부(30)는 교량(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켄틸레버부(210)가 형성된 교량(2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스틸박스(220)에 걸려 지지되고, 교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보조 고정부(30)는 교량(200)의 스틸박스(220)에 수직방향으로 걸려 지지되는 클램핑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클램핑부(31)는 카라비너 등과 같이 일 측에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교량(200)의 스틸박스(220)에 걸려 지지되는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부(3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고정부(30)는 복수개의 결속부재를 통하여 클램핑부(31)에 결합되고, 외측에 레일구조가 형성되어 후술할 보조 이동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이송레일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조 이송레일부(33)의 외면에는 보조 이동부(40)가 안착되어 보조 이동부(40)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 이동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 걸림턱(3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걸림턱(331)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송레일부(33)의 폭방향을 따라 보조 이송레일부(33)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보조 이송레일부(33)의 일 측에 형성된 제3 걸림턱(331)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동부(40)에 치합되는 제3 래크기어(33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이동부(40)는 보조 고정부(30)에 지지되어 보조 고정부(30)의 외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보조 이동부(40)는 제3 래크기어(3311)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제3 걸림턱(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기어부(41), 및 제3 기어부(4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3 기어부(4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 모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이동부(40)는 제3 기어부(41)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보조 이송레일부(33)의 타 측에 형성된 제3 걸림턱(331)에 안착되고, 제3 기어부(41)의 회전 시 제3 기어부(41)와 함께 회전되어 제3 걸림턱(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롤러(43), 및 제3 모터(42) 및 제3 롤러(43)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제3 연결부(50)와 결합되어 제3 연결부(50)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3 지지프레임(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프레임(44)의 외측에는 후술할 제3 연결부(50)와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체결수단은 샤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100)는 보조 이동부(40)와 주 이동부(20)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연결부(50)는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체인 블록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연결부(5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100)는 주 이동부(20) 및 보조 이동부(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예컨대, 발전기 등), 각 구동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박스 및 컨트롤 박스와 연결되어 전체 구동계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200)의 켄틸레버부(210) 및 스틸박스(220)에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조물 또는 중장비의 사용 없이, 교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간 이동이 가능하여, 특수 장비의 사용을 배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주변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교량(200)의 보수 및 점검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특수 장비의 사용을 배제함에 따라, 자유롭게 교량(200)의 전 구간을 이동 가능하고, 작업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기존 특수 장비가 이동되거나, 제어되는 시간이 배제되어 신속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점검부위에 인접한 위치에서 직접적으로 교량(200)을 점검하게 되어, 교량(200)의 안전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교량 작업용 비계
10. 주 고정부
11. 주 지지부
13. 주 이송레일부
131. 제1 걸림턱 133. 제1 래크기어
20. 주 이동부
21. 제1 구동부
211. 제1 기어부 212. 제1 모터
213. 제1 롤러 214. 제1 지지프레임
22. 보조 지지부
221. 회전부 223. 지지브래킷
23. 제1 연결부
24. 탑승부
241. 지지부 243. 펜스
2431. 제2 걸림턱 2431a. 제2 래크기어
25. 제2 구동부
251. 제2 기어부 252. 제2 모터
253. 제2 롤러 254. 제2 지지프레임
26. 제2 연결부
30. 보조 고정부
31. 클램핑부
33. 보조 이송레일부
331. 제3 걸림턱 3311. 제3 래크기어
40. 보조 이동부
41. 제3 기어부 42. 제3 모터
43. 제3 롤러 44. 제3 지지프레임
50. 제3 연결부
200. 교량
210. 켄틸레버부 220. 스틸박스

Claims (13)

  1. 교량의 켄틸레버부에 걸려 지지되고,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주 고정부,
    상기 주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주 고정부의 외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직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주 이동부,
    교량의 스틸박스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고정부,
    상기 보조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보조 고정부의 외면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이동부, 그리고
    상기 보조 이동부와 상기 주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2. 제1항에서,
    상기 주 고정부는
    상기 교량의 켄틸레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교량의 켄틸레버부에 수직방향으로 걸려 지지되는 주 지지부, 그리고
    상기 주 지지부에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주 이동부가 안착되어 상기 주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주 이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주 이송레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주 이송레일부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주 이송레일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주 이송레일부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에는 상기 주 이동부에 치합되는 제1 래크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4. 제3항에서,
    상기 주 이동부는
    상기 제1 걸림턱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보조 지지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보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보조 지지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의 펜스가 설치되는 탑승부,
    상기 펜스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탑승부를 상기 펜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5. 제4항에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래크기어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기어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주 이송레일부의 타 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에 안착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 기어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롤러, 그리고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롤러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6. 제4항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부 및 상기 탑승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7. 제4항에서,
    상기 탑승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상기 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의 단부에는 상기 제2 구동부에 걸려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구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8. 제7항에서,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펜스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펜스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펜스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걸림턱에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치합되는 제2 래크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9. 제8항에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래크기어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펜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기어부,
    상기 제2 기어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
    상기 제2 기어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펜스의 타 측에 형성된 제2 걸림턱에 접촉되고,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 기어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펜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롤러, 그리고
    상기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롤러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탑승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10. 삭제
  11. 제1항에서,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교량의 스틸박스에 수직방향으로 걸려 지지되는 클램핑부,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에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보조 이동부가 안착되어 상기 보조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이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 걸림턱이 형성되는 보조 이송레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12. 제11항에서,
    상기 제3 걸림턱은
    상기 보조 이송레일부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이송레일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되고,
    보조 이송레일부의 일 측에 형성된 제3 걸림턱에는 상기 보조 이동부에 치합되는 제3 래크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13. 제12항에서,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제3 래크기어에 치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3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기어부,
    상기 제3 기어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3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 모터,
    상기 제3 기어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조 이송레일부의 타 측에 형성된 제3 걸림턱에 안착되고, 상기 제3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3 기어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3 걸림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롤러, 그리고
    상기 제3 모터 및 상기 제3 롤러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3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3 연결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제3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KR1020170034446A 2017-03-20 2017-03-20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KR10191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46A KR101910834B1 (ko) 2017-03-20 2017-03-20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46A KR101910834B1 (ko) 2017-03-20 2017-03-20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14A KR20180106314A (ko) 2018-10-01
KR101910834B1 true KR101910834B1 (ko) 2018-10-23

Family

ID=6387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46A KR101910834B1 (ko) 2017-03-20 2017-03-20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7838A (zh) * 2019-03-09 2019-06-04 北京市市政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钢混箱梁的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1474A (ja) * 2010-04-23 2011-11-17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足場装置とその設置方法及び移動方法
JP6033679B2 (ja) * 2009-03-25 2016-11-30 ザ・リージェンツ・オブ・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ミシガン 有機蒸気ジェット印刷用のノズルの幾何学的形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3679B2 (ja) * 2009-03-25 2016-11-30 ザ・リージェンツ・オブ・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ミシガン 有機蒸気ジェット印刷用のノズルの幾何学的形状
JP2011231474A (ja) * 2010-04-23 2011-11-17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足場装置とその設置方法及び移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14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2008B2 (ja) 吊り下げ搬送装置
KR101826007B1 (ko) 교량점검용 레일형 걸이식 발판보강대
KR100987297B1 (ko) 교량 보수 점검 장치
JP5015630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101910834B1 (ko)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US20160297645A1 (en) Elevator installation
KR20220149959A (ko)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KR20140143098A (ko) 유지 디바이스 및 그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가공 공중 케이블 설비, 특히 의자식 리프트 또는 곤돌라 공중 케이블
JP5090577B1 (ja) 吊足場用吊枠
KR102015007B1 (ko) 교량의 유지보수용 이동식 점검 장치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KR20000049885A (ko)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KR102035757B1 (ko) 안테나 거치대
CN105312886A (zh) 用于安装和除去涡轮构件的方法及装置
KR101179916B1 (ko)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KR101878485B1 (ko) 철도시설 및 구조물 유지보수용 작업대차
KR102155675B1 (ko) 교량 작업대차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1794206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101794205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JP7502087B2 (ja) 調整ブリッジを備えた作業踊り場システム
KR102418216B1 (ko)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무빙 슬라이딩 발판
KR20180037549A (ko) 선박 기관실용 크레인 수리를 위한 비상 접근용 대차
KR20140023496A (ko)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CN207774666U (zh) 一种行车轨道梁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