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916B1 -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916B1
KR101179916B1 KR1020120038159A KR20120038159A KR101179916B1 KR 101179916 B1 KR101179916 B1 KR 101179916B1 KR 1020120038159 A KR1020120038159 A KR 1020120038159A KR 20120038159 A KR20120038159 A KR 20120038159A KR 101179916 B1 KR101179916 B1 KR 10117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ball screw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
연규원
Original Assignee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3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4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characterised by supporting structures provided on the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옥상(50)의 난간(51)을 따라 일정 높이에는 일정한 직경의 볼트 고정홀(5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거리를 이격한 양측의 볼트 고정홀(52)에는 각각 스크류 볼트(11)를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난간(51)의 안팎에서 너트(12)를 조여 상기 난간(5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부재(10)와; 상기 난간(51)의 안쪽에서 이미 양측에 결합된 상기 스크류 볼트(11)의 단부로 수직의 빔(21) 하단부가 축결합되어 로크 너트(23)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의 빔(21) 상단부에는 상기 난간(51)의 바깥측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수평의 빔(22)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프레임(20)과; 양측의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의 각 상기 수직의 빔(21) 하부간을 연결하는 볼 스크류(30)와; 상기 서포트 프레임(20)과 동일하게 수직의 빔(41)과 수평의 빔(42)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의 빔(41) 하단부는 상기 볼 스크류(30)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볼 스크류(30)에 축지지되는 상기 수직의 빔(41) 양측면은 상기 볼 스크류(30)에 결합된 너트(32)에 의해 측방향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견인 프레임(40)의 결합에 의해 쉽고 빠르게 간단히 난간(41)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동과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Fixure for gondola movable horizontally}
본 발명은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의 난간에 일정한 높이와 일정 간격으로 볼트 고정홀을 천공하도록 하고, 일정 거리의 볼트 고정홀에는 각각 볼트와 너트 체결에 의해 서포트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서 견인 프레임이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좀더 손쉽고 견고한 설치와 안전성을 향상시킨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용 크레인은 고층의 건물에서 옥상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벽 보수나 페인트 도장 및 유리창 청소 또는 사다리차 진입이 어려운 곳에서의 이삿짐 운반에 사용하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이다.
옥상용 크레인은 통상 "ㄱ"자형의 철골 구조물로 이루어지면서 수직의 빔은 중량체에 의해 지지되거나 옥상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옥상용 크레인은 고정 구조물로서 설치되도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비용적인 부담 또는 설치 장소의 협소 등을 이유로 미설치되는 건물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고층의 건물인 경우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유리창 청소나 페인트 도장 등과 같은 작업을 위해서는 줄을 견인할 수 있는 구조물이 옥상에 설치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물 또한 주로 옥상 바닥에 설치할 수 밖에 없는데 옥상 바닥에 특정한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은 바닥 방수에 치명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옥상의 난간으로 일정 높이에 일정 간격으로 볼트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볼트와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서 측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견인 프레임이 설치되게 하므로서 보다 간소해진 결합 구조에 의해 안전하고 손쉬운 설치가 가능한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구성 부품들을 분리시켜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유지 관리가 편리하며,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견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은, 옥상의 난간을 따라 일정 높이에는 일정한 직경의 볼트 고정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거리를 이격한 양측의 볼트 고정홀에는 각각 스크류 볼트를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난간의 안팎에서 너트를 조여 상기 난간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부재와; 상기 난간의 안쪽에서 이미 양측에 결합된 상기 스크류 볼트의 단부로 수직의 빔 하단부가 축결합되어 로크 너트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의 빔 상단부에는 상기 난간의 바깥측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수평의 빔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프레임과; 양측의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각 상기 수직의 빔 하부간을 연결하는 볼 스크류와;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동일하게 수직의 빔과 수평의 빔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의 빔 하단부는 상기 볼 스크류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볼 스크류에 축지지되는 상기 수직의 빔 양측면은 상기 볼 스크류에 결합된 너트에 의해 측방향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견인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견인 프레임은 "ㄱ"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견인 프레임은 수평의 빔 선단으로 브라켓을 연결하여 일정 길이의 연장 빔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각 볼트 고정홀에는 이탈 방지되게 관형상의 부싱이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견인 프레임은 수직의 빔에 일정 높이로 상기 볼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상기 볼 스크류보다는 큰 직경으로 축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은 옥상 난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일정한 거리의 볼트 고정홀에 각각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서포트 프레임을 구비하여 스크류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이들 양측의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서 원하는 거리로 측방 이동이 가능하게 견인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하여 좀더 손쉬운 설치와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취급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 프레임을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최대한 소형화하므로서 운반과 이동 및 취급이 편리한 대단히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 프레임의 형성 구조를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은 크게 프레임 고정부재(10)와 서포트 프레임(20)과 볼스크류(30)와 견인 프레임(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프레임 고정부재(10)는 일정 길이의 스크류 볼트(11)와 너트(1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프레임 고정부재(10)의 결합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옥상(50)의 난간(51)을 따라 일정 높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직경 즉 스크류 볼트(11)보다는 미세하게 큰 직경으로 볼트 고정홀(5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볼트 고정홀(52)은 건물을 신축 시 설계에서부터 형성되도록 하며, 이미 건축된 건물의 경우는 후시공을 통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간(51)에서의 견인력을 감안하여 난간(51) 두께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적용이 불가하므로 두께 보강을 한 후 볼트 고정홀(52)을 시공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건물의 난간(51)에서 일정 거리를 이격한 2곳의 볼트 고정홀(52)에 프레임 고정부재(10)의 스크류 볼트(11)가 각각 끼워지도록 한 후 난간(51)의 안팎에서 너트(12)를 체결시켜 스크류 볼트(11)가 난간(5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스크류 볼트(11)는 난간(51)에 형성한 볼트 고정홀(52)을 관통하고도 옥상(50) 안쪽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는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서포트 프레임(20)은 "H"형 빔 또는 "I"형 빔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따라서 서포트 프레임(20)은 수직의 빔(21) 상단에 수평의 빔(22)이 일체로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한 형상이다. 이러한 서포트 프레임(20)은 난간(51)에서 이미 결합되도록 한 양측의 스크류 볼트(11)에 각각 서포트 프레임(20)이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서포트 프레임(20)의 수직의 빔(21) 하단부에는 스크류 볼트(11)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체결홀(2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체결홀(210)을 통해 스크류 볼트(11)가 관통되도록 하면서 스크류 볼트(11)에서는 수직의 빔(21)의 양측으로 로크 너트(23)가 체결되게 하므로서 스크류 볼트(11)에서 각 서포트 프레임(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수직의 빔(21)을 고정시키게 되는 로크 너트(23)는 수직의 빔(21) 양측에서 각각 2개씩 구비되게 하므로서 스크류 볼트(11)에서의 풀림이 완벽하게 방지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프레임의 형성 구조를 예시한 측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포트 프레임(20)은 수직의 빔(21)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수평의 빔(22)이 연결되도록 하되 수평의 빔(22)이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서 서포트 프레임(20)은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볼 스크류(30)는 양측에 고정시킨 서포트 프레임(20)의 각 수직의 빔(21) 하부간을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양측의 서포트 프레임(20)에서 수직의 빔(21)에는 하단부가 이미 프레임 고정부재(10)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프레임 고정부재(10)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측으로는 일정 높이마다 볼 스크류(30)보다는 큰 직경으로 판면을 수평 관통시킨 축홀(211)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서포트 프레임(20)간 동일 수평선상의 축홀(211)에 걸쳐 볼 스크류(30)가 연결되도록 하며, 각 서포트 프레임(20)의 수직의 빔(21) 외측에서는 볼 스크류(30)의 양단부에 너트(31)가 체결되게 하므로서 볼 스크류(3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견인 프레임(40)은 상기한 서포트 프레임(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수직의 빔(41)과 수평의 빔(42)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만 견인 프레임(40)은 수직의 빔(41) 하단부가 양측의 서포트 프레임(20)간을 연결하는 볼 스크류(30)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볼 스크류(30)에 축지지되는 수직의 빔(41) 양측면에서는 로크 너트(32)가 볼 스크류(30)에 나사결합되어 수직의 빔(41)에 밀착되게 하므로서 측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특히 견인 프레임(40)은 난간(51)의 바깥측으로 구비되는 수평의 빔(42) 선단으로 별도의 브라켓(43)을 이용해서 일정 길이의 연장 빔(44)이 연결되게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견인 프레임(40)의 수직의 빔(41)에도 서포트 프레임(20)의 수직의 빔(21)에서와 마찬가지로 볼 스크류(30)가 통과하도록 동일한 사이즈로서 동일 수평선상에 축홀(410)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난간(51)에 형성되는 복수의 각 볼트 고정홀(52)에는 이탈 방지되게 관형상의 부싱(53)이 삽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합 구성이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동일하게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은 옥상에서의 간단한 조립에 의해 쉽게 설치하고, 견인 위치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옥상(50)의 난간(51)에는 일정한 높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볼트 고정홀(52)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50)의 난간(51)에 형성한 볼트 고정홀(52)들 중 일정 거리의 양측 볼트 고정홀(52)에는 각각 스크류 볼트(11)가 끼워지도록 하고, 스크류 볼트(11)의 난간(51) 외측과 내측으로는 각각 너트(12)를 체결하여 스크류 볼트(11)가 난간(51)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스크류 볼트(11)는 난간(41)의 바깥측 단부가 볼트 머리로서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스크류 볼트(11)가 양측의 볼트 고정홀(52)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난간(51)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단부에는 각각 서포트 프레임(20)의 수직의 빔(21)이 결합되도록 하되 수직의 빔(21) 양측에서는 로크 너트(23)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양측의 서포트 프레임(20)간 수직의 빔(21)에 볼 스크류(30)의 양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게 하고, 외측의 돌출단부에는 각각 너트(31)를 체결시켜 서포트 프레임(20)간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양측 서포트 프레임(20)의 수직의 빔(21)간을 연결한 볼 스크류(30)에는 서포트 프레임(2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견인 프레임(40)이 구비되도록 하되 견인 프레임(40)은 수직의 빔(41) 하단부가 볼 스크류(30)에 측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한다.
볼 스크류(30)에 축결합되는 견인 프레임(40)의 수직의 빔(41) 양측으로부터는 로크 너트(32)를 결합하여 견인 프레임(40)의 측방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견인 프레임(40)은 필요에 따라 양측의 로크 너트(32)를 풀어 측방으로 필요한 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에 의해서는 한 곳을 지지하게 되므로 작업대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다른 한 곳을 더 지지해야 하므로 본 발명의 크레인 구조를 일정 거리 이격시켜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즉 서포트 프레임(20)과 견인 프레임(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난간(51)에서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양측으로 일정 거리를 이격시켜 견인 프레임(40)이 구비되도록 하면 이들 견인 프레임(40)들에 의해 작업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크레인의 이격 거리는 지지하게 되는 작업대의 형상이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한편 서포트 프레임(20)과 견인 프레임(40)은 각각의 수평의 빔(22,42)들이 난간(51)과의 일정 높이를 이격되도록 한 사이 공간으로 쿠션받침(60)이 개제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하면서 결합 또한 손쉽게 할 수 있게 하므로서 비교적 좁은 공간의 난간(51)에서도 설치와 분해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이나 이송이 간편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다.
특히 견인하게 될 작업대의 형상과 크기 및 작업 위치에 따라 난간(51)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므로 더욱 사용과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 : 프레임 고정부재
11 : 스크류 볼트 12 : 너트
20 : 서포트 프레임
21 : 수직의 빔
210 : 체결홀 211 : 축홀
22 : 수평의 빔 23 : 로크 너트
30 : 볼 스크류 31, 32 : 너트
40 : 견인 프레임
41 : 수직의 빔 410 : 축홀
42 : 수평의 빔 43 : 브라켓
44 : 연장 빔
50 : 옥상 51 : 난간
52 : 볼트 고정홀 53 : 부싱
60 : 쿠션 받침

Claims (5)

  1. 옥상(50)의 난간(51)을 따라 일정 높이에는 일정한 직경의 볼트 고정홀(5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거리를 이격한 양측의 볼트 고정홀(52)에는 각각 스크류 볼트(11)를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난간(51)의 안팎에서 너트(12)를 조여 상기 난간(5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부재(10)와;
    상기 난간(51)의 안쪽에서 이미 양측에 결합된 상기 스크류 볼트(11)의 단부로 수직의 빔(21) 하단부가 축결합되어 로크 너트(23)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의 빔(21) 상단부에는 상기 난간(51)의 바깥측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수평의 빔(22)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프레임(20)과;
    양측의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의 각 상기 수직의 빔(21) 하부간을 연결하는 볼 스크류(30)와;
    상기 서포트 프레임(20)과 동일하게 수직의 빔(41)과 수평의 빔(42)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의 빔(41) 하단부는 상기 볼 스크류(30)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볼 스크류(30)에 축지지되는 상기 수직의 빔(41) 양측면은 상기 볼 스크류(30)에 결합된 너트(32)에 의해 측방향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견인 프레임(4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20)과 상기 견인 프레임(40)은 "ㄱ"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견인 프레임(40)은 수평의 빔(42) 선단으로 브라켓(43)을 연결하여 일정 길이의 연장 빔(44)이 연결되도록 하는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볼트 고정홀(52)에는 이탈 방지되게 관형상의 부싱(53)이 삽입되도록 하는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20)과 상기 견인 프레임(40)은 각 수직의 빔(21,41)에 일정 높이로 상기 볼 스크류(30)가 통과하도록 상기 볼 스크류(30)보다는 큰 직경으로 축홀(211,410)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KR1020120038159A 2012-04-12 2012-04-12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KR10117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59A KR101179916B1 (ko) 2012-04-12 2012-04-12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59A KR101179916B1 (ko) 2012-04-12 2012-04-12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916B1 true KR101179916B1 (ko) 2012-09-05

Family

ID=4707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159A KR101179916B1 (ko) 2012-04-12 2012-04-12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0695A (zh) * 2013-10-18 2014-01-15 陈梓彤 一体式升降棚架或脚手架
KR101456413B1 (ko) 2014-03-17 2014-10-31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능형 곤돌라 행거
CN105151228A (zh) * 2015-09-09 2015-12-16 南京晶云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船舶用可移动操作平台
CN106013756A (zh) * 2016-06-29 2016-10-12 陕西伟宏钢结构有限公司 一种可拆分式安装设备
CN107572126A (zh) * 2017-09-19 2018-01-12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用于异形金属材料方舱的包装运输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922A (en) 1977-06-24 1978-06-27 Spider Staging, Inc. Roof support system for a suspended stag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922A (en) 1977-06-24 1978-06-27 Spider Staging, Inc. Roof support system for a suspended stag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0695A (zh) * 2013-10-18 2014-01-15 陈梓彤 一体式升降棚架或脚手架
CN103510695B (zh) * 2013-10-18 2017-06-20 陈梓彤 一体式升降棚架或脚手架
KR101456413B1 (ko) 2014-03-17 2014-10-31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능형 곤돌라 행거
CN105151228A (zh) * 2015-09-09 2015-12-16 南京晶云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船舶用可移动操作平台
CN106013756A (zh) * 2016-06-29 2016-10-12 陕西伟宏钢结构有限公司 一种可拆分式安装设备
CN107572126A (zh) * 2017-09-19 2018-01-12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用于异形金属材料方舱的包装运输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916B1 (ko)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US20190194957A1 (en) Telescoping Break-Away Canopy Assembly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JP2008007312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固定装置
JP2017186882A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成形用の型枠支持装置の組み立て方法及びネット支持具
KR200477671Y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CN110388012A (zh) 组合式楼梯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101219633B1 (ko) 고정식 곤돌라 정착장치
JP5773469B1 (ja) 吊足場
KR101674878B1 (ko) 비계 부재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및 비계 시스템을 세우기 위한 방법
CN217323154U (zh) 用于爬架下部结构通往塔吊的人行通道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JP2014177311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KR1015765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CN109436990B (zh) 一种电梯井道调节装置
JP2007186947A (ja) 桁裏面への作業足場の形成方法及び桁裏面の作業足場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WO2017212817A1 (ja) ユニットハウス用歩廊構造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KR101376948B1 (ko) 안전 난간대 지지장치
CN214527811U (zh) 一种铰接固定式塔吊走道装置
CN107974919B (zh) 栈桥墙面彩板安装用可伸缩护笼及相应栈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