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416A -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416A
KR20150111416A KR1020140033394A KR20140033394A KR20150111416A KR 20150111416 A KR20150111416 A KR 20150111416A KR 1020140033394 A KR1020140033394 A KR 1020140033394A KR 20140033394 A KR20140033394 A KR 20140033394A KR 20150111416 A KR20150111416 A KR 2015011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latform
front wheel
frame
plat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528B1 (ko
Inventor
황권태
이상훈
은희광
이동우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5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부(100);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후륜플렛폼(200);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전륜플렛폼(300); 및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직립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의 조립작업시 작업자의 접근성과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구조물의 자세 변환이 자유로우면서도 작업자가 배치된 위치를 수직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한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구조물의 전체 부위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한 자세로 정밀한 부품을 조립하여야 완성도 있는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 작업의 효율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을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조물의 자세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트롤리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종래의 트롤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트롤리는 베이스프레임을 형성하는 하부플렛폼의 경우 구조물이 직접 안착되어 틸팅구동시키는 후륜부 이외에, 안착된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면서 눕혀지는 경우 구조물의 하중이 후륜부의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륜부의 전방위치에는 구조물의 하중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전륜부가 구비되어야 했었다.
그러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후륜부와 전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부플렛폼을 형성함에 따라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지 않고 후륜부 상에 직립배치된 경우 상기 전륜부가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시마다 트롤리를 작업하기 편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대형 구조물의 경우 상부 부분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상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사다리의 경우 바닥에서 미끄려져 전복되거나 작업자가 추락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거나 전복되는 중에 구조물과 충돌하여 구조물에 충격을 가하거나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륜부가 후륜부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트롤리 크기가 전체적으로 대형화되며 무게가 무거워짐에 따라 시설 바닥에 대한 하중부담을 가할 염려가 있으며, 이동이나 방향전환시 전륜부의 돌출된 구조에 따라 주변 시설물들과 부딪히면서 장치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트롤리는 구조물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기립수단에 의해 틸팅되어 직립배치되는 경우, 안착판의 후방 위치에는 안착판의 직립배치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길게 연장배치되어 있어 작업공간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후륜부의 후방 공간활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7789호(2011.03.31), 인공위성 탑재 안테나 장착용 트롤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플렛폼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륜플렛폼과 전륜플렛폼이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전륜플렛폼을 후륜플렛폼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면서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부(100);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후륜플렛폼(200);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전륜플렛폼(300); 및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직립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블럭(412)과, 상기 회동블럭(412)과 대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지지블럭(413) 및, 상기 회동블럭(412)과 지지블럭(413)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회동블럭(412)의 회동되는 각도와 상기 가이드바(414)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16)과, 각 가이드레일(416)에 지지되어 각각의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딩블럭(417)과, 각 슬라이딩블럭(417)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8)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417)이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와 상기 이송판(411)이 가이드바(418)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단과 전륜플렛폼(30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단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306)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장프레임(303)과, 상기 연장프레임(303)의 타단 하부에 체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지지하는 지지부(304)를 포함하는 보조지지수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연장프레임(303)이 상기 힌지축(30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측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방향 또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부(304)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420)은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430)의 지향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420)은, 승강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 및,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의 상단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탑승부(430)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2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423)은 상기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수단(1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양단 사이에 길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바(140)와, 상기 가이드바(140)에 하부가 지지되어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는 상기 안착판(120)의 하단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 및, 일단은 상기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70)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71)와,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 기어결합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력을 분배하는 동력전달축(174) 및, 상기 동력전달축(174)의 양측에 각각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둘레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이 나사결합되는 나사축(175)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175)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의 나사공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17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안착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판(120)의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는 틸팅센서부(180) 및, 상기 틸팅센서부(180)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틸팅센서부(180)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에 의하면,
첫째, 전륜플렛폼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구조물에 근접한 상부 위치로 작업자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접근성과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구조물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후륜플렛폼과,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하중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구조물의 하중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전륜플렛폼이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큰 하중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전륜플렛폼을 후륜플렛폼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후륜플렛폼의 상부에 안착된 구조물을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구조물의 하중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전륜플렛폼을 후륜플렛폼에 체결시켜 이용되고, 구조물이 직립배치되는 경우와 트롤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륜플렛폼을 분리시켜 후륜플렛폼만을 이용하므로, 트롤리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동시 주변 시설물들과 부딪히면서 장치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전륜플렛폼의 전단 양측단에 회동되거나 슬라이딩되면서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전륜플렛폼의 양측방 또는 전방에서 이격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보조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보조지지수단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만큼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전륜플렛폼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야 하는 길이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탑승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은 수평이송수단에 탑재된 이송판에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의 지향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탑승부 내에서 이동할 필요없이 지향방향을 돌려 구조물의 작업부위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섯째, 승강수단의 상부에는 탑승부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승강수단의 승강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형 구조물의 상부 위치로 탑승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이 필요한 승강수단을 구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여섯째,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구조물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직립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딩 블록이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안착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안착판에 밀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후륜플렛폼의 후방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트롤리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곱째, 틸팅센서부가 안착판에 배치되어 안착판가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며, 제어부는 상기 틸팅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의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경사각으로 안착판의 틸팅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송수단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430)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400)가 구비된 트롤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지지부(100), 후륜플렛폼(200), 전륜플렛폼(300) 및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구조물 지지부(100)는,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면서 체결되어 구조물의 자세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작업자의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회동구조물로서,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양단 사이에 길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바(140)와, 상기 가이드바(140)에 하부가 지지되어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는 상기 안착판(120)의 하단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 및, 일단은 상기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12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위치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면 안착판(120)의 상부에 안착된 구조물은 직립배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블럭(150)에 하부가 힌지결합된 안착판(120)의 하부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방 위치로 후퇴하게 되며, 동시에 가이드프레임(160)이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을 지지하면서 상향 회동하여 안착판(12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위치에서 직립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판(120)에 안착된 구조물은 안착판(120)과 함께 틸팅되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상향 돌출 형성되면서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의 안착판(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7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블록(170)의 구성으로 인해, 기립수단(130)의 각 구성들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 한계점 이전에 동작을 제한시킴으로써 구성품들이 훼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착판(120)의 수평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12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물을 안착판(120)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판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구조물은 상기 안착판(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안착판(120)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 및 틸팅되어 직립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은,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70)는 후술되는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71)와,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 기어결합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력을 분배하는 동력전달축(174) 및, 상기 동력전달축(174)의 양측에 각각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둘레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축(175)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175)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의 나사공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17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는 감속기(172)가 배치되어 슬라이딩블럭(150)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적절한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172)와 동력전달축(174) 사이와, 상기 동력전달축(174)과 각 나사축(175)에는 구동모터(171)의 회전방향을 슬라이딩블럭(150)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어박스(173a,173b,173c)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기립수단(130)의 구성으로 인해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구조물이 안착되는 안착판(120)이 직립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딩블럭(15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안착판(120)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160)이 안착판(120)에 밀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후륜플렛폼(140)의 후방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안착판(120)의 현재 틸팅구동된 상태를 감지하여 틸팅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안착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판(120)의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는 틸팅센서부(180) 및, 상기 틸팅센서부(180)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틸팅센서부(180)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틸팅센서부(180) 및 마이컴를 통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슬라이딩 구동부(170)의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경사각으로 안착판(120)의 틸팅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륜플렛폼(200)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조물 지지부(100)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부(120)는 후륜플렛폼(200)의 설치위치나 설치된 방향을 변경시키고자 이동시킬 때 이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하부에는 후륜플렛폼(200)의 수평조절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잭스크류(2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잭스크류(211)는 바퀴부(210)에 의해 후륜플렛폼(20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강구동하여 지면에 접촉되면서 구조물 지지부(100) 및 구조물의 하중이 상부에 가해지도록 후륜플렛폼(2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210)와 잭스크류(211)는 후륜플렛폼(200)의 둘레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후륜플렛폼(200)이 후술되는 전륜플렛폼(300)의 체결없이도 단독적으로 지면 상에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플렛폼(300)은,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골조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301)이 대략 사각의 프레임 구조로 구비되며 둘레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부(310)는 전륜플렛폼(300)의 설치위치나 설치된 방향을 변경시키고자 이동시킬 때 이용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륜플렛폼(300)의 하부에는 후륜플렛폼(200)과 마찬가지로 전륜플렛폼(300)의 수평조절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잭스크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소작업대(400)는, 작업자를 구조물의 상부위치에 근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수단으로서,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승강수단(420)이 탑재되는 이송판(411)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원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전륜플렛폼(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블럭(412)과, 상기 회동블럭(412)과 대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지지블럭(413) 및, 상기 회동블럭(412)과 지지블럭(413)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회동블럭(412)의 회동되는 각도와 상기 가이드바(414)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16)과, 각 가이드레일(416)에 지지되어 각각의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딩블럭(417)과, 각 슬라이딩블럭(417)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8)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417)이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와 상기 이송판(411)이 가이드바(418)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승강수단(420)은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430)의 지향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블럭(412)의 회동에 따라 구조물을 중심으로 탑승부(430)의 위치가 조절되더라도 작업자가 탑승부 내에서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승강수단(420)을 회동시켜 지향방향을 돌림으로써 구조물의 작업부위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420)은 승강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의 상단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탑승부(430)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2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수평프레임(423)은 상기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423)은 승강수단(420)의 승강프레임(421)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면서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형 구조물의 상부 위치로 탑승부(43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이 필요한 승강프레임(421)을 승강구동시킬 필요없이 작업대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은 상하로 배치되되 각 승강프레임(421)이 갖는 둘레를 달리하여 상호간에 삽입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421)을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미도시)의 경우 구동모터와 기어부재 등의 조합된 구성, 유압 및 공압 구동 방식의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전륜플렛폼(300)을 보조하여 후륜플렛폼(200)에 안착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지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단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306)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장프레임(303)과, 상기 연장프레임(303)의 타단 하부에 체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지지하는 지지부(30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보조지지수단은 연장프레임(303)이 상기 힌지축(30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측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방향 또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부(304)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구조물이 안착판(1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구조물의 하중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륜플렛폼(300)의 지지력으로 구조물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경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또는 전방으로 인출되게 회동함으로써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무의 하중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는 경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회동시켜 전륜플렛폼(300)의 전방 또는 양측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304)가 배치되도록 구동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이 갖는 길이만큼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전륜플렛폼(300)의 측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야 하는 길이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후륜플렛폼(200)의 후단의 양측에도 배치됨으로써 후륜플렛폼(200)의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륜플렛폼(200)에 보조지지수단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전륜플렛폼(300)이 후륜플렛폼(200)에 체결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음려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전륜플렛폼(300)과 전륜플렛폼(30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1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160)은 도면에서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전단 양측 위치에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공(510)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후단에 상기 체결공(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공(520) 및, 전륜플렛폼(300)의 체결공(520)을 관통하여 후륜플렛폼(200)의 체결공(510)에 회전결합되어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를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53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510,520)과 체결볼트(530)의 조합된 구성 이외에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조합된 구성 등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두 부재를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체결수단(500)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500)으로 인해 큰 하중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전륜플렛폼(300)을 후륜플렛폼(200)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후륜플렛폼(200)의 상부에 안착된 구조물을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구조물의 하중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전륜플렛폼(300)을 후륜플렛폼(200)에 체결시켜 이용되고, 구조물이 직립배치되는 경우와 트롤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륜플렛폼(300)을 분리시켜 후륜플렛폼(200)만을 이용하므로, 트롤리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동시 주변 시설물들과 부딪히면서 장치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 중 하나의 플렛폼의 체결수단(500)에는 다른 하나의 플렛폼의 체결수단(500)을 향해 일정길이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체결가이드핀(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플렛폼의 체결수단(500)에는 상기 체결가이드핀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이 체결되기 위해 상호 근접되는 중에 상기 체결가이드핀이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500)에 의한 체결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가이드핀의 삽입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여부를 통해 전륜플렛폼(300) 및 후륜플렛폼(200)의 상호 체결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후단에 배치된 바퀴부(310)와 후륜플렛폼(200)의 전단에 배치된 바퀴부(150)는 나사축이나 액추에이터 등의 별도의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 간의 체결높이를 조절하여 일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체결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소작업대(400)에는 구동모터나 액추에이터 등과 같이 승강수단(420) 및 수평이송수단(410)이 동작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은 입력신호에 따라 각 구동수단을 프로그램밍된 사항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구동을 중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리모컨 컨트롤러 등의 조작수단과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조작수단을 통해 설정사항 및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승강구동 및 수평이동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왁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430)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구조물에 근접한 상부 위치로 작업자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접근성과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구조물 지지부 110...베이스프레임
120...안착판 130...기립수단
200...후륜플렛폼 300...전륜플렛폼
302...보조지지수단 400...고소작업대
410...수평이송수단 411...이송판
420...승강수단 430...탑승부
500...체결수단

Claims (10)

  1.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부(100);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후륜플렛폼(200);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전륜플렛폼(300); 및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직립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블럭(412)과, 상기 회동블럭(412)과 대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지지블럭(413) 및, 상기 회동블럭(412)과 지지블럭(413)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회동블럭(412)의 회동되는 각도와 상기 가이드바(414)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16)과, 각 가이드레일(416)에 지지되어 각각의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딩블럭(417)과, 각 슬라이딩블럭(417)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8)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417)이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와 상기 이송판(411)이 가이드바(418)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단과 전륜플렛폼(30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단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306)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장프레임(303)과,
    상기 연장프레임(303)의 타단 하부에 체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지지하는 지지부(304)를 포함하는 보조지지수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연장프레임(303)이 상기 힌지축(30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측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방향 또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부(304)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20)은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430)의 지향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20)은,
    승강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 및,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의 상단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탑승부(430)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2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423)은 상기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수단(1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양단 사이에 길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바(140)와,
    상기 가이드바(140)에 하부가 지지되어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는 상기 안착판(120)의 하단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 및,
    일단은 상기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70)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71)와,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 기어결합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력을 분배하는 동력전달축(174) 및,
    상기 동력전달축(174)의 양측에 각각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둘레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이 나사결합되는 나사축(175)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175)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의 나사공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17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안착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판(120)의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는 틸팅센서부(180) 및,
    상기 틸팅센서부(180)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틸팅센서부(180)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1020140033394A 2014-03-21 2014-03-21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10158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94A KR101580528B1 (ko) 2014-03-21 2014-03-21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94A KR101580528B1 (ko) 2014-03-21 2014-03-21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16A true KR20150111416A (ko) 2015-10-06
KR101580528B1 KR101580528B1 (ko) 2015-12-29

Family

ID=5434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94A KR101580528B1 (ko) 2014-03-21 2014-03-21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52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19B1 (ko) * 2015-12-08 2017-02-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CN107334536A (zh) * 2017-07-31 2017-11-10 成都中科博恩思医学机器人有限公司 一种内部支撑机构及控制台
KR20200028758A (ko) * 2018-09-07 2020-03-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모터를 이용한 열진공 시험용 광학테이블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111646399A (zh) * 2020-07-08 2020-09-11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的滚轮组件
CN112454080A (zh) * 2020-11-26 2021-03-09 德清县益明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机械配件生产多方位打磨装置
KR20220050428A (ko) * 2020-10-16 2022-04-25 이응창 고소 작업용 안전 리프트
CN115059276A (zh) * 2022-07-22 2022-09-1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工作平台
CN115262995A (zh) * 2022-08-19 2022-11-01 江苏和天下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alc轻质墙板安装用辅助支架
CN115847366A (zh) * 2022-01-13 2023-03-28 克诺尔车辆设备(苏州)有限公司 协助安装或拆卸轨道车辆的转向架上的制动器的协助装置
CN116221582A (zh) * 2023-05-08 2023-06-06 西安诚安测控科技有限公司 一种雷达检测装置
CN111646399B (zh) * 2020-07-08 2024-05-17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的滚轮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431A (ja) * 1991-12-07 1993-06-22 Nippon Kiko Kk 自走式貨物搬出入機
KR20090083000A (ko) *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090126501A (ko) * 2008-06-04 2009-12-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대형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트롤리
KR101027789B1 (ko) 2009-12-18 2011-04-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탑재 안테나 장착용 트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431A (ja) * 1991-12-07 1993-06-22 Nippon Kiko Kk 自走式貨物搬出入機
KR20090083000A (ko) *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090126501A (ko) * 2008-06-04 2009-12-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대형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트롤리
KR101027789B1 (ko) 2009-12-18 2011-04-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탑재 안테나 장착용 트롤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19B1 (ko) * 2015-12-08 2017-02-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CN107334536B (zh) * 2017-07-31 2023-05-30 成都博恩思医学机器人有限公司 一种内部支撑机构及控制台
CN107334536A (zh) * 2017-07-31 2017-11-10 成都中科博恩思医学机器人有限公司 一种内部支撑机构及控制台
KR20200028758A (ko) * 2018-09-07 2020-03-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모터를 이용한 열진공 시험용 광학테이블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111646399A (zh) * 2020-07-08 2020-09-11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的滚轮组件
CN111646399B (zh) * 2020-07-08 2024-05-17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的滚轮组件
KR20220050428A (ko) * 2020-10-16 2022-04-25 이응창 고소 작업용 안전 리프트
CN112454080A (zh) * 2020-11-26 2021-03-09 德清县益明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机械配件生产多方位打磨装置
CN115847366A (zh) * 2022-01-13 2023-03-28 克诺尔车辆设备(苏州)有限公司 协助安装或拆卸轨道车辆的转向架上的制动器的协助装置
CN115059276A (zh) * 2022-07-22 2022-09-1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工作平台
CN115059276B (zh) * 2022-07-22 2023-11-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工作平台
CN115262995A (zh) * 2022-08-19 2022-11-01 江苏和天下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alc轻质墙板安装用辅助支架
CN116221582A (zh) * 2023-05-08 2023-06-06 西安诚安测控科技有限公司 一种雷达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528B1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EP2960183B1 (en) Stacker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762570B1 (ko)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CN107499879B (zh) 翻转装置
EP3725732B1 (en) Vehicle lifting mechanism and automatic power conversion system
US20220212907A1 (en) Device for lifting loads
CN101309851A (zh) 起重系统
KR101506634B1 (ko) 정밀설비물류용 리프트크레인
KR100375841B1 (ko)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1517437B1 (ko) 전동운송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JP6282211B2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CN202462729U (zh) 轮胎后充气装置
KR101536203B1 (ko) 중대형 구조물(인공위성) 조립용 트롤리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KR102135248B1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CN113845023A (zh) 一种车身升降翻转吊具及其使用方法
CN113023633B (zh) 一种移动式电力施工升降台
CN116040540B (zh) 一种仓储agv快速维修设备
CN110740965A (zh) 用于升降车辆的升降平台
KR102602013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CN218965207U (zh) 一种高度可调电机拆卸小车
CN220245459U (zh) 载运装置
KR20190057943A (ko) 고소 작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