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219B1 -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219B1
KR101709219B1 KR1020150173846A KR20150173846A KR101709219B1 KR 101709219 B1 KR101709219 B1 KR 101709219B1 KR 1020150173846 A KR1020150173846 A KR 1020150173846A KR 20150173846 A KR20150173846 A KR 20150173846A KR 101709219 B1 KR101709219 B1 KR 10170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solar cell
unit
moun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이상훈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wer supply systems
    • B64G1/4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wer supply systems using radiation, e.g. deployable solar arrays
    • B64G1/443Photovoltaic cell ar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는 태양전지판을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 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상기 태양전지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로서, 일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되는 장착부, 그리고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부를 수직, 수평 및 회전 제어하며,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판에 별도의 장착물을 연결하지 않고, 태양전지판에 형성된 핀 홀을 관통하여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장착부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태양전지판을 지지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태양전지판을 지지판에 구속시키거나, 지지판으로부터 이격시켜, 태양전지판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제어부를 통하여, 태양전지판을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인공위성 측으로 이송된 태양전지판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태양전지판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하나의 태양전지판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집중되는 것을 예방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Solar panel transfer and assembly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인공위성에 부착되는 태양전지판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태양전지판의 부착 시 태양전지판의 위치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의 둘레에는 태양전지판이 부착된다.
특히, 다목적 인공위성(이하 '인공위성'이라 함)의 경우, 일반 인공위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제작되어, 둘레에 부착되는 태양전지판 역시, 다수의 작업자가 지지해야 될 만큼 큰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운송용 컨테이너에 적재된 태양전지판을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위성 측으로 이동시킨 후, 소정의 높이에서 태양전지판을 지지하여야 한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태양전지판에 와이어 구조물을 설치한 후, 상기 와이어 구조물을 크레인에 연결된 리프팅 장치에 연결한다. 리프팅 장치에 와이어 구조물이 연결되면, 작업자는 크레인을 조작하여 리프팅 장치와 함께 태양전지판을 수직으로 상승시킨다. 태양전지판이 수직으로 상승되면, 작업자는 상승된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 근처로 이동시킨 후, 작업자가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밀착시켜 체결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을 소정의 위치로 하강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크레인을 통하여 소정의 높이에 배치된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밀착시킨 후,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을 다면체인 인공위성에 부착할 때마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태양전지판을 상승, 이동 및 하강 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반복해야 함은 물론, 태양전지판의 정확한 부착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강중인 태양전지판 근처에 항시 태양전지판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작업자가 대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프팅 장치에 태양전지판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판에 별도의 와이어 구조물을 장착하여야 하고, 태양전지판이 인공위성으로 이송된 후에는 다시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와이어 구조물을 제거한 후,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부착시켜야 하는데, 이때, 와이어 구조물을 태양전지판에 장착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에서 태양전지판에 충격이 가해져 태양전지판이 파손되거나, 태양전지판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753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전지판의 이송 및 인공위성에 조립 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이송 시 태양전지판과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는 태양전지판을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 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상기 태양전지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로서, 일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되는 장착부, 그리고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부를 수직, 수평 및 회전 제어하며,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일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배치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을 관통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을 관통하는 핀부, 내측에 상기 핀부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는 상기 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핀부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돌출길이 제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핀부의 단부에는 상기 핀부의 돌출 시,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하는 핀 헤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핀 헤드부에는 상기 핀 헤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가 안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상기 장착부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그리고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를 상기 이동부의 X, Y, Z 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시키거나, 각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태양전지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면에 상기 조절부가 안착되고, 상기 이동부의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지면과의 마찰로 인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지지몸체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추의 이동을 통하여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중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부의 일 측 및 타 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조절부, 상기 제1 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조절부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조절부, 상기 제2 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조절부의 중심축에 대한 수직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3 조절부, 상기 제1 조절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절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조절부를 상기 제1 조절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4 조절부, 그리고 일 측으로 상기 장착부가 결합되고, 타 측으로 상기 제3 조절부가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태양전지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5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판에 별도의 장착물을 연결하지 않고, 태양전지판에 형성된 핀 홀을 관통하여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장착부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태양전지판을 지지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태양전지판을 지지판에 구속시키거나, 지지판으로부터 이격시켜, 태양전지판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제어부를 통하여, 태양전지판을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인공위성 측으로 이송된 태양전지판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태양전지판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하나의 태양전지판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집중되는 것을 예방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를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의 장착부가 태양전지판의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를 나타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의 장착부가 태양전지판의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이하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라 함)는 컨테이너(300)에 적재된 태양전지판(200)을 컨테이너(300)가 배치된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400) 측으로 이송시키고, 작업자가 이송된 태양전지판(200)을 인공위성(400)의 일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200)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로서, 일면에 태양전지판(200)이 설치되는 장착부(10)를 포함한다.
장착부(10)는 일면에 태양전지판(200)이 배치되는 지지판(11), 그리고 지지판(11)의 타면에 설치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판(11) 및 태양전지판(200)을 관통하여 상기 태양전지판(200)을 구속시켜 지지판(1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에는 태양전지판(200)이 지지판(11)의 일면에 배치될 때, 태양전지판(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핀 홀(200a)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11a)이 형성되고, 고정부(13)는 복수 개의 관통공(11a)과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13)는 지지판(11) 및 태양전지판(200)을 관통하는 핀부(131), 내측에 핀부(131)의 일부를 수용하고 핀부(131)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133), 그리고 하우징(133)의 내측에 배치되어 핀부(13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핀부(131)는 탄성부재(135)가 압축 변형될 경우, 태양전지판(20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속을 해제하고, 탄성부재(135)가 탄성 복원될 경우, 태양전지판(200)을 관통하여 태양전지판(200)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핀부(131)는 핀부(13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탄성부재(135)에 지지되고, 지지판(11)의 타면에 접촉되어 핀부(131)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돌출길이 제한부재(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길이 제한부재(1311)의 외경은 지지판(11)에 형성된 관통공(11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길이 제한부재(1311)와 핀부(131) 사이에는 핀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길이 제한부재(13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송 및 지지해야할 태양전지판(200)의 규격 또는 수량 등을 판단하여 돌출길이 제한부재(131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지지판(11) 및 태양전지판(200)을 관통하여 태양전지판(200)의 일 측으로 노출되는 핀부(131)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핀부(131) 및 하우징(133)에는 핀부(1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133)의 외측으로 노출된 핀부(131)의 단부에는 핀부(131)의 돌출 시, 하우징(133)의 단부에 접하는 핀 헤드부(1313)가 구비되고, 핀 헤드부(1313)에는 핀 헤드부(1313)의 단부로부터 하우징(133) 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133)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315)가 구비되며, 가이드부재(1315)에 대응되는 하우징(133)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재(1315)가 안착되는 가이드 홈(13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부(131)가 후방 측으로 이동되거나, 전방 측으로 돌출될 경우에도, 핀부(131)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음은 물론, 핀부(131)가 하우징(133)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과 고정부(13) 사이에는 완충부재(15)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재(15)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어 지지판(11)과 고정부(13) 사이의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태양전지판(200)의 표면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는 장착부(10)를 지지하는 위치제어부(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위치제어부(20)는 장착부(10)를 지지하고, 장착부(10)를 수직, 수평 및 회전 제어하며,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 가능하다.
더 자세하게는, 위치제어부(20)는 태양전지판(200)이 설치된 장착부(1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21) 및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태양전지판(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동부(21)는 지지몸체(211), 이동부재(213) 및 무게중심 조절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몸체(211)는 상면에 조절부(23)가 안착되고, 조절부(23)가 안착되는 지지몸체(211)의 상면에는 조절부(23)의 이동 시 이동부(21)의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조절부(2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213)는 지지몸체(211)의 저면에 구비되어 지면과의 마찰로 인한 회전을 통하여 지지몸체(211)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213)는 롤러, 바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무게중심 조절부(215)는 지지몸체(211)의 일 측에 구비되어 추의 이동을 통하여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장착부(10)에 태양전지판(200)이 설치될 경우, 태양전지판(200)의 무게에 의하여 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가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몸체(211)의 일 측에는 복수 개의 추를 통하여 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중심 조절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의 조절부(23)는 이동부(21)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장착부(10)를 이동부(21)의 X, Y, Z 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시키거나, 각 축을 중심으로 장착부(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태양전지판(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조절부(23)는 장착부(10)를 이동부(21)의 X, Y, Z 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시켜, 태양전지판(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직선운동 조절부와, 이동부(21)의 X, Y, Z 축을 중심으로 장착부(1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태양전지판(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운동 조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직선운동 조절부는 이동부(21)에 안착되어 이동부(21)의 일 측 및 타 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조절부(231), 제1 조절부(231)에 결합되어 제1 조절부(231)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조절부(232), 그리고 제2 조절부(232)에 설치되어, 제2 조절부(232)의 중심축(CA)에 대한 수직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3 조절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운동 조절부는 제1 조절부(231)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 조절부(232)와 결합되어 제2 조절부(232)를 제1 조절부(231)의 중심축(CA)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4 조절부(234), 그리고 일 측으로 장착부(10)가 결합되고, 타 측으로 제3 조절부(233)가 결합되며, 장착부(10)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켜 태양전지판(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5 조절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5 조절부(235)는 제3 조절부에 볼조인트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태양전지판(200)이 이동부(21)의 X축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제1 조절부(231)에 구비된 제1 핸들(2311)을 회전시켜, 제1 조절부(231)를 이동부(21)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조절부(232)에 구비된 제3 핸들(2331)을 회전시켜 제3 조절부(233)를 이동부(21)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태양전지판(200)이 이동부(21)의 Y축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제1 조절부(231)에 구비된 제4 핸들(2341)을 회전시켜, 제2 조절부(232)와 결합된 제4 조절부(234)를 시계방향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제3 핸들(2331)을 회전시켜, 제4 조절부(234)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된 제3 조절부(233)를 이동부(21)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태양전지판(200)이 이동부(21)의 Z축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제4 조절부(234)에 구비된 제2 핸들(2321)을 회전시켜, 제2 조절부(232)를 이동부(21)의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태양전지판(200)이 이동부(21)의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제3 조절부(233)에 결합된 제5 조절부(235)를 각 축을 중심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또한, 태양전지판(200)이 이동부(21)의 Z축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제4 핸들(2341)을 회전시켜, 이동부(21)의 Z축을 중심으로 제2 조절부(232), 제3 조절부(233), 제4 조절부(234) 및 제5 조절부(235)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100)의 장착부(10)가 태양전지판(200)의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제어부(20)를 통하여 컨테이너(300)에 적재된 태양전지판(200)이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400) 측으로 이송된 후, 작업자가 인공위성(400)에 부착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작업자는 핀부(131)의 단부에 구비된 핀 헤드부(1313)를 태양전지판(2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후방 측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핀부(131)에 구비된 돌출길이 제한부재(1311)를 가압하던 탄성부재(135)는 후방 측으로 이동되는 돌출길이 제한부재(1311)에 가압되어 압축변형 되고, 핀부(131)의 단부는 태양전지판(200)에 형성된 핀 홀(200a)을 지나, 지지판(11)의 관통공(11a)에 위치하게 되어, 핀부(131)로부터 태양전지판(200)의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핀부(131)로부터 구속이 해제된 태양전지판(200)을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인공위성(400)의 일면에 부착하여, 태양전지판(200)을 인공위성(400)의 일면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판(200)에 별도의 장착물을 연결하지 않고, 태양전지판(200)에 형성된 핀 홀(200a)을 관통하여 태양전지판(200)을 지지하는 장착부(10)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태양전지판(200)을 지지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태양전지판(200)을 지지판(11)에 구속시키거나, 지지판(11)으로부터 이격시켜, 태양전지판(2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제어부(20)를 통하여, 컨테이너(300)에 적재된 태양전지판(200)을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400)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인공위성(400) 측으로 이송된 태양전지판(200)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태양전지판(200)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하나의 태양전지판(200)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집중되는 것을 예방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10. 장착부
11. 지지판 11a. 관통공
13. 고정부
131. 핀부
1311. 돌출길이 제한부재 1313. 핀 헤드부
1315. 가이드부재
133. 하우징
1331. 가이드 홈
135. 탄성부재
15. 완충부재
20. 위치제어부
21. 이동부
211. 지지몸체 211a. 가이드 홈
213. 이동부재 215. 무게중심 조절부
23. 조절부
231. 제1 조절부 232. 제2 조절부
233. 제3 조절부 234. 제4 조절부
235. 제5 조절부
CA.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의 중심축
200. 태양전지판
200a. 핀 홀
300. 컨테이너
400. 인공위성

Claims (9)

  1. 삭제
  2. 태양전지판을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 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상기 태양전지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로서,
    일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되는 장착부, 그리고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부를 수직, 수평 및 회전 제어하며,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일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배치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을 관통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을 관통하는 핀부,
    내측에 상기 핀부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핀부는
    상기 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핀부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돌출길이 제한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핀부의 단부에는
    상기 핀부의 돌출 시,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하는 핀 헤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핀 헤드부에는
    상기 핀 헤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가 안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배치되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7. 삭제
  8. 삭제
  9. 태양전지판을 적재위치에서 인공위성 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상기 태양전지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로서,
    일면에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되는 장착부, 그리고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부를 수직, 수평 및 회전 제어하며,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상기 장착부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그리고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를 상기 이동부의 X, Y, Z 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시키거나, 각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태양전지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부의 일 측 및 타 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조절부,
    상기 제1 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조절부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조절부,
    상기 제2 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조절부의 중심축에 대한 수직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3 조절부,
    상기 제1 조절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절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조절부를 상기 제1 조절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4 조절부, 그리고
    일 측으로 상기 장착부가 결합되고, 타 측으로 상기 제3 조절부가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태양전지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5 조절부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KR1020150173846A 2015-12-08 2015-12-08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KR10170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46A KR101709219B1 (ko) 2015-12-08 2015-12-08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46A KR101709219B1 (ko) 2015-12-08 2015-12-08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19B1 true KR101709219B1 (ko) 2017-02-22

Family

ID=5831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846A KR101709219B1 (ko) 2015-12-08 2015-12-08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587A (ja) * 1997-02-13 1998-08-18 Japan Small Corp パネル材収納部付き高所作業車
KR100927539B1 (ko) 2007-12-17 2009-11-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의 결합구조 및 인공위성 조립체
KR101028493B1 (ko) * 2009-11-17 2011-04-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패널 고정장치
KR20150111416A (ko) * 2014-03-21 2015-10-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587A (ja) * 1997-02-13 1998-08-18 Japan Small Corp パネル材収納部付き高所作業車
KR100927539B1 (ko) 2007-12-17 2009-11-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의 결합구조 및 인공위성 조립체
KR101028493B1 (ko) * 2009-11-17 2011-04-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패널 고정장치
KR20150111416A (ko) * 2014-03-21 2015-10-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804B2 (en) Clamping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tools
KR101371489B1 (ko) 차량용 도어 힌지의 자동 장착 시스템
KR101687554B1 (ko) 항공기 동체 자동 장착 및 탈착 장치
JP2009539624A5 (ko)
EP2754577A1 (en) Battery unit mounting apparatus and battery unit mounting structure
JP3316086B2 (ja) 車輪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KR101220105B1 (ko)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US8616825B2 (en) Turnover apparatus
CN111256534A (zh) 一种火箭运输装置及发射装置
CN210599907U (zh) 一种全自动圆柱滚子轴承装配系统
EP1549961B1 (en) Test head positioning apparatus
CN105588537B (zh) 将工件放置到测量装置台上的方法
JP5913928B2 (ja) 立体駐車装置用の電気接続構造および立体駐車装置
KR101709219B1 (ko) 태양전지판 이송 및 조립지원 장치
CN107598530B (zh) 一种浮动机构
US20130145893A1 (en) Ceiling-mounted scara robot
KR101487459B1 (ko)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126388B1 (ko)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
JP2015030348A (ja) 支持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航空機の組立方法
KR101880579B1 (ko) 탑재물 장착 장치
JP4980770B2 (ja) 搬送装置
KR102019144B1 (ko) 스탠드 장치
KR100863004B1 (ko) 리프팅 어셈블리
KR20200127311A (ko) 초대형 소재의 수직,수평 회전장치
KR101687562B1 (ko) 회전익 항공기의 동체 자동 장착 및 탈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