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000A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000A
KR20090083000A KR1020080008904A KR20080008904A KR20090083000A KR 20090083000 A KR20090083000 A KR 20090083000A KR 1020080008904 A KR1020080008904 A KR 1020080008904A KR 20080008904 A KR20080008904 A KR 20080008904A KR 20090083000 A KR20090083000 A KR 20090083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ing
cylinder
base fram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361B1 (ko
Inventor
최수언
김영완
박경조
Original Assignee
씨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3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하고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에서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바닥을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더에 진퇴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각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는 수평베이스부와,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 상부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 레일 간을 상호 연결하는 간주를 포함하는 수직베이스부와,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대는 탑승대를 포함하는 승강부와,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1로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 1실린더와, 탑승대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2로드를 가지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대를 승강시키는 제 2실린더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제 1 및 제 2실린더를 유압에 의해 작동시키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유압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에 의하면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승강부를 승강시켜 승강부가 안정된 승강을 이루고 정확한 위치에 멈출 수 있고, 화물이 적 재되거나 작업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는 작업대가 마련되어 고소에서 작업을 용하게 한다.
고소작업대, 리프트, 유압, 실린더

Description

고소작업대{Vertically movable worktable}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하고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에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 또는 산업장 등에서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경우 작업장소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높은 위치의 고소(高所)에 있을 때 작업하는 데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피작업물을 지면으로 내린 다음 작업을 행하고 다시 이를 원래의 위치대로 설치하는 작업을 시행하거나, 또는 사다리와 같은 일반적인 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행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건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피작업물이 설치된 경우에서와 길이 피작업물을 지면에까지 내리고 올리는 작업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필연적으로 피작업물에 접근하여 작업을 행하여야만 하는 것인 데,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작업대로서는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작업에 따른 여러 가지 문 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피작업물이 위치하는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적당 높이에 위치할 경우에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사다리나 또는 기타 작업대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지만 그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일 경우에는 이러한 작업대를 이용하여서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크레인 등과 같은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는 등 그 작업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수장비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작업자가 피작업물에 근접한 상태에서 활동공간이 적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또한 안전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고소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36247호에는 바닥플레이트, 바퀴, 다리지지대, 중앙지지대, 승강부, 윈치 및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 실내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장치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리프트장치는 윈치에 의해 와이어를 권취시킴으로써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구조여서 정확한 위치에 승강부를 위치하도록 조작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의 리프트 장치는 적재부의 구조상 작업자가 탑승하기에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어 안전하게 작업자가 고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적재부에 별도의 적재함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승강부의 승강이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을 적재 및 작업자의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고소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바닥을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더에 진퇴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각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는 수평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 상부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 간을 상호 연결하는 간주를 포함하는 수직베이스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대는 탑승대를 포함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1로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 1실린더와, 상기 탑승대의 하부에 상단 이 고정되는 제 2로드를 가지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대를 승강시키는 제 2실린더를 포함하는 조작부와;상기 제 1 및 제 2실린더를 유압에 의해 작동시키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유압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의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탑승대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가이드홈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구동부는 전기모터와, 상기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오일을 펌핑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와 제 1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일정량의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이송되는 오일이 상기 실린더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하는 제 2연결관과, 상기 제 2연결관에 설치되어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의 제 2연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오일탱크로 연결되며 릴리프밸브가 설치되는 바이패스통로관과, 상기 제 2연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오일탱크로 연결되는 제 3연결관에 설치되는 컨트롤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에 의하면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승강부를 승강시켜 승강부가 안정된 승강을 이루고 정확한 위치에 멈출 수 있다.
또한, 화물이 적재되거나 작업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는 작업대가 마련 되어 고소에서 작업을 용하게한다.
또한, 이동이 간편하고 고소작업시에는 베이스프레임에서 방사상방향으로 길이가 확장되는 지지대에 의해 고소작업대가 안전하게 지지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는 도 1의 고소작업대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구동부의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10)는 크게 수평베이스부(20)와, 수직베이스부(40)와, 승강부(50)와, 조작부와, 유압구동부(70)를 가진다.
상기 수평베이스부(20)는 바닥을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21)가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3)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3)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더(25)에 진퇴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27)와, 상기 지지대(27)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각 지지대(27)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29)을 구비한다.
4개의 바퀴(21)가 하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23)은 사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유압구동부가 설치되고 유압구동부의 일측에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하부 컨트롤 박스(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들(27)은 베이스프레임(23)의 사방향으로 형성된 홀더(25)에 각각 삽입체결되면서도 고정핀(3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대(27)의 단부측에는 높낮이를 가변할 수 있는 나사봉(29)이 나사체결되어 베이스프레임(23)을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나사봉(29)의 하부에 마련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나사봉(29)의 발판(33)에는 지면과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33)의 저면에 리미트스위치의 누름버튼이 약간 돌출되도록 리미트스위치가 발판(33)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기계식, 전자식, 반도체식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압력센서 중에는 크리프 현상이 없고 직선성이 우수하며 고감도 고신뢰성인 반도체식 압력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지지대(2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나사봉(29)이 지면과 접촉되지 않은 경우 작업자는 미리 알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23)에는 수평계(미도시)가 장착되어 베이스프레임(23)의 수평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사봉(29)의 상부에는 나사봉(29)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평바(35)가 설치된다.
고소작업대(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나사봉(29)을 회전시켜 상승시킨 후지지대(27)를 홀더(25)의 내부로 밀어넣어 바퀴(21)가 지면에 닿도록 하고, 고소작업대(10)를 일정위치에 고정시켜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 지지대(27)를 홀더(25)로부터 당겨 빼서 고정핀(25)으로 지지대(27)를 고정시킨 다음 나사봉(29)을 하강시켜 나사봉의 발판(33)이 지면에 닿게 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23)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베이스부(40)는 베이스프레임(20)의 좌우 양측 상부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이드 레일(41) 간을 상호 연결하는 간주(43)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23)의 좌측과 우측에서 형성되는 양 가이드레일(41)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이드홈(4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41)은 단면은 ㄷ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양 가이드레일(41)에는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양 가이드레일(41)을 상호 연결하는 간주(43)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는 베이스프레임(23)에 고정되고 상부는 가이드레일(41)에 고정되는 핸들바(47)가 설치되어, 고소작업대의 이동시 핸들바(47)를 양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겨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50)는 가이드레일(41)의 가이드홈(42)의 내측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51)과, 승강프레임(51)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물건을 적재하거나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대(55)를 구비한다. 승강프레임(51)의 내측에는 가이드홈(45)이 형성된다.
그리고 탑승대(55)는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54)과, 바닥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53)으로 이루어진다. 탑승대(55)의 하부에는 승강프레임(51)의 가이드홈(45)을 따라 상하로 구름이동하는 롤러(57)가 고정설치된다. 롤러(57)는 탑승 대(55)에 고정되는 브라켓(58)의 상부와 하부에 2개씩 설치되며, 좌우 양편의 승강프레임(51)의 가이드 홈(45)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롤러(57)는 승강프레임(51)이 가이드레일(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탑승대(55)에는 탑승자가 탑승하여 상하로 이동하거나 또는 화물과 함께 이동된다. 이 경우 탑승대(55)에는 조작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50)를 승강시키는 조작부는 승강프레임(51)의 상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1로드(63)를 가지는 제 1실린더(61)와, 탑승대(55)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2로드(65)를 가지는 제 2실린더(67)로 구비된다.
제 1실린더(61)는 베이스프레임(23)에 설치되어 승강프레임(51)을 승강시키며, 제 2실린더(67)는 승강프레임(51)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바(52)에 설치되어 탑승대(55)를 승강시킨다.
따라서 유압구동부(70)에 의해 제 1실린더(61)가 작동되면 제1 로드(63)가 상승하게 되면 승강프레임(51)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제 2실린더(67)가 작동되면 제 2로드(65)가 상승하게 되어 탑승대(55)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2개의 실린더를 구비하여 2단으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진다.
유압구동부(70)는 제 1 및 제 2실린더(61)(67)를 유압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23)에 설치된다. 이러한 유압구동부는 도 4의 유압회로도를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유압구동부는 전기모터(73)와, 전기모터(73)에 의해 구동되어 오일을 펌핑하는 유압펌프(75)와, 유압펌프(75)와 제 1연결관(72)으로 연결되며 일정량의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71)와, 유압펌프(75)로부터 이송되는 오일이 제 1실린더(61)에 공급될 수 있도록 유압펌프(75)와 제 1실린더(61)를 연결하는 제 2연결관(77)과, 제 2연결관(77)에 설치되어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체크밸브(81)와, 유압펌프(75)와 체크밸브 사이의 제 2연결관(77)에서 분기되어 오일탱크(71)로 연결되며 제 1릴리프밸브(79)가 설치되는 바이패스통로관(78)과, 제 2연결관(77)에서 분기되어 오일탱크로 연결되는 제 3연결관(82)에 설치되는 컨트롤밸브(83)를 구비한다. 그리고 컨트롤밸브 후방의 제 3연결관(82)에는 오일이 일정한 유량으로 흐르도록 유량계(85)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2연결관(77)에는 체크밸브(87)(89)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실린더(61)의 로드가 최대로 상승한 경우 제 2실린더(6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오일이 제 2실린더(67)로 이동되는 연결관에는 릴리프 밸브(91)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는 도 1의 고소작업대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구동부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수평베이스부 21: 바퀴
23: 수평프레임 25: 홀더
27: 지지대 29: 나사봉
40: 수직베이스부 41: 가이드레일
50: 승강부 51: 승강프레임
55: 탑승대 61: 제 1실린더
67: 제 2실린더

Claims (3)

  1. 바닥을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더에 진퇴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각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는 수평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 상부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 간을 상호 연결하는 간주를 포함하는 수직베이스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대는 탑승대를 포함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1로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 1실린더와, 상기 탑승대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2로드를 가지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대를 승강시키는 제 2실린더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실린더를 유압에 의해 작동시키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유압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탑승대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가이드홈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구동부는 전기모터와, 상기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오일을 펌핑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와 제 1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일정량의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이송되는 오일이 상기 실린더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하는 제 2연결관과, 상기 제 2연결관에 설치되어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의 제 2연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오일탱크로 연결되며 릴리프밸브가 설치되는 바이패스통로관과, 상기 제 2연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오일탱크로 연결되는 제 3연결관에 설치되는 컨트롤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KR1020080008904A 2008-01-29 2008-01-29 고소작업대 KR10093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04A KR100933361B1 (ko) 2008-01-29 2008-01-29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04A KR100933361B1 (ko) 2008-01-29 2008-01-29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00A true KR20090083000A (ko) 2009-08-03
KR100933361B1 KR100933361B1 (ko) 2009-12-22

Family

ID=4120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904A KR100933361B1 (ko) 2008-01-29 2008-01-29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36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6240A (zh) * 2012-12-06 2013-03-20 金华市亚虎工具有限公司 一种载人升降平台车
KR101305737B1 (ko) * 2011-08-05 2013-09-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축류 송풍기의 가변익 축 분해 조립 장치
CN103663255A (zh) * 2013-12-03 2014-03-26 上海卫星装备研究所 一种卫星承力筒内可升降操作平台
KR101540353B1 (ko) * 2015-01-12 2015-07-30 박경수 긴장잭 리프트
KR20150111416A (ko) * 2014-03-21 2015-10-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20160119653A (ko) * 2015-04-06 2016-10-14 권병현 스피커 승강장치
CN110271995A (zh) * 2018-03-14 2019-09-24 张玥 一种房架子升降支撑装置
KR20200048121A (ko) * 2018-10-29 2020-05-08 임대우 수직 승강식 작업대
WO2022257289A1 (zh) * 2021-06-08 2022-12-15 江苏京承源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路灯维护用机械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302B1 (ko) * 2013-11-25 2015-05-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대형 위성체 조립 트롤리
KR102239786B1 (ko) 2019-08-14 2021-04-13 (주)정우프랜트 고소작업대
KR102163174B1 (ko) * 2020-04-17 2020-10-08 김인호 케이블 드럼 구동용 언더롤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559A (en) 1975-05-06 1976-11-12 Shiyouji Murone Method of inserting liquid into solid
JPS5316285A (en) 1976-07-30 1978-02-15 Kajima Corp Device for braking capsule in capsule transporting apparatus
JPS5425728A (en) 1977-07-28 1979-02-26 Ricoh Co Ltd Image projection method for copying len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37B1 (ko) * 2011-08-05 2013-09-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축류 송풍기의 가변익 축 분해 조립 장치
CN102976240A (zh) * 2012-12-06 2013-03-20 金华市亚虎工具有限公司 一种载人升降平台车
CN102976240B (zh) * 2012-12-06 2016-05-11 金华市亚虎工具有限公司 一种载人升降平台车
CN103663255A (zh) * 2013-12-03 2014-03-26 上海卫星装备研究所 一种卫星承力筒内可升降操作平台
KR20150111416A (ko) * 2014-03-21 2015-10-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101540353B1 (ko) * 2015-01-12 2015-07-30 박경수 긴장잭 리프트
KR20160119653A (ko) * 2015-04-06 2016-10-14 권병현 스피커 승강장치
CN110271995A (zh) * 2018-03-14 2019-09-24 张玥 一种房架子升降支撑装置
KR20200048121A (ko) * 2018-10-29 2020-05-08 임대우 수직 승강식 작업대
WO2022257289A1 (zh) * 2021-06-08 2022-12-15 江苏京承源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路灯维护用机械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361B1 (ko) 200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KR100956177B1 (ko) 고소작업대
NL2013123B1 (en) Lifting device and system with integrated drive unit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there for.
JP5201634B2 (ja) 工事用足場における足場台昇降構造
KR101506634B1 (ko) 정밀설비물류용 리프트크레인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JP2000177999A (ja) 2軌道車両のための昇降プラットホ―ム
US200901881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buildings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180067292A (ko) 승강작업대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20190109873A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140110406A (ko) 고소작업대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101212340B1 (ko) 가변형 조립 작업대
WO2012060146A1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物品の搬出入方法
KR101958349B1 (ko)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GB2390079A (en) Aerial lift platform with lifting jacks
CA2618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buildings
JP2006336296A (ja) 作業台着脱式昇降板及び作業台
KR20200076142A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JP3548287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台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6368726B2 (ja) ベルトコンベア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