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786B1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786B1
KR102239786B1 KR1020190099258A KR20190099258A KR102239786B1 KR 102239786 B1 KR102239786 B1 KR 102239786B1 KR 1020190099258 A KR1020190099258 A KR 1020190099258A KR 20190099258 A KR20190099258 A KR 20190099258A KR 102239786 B1 KR102239786 B1 KR 102239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horizontal moving
vertical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254A (ko
Inventor
류봉현
Original Assignee
(주)정우프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프랜트 filed Critical (주)정우프랜트
Priority to KR102019009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7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바닥 레일과 천장 레일에서 각각 이동하도록 된 하부 수평이동부와 상부 수평이동부, 상기 상하부 수평이동부에 상하 단부가 각각 고정된 2개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배치된 고정된 수직이동부, 및 상기 수직이동부에 고정된 작업 케이지를 포함하여 작업 케이지가 상하좌우 및 폭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대를 상하좌우 및 폭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여 작업 위치의 변경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함께 작업대에서의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A HIGH WORK PLACE PLATFORM}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를 상하 및 좌우 및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대는 천장이 높은 건물의 실내 공사 또는 건물 외부에서 높은 곳의 배선 또는 덕트와 같은 공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고소 작업을 위해서는 높은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하였으나, 그러한 사다리에 의한 작업의 위험성과, 비계의 경우 높이와 측방향으로의 이동시마다 해체 및 설치 작업을 해야 하는 점에서 작업 효율성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고소작업대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안이 있었으며, 그러한 고소작업대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3361호(등록일자 2009년12월14일)에는 바닥을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더에 진퇴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각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는 수평베이스부와,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 상부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 레일 간을 상호 연결하는 간주를 포함하는 수직베이스부와,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대는 탑승대를 포함하는 승강부와,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1로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 1실린더와, 탑승대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 2로드를 가지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대를 승강시키는 제 2실린더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제 1 및 제 2실린더를 유압에 의해 작동시키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유압구동부를 구비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소작업대의 경우에 지지대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대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높이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측방향의 이동시에는 지지대를 풀어서 위치 이동시킨 다음 다시 지지대를 고정설치해야 하는 점에서 측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구조 개선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3361호(등록일자 2009년12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고소작업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 베이스부가 바닥과 천장에 설치된 레일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작업대가 수직지지루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작업대가 폭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작업 위치를 상하 좌우 및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는, 바닥 레일과 천장 레일에서 각각 이동하도록 된 하부 수평이동부와 상부 수평이동부,
상기 상하부 수평이동부들에 상하 단부가 각각 고정된 2개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배치된 고정된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에 고정된 작업 케이지를 포함하여 작업 케이지가 상하좌우 및 폭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측에 바닥 레일에서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롤러가 폭방향으로 제공된 구동축에 스프로켓이 하부 수평이동부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고, 종동축이 하부 수평이동부의 타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제공되고, 롤러가 제공된 종동축의 외측 단부에도 스프로켓이 제공되며, 상기 전후측의 스프로켓들은 체인으로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어 수평이동부가 좌우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제공된 상부 수평이동부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브라켓에 의해 상부 수평이동부에 장착된 가이드롤러와 측방향의 가이드를 위한 측방 가이드롤러가 천장 레일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수평이동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하부 지지구에서 상방향으로 장착된 롤러가 천장 레일의 저면에 배치되어 천장 레일에 대한 상부 수평이동부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 케이지가 고정된 수직 이동부에는 상하단부의 내측에 제공된 체인고정부들에 양단이 고정된 체인이 하부 수평이동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공된 스프로켓과, 상부 수평이동부에도 동일하게 제공된 스프로켓에 맞물려 있으며, 하부 수평이동부의 상면에 제공된 모터의 출력축에 제공된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축에 제공된 구동 스프로켓에 맞물린 체인이 모터 작동으로 구동됨에 따라 수직 이동부가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 이동부는 가이드롤러가 지주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어 지주부에 대하여 수직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부에 지지부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작업 케이지에 결합된 이동대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모터의 출력축에 피니언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이동대의 저면에 제공되어 모터의 작동시에 피니언기어에 맞물린 랙기어가 이동대와 함께 지지부에 대하여 수평 이동하여 작업 케이지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이동대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게 이동되도록, 지지부와 이동대의 양 측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된 보강부재들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보강부재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상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는 상하면에 요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이동대의 보강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보강부재의 절곡된 부분에 삽입되며, 보강부재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하여 요홈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들 사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는 작업대를 상하좌우 및 폭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여 작업 위치의 변경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함께 작업대에서의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소작업대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고소작업대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하부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3의 상부 수평이동부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3에서 수직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2에서 작업 케이지의 폭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8은 도 2에서 지지부(41)에 대하여 작업 케이지가 고정된 이동대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1)는 바닥 레일(2)과 천장 레일(3)에서 각각 이동하도록 된 하부 수평이동부(10)와, 상부 수평이동부(50), 상기 상하부 수평이동부(10,50)에 상하 단부가 각각 고정된 2개의 지주부(20), 상기 지주부(20)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배치된 고정된 수직이동부(30), 상기 수직이동부(30)에 고정된 작업 케이지(4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레일(2) 역 "V"자 형상으로 되고, 그 위에서 구름 이동하도록 "V"자 형 홈을 가진 롤러(15)가 하부 수평이동부(10)의 일측 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제공된 구동축(16)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은 모터(12)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16)에는 스프로켓(13)이 외측 단부에 장착되고,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종동축이 하부 수평이동부(10)의 타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제공되고, 그 종동축에도 상기한 구동축의 롤러(15)와 동일한 롤러가 제공되고, 종동축의 외측 단부에도 동일한 스프로켓(13)이 제공되며, 상기 전후측의 스프로켓(13)들은 체인(14)으로 연결되어서 구동축과 종동축의 롤러(15)들은 함께 바닥 레일(2)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다.
상기 지주부(20)의 상단에 제공된 상부 수평이동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브라켓에 의해 상부 수평이동부에 장착된 가이드롤러(51)와 측방향의 가이드를 위한 측방 가이드롤러(55)가 천장 레일(3)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상부 수평이동부(50)의 선단부에 고정된 하부 지지구(54)에서 상방향으로 장착된 롤러(53)가 천장 레일(3)의 저면에 배치되어 천장 레일(3)에 대한 상부 수평이동부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51)의 상하 방향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조정구(52)가 상기 가이드롤러용 브라켓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 케이지(40)가 고정된 수직이동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32)가 지주부(2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22)에 배치되어 지주부(20)에 대하여 수직이동부(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수직이동부(30)에는 상하단부의 내측에 체인고정부(31,31')가 제공되고, 체인(29)이 상기 수직이동부(30)의 내측 상하 단부에 제공된 체인고정부들에 상하 단부가 각각 연결고정되고, 상기 체인(29)은 하부 수평이동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축(26)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공된 스프로켓(28)과, 상부 수평이동부(50)에도 동일하게 제공된 스프로켓(28')에 의해 맞물려 있으며, 하부 수평이동부(10)의 상면에 제공된 모터(21)의 출력축에 제공된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축(26)에 제공된 구동 스프로켓(27)에 맞물린 체인이 모터 작동으로 구동됨에 따라 구동축(26)이 회전하여 수직이동부(30)의 상하 단부에 연결된 체인(29)에 의해 수직이동부(30)가 승하강된다.
이로써, 작업 케이지(40)는 하부 수평이동부(10)의 수평으로의 좌우 이동에 의해 좌우로 변위되고, 수직이동부(30)가 지주부(20)에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수직이동부(30)에 지지부(41)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41)의 상측에 작업 케이지에 결합된 이동대(43)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41)에는 모터가 장착되고 그 출력축에 피니언기어(42)가 제공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44)가 이동대(43)의 저면에 제공된다.
이로써, 모터의 작동시에 피니언기어(42)가 회전됨에 따라 랙기어(44)가 이동대(43)와 함께 지지부(4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인출될 수 있어서 이동대에 장착된 작업 케이지(40)가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41)에 대하여 이동대(43)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게 이동되도록,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1)와 이동대(43)의 양 측부에는 보강부재(41')(43')가 고정되고, 상기 보강부재(41')(43')들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부(41)의 보강부재(4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상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상으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1)의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는 상하면에 요홈(4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이동대(43)의 보강부재(43')는 상기 지지부(41)의 보강부재(41')의 절곡된 부분에 삽입되며, 그 상단부는 보강부재(41')의 상면에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부재(41')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요홈(47)에 대응하여 요홈(47')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47,47')들 사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48)들이 제공된다. 이로써, 지지부(41)에 대하여 이동대(43)가 인출 이동될 때, 상기 보강부재(41,43')들의 요홈(47,47')들 사이에 제공된 다수의 볼베어링(48)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41)의 자유단부에는 가이드롤러(45)가 제공되어 지지부에서 슬라이드되는 이동대(43)의 인출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의 작업 케이지는 하부 수평이동부(10)에 의해 상부 수평이동부와 함께 좌우로 레일을 따라 변위될 수 있고, 작업 케이지가 고정된 수직이동부가 수직의 지주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함과 함께, 수직이동부에 고정된 지지부(41)에 대하여 작업 케이지가 고정된 이동대(43)가 작업 케이지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작업 케이지는 3차원적으로 변위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하좌우 및 폭방향으로의 변위가 필요한 작업용의 고소 작업대에 이용될 수 있다.
1 : 고소작업대 2 : 바닥 레일
3 : 천장 레일 10 : 하부 수평이동부
12,21 : 모터 13,28,28' : 스프로켓
14,29 : 체인 15 : 롤러
16 : 구동축 20 : 지주부
22 : 홈 27 : 구동 스프로켓
30 : 수직이동부 31,31' : 체인고정부
32 : 가이드롤러 40 : 작업 케이지
41 : 지지부 41',43' : 보강부재
42 : 피니언기어 43 : 이동대
44 : 랙기어 46 : 요홈
47,47' : 요홈 48 : 볼베어링
50 : 상부 수평이동부 51,55 : 가이드롤러
52 : 텐션조정구 53 : 롤러
54 : 지지구

Claims (8)

  1.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바닥 레일과 천장 레일에서 각각 이동하도록 된 하부 수평이동부와 상부 수평이동부,
    상기 상하부 수평이동부에 상하 단부가 각각 고정된 2개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배치된 고정된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에 고정된 작업 케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케이지가 상하좌우 및 폭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수직이동부에 지지부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작업 케이지에 결합된 이동대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모터의 출력축에 피니언기어가 제공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이동대의 저면에 제공되어 모터의 작동시에 피니언기어에 맞물린 랙기어가 이동대와 함께 지지부에 대하여 수평 이동하여 작업 케이지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이고,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이동대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게 이동되도록, 지지부와 이동대의 양 측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된 보강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측에 바닥 레일에서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롤러가 폭방향으로 제공된 구동축에 스프로켓이 하부 수평이동부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고, 종동축이 하부 수평이동부의 타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제공되고, 롤러가 제공된 종동축의 외측 단부에도 스프로켓이 제공되며, 상기 전후측의 스프로켓들은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이동부가 좌우로 수평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제공된 상부 수평이동부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브라켓에 의해 상부 수평이동부에 장착된 가이드롤러와 측방향의 가이드를 위한 측방 가이드롤러가 천장 레일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수평이동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하부 지지구에서 상방향으로 장착된 롤러가 천장 레일의 저면에 배치되어 천장 레일에 대한 상부 수평이동부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케이지가 고정된 수직 이동부에는 상하단부의 내측에 제공된 체인고정부에 양단이 고정된 체인이 하부 수평이동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공된 스프로켓과, 상부 수평이동부에도 동일하게 제공된 스프로켓에 맞물려 있으며, 하부 수평이동부의 상면에 제공된 모터의 출력축에 제공된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축에 제공된 구동 스프로켓에 맞물린 체인이 모터 작동으로 구동됨에 따라 구동축이 회전하여 수직이동부의 상하 단부에 연결된 체인에 의해 수직이동부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는 가이드롤러가 지주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어 지주부에 대하여 수직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보강부재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상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는 상하면에 요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이동대의 보강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보강부재의 절곡된 부분에 삽입되며, 보강부재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하여 요홈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들 사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들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KR1020190099258A 2019-08-14 2019-08-14 고소작업대 KR10223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58A KR102239786B1 (ko) 2019-08-14 2019-08-14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58A KR102239786B1 (ko) 2019-08-14 2019-08-14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54A KR20210020254A (ko) 2021-02-24
KR102239786B1 true KR102239786B1 (ko) 2021-04-13

Family

ID=7468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58A KR102239786B1 (ko) 2019-08-14 2019-08-14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9945B (zh) * 2021-07-19 2023-02-0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可滑移式窗外施工安全操作架及其施工方法
CN114182940A (zh) * 2021-12-03 2022-03-15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升降桁架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349A (ja) * 2004-12-28 2006-07-13 Nihon Bisoh Co Ltd 吊り下げ作業用の横行移動装置
KR100845514B1 (ko) * 2007-12-17 2008-07-10 (주)한성산업 이송대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361B1 (ko) 2008-01-29 2009-12-22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100057569A (ko) * 2010-05-07 2010-05-31 세계실업(주) 고소 작업용 리프트
KR101501359B1 (ko) * 2013-07-11 2015-03-12 류봉현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349A (ja) * 2004-12-28 2006-07-13 Nihon Bisoh Co Ltd 吊り下げ作業用の横行移動装置
KR100845514B1 (ko) * 2007-12-17 2008-07-10 (주)한성산업 이송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54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786B1 (ko) 고소작업대
CN115924504A (zh) 一种进料推板机构
CN111067259A (zh) 一种电动爬升式层高调节仓储货架及其控制方法
KR20210047637A (ko)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CN107856419B (zh) 墨栈升降驱动装置
CN110541591A (zh) 带升降转盘的十字进车提升装置
JP2020200590A (ja) 切削装置及び切削工法
CN113601082B (zh) 一种多功能钢结构组焊流水线平台
CN110255423B (zh) 一种用于提升的多级丝杆与提升油缸组合提升装置
CN110815399B (zh) 一种板料输送架及上料系统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JPH04141341A (ja) ガントリーローダ
CN109530568B (zh) 一种滚压设备
CN114193198A (zh) 一种用于顶盖的稳定夹持装置
CN210358603U (zh) 焊接整形用双龙门式液压机
JP2015127262A (ja) 作業台装置及び作業台装置の積層構造
KR102668519B1 (ko) 용접장치
CN221736135U (zh) 一种隧道照明施工用辅助工具
CN110842428A (zh) 一种自动焊自动找正装置
CN219471487U (zh) 一种可升降的建筑装配作业平台
CN216442451U (zh) 一种偶合器检修及装配专用装置
CN221479454U (zh) 一种双层平台的升降机构
CN221779427U (zh) 一种隧道开挖台车
JP4598454B2 (ja) クレーン桁・サドル組立装置
CN216711477U (zh) 一种简便的举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