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359B1 -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 Google Patents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359B1
KR101501359B1 KR1020130081675A KR20130081675A KR101501359B1 KR 101501359 B1 KR101501359 B1 KR 101501359B1 KR 1020130081675 A KR1020130081675 A KR 1020130081675A KR 20130081675 A KR20130081675 A KR 20130081675A KR 101501359 B1 KR101501359 B1 KR 10150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member
moving
work tab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560A (ko
Inventor
류봉현
Original Assignee
류봉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봉현 filed Critical 류봉현
Priority to KR102013008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3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차대가 흔들림 없이 상, 하, 좌, 우로 이동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상기 작업대를 조작할 수 있는 제어부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체인이 이완하여 전선과 체인의 보수 및 정리가 용이한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는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개방된 내측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측 양측면에는 전원부스바가 설치된 전원가이드부재와; 상기 전원 가이드부재에 내설되어 좌, 우로 이동함과 상기 전원부스바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가 구비된 이동롤러가 일측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축이 설치되되, 상기 축의 양끝단에는 제 1 회전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전톱니와 대응되는 하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 하 조절프레임과; 바닥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의 일측면에는 상기 상, 하 조절프레임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좌, 우로 이동시키도록 롤러가 구비된 이동모터가 설치되고 타측끝단에는 제 2 회전톱니가 구비된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부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상기 회전모터의 제 2 회전톱니와 연결된 축이 설치되되 상기 축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제 3 회전톱니가 설치된 좌, 우 조절프레임과; 상기 상, 하 조절 프레임과 좌, 우 조절프레임의 관통공에 설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상하조절프레임의 축에 형성된 제 1 회전톱니와 좌, 우 조절프레임의 축에 형성된 제 3 회전톱니에 감겨 연결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에 내설되는 연결체인과;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양측면에는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일측 중심부 상, 하단에는 상기 연결체인과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외주에는 상기 좌, 우 조절프레임의 회전모터와 이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 일측면에 연결결합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엘자형 승차대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A worktable having lift function}
본 발명은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차대가 흔들림 없이 상, 하, 좌, 우로 이동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상기 작업대를 조작할 수 있는 제어부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체인이 이완하여 전선과 체인의 보수 및 정리가 용이한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국, 물품보관소 등과 같은 고소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대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1746호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는 일측부에 핸들(111)을 형성하여 하부에 구동축(112)을 결합하고 구동축의 상승 하강 높이에 따른 위치에 베벨기어(113)를 구동축(112)에 결합하여 핸들의 회전으로 구동축과 베벨기어가 연동하는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하부 중앙에 고정구(125)로 리프트축(124)을 고정하고 리프트축(124)을 내재하여 형성된 회전기어(123)를 회전축(121)과 웜기어(122)로 치차결합하여 연동되도록 하며 작업대(110)의 구동축(112)과 회전축(121)을 베벨기어(113)로 결합하여 작업대(110) 핸들(111)의 회전으로 베벨기어(113)와 회전축(121)이 연동하여 웜기어(122)로 연결된 회전기어(123)가 회전하여 상하로 구동되는 리프트축(124)에 의해 고정구(125)로 고정된 작업대(110)를 상하로 구동하는 리프트부(120)와, 상기 작업대(110)와 리프트부(120)를 지지하고 작업대(110)의 각 모서리에 작업대(11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131)을 상부로부터 내재되도록 설치하며 하부에는 바퀴(134)와 고정구(135)를 설치한 지지프레임(130)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는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것으로 작업대가 낮은 경우에는 위험성이 낮으나 작업대가 높은 경우 작업대의 핸들을 돌리면 작업대가 흔들려 작업자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 될 수 있고, 작업대의 상, 하 조절이 가능하지만 좌, 우 이동시 작업자가 내려와서 이동시키거나, 다른 작업대로 이동해야 하기에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1746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대가 상, 하, 좌, 우 조절이 흔들림 없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 혼자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능률이 증대할 수 있는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개방된 내측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측 양측면에는 전원부스바가 설치된 전원가이드부재와; 상기 전원 가이드부재에 내설되어 좌, 우로 이동함과 상기 전원부스바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가 구비된 이동롤러가 일측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축이 설치되되, 상기 축의 양끝단에는 제 1 회전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전톱니와 대응되는 하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 하 조절프레임과; 바닥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의 일측면에는 상기 상, 하 조절프레임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좌, 우로 이동시키도록 롤러가 구비된 이동모터가 설치되고 타측끝단에는 제 2 회전톱니가 구비된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부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상기 회전모터의 제 2 회전톱니와 연결된 축이 설치되되 상기 축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제 3 회전톱니가 설치된 좌, 우 조절프레임과; 상기 상, 하 조절 프레임과 좌, 우 조절프레임의 관통공에 설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상하조절프레임의 축에 형성된 제 1 회전톱니와 좌, 우 조절프레임의 축에 형성된 제 3 회전톱니에 감겨 연결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에 내설되는 연결체인과;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양측면에는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일측 중심부 상, 하단에는 상기 연결체인과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외주에는 상기 좌, 우 조절프레임의 회전모터와 이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 일측면에 연결결합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엘자형 승차대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 측면에는 상기 조절부의 이동롤러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조절부의 제어부에 전선을 유입할 수 있는 제1유입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체인이 상기 조절부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제2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 홈부에 삽입결합되는 상기 조절부의 이동롤러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 상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부 사이에는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조절부 일측면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또한, 상기 조절부 일측면 하단에는 힌지축이 설치되고 상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상기 작업대 하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통공에는 상기 작업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는 상, 하, 좌, 우 조절이 흔들림 없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작업대의 조절이 작업자 혼자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능률이 증대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대를 상, 하 조절하는 체인과 전원공급하는 전원선을 이원화하여 체인과 전원선이 꼬이지 않도록 하고, 체인이 파손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절부의 이동롤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작업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a, 8b는 본 발명의 작업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c는 도 8a, 8b에 대한 실시예.
도 9a, 9b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작업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의 작업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8c는 도 8a, 8b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9a, 9b는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1)는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개방된 내측에는 가이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2) 내측 양측면에는 전원부스바(14)가 설치된 전원가이드부재(10)와 상기 전원 가이드부재(10)에 내설되어 좌, 우로 이동함과 상기 전원부스바(14)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1)가 구비된 이동롤러(22)가 일측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축(24)이 설치되되, 상기 축(24)의 양끝단에는 제 1 회전톱니(24-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전톱니(24-1)와 대응되는 하부면에는 관통공(28)이 형성된 상, 하 조절프레임(20)과 바닥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30)과 상기 레일(30)의 상부에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40)와 상기 이동롤러(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상, 하 조절프레임(20)의 관통공(28)과 대응되는 관통공(52)이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레일(30)에 안착되어 좌, 우로 이동시키도록 롤러(54-1)가 구비된 이동모터(54)가 설치되고 타측끝단에는 제 2 회전톱니(56-1)가 구비된 회전모터(56)가 설치되고 하부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상기 회전모터(56)의 제 2 회전톱니(56-1)와 연결된 축(58)이 설치되되 상기 축(58)에는 상기 관통공(52)과 대응되는 제 3 회전톱니(58-1)가 설치된 좌, 우 조절프레임(50)과 상기 상, 하 조절 프레임(20)과 좌, 우 조절프레임(50)의 관통공(28, 52)에 설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가이드부재(60)와 상기 상하조절프레임(20)의 축(24)에 형성된 제 1 회전톱니(24-1)와 좌, 우 조절프레임(50)의 축(58)에 형성된 제 3 회전톱니(58-1)에 감겨 연결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60)에 내설되는 연결체인(70)과 상기 수직가이드부재(60)에 결합되어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양측면에는 이동롤러(82)가 구비되며 일측 중심부 상, 하단에는 상기 연결체인(70)과 결합되는 연결부재(84)가 구비되고 외주에는 상기 좌, 우 조절프레임(50)의 회전모터(56)와 이동모터(54)를 제어하는 제어부(86)가 설치된 조절부(80)와 상기 조절부(80) 일측면에 연결결합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엘자형 승차대(92)가 구비된 작업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상, 하 조절프레임(20)의 관통공(28)과 좌, 우 조절프레임(52)의 관통공(52)에 연결설치되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60)는 상기 작업대(90)를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 우 조절프레임(50)의 회전모터(56)와 이동모터(54)를 제어하는 제어부(86)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체인(70)이 이원화하여 정리되도록 함과 상기 조절부(80)가 상, 하 이동시 흔들림이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도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가이드부재(60)의 중심부에는 통공(64-1)이 형성되고 외주 측면에는 상기 조절부(80)의 이동롤러(82)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부(62)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조절부(80)의 제어부(86)에 전선을 유입할 수 있는 제1유입공(64-2)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체인(70)이 상기 조절부(80)의 연결부재(84)에 연결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제2유입공(64-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흔들림이 없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가이드부재(60)의 가이드 홈부(62)에 삽입결합되는 상기 조절부(80)의 이동롤러(82)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 상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부 사이에는 지지롤러(82-1)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직가이드부재(60)의 가이드 홈부(62)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절부(80)의 이동롤러(82)가 이동시 흔들린 경우 상기 조절부(80)의 지지롤러(82-1)가 잡아주므로써 이동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작업대(90)의 승차대(92)는 엘자형으로 구성되되 작업자가 승차하는 바닥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도록 하여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절첩되어 작업자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대(90)은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80) 일측면 하단에는 힌지축(88)이 설치되고 상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통공(87)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80)의 힌지축(88)에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상기 작업대(90) 하부에는 힌지공(96)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80)의 통공(87)에는 상기 작업대(9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10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87)은 셋 이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핀(100)은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대(9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각도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두 가지 이상으로 작업대가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대에 기대여 편안하게 작업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1)는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로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개방된 내측에는 가이드부(12)가 형성되되고 상기 가이드부(12) 내측 양측면에는 전원부스바(14)가 설치된 전원가이드부재(10)와 상기 전원 가이드부재(10)에 내설되어 좌, 우로 이동함과 상기 전원부스바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1)가 구비된 이동롤러(22)가 일측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축(24)이 설치되되, 상기 축(24)의 양끝단에는 제 1 회전톱니(24-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전톱니(24-1)와 대응되는 하부면에는 관통공(28)이 형성된 상, 하 조절프레임(20)과 바닥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30)과 상기 레일(30)의 상부에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40)와 상기 이동롤러(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상, 하 조절프레임(20)의 관통공(28)과 대응되는 관통공(52)이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레일(30)에 안착되어 좌, 우로 이동시키도록 롤러(54-1)가 구비된 이동모터(54)가 설치되고 타측끝단에는 제 2 회전톱니(56-1)가 구비된 회전모터(56)가 설치되고 하부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상기 회전모터(56)의 제 2 회전톱니(56-1)와 연결된 축(58)이 설치되되 상기 축(58)에는 상기 관통공(52)과 대응되는 제 3 회전톱니(58-1)가 설치된 좌, 우 조절프레임(50)과 상기 상, 하 조절프레임(20)과 좌, 우 조절프레임(50)의 관통공(28, 52)에 설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가이드부재(60)와 상기 상하조절프레임(20)의 축(24)에 형성된 제 1 회전톱니(24-1)와 좌, 우 조절프레임(50)의 축(58)에 형성된 제 3 회전톱니(58-1)에 감겨 연결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60)에 내설되는 연결체인(70)과 상기 수직가이드부재(40)에 결합되어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양측면에는 이동롤러(82)가 구비되며 일측 중심부 상, 하단에는 상기 연결체인(70)과 결합되는 연결부재(84)가 구비되고 외주에는 상기 좌, 우 조절프레임(50)의 회전모터(56)와 이동모터(54)를 제어하는 제어부(86)가 설치된 조절부(80)와 상기 조절부(80) 일측면에는 연결결합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엘자형 승차대(92)가 구비된 작업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결합된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1)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90)의 승차대(92)에 올라가서 상기 조절부(80)의 제어부(86)를 조작하여 상, 하, 좌, 우 이동시 흔들림 없이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증대할 수 있고, 작업대를 상, 하 조절하는 체인과 각기 전원공급하는 전원선을 이원화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고. 상기 체인과 전원선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 :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10 : 전원 가이드 부재 12 : 가이드부
14 : 전원부스바 20 : 상, 하 조절프레임
21 : 연결부재 22 : 이동롤러
24 : 축 24-1 : 제 1 회전톱니
28 : 관통공 30 : 레일
50 : 좌, 우 조절프레임 40 : 이동롤러
52 : 관통공 54 : 이동모터
54-1 : 롤러 56 : 회전모터
56-1 : 제 2 회전톱니 58-1 : 제 3 회전톱니
60 : 수직가이드부재 62 : 가이드 홈부
64-1 : 통공 64-2 : 제 2 유입공
64-3: 제 1 유입공
70 : 연결체인
80 : 조절부 82 : 이동롤러
84 : 연결부재
86 : 제어부 87 : 통공
88 : 힌지축 90 : 작업대
92 : 엘자형 승차대 96 : 힌지공

Claims (4)

  1.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개방된 내측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측 양측면에는 전원부스바가 설치된 전원가이드부재와;
    상기 전원 가이드부재에 내설되어 좌, 우로 이동함과 상기 전원부스바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가 구비된 이동롤러가 일측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축이 설치되되, 상기 축의 양끝단에는 제 1 회전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전톱니와 대응되는 하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 하 조절프레임과;
    바닥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의 일측면에는 상기 상, 하 조절프레임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끝단에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좌, 우로 이동시키도록 롤러가 구비된 이동모터가 설치되고 타측끝단에는 제 2 회전톱니가 구비된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부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상기 회전모터의 제 2 회전톱니와 연결된 축이 설치되되 상기 축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제 3 회전톱니가 설치된 좌, 우 조절프레임과;
    상기 상, 하 조절 프레임과 좌, 우 조절프레임의 관통공에 설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상하조절프레임의 축에 형성된 제 1 회전톱니와 좌, 우 조절프레임의 축에 형성된 제 3 회전톱니에 감겨 연결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부재에 내설되는 연결체인과;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양측면에는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일측 중심부 상, 하단에는 상기 연결체인과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외주에는 상기 좌, 우 조절프레임의 회전모터와 이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 일측면에 연결결합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엘자형 승차대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 측면에는 상기 조절부의 이동롤러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조절부의 제어부에 전선을 유입할 수 있는 제1유입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체인이 상기 조절부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제2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 홈부에 삽입결합되는 상기 조절부의 이동롤러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 상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부 사이에는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 일측면 하단에는 힌지축이 설치되고 상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상기 작업대 하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통공에는 상기 작업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20130081675A 2013-07-11 2013-07-1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150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75A KR101501359B1 (ko) 2013-07-11 2013-07-1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75A KR101501359B1 (ko) 2013-07-11 2013-07-1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60A KR20150007560A (ko) 2015-01-21
KR101501359B1 true KR101501359B1 (ko) 2015-03-12

Family

ID=5257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675A KR101501359B1 (ko) 2013-07-11 2013-07-1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97Y1 (ko) * 2017-11-08 2018-06-29 김재학 작업 테이블 결합장치
CN107857218A (zh) * 2017-12-11 2018-03-30 中国铁建电气化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隧道汇流排安装台车
KR102070103B1 (ko) * 2018-07-25 2020-01-28 임대우 자주 구동식 작업대
KR102239786B1 (ko) * 2019-08-14 2021-04-13 (주)정우프랜트 고소작업대
CN110683448A (zh) * 2019-10-04 2020-01-14 张女儿 中途不停的直升电梯
KR102512035B1 (ko) * 2021-05-12 2023-03-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장치
CN113562417B (zh) * 2021-07-27 2023-07-07 浙江瑞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吊挂输送线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746Y1 (ko) * 2001-06-30 2001-1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JP2003118987A (ja) * 2001-10-16 2003-04-23 Showa Aircraft Ind Co Ltd 高所作業車
JP2004315145A (ja) * 2003-04-15 2004-11-11 Hanaoka Sharyo Kk 折り畳み式手押しリフト
KR200423167Y1 (ko) * 2006-05-12 2006-08-03 이광주 핸들조작이 용이한 이동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746Y1 (ko) * 2001-06-30 2001-1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JP2003118987A (ja) * 2001-10-16 2003-04-23 Showa Aircraft Ind Co Ltd 高所作業車
JP2004315145A (ja) * 2003-04-15 2004-11-11 Hanaoka Sharyo Kk 折り畳み式手押しリフト
KR200423167Y1 (ko) * 2006-05-12 2006-08-03 이광주 핸들조작이 용이한 이동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60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359B1 (ko)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200433704Y1 (ko) 천공장치
JP6615067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TWI680929B (zh) 托板搬送裝置
KR101335519B1 (ko) 발전설비용 로터 지지장치
KR20090121512A (ko) 작업대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4641213U (zh) 一种木板雕刻机的雕刻装置
IT201600101422A1 (it) Macchina utensile.
JP2016011931A (ja) 電磁波測定装置
WO2015186652A1 (ja) ワーク昇降装置
KR20160019309A (ko) 전동기 조립 장치
KR200475515Y1 (ko) 리프팅 장치
JP3208988U (ja) モーター付減速機を駆動軸に直接嵌合した縦型回転棚装置
CN204749682U (zh) 一种木板雕刻机的定位装置
JP2010177283A (ja) ステージ装置
CN204701359U (zh) 一种木板雕刻机
CN209481100U (zh) 一种汽车生产用夹具搬运机
KR101629351B1 (ko) 통나무 가공장치
CN202555959U (zh) 通引风机叶轮外径切割专机
CN102678859A (zh) 旗杆机芯的传动结构
KR101770045B1 (ko) 승강기
CN102836907B (zh) 轮胎保护罩旋边机
JP3208987U (ja) 上下ガイドレールをレーザー溶断で制作した縦型回転棚装置
CN104523002A (zh) 植毛机工作台
CN206779617U (zh) 圆蜗杆蜗轮付对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