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353B1 - 긴장잭 리프트 - Google Patents

긴장잭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353B1
KR101540353B1 KR1020150004217A KR20150004217A KR101540353B1 KR 101540353 B1 KR101540353 B1 KR 101540353B1 KR 1020150004217 A KR1020150004217 A KR 1020150004217A KR 20150004217 A KR20150004217 A KR 20150004217A KR 101540353 B1 KR101540353 B1 KR 10154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ension jack
combined
guide rail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102015000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공에서 이루어지는 긴장재의 긴장 작업시, 법적 탑승 인원 범위 내의 작업자만을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탑승시킨 상태에서 긴장잭를 긴장재의 위치에 손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긴장잭 리프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 롤러부가 결합되고 단면이 원형인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 결합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관통공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을 축으로 회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 상기 승강구 일측에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면에 긴장재를 긴장하기 위한 긴장잭이 거치되는 긴장잭 안치부로 구성되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구동부; 일단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부를 거쳐 상기 거치부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는 와이어; 및 긴장잭 리프트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 상기 가이드파이프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긴장잭 리프트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파이프 및 상기 신축파이프 후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지지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긴장잭 리프트{Lift for Tensioning Jack}
본 발명은 고공에서 이루어지는 긴장재의 긴장 작업시, 법적 탑승 인원 범위 내의 작업자만을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탑승시킨 상태에서 긴장잭를 긴장재의 위치에 손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긴장잭 리프트에 대한 것이다.
종래 PSC 거더교는 거더에 매설된 쉬스관에 PS 강선을 설치한 후 긴장재를 긴장시켜 미리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도록 함으로써, 부재의 재료 및 구조적인 단점을 보완하여 향후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PSC 거더교는 시공 단계별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 변화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거더 높이 과다로 인한 슬래브 자중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거더와 현장 타설 바닥판의 자중을 버티기 위한 긴장력 도입을 위하여 지상에서 1차로 긴장재를 긴장 및 정착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작하고, 이를 인양하여 교각 상부에 시공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상부구조물 및 활하중에 대응하여 2차로 긴장재를 긴장하고 정착시켜 다단계로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하는 거더 제작방법이 제안되었다(등록특허 제10-1140632호 등).
이 방법은 시공 단계별로 변화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거더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인 교량 시공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다단 긴장 과정을 거쳐 제작되는 거더 교량 등은 복수의 긴장재 단부를 긴장잭에 관통되도록 삽입한 후 쐐기콘으로 긴장재를 고정하고 긴장잭에 유압을 주입하여 긴장재를 긴장하는 일련의 2차 긴장 작업이 교각 높이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탑승하여 30m 내외의 고공에서 긴장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고소작업차의 버켓은 법적 탑승 인원이 2인으로 제한되어 있어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탑승시 전복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긴장재 긴장을 위한 긴장잭는 금속 덩어리로 제작되어 무게가 통상 120㎏이상에서 170㎏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량에 이른다. 따라서 2인의 작업자가 긴장잭를 긴장재 위치까지 인양하여 긴장재에 정확히 맞추는 작업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로는 버켓에 3인의 작업자가 탑승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로 인하여 고소작업차가 전복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 2인이 무리하여 긴장 작업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버켓 작업발판에서 긴장재 위치까지 긴장잭를 들어올릴 때에는 순간적으로 힘이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이때 발생한 충격이 고소작업차에 진동을 가하여 작업자 안전을 위협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고공에서 이루어지는 긴장재의 긴장 작업시, 법적 탑승 인원 범위 내의 작업자만을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탑승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긴장잭를 긴장재의 위치에 손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긴장잭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인력에 의존하던 2차 긴장 작업을 대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긴장잭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긴장재 긴장 작업을 위한 긴장잭을 긴장재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긴장잭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 롤러부가 결합되고 단면이 원형인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 결합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관통공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을 축으로 회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 상기 승강구 일측에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면에 긴장재를 긴장하기 위한 긴장잭이 거치되는 긴장잭 안치부로 구성되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구동부; 일단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부를 거쳐 상기 거치부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는 와이어; 및 긴장잭 리프트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 상기 가이드파이프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긴장잭 리프트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파이프 및 상기 신축파이프 후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지지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잭 리프트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거치부에 거치한 긴장잭를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적은 인력으로 긴장잭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고공에서 이루어지는 긴장재의 긴장 작업시, 법적 탑승 인원 범위 내인 최소한의 작업자만을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탑승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긴장잭를 긴장재의 위치에 손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 인력에 의존하던 2차 긴장 작업을 대체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거치부가 가이드레일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므로 긴장잭의 방향 전환 또는 각도 조절이 자유롭다. 나아가 거치부를 가이드레일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킨 다음 긴장잭 안치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긴장잭와 긴장재의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넷째, 지지구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차의 버켓 작업발판 등의 바닥에 긴장잭 리프트를 고정하면 긴장잭 리프트가 버켓 위에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일정 높이 이상에서 긴장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라면 교량용 거더 등의 2차 긴장을 비롯하여 유지 관리를 위한 긴장재의 재긴장 작업 등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교량용 거더 외에도 다른 다양한 구조 부재의 긴장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긴장잭 리프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승된 긴장잭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거치부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가이드레일을 축으로 회전되는 거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회전 가능한 긴장잭 안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후방으로 신장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지지구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긴장잭 리프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승된 긴장잭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긴장잭 리프트는 긴장재 긴장 작업을 위한 긴장잭(7)을 긴장재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 상기 베이스부(1) 상부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 롤러부(31)가 결합되고 단면이 원형인 가이드레일(3); 상기 가이드레일(3)이 관통 결합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관통공(4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을 축으로 회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41), 상기 승강구(41) 일측에 결합되는 브래킷(43) 및 상기 브래킷(43)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면에 긴장재를 긴장하기 위한 긴장잭(7)이 거치되는 긴장잭 안치부(44)로 구성되는 거치부(4); 상기 베이스부(1)에 구비되는 구동부(5); 일단은 상기 구동부(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부(31)를 거쳐 상기 거치부(4)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부(5)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4)가 가이드레일(3)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는 와이어(W); 및 긴장잭 리프트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61), 상기 가이드파이프(61)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파이프(61)를 따라 긴장잭 리프트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파이프(62) 및 상기 신축파이프(62) 후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구(63)로 구성되는 지지구(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법적 허용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작업자만이 고소작업차의 버켓 등 고공 작업을 위한 작업수단에 탑승하여 긴장잭(7)를 긴장재 위치에 정확하고 손쉽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긴장잭 리프트에 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는 긴장잭 리프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 고소작업차의 버켓 내 지지발판 상부에 위치되게 되는 부분이다.
긴장잭 리프트는 자중에 의하여 자립시킬 수 있으나, 긴장 작업시 작용하는 충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1)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작업발판 등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은 베이스부(1) 상부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단면이 원형이고, 긴장잭(7)이 거치되는 거치부(4)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거치부(4)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3)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상면에는 긴장재를 긴장하기 위한 긴장잭(7)이 거치된다.
따라서 중량의 긴장잭(7)를 거치부(4)의 타단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치부(4)의 일단이 가이드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긴장잭(7)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긴장잭(7)를 긴장재 단부에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쐐기콘으로 긴장재를 고정한 다음 긴장재를 긴장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구동부(5)는 가이드레일(3)을 따라 거치부(4)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구동부(5)는 전동윈치나 수동윈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켓 등의 작업공간 저면에서 긴장잭(7)를 거치부(4)에 거치하고 구동부(5)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4)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긴장잭(7)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적은 인력만으로도 긴장잭(7)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긴장잭 리프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을 이용하는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적게 나가 효과적이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3) 상단에는 롤러부(31)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5)는 베이스부(1)에 구비되며, 구동부(5)에 연결된 와이어(W)가 상기 롤러부(31)를 거쳐 상기 거치부(4)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부(5)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4)가 가이드레일(3)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롤러부(31)는 가이드레일(3)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수직 방향의 지지프레임(2)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4)에 와이어(W)를 연결하여 구동부(5)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4)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거치부(4)에 와이어(W)를 연결하기 위하여 거치부(4) 일단에 와이어(W) 연결을 위한 고리가 결합되었으며, 와이어(W)의 단부가 고리에 연결되었다.
상기 거치부(4)가 가이드레일(3)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므로, 거치부(4)의 수직 높이가 정해지면 거치부(4)를 회전시켜 긴장재의 단부에 긴장잭(7)를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거치부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가이드레일을 축으로 회전되는 거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4)는 가이드레일(3)이 관통 결합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관통공(4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을 축으로 회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41), 상기 승강구(41) 일측에 결합되는 브래킷(43) 및 상기 브래킷(43)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면에 긴장재를 긴장하기 위한 긴장잭(7)이 거치되는 긴장잭 안치부(44)로 구성된다.
즉, 거치부(4)의 승강구(41)에 형성된 관통공(42)에 가이드레일(3)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3)이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구(41)만을 상하로 이동시켜 거치부(4)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과 관통공(42)은 각각 원형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 경우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구(41)는 가이드레일(3)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로써 승강구(41)의 회전에 따라 긴장잭 안치부(44)가 회전하므로 긴장잭(7)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 1인이 구동부(5)를 조작하는 동안 나머지 작업자 1인이 브래킷(43)을 조작하여 긴장잭(7)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긴장잭 안치부(44)는 상부에 거치되는 긴장잭(7)이 탈락되지 않도록 긴장잭(7)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중앙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은 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회전 가능한 긴장잭 안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긴장잭 안치부(44)는 브래킷(43) 단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래 긴장잭(7)는 긴장재와 평행하게 위치되어야 하는데, 거치부(4)가 가이드레일(3)을 따라 회전하므로 긴장잭(7)와 긴장재의 각도가 안 맞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긴장잭 안치부(44)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1차적으로 가이드레일(3)을 따라 거치부(4)를 회전시킨 후 브래킷(43) 상면에 위치되는 안치부를 회전시켜 긴장잭(7)와 긴장재의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후방으로 신장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지지구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긴장잭 리프트는 자중에 의하여 작업발판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나, 작업 중 충격이나 긴장잭의 무게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긴장잭 리프트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 도 2, 도 6 등에서와 같이, 긴장잭 리프트의 베이스부(1)에는 긴장잭 리프트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지지구(6)를 결합한다.
상기 지지구(6)는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부(1)에서 확장되어 긴장잭 리프트를 바닥에 단순 지지시킬 수 있으며, 볼트나 철사 등으로 버켓 작업발판 등의 바닥에 직접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구(6)는 상기 베이스부(1)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61), 상기 가이드파이프(61)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파이프(61)를 따라 긴장잭 리프트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파이프(62) 및 상기 신축파이프(62) 후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구(63)로 구성한다.
중량의 긴장잭(7)이 긴장잭 리프트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긴장잭(7)의 무게로 인하여 긴장잭 리프트가 전방으로 전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신축파이프(62)를 긴장잭 리프트 후방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지지구(6)를 확장하여 바닥에 고정시켜 긴장잭 리프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파이프(61) 내주면에는 볼베어링을 설치하여 신축파이프(62)가 가이드파이프(61)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파이프(61) 일측에는 결합플레이트(6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64)는 지지구(6)를 베이스부(1)에 결합한다.
아울러 신축파이프(62) 일단에는 엔드플레이트(65)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엔드플레이트(65)는 지지구(6) 신장시 신축파이프(62)가 가이드파이프(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신축파이프(62) 후단은 고정구(63)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다.
동일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개소에 긴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1개소 작업 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긴장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신축파이프(62) 후단을 고정구(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긴장잭 리프트를 자유롭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1: 베이스부 2: 지지프레임
3: 가이드레일 31: 롤러부
4: 거치부 41: 승강구
42: 관통공 43: 브래킷
44: 긴장잭 안치부 5: 구동부
6: 지지구 61: 가이드파이프
62: 신축파이프 63: 고정구
64: 결합플레이트 65: 엔드플레이트
7: 긴장잭 W: 와이어

Claims (7)

  1. 긴장재 긴장 작업을 위한 긴장잭(7)을 긴장재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긴장잭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1);
    상기 베이스부(1) 상부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 롤러부(31)가 결합되고 단면이 원형인 가이드레일(3);
    상기 가이드레일(3)이 관통 결합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관통공(4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을 축으로 회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41), 상기 승강구(41) 일측에 결합되는 브래킷(43) 및 상기 브래킷(43)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면에 긴장재를 긴장하기 위한 긴장잭(7)이 거치되는 긴장잭 안치부(44)로 구성되는 거치부(4);
    상기 베이스부(1)에 구비되는 구동부(5);
    일단은 상기 구동부(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부(31)를 거쳐 상기 거치부(4)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부(5)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4)가 가이드레일(3)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는 와이어(W); 및
    긴장잭 리프트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61), 상기 가이드파이프(61)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파이프(61)를 따라 긴장잭 리프트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파이프(62) 및 상기 신축파이프(62) 후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구(63)로 구성되는 지지구(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잭 리프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04217A 2015-01-12 2015-01-12 긴장잭 리프트 KR10154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217A KR101540353B1 (ko) 2015-01-12 2015-01-12 긴장잭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217A KR101540353B1 (ko) 2015-01-12 2015-01-12 긴장잭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353B1 true KR101540353B1 (ko) 2015-07-30

Family

ID=5387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217A KR101540353B1 (ko) 2015-01-12 2015-01-12 긴장잭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3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3225A (zh) * 2015-11-30 2016-02-1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绞绳式风管安装提升装置
CN111302259A (zh) * 2020-03-31 2020-06-19 贵州苗西南饮品有限公司 一种搬运升降台
CN111609209A (zh) * 2020-05-15 2020-09-01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顶管施工用支撑装置
KR20210047184A (ko) 2019-10-21 2021-04-29 김성원 베일 오프너에 베일을 투입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664A (ja) * 1992-10-15 1994-05-10 Motoda Electron Co Ltd 荷重取扱装置
JPH0678389U (ja) * 1993-04-16 1994-11-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回転テーブル付昇降リフタ装置
JPH0730290U (ja) * 1993-11-18 1995-06-06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垂直昇降式作業車の昇降台昇降機構
JP2000300626A (ja) * 1999-04-23 2000-10-31 Toshiaki Mitarai 補助用リフト装置
JP2002128482A (ja) * 2000-10-27 2002-05-09 Banzai Ltd 車両整備用2柱式リフト
JP4040021B2 (ja) * 2003-12-26 2008-01-30 株式会社タイショー 昇降作業機
KR20090083000A (ko) *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110072579A (ko) * 2009-12-23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아웃트리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664A (ja) * 1992-10-15 1994-05-10 Motoda Electron Co Ltd 荷重取扱装置
JPH0678389U (ja) * 1993-04-16 1994-11-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回転テーブル付昇降リフタ装置
JPH0730290U (ja) * 1993-11-18 1995-06-06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垂直昇降式作業車の昇降台昇降機構
JP2000300626A (ja) * 1999-04-23 2000-10-31 Toshiaki Mitarai 補助用リフト装置
JP2002128482A (ja) * 2000-10-27 2002-05-09 Banzai Ltd 車両整備用2柱式リフト
JP4040021B2 (ja) * 2003-12-26 2008-01-30 株式会社タイショー 昇降作業機
KR20090083000A (ko) *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110072579A (ko) * 2009-12-23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아웃트리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3225A (zh) * 2015-11-30 2016-02-1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绞绳式风管安装提升装置
KR20210047184A (ko) 2019-10-21 2021-04-29 김성원 베일 오프너에 베일을 투입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
CN111302259A (zh) * 2020-03-31 2020-06-19 贵州苗西南饮品有限公司 一种搬运升降台
CN111609209A (zh) * 2020-05-15 2020-09-01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顶管施工用支撑装置
CN111609209B (zh) * 2020-05-15 2021-09-10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顶管施工用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353B1 (ko) 긴장잭 리프트
US8550213B2 (en) Scaffold element, arrangement and method of use
US9097033B2 (en) Tower lifting stand system
US20150152653A1 (en) Platform
US20130313045A1 (en) Scaffolding attachment arrangement
KR102115380B1 (ko) 유압식 슬립폼 안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와 중간슬라브 시공방법
WO2010056202A1 (en) Mobile cantilever platform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hereof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JP6041148B2 (ja) 切断解体用の部材保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の解体方法
US20220010570A1 (en) Building site device having a climbing formwork and an elevator system
AU20183703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drilling rig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971274B1 (ko)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JP6143071B2 (ja) 建物の解体方法
JP6143070B2 (ja) 建物の解体方法
JP6431652B2 (ja) 高欄用足場装置
JP2010150039A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KR100452495B1 (ko)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및 이를이용한 지지인상방법
KR102629570B1 (ko)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
JP2004263498A (ja) 防護柵の施工方法及び施工装置
JP3971859B2 (ja) タンク側板解体工法
KR101425750B1 (ko) 레벨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356B1 (ko)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090089519A (ko) 갱폼 인양장치
JP2018178481A (ja) 仮設支柱および屋根架構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