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570B1 -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9570B1 KR102629570B1 KR1020230131676A KR20230131676A KR102629570B1 KR 102629570 B1 KR102629570 B1 KR 102629570B1 KR 1020230131676 A KR1020230131676 A KR 1020230131676A KR 20230131676 A KR20230131676 A KR 20230131676A KR 102629570 B1 KR102629570 B1 KR 102629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master
- elevator
- cage
- type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1 radioactiv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5/00—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 E21D5/04—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with brick, concrete, stone, or similar build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7/00—Shaft equipment, e.g. timbering within the shaft
- E21D7/02—Arrangement of guides for cages in shafts; Connection of guides for cages to shaft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바닥부터 지상까지 승강기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하고, 공사의 폭을 넓혀 공기를 단축하며 기타 작업 방해요소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망을 설치해 작업할 수 있는 안전하고 폭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는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구 바닥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되는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 작업자 또는 공사자재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케이지가 설치되는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 마스터(50)는 단면이 대략 사각의 플레이트(52)로, 수직구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 세워지고, 상기 수직 마스터(50)와 굴착공(P‘) 사이에는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쉽게 하는 다단의 마스터 고정수단(9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는 전동장치에 의해 승하강 되며 승강 구동수단(510)이 구비된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외부의 임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고정수단(90)은 슬립폼(67)의 형성에 따라 굴착공(P’)과 수직 마스터(50) 사이의 고정구는 제거하고, 수직 구조물(P)에 앵커로 추가 고정되며,
상기 수직 마스터(50) 하부에는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구 바닥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되는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 작업자 또는 공사자재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케이지가 설치되는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 마스터(50)는 단면이 대략 사각의 플레이트(52)로, 수직구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 세워지고, 상기 수직 마스터(50)와 굴착공(P‘) 사이에는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쉽게 하는 다단의 마스터 고정수단(9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는 전동장치에 의해 승하강 되며 승강 구동수단(510)이 구비된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외부의 임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고정수단(90)은 슬립폼(67)의 형성에 따라 굴착공(P’)과 수직 마스터(50) 사이의 고정구는 제거하고, 수직 구조물(P)에 앵커로 추가 고정되며,
상기 수직 마스터(50) 하부에는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바닥부터 지상까지 승강기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하고, 공사의 폭을 넓혀 공기를 단축하며 기타 작업 방해요소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망을 설치해 작업할 수 있는 안전하고 폭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는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구는 지하철 선로 공사시 열차의 운행 상황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포함된 각종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로 인해 지하터널 및 승강장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전철역을 비롯하여 지하선로를 따라 일정 구간마다 지하터널 및 승강장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지상으로 배출시키거나 지상의 공기를 지하터널 및 승강장 내로 공급 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수직터널 구조물을 말한다.
한 수직구는 광산에서의 작업용 및 환기용으로 시공되거나, 또는 도로터널 및 철도터널의 환기용, 비축기지의 공사용 및 운전용 수직구, 방사능 폐기물 처분장의 처분 공동 굴착을 위한 파일럿 수직구 등 다양한 산업시설에 시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구는 지면에서 하부로 굴착공을 시공한 다음, 굴착공의 둘레에 슬립폼을 이용하여 원형의 수직벽체를 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 수직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굴착공이나 시공되는 수직구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내부에서 나올 경우에는, 크레인의 인상줄에 연결된 케이지의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크레인의 인상줄을 풀거나 감는 과정을 통해, 케이지를 하강시키거나 인상시켜 작업자가 굴착공이나 시공되는 수직구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내부에서 나오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크레인의 인상줄에 연결된 케이지의 승강을 통해 작업자가 굴착공이나 시공되는 수직구의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는 인상줄이 절단되어 인명 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445485호 (수직구 시공장치 및 그 시공장치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는, 수직구 형성을 위해 굴착된 굴착공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둘레가 원형으로 수평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수직 프레임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평 작업부재와; 상기 수평 작업부재의 외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와; 다수의 상기 수직 지지대의 외측 단부에 환형으로 연속 고정되는 다수의 슬립폼과;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되어 수직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슬립폼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굴착공의 바닥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 관통홀에 관통되어 굴착공의 상부로 돌출되게 세워지고, 외측과 굴착공의 측면이나 시공되는 수직 구조물에 측면의 사이에는 분리 가능한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지지수단이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방에 승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게 구비되고 외측에는 출입문이 구비된 탑승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직구 시공장치는 지상에서 슬립폼 상부 작업공간까지 이동이 가능하나 슬립폼 하부 기초부 바닥까지 이동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이 불편하고 공기가 지연되는 등 기타 작업 방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수직구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직립되게 설치하고 슬립폼을 성형하고 작업자가 수시로 이동하는 케이지형 승강기를 승하강시키는 수직 마스터의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쉽게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케이지형 승강기의 상부가 개방되고 내, 외부에서 수직 마스터의 임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오픈된 작업대에 낙하의 위험이 있으므로 오픈된 장소에 안전망을 설치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중간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안전망에 보강대와 수직 보강부재를 더 설치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낙하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수직 마스터의 높이에서 케이지형 승강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기 오픈구와 파워케이블 오픈구를 설치하여 케이지형 승강기가 슬립폼 하부 기초부 바닥까지 이동하며 넓은 작업범위에서 작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수직구와 수직 구조물에서 슬립폼의 성형과 관계없이 수직 마스터를 지지하는 마스터 고정수단을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구 바닥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되는 수직 마스터의 일측에 작업자 또는 공사자재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케이지가 설치되는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 마스터는 단면이 대략 사각의 플레이트로, 수직구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 세워지고, 상기 수직 마스터와 굴착공 사이에는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쉽게 하는 다단의 마스터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 마스터의 일측에는 전동장치에 의해 승하강 되며 승강 구동수단이 구비된 케이지형 승강기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의 측부에는 추락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외부의 임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고정수단은 슬립폼의 형성에 따라 굴착공과 수직 마스터 사이의 고정구는 제거하고, 수직 구조물에 앵커로 추가 고정되며,
상기 수직 마스터 하부에는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구 굴착공(P’)에 수직 구조물을 시공하는 수직구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 시공장치는 상, 하부 작업공간, 상기 상, 하부 작업공간을 승하강시키면서 상기 수직 구조물(P)을 시공하는 승강 구동수단, 수직구 바닥면에 직립하는 수직 마스터(50) 및 작업자와 공사용자재를 승하강할 수 있는 케이지형 승강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작업공간에는 바스트 오픈구와 승강기 오픈구 및 파워케이블 오픈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마스터의 일측에는 케이지형 승강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구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직립되게 설치하고 슬립폼을 성형하도록 케이지형 승강기를 승하강시키는 수직 마스터는 수직구의 높이에 따라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지형 승강기의 상부가 개방되고 내, 외부에서 케이지형 승강기의 운행시 임의 위치에 쉽게 정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픈된 작업대에 낙하의 위험이 있으므로 오픈된 장소에 안전망을 설치하고 사선형 보강대와 수직 마스터를 설치해 낙하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마스터의 높이에서 케이지형 승강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기 오픈구와 파워케이블 오픈구를 설치하여 케이지형 승강기가 슬립폼 하부 기초부 바닥까지 이동하며 넓은 작업범위에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구와 수직 구조물에서 슬립폼의 성형과 관계없이 마스터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것과 수직구 벽에 앵커를 추가로 고정해 안정된 케이지형 승강기의 구동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직구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오픈구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마스터 고정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승강 구동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중간 작업공간에 설치한 중간 안전망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슬립폼 승강수단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슬립폼 승강수단과 하부 승강수단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일부분의 연결상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슬리브의 연결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도 11 의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렌치볼트가 연결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랙기어에 대한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정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랙기어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오픈구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마스터 고정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승강 구동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중간 작업공간에 설치한 중간 안전망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슬립폼 승강수단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슬립폼 승강수단과 하부 승강수단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일부분의 연결상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슬리브의 연결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도 11 의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렌치볼트가 연결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랙기어에 대한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정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랙기어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직구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오픈구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마스터 고정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승강 구동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간 작업공간에 설치한 중간 안전망의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구 슬립폼(67) 공사중 작업자의 이동 가능한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수직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굴착공(P’)이나 시공되는 수직구의 내부로 작업자나 공사자재를 옮기는 과정에서 수시로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 하부 작업공간(30), 수직 마스터(50), 슬립폼 승강수단(60), 하부 승간수단(70), 마스터 고정수단(90) 및 승강 구동수단(510)을 포함한다.
상기 굴착공(P’)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 구조물(P)에 연결되어 슬립폼 승강수단(60)으로 위치가 이동하는 상부 작업공간(10)의 하측으로 중간 작업공간(20)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 작업공간(20)의 하측으로 하부 작업공간(30)을 연속해서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 및 하부 작업공간(30)에는 바스트 오픈구(40)가 설치되어 수직 마스터(50)가 관통하며 직립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바스트 오픈구(40)의 한쪽에는 승강기 오픈구(42)가 설치되어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안전하게 수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바스트 오픈구(40)의 다른 한쪽에는 파워케이블 오픈구(43)가 설치되어 케이지형 승강기(88)를 파워케이블이 연결되어 안정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마스터(50)는 수직 구조물(P)의 바닥에서부터 작업자 또는 공사자재를 수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을 다수의 수직 지지대(23)로 연결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13)는 슬립폼 승강수단(60)을 통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 및 상기 중간 작업공간(20)과 하부 작업공간(30)에는 각각 이동용 사다리(19, 29)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하부 승강수단(70)은 수직 구조물(P)의 내부에서 중간 작업공간(20)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때 하부 승강수단(70)의 안내를 받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작업공간(10)은 상부바닥(12)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 마스터(50)와 케이지형 승강기(88)를 감싸도록 상부 안전망(11)이 설치되어 오픈된 부분으로부터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작업공간(20)은 중간바닥(24)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 마스터(50)를 감싸며 상부바닥(12)과 중간바닥(24)이 선단부분을 따라 일정한 간격에서 수직 마스터(23)로 연결해 보호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 마스터(23)의 내부에는 중간 안전망(21)이 설치되어 보호하는 동시에 사선형 보강대(22)가 설치되어 중간 작업공간(20)에서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작업공간(30)은 하부바닥(32)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 마스터(50)를 감싸도록 하부 안전망(31)이 설치되어 오픈된 부분으로부터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외측 선단을 따라 하부 승강수단(70)이 설치되어 승강시 수직 구조물(P)을 따라 안전하게 승강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마스터(50)는 케이지형 승강기(88)의 수시 운행을 위하여 굴착공(P’)과 수직 구조물(P)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마스터 고정수단(90)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마스터 고정수단(90)은 수직 마스터(50)와 연결되는 마스터 고정브라켓(93)이 설치되고, 굴착공(P’) 또는 수직 구조물(P)에 고정구와 앙카 등으로 고정되는 측면 고정브라켓(92)이 설치된 후 상기 마스터 고정브라켓(93)과 측면 고정브라켓(92)을 다수의 수평 지지대(91)로 연결한 후 볼트와 너트를 통하여 현장 상황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수직 마스터(50)에 설치한 승강 구동수단(510)을 통하여 작업자와 공사자재를 수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케이지형 승강기(88)의 내, 외부에서 수직 마스터(50)의 안내로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위치에 임의 정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 구동수단(510)은 라운드 파이프(51)의 한 부분 외경을 이동바퀴(512)가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구동모터(513)에 연결된 피니언(514)은 랙기어(56)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13)의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수직 마스터(50)에서 자유롭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구의 하측 선단에는 수직 마스터(50)와 연결된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추락하는 경우 완충을 통해 충격을 줄이기 위한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80)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슬립폼 승강수단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슬립폼 승강수단과 하부 승강수단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을 연결하며 수직 구조물(P)을 성형하는 슬립폼(67)의 내부와 상측에서 슬립폼 승강수단(60)을 통하여 콘크리트타설 작업 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승강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슬립폼 승강수단(60)은 수직 구조물(P)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61)이 위치하고, 상부 작업공간(10)의 상부바닥(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지지대(62)를 가이드봉(61)으로 관통시키며, 상기 상부바닥(12)과 중간바닥(24)을 연결 고정한 수직 지지대(13)의 외측으로 고정부재(63)와 중간 지지대(66)를 연결한 후 상기 고정부재(63)의 하측으로 가이드봉(61)을 관통하는 유압잭(64)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63)와 중간 지지대(66)를 보강 연결대(65)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대(13)의 하측부분에서 외경을 따라 원주형태를 갖는 슬립폼(67)이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수직 구조물(P)의 콘크리트타설 과정에 따라 서서히 상승하며 중간 작업공간(20)의 외측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 작업공간(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 작업공간(30)은 하부바닥(32)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바닥(24)의 하측에 설치된 중앙 연결구(71)와 하부바닥(32)에 설치된 하부 연결구(74)를 하부연결 와이어(72)로 연결하되,
상기 하부 연결구(74)에는 와이어부재(73)를 연결한 후 하부연결 와이어(72)가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닥(32)의 선단을 따라 안전바(33)가 돌출되어 추락을 방지하고, 상기 하부바닥(32) 및 안전바(33)에서 외측방향으로 로라 연결구(75)가 돌출되며, 상기 로라 연결구(75)에는 로라(76)가 설치되어 수직 구조물(P)의 내부에서 이동시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중심을 유지하면서 수직 이동이 안내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일부분의 연결상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주요 부분의 요부확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슬리브의 연결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수직 마스터에 대한 도 11 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렌치볼트가 연결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랙기어에 대한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랙기어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직 마스터(50)는 수직구를 시공한 후 바스트 오픈구(40)에 바닥으로부터 직립되게 설치되며 블록형으로 이루어져 설정된 높이에서 연속 조립해 적층하도록 형성되고, 사면으로 수직방향에 설치되는 라운드 파이프(51)로부터 플레이트(52)가 용접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 되도록 하고, 상기 라운드 파이프(51)와 플레이트(52)가 만나는 안쪽에서 보강 연결구(54)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52) 중 상측과 하측으로 대각선 방향에 라운드바(53)를 연결하여 보강하며, 상기 보강 연결구(54)에는 엔젤(55)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라운드 파이프(51)의 하측 선단에는 슬리브(51a)가 형성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새로운 라운드 파이프(51)와 암, 수형태가 되도록 결합되어 적층하는 과정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라운드 파이프(51)의 한 부분 설정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랙기어(56)에 피니언(514)이 연결되어 구동모터(513)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랙기어(56)는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구멍(57)이 형성되어 플레이트(52)와 만나는 부분에서 볼트(59)와 너트를 통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기어(56)의 양쪽 끝단에는 핀구멍(58)이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만나면 핀구멍(58)과 같은 형상의 핀을 통하여 상호 일정한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직구로부터 중심에서 한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수직 마스터(50)의 하측인 수직구의 바닥에 위치하며 케이지형 승강기(88)의 하측을 지지하는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80)는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이동할 수 있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프레임(81)의 중간부분에서 보강대(82)를 연결해 보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 완충장치(80)는 한쌍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프레임(81)의 상측에서 한쌍의 받침대(83)와 하나의 충돌판(86) 사이에 스프링(84)과 전단봉(85)을 연결하고, 충돌시 스프링은 압축되고 전단봉은 소성 변형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 설치된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상부, 중간 하부 작업공간(10), 20, 30)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83)와 프레임(81)의 하측에는 배수구(86)가 설치되어 물빠짐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와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장치는, 작업자와 공사자재의 이동이 가능한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수직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굴착공(P’)이나 시공되는 수직구의 내부로 작업자가 필요할 때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수직 마스터(50)가 직립되게 세워지는 과정에서 마스터 고정수단(90)을 통하여 안전하게 설치 및 설치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스터 고정수단(90)은 수직 마스터(50)와 마스터 고정브라켓(93)을 통하여 수평 지지대(91)의 길이 조절과, 볼트와 너트로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직구 굴착공(P’)과 수직 구조물(P)의 내부에 고정구와 앙카 등을 박아 고정시킨 후 수평 지지대(91)의 선단에 측면 고정브라켓(92)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 마스터(50)를 원하는 위치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스터 고정수단(90)은 수직구 굴착공(P’)과 수직 구조물(P)의 내부에 고정구와 앙카 등을 수직 마스터(50)의 설치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한 후에는 분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게 분리 조립형태로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구조물(P)을 갖도록 콘크리트 타설하는 슬립폼(67)을 기준으로, 상부 작업공간(10), 중간 작업공간(20), 하부 작업공간(30)이 설치되어 3층 구조의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하면서, 수직 마스터(50)에서 슬립폼 승강수단(60)으로 케이지형 승강기(88)의 이동이 모든 구간에서 가능한 것이며,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의 내외부에 수직 마스터(50)의 임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특히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상기 상부, 중간 하부 작업공간(10, 20, 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로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의 내외부에 수직 마스터(50)의 임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특히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상기 상부, 중간 하부 작업공간(10, 20, 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로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굴착공(P’)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 구조물(P)의 상측부에 연결되어 슬립폼 승강수단(60)으로 위치가 이동하는 상부 작업공간(10)의 하측으로 중간 작업공간(20)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 작업공간(20)의 하측으로 하부 작업공간(30)이 형성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져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작업공간(10)은 수직철근을 조립하거나 자재를 적치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며, 중간 작업공간(20)은 수평철근을 조립하거나 슬립폼(67)을 통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공급해 타설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게 되고, 하부 작업공간(30)은 슬립폼(67)으로 콘크리트 타설되는 외벽 노출면을 마감 작업하는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을 기본으로 형성해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하부 작업공간(20)을 더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수직 마스터(50)가 설치된 모든 구간을 승하강할 수 있으므로 수직 구조물(P)의 기초부 바닥까지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모든 구간의 멈춤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방해요소가 제거되고, 공기 지연을 방지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 및 하부 작업공간(30)에는 바스트 오픈구(40)가 형성되어 수직 마스터(50)가 관통된 후 직립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바스트 오픈구(40)의 한쪽에는 승강기 오픈구(42)가 설치되어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바스트 오픈구(40)의 다른 한쪽에는 파워케이블 오픈구(43)가 설치되어 케이지형 승강기(88)에 연결된 파워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 및 하부 작업공간(30)을 독립되게 제공하며, 각 공간의 수직 마스터(50)가 오픈되어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낙하의 위험성이 있어서 각 작업공간의 오픈부(40, 42, 43)에 상부 안전망(11)과 중간 안전망(21) 및 하부 안전망(31)을 설치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 안전망(21)에는 사선형 보강대(22)를 추가로 설치하고, 외측면을 따라 수직 보강대(23)를 설치함으로써 중간 안전망(21)의 강성을 향상시켜 낙하를 방지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된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작업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에 연결된 파워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추가적인 파워케이블 오픈구(43)를 제공함으로써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주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0)가 슬립폼(67) 하부인 수직 구조물(P)의 기초부 바닥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부 작업공간(10)과 중간 작업공간(20) 및 하부 작업공간(30) 이상의 더 하측인 기초부분까지 작업자와 공사자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범위가 매우 넓어 작업이 편리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하부 작업공간(30)은 중간 작업공간(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바닥(24)의 하측으로 중간 연결구(71)를 설치하고, 하부 작업공간(30)을 갖는 하부바닥(32)에 하부 연결구(74)를 설치한 후, 상기 하부 연결구(74)에 설치한 와이어부재(73)와 중간 연결구(71)를 부우연결 와이어(72)로 연결시켜 일정한 크기의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범위를 매우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하부 작업공간(30)의 외측에는 안전바(33)를 설치해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하부바닥(32)의 외측면으로 로라 연결구(75)를 돌출시켜 설치한 로라(76)를 통하여 수직 구조물(P)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승하강하면서 수평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상태를 제공하여 편리하고 넓은 범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수직구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둘레가 원형의 수평 형태로 구성되며, 바스트 오픈구(40)와 승강기 오픈구(42) 및 파워케이블 오픈구(43)가 형성되고, 상부 작업공간(10)의 상부바닥(12)과 중간 작업공간(20)의 중간바닥(24) 외측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13)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다수의 수직 지지대(13) 외측 단부에 슬립폼(67)이 환형으로 연속 고정되는 슬립폼 승강수단(60)을 수직구의 형성을 위해 굴착된 굴착공(P’)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 를 수행한다.
다음, 제1 단계를 진행한 후, 상기 바스트 오픈구(40)를 관통하고 하부가 상기 굴착공(P’)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부가 굴착공(P’)의 상부로 돌출되게 수직 마스터(50)를 조립하면서 수직 마스터(50)와 굴착공(P’) 및 수직 구조물(P)의 측면 사이에 분리 가능한 마스터 고정수단(90)을 여러개 설치하면서 상기 수직 마스터(50)에 승하강되는 케이지형 승강기(88)를 설치하는 제2 단계; 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계에서 마스터 고정수단(90)을 수직 마스터(50)의 외측과 굴착공(P) 및 수직 구조물(P)의 측면 사이에 설치할때, 수평 지지대(91)의 마스터 고정브라켓(93)과 측면 고정브라켓(92)을 사용하여 볼트와 너트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며, 내부에는 고정구와 앵커를 현장상황에 따라 고정 및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제2 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상부 작업공간(10)에서 수직 마스터(50)의 외측으로 상부 안전망(11)을 설치하고, 중간 작업공간(20)에서 수직 마스터(50)의 외측으로 중간 안전망(21)을 설치하며, 하부 작업공간(30)에서 수직 마스터(50)의 외측으로 하부 안전망(31)을 설치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중간 안전망(21)에는 사선형 보강대(22)를 더 설치하고, 중간 안전망(21)의 외측면을 따라 수직 마스터(23)를 상부바닥(12)과 중간바닥(24)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 제3 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수직 마스터(50)에 케이지형 승강기(88)를 연결한 상태에서 케이지형 승강기(88)의 반복 작동을 통해 슬립폼(67)을 상부로 천천히 반복 슬라이딩시키면서, 하부 작업공간(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부바닥(12)과 중간바닥(24)에 고정된 후 상기 중간바닥(24)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수직 지지대(13)의 외측에 슬립폼(67)을 한 단 이상으로 반복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하면서, 굴착공(P’)과 슬립폼(67)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 구조물(P)을 연속 형성하는 제4 단계; 를 수행한다.
상기 제4 단계에서 상부바닥(12)과 중간바닥(24)의 외측 선단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3)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조립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수직 지지대(13)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슬립폼(67) 역시 볼트와 너트를 통해 조립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작업자들이 케이지형 승강기(88)에 탑승하여 굴착공(P’)이나 시공되는 수직구의 내부에 수시로 진입하거나 나올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가 케이지형 승강기(88)에 탑승하여 승하강할 경우에는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수직 마스터(50)을 따라 승강 구동수단(510)의 안내로 수직 방향에서 이동됨으로써 케이지형 승강기(88)의 승강시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이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수직 마스터(50)에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기 오픈구(42)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이며, 파워케이블 오픈구(43)에 파워케이블이 통과되어 케이지형 승강기(88)를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4 단계를 진행 후, 수직 구조물(P)의 타설을 완성하고 상부 작업공간(10)이 굴착공(P’) 의 상부로 상승되면, 크레인을 통해 상부 작업공간(10)을 굴착공(P’) 외부로 이탈시키고, 상기 중간 작업공간(20)과 수직 지지대(13)를 해체하여 크레인을 통해 굴착공(P’)의 외부로 이탈시키며, 상기 하부 작업공간(30)을 해체하여 크레인을 통해 굴착공(P’)의 외부로 이탈시키는 제5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수직구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10 : 상부 작업공간 11 : 상부 안전망
12 : 상부바닥 13 : 수직 지지대
19, 29 : 사다리 20 : 중간 작업공간
21 : 중간 안전망 22 : 사선형 보강대
23 : 수직 마스터 24 : 중간바닥
30 : 하부 작업공간 31 : 하부 안전망
32 : 하부바닥 33 : 안전바
40 : 바스트 오픈구 42 : 승강기 오픈구
43 : 파워케이블 오픈구
50 : 수직 마스터 51 : 라운드 파이프
510 : 승강 구동수단 52 : 플레이트
53 : 라운드바 54 : 보강 연결구
55 : 엔젤 56 : 랙기어
57 : 체결구멍 57 : 핀구멍
59 : 볼트 60 : 슬립폼 승강수단
61 : 가이드봉 62 : 상부 지지대
63 : 고정부재 64 : 유압잭
65 : 보강 연결대 66 : 중간 지지대
67 : 슬립폼 70 : 하부 승강수단
71 : 중간 연결구 72 : 하부연결 와이어
73 : 하부바닥 74 : 하부 연결구
75 : 로라 연결구 76 : 로라
80 :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 88 : 케이지형 승강기
90 : 마스터 고정수단 91 : 수평 지지대
92 : 측면 고정브라켓 93 : 마스터 고정브라켓
Claims (7)
- 수직구 바닥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되는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지형 승강기(88)와 슬립폼 승강수단(60)으로 이동하는 상부, 중간, 하부 작업공간(10), 20, 30)을 포함하는 수직구 시공장치 있어서,
상기 수직 마스터(50)는 단면이 사각의 플레이트(52)로, 수직구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 세워지고, 상기 수직 마스터(50)와 굴착공(P‘) 사이에는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쉽게 하는 다단의 마스터 고정수단(90)이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고정수단(90)은 슬립폼(67)의 형성에 따라 굴착공(P’)과 수직 마스터(50) 사이의 고정구는 제거한 후, 제거한 고정구를 다시 수직 마스터(50)와 수직 구조물(P)에 고정하며,
상기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는 전동장치에 의해 승하강 되며 승강 구동수단(510)이 구비된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설치되고 하부와 측부는 안전수단이 구비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외부의 임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외측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수행되는 상기 중간 작업공간(20) 및 상기 중간 작업공간(2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하부 작업공간(10, 30)의 상부, 중간, 하부 바닥(12, 24, 32)에는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상기 상부, 중간, 하부 작업공간(10, 20, 3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 마스터(50) 하부에는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80)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기 추락 완충장치(80)는 한쌍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프레임(81)의 상측에서 한쌍의 받침대(83)와 하나의 충돌판(86) 사이에 스프링(84)과 전단봉(85)을 연결하고, 충돌시 스프링은 압축되고 전단봉은 소성 변형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수직 마스터(50)의 일측에 설치된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상부, 중간 하부 작업공간(10), 20, 30)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 시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는 수직구에 세워 설치되는 수직 마스터(50)에 승강 구동수단(510)으로 수직구의 전체 높이를 이동하며,
상기 상부, 중간 하부 작업공간(10, 20, 30)의 이동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 시공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에서 바스트 오픈구(40)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수직 마스터(50)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이동하는 승강기 오픈구(42)와 파워케이블 오픈구(43)가 설치되며 수직 구조물(P)의 바닥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 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승강 구동수단(510)은 케이지형 승강기(88)를 이동시키고,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수직구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 시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마스터(50)의 한쪽방향으로 설치하는 케이지형 승강기(88)가 승하강하는 상부 작업공간(10)의 상부바닥(12)에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를 감싸는 상부 안전망(11)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바닥(12)과 하부바닥(24)의 사이 중간 작업공간(20)에 상기 케이지형 승강기(88)를 감싸는 중간 안전망(2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 시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바닥(24)의 하측으로 더 설치하는 하부 작업공간(30)은 중간바닥(24)에 설치한 중간 연결구(71)에 하부연결 와이어(72)를 연결하고, 상기 중간바닥(24)과 설정된 간격을 갖도록 하부바닥(32)에 하부 연결구(74)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 연결구(74)에 설치한 와이어 부재(73)에 하부연결 와이어(72)를 연결하며, 상기 하부바닥(32)의 선단에 안전바(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 시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1676A KR102629570B1 (ko) | 2023-10-04 | 2023-10-04 |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1676A KR102629570B1 (ko) | 2023-10-04 | 2023-10-04 |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9570B1 true KR102629570B1 (ko) | 2024-01-29 |
Family
ID=8971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31676A KR102629570B1 (ko) | 2023-10-04 | 2023-10-04 |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957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526B1 (ko) | 2018-11-06 | 2019-07-19 | 주식회사 네오시티 | 하향식 공법용 수직구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KR102050988B1 (ko) | 2019-05-02 | 2019-12-02 | (주) 피디티건설 | 슬립폼을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KR102115380B1 (ko) | 2019-12-31 | 2020-05-27 | 동해이앤씨(주) | 유압식 슬립폼 안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와 중간슬라브 시공방법 |
KR102445485B1 (ko) | 2022-07-27 | 2022-09-21 | 동해이앤씨(주) | 수직구 시공장치 및 그 시공장치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
2023
- 2023-10-04 KR KR1020230131676A patent/KR102629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526B1 (ko) | 2018-11-06 | 2019-07-19 | 주식회사 네오시티 | 하향식 공법용 수직구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KR102050988B1 (ko) | 2019-05-02 | 2019-12-02 | (주) 피디티건설 | 슬립폼을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KR102115380B1 (ko) | 2019-12-31 | 2020-05-27 | 동해이앤씨(주) | 유압식 슬립폼 안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와 중간슬라브 시공방법 |
KR102445485B1 (ko) | 2022-07-27 | 2022-09-21 | 동해이앤씨(주) | 수직구 시공장치 및 그 시공장치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44238B2 (en) |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floor buildings | |
CN101103161A (zh) | 建筑物建造中使用的设备 | |
KR102115380B1 (ko) | 유압식 슬립폼 안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와 중간슬라브 시공방법 | |
JPH04505040A (ja) | ビルディング建造システム | |
KR101679180B1 (ko) | 수직환기구의 시공방법 | |
CN109356167B (zh) | 深基坑支撑拆除体系及施工方法 | |
KR102445485B1 (ko) | 수직구 시공장치 및 그 시공장치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
KR100777937B1 (ko) |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 |
JP6503716B2 (ja) |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 |
CN203173644U (zh) | 一种多功能可升降的井道作业平台系统 | |
JP6262805B2 (ja) | トンネル内の移動自在の昇降柱付仮設車道及びその仮設車道による道路構築工法 | |
JP2019190274A (ja) |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 |
CN213418443U (zh) |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 |
KR102629570B1 (ko) | 수직구 슬립폼 공사용 승강기 및 그 승강기가 결합된 수직구 시공 장치 | |
CN111608426B (zh) | 一种内撑梁和换撑梁拆除装置的施工方法 | |
JP3204708U (ja) | 昇降足場装置 | |
CN114922048A (zh) | 煤矿综采工作面转载输送机升降式行人过桥 | |
CN111455854B (zh) | 跨越铁路的高架桥施工时用的半自动防护棚架及搭设方法 | |
CN113175201A (zh) |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 |
JPH11166315A (ja) | 構造物解体装置 | |
CN113513149A (zh) | 一种附着式防护平台 | |
KR200426297Y1 (ko) |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 |
CN110629997A (zh) | 一种集成式爬架 | |
JP4011722B2 (ja) | 吊り階段 | |
KR102714426B1 (ko) | 수직구의 최상단에 시공되는 가설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