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356B1 -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356B1
KR102585356B1 KR1020230012340A KR20230012340A KR102585356B1 KR 102585356 B1 KR102585356 B1 KR 102585356B1 KR 1020230012340 A KR1020230012340 A KR 1020230012340A KR 20230012340 A KR20230012340 A KR 20230012340A KR 102585356 B1 KR102585356 B1 KR 10258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platform
elevator
lower level
embed
clim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씨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씨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씨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23001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준레벨 플랫폼의 상부로 일측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갱폼이 스트롱백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의 하부에는 제1,2 하위레벨 플랫폼이 제1,2 스트러트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2 하위레벨 플랫폼의 일측에 위치하는 클라이밍 레일이 엘리베이터 벽체에 설치된 클라이밍 슈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승강하는 시스템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의 상부에는 임베드플레이트를 철근에 결속하기 위한 상위레벨 플랫폼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위레벨 플랫폼의 하부에는 상기 임베드플레이트에 1차 앵글브라켓을 결합하기 위한 제3 하위레벨 플랫폼이 제3 스트러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는 여러 공정들이 일시에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분업화가 가능하며,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경제적이 이점이 발휘된다.

Description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A System Foam Device for High-Rise Elevators for Installation of Embed-Plate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mbed-Plates for High-Rise Elevato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층의 플랫폼 구조를 지니는 시스템 폼 장치를 이용하여 배근된 철근에 임베드플레이트의 쉐어커넥터를 결속하는 공정, 콘크리트 압력을 지지하여 양생하는 공정, 1차 앵글브라켓을 결합하는 공정, 중간빔 또는 2차 앵글브라켓을 설치하는 공정 및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져 피트를 분절하여 곤도라를 별도로 설치 및 해체하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공기가 현저히 단축되어 경제적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통로는 바닥에서 상층부까지 연통된 피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 시공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벽체 시공 후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서 수행되는 제반작업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내부에서 수행되는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작업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제반작업 등을 안전하고 신속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8917호(2013. 01. 28. 등록, 이하'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베드플레이트(1)를 철근(2a)에 결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엘리베이터 벽체(2)를 시공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먼저 일정 높이만큼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한 후, 시간차를 두고 분절 지지대(3) 및 곤도라(4)를 설치하는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선행기술문헌 1에서는 엘리베이터 벽체(2)에 적정 위치에 분절층(5)을 형성하고, 상기 분절층(5)의 하부에 곤도라(4)를 거치하여 하부에서 곤도라(4)에 탑승한 작업자가 직접 임베드플레이트(1)에 1차 앵글브라켓을 연결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1차 앵글브라켓에 중간분리바 또는 2차 앵글브라켓을 연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기초 철골 구조물을 시공하였다.
이후, 임의의 높이에 재차 분절층(5)을 형성하고, 곤도라(4)를 거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작업들을 반복함에 따라, 기 설치된 분절층(5)과 곤도라(4)를 해체하고 이를 재설치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지연되어 공사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곤도라(4)에 탑승한 작업자는 1차 앵글브라켓과 중간분리바를 결합시 이동에 장애가 되므로, 순차적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1차 앵글브라켓과 중간분리바 또는 2차 앵글브라켓을 결합함에 따라 시공 작업의 분업화가 어려우며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엘리베이터 벽체의 시공 및,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제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체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0904호(1998. 03. 1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을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편(5a)들이 형성되는 수직봉(5)들과, 상기 연결편(5a)들에 끼워져서 상기 수직봉들을 지지시켜 주는 수평봉(6)들과, 상기 수평봉(6) 단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7)과, 상기 수평봉(6)과 가동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부(8)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봉(7)은 연결편(5a)에 고정되는 외관(7a)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수평 기둥이 되며, 그 외축연장부가 엘리베이터 벽체의 내면부에 지지되는 내관(7b)과, 상기 내관(7b)의 가동길이는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 타설시 내부 거푸집 판넬을 지지하여 주면서도 제반작업 수행시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승강통로(9) 내부 벽면에 단순히 밀착 방식으로 흔들림을 고정하고, 승강통로(9)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은 수직봉(5)의 하부에 해당함에 따라, 승강통로(9) 또는 피트의 깊이가 깊으면 상기 수직봉(5)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어 소요되는 자재 비용의 증가가 불가피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8917호(2013. 01. 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0904호(1998. 03. 17.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플랫폼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벽체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시스템 폼 장치를 이용해 임베드플레이트의 결속 공정과, 엘리베이터 벽체의 타설 및 양생 공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각의 플랫폼에서 기초 철골 구조물들의 설치가 수행되어 복수의 작업 공정들이 일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종래와 같이 분절층과 곤도라를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함에 따라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기초 철골 구조물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플랫폼별로 분업화가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A)는, 기준레벨 플랫폼(10)의 상부로 일측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갱폼(11)이 스트롱백(1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의 하부에는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이 제1,2 스트러트(31)(41)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의 일측에 위치하는 클라이밍 레일(70)이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승강하는 것으로,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의 상부에는 임베드플레이트(100)를 철근에 결속하기 위한 상위레벨 플랫폼(2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는 중간빔(700)을 양중하기 위한 로프(43)가 권취되는 제1 윈치(4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의 하부에는 상기 임베드플레이트(100)에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하기 위한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이 제3 스트러트(51)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의 하부에는 대향하는 1차 앵글브라켓(130) 사이에 중간빔(700)을 결합하거나 2차 앵글브라켓(140)을 결합하기 위한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이 제4 스트러트(61)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3,4 하위레벨 플랫폼(50)(60)은 중간빔(7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중간빔(700)이 설치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분절 형성되며,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는 로프(63)가 권취되는 제2 윈치(62)가 구비되어 상기 로프(63)에 곤도라(8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 거치된 상태로 곤도라(80)가 승하강하여 중간빔 또는 2차 앵글브라켓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공정도 상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M)은, 시스템 폼 장치(A)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임베드플레이트(10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 폼 장치(A)의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엘리베이터 벽체(200)의 상단에 철근(210)을 배근하여 상기 임베드플레이트(100)의 배면에 형성된 쉐어커넥터(120)를 결속하고(S11),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는 갱폼(11)이 연결된 스트롱백(12)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도록 지지하며(S12),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에서는 노출된 임베드플레이트(100)에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하고(S13),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서는 1차 앵글브라켓(130)에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을 설치하는 공정(S14)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1 단계(S10);와,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갱폼(11)이 연결된 스트롱백(12)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클라이밍 슈(71)를 설치하고(S31),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서 클라이밍 슈(71)를 해체하는 공정(S22)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3 단계(S30);와, 클라이밍 레일(70)을 상부로 이동시켜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에 클라이밍 레일(70)을 결합함으로써 시스템 폼 장치(A)를 승강시키는 제4 단계(S40);와, 상기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갱폼(11)에 임베드플레이트(100)가 밀착되도록 갱폼(11)의 대응되는 외측면에 마그네틱 부재(14)를 구비하는 제5 단계(S50); 및 상기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갱폼(11)의 내측에 임베드플레이트(10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6 단계(S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S10)는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 결속된 곤도라(80)에서 상기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에 가이드레일(800)을 설치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에 의하면, 시스템 폼 장치의 상위레벨 플랫폼에서 배근된 철근에 임베드플레이트를 결속하고, 기준레벨 플랫폼에서 엘리베이터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폼 장치의 복수의 하위레벨 플랫폼들에서는 1차 앵글브라켓의 결합과, 중간빔 또는 2차 앵글브라켓의 결합이 동시에 진행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분업화가 가능하며 작업 효율이 증대되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임베드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별도의 분절 지지대와 곤도라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필요 없이, 시스템 폼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벽체의 타설 및 양생과, 각 레벨 플랫폼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공정들이 일시에 수행된 이후에 본 발명의 시스템 폼 장치가 승강 이동하므로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사비용이 절감 되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에 곤도라를 결속하는 실시형태에서 상기 중간빔 또는 2차 앵글브라켓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공정도 동시에 진행될 수 있어 별도로 가이드레일 시공을 위하여 가설물을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4 하위레벨 플랫폼은 중간빔이 설치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분절 형성되므로 중간빔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는 방향과 마찬가지로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인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갱폼에 임베드플레이트가 밀착되어 대응되는 외측면에 마그네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해체시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에 안정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철근에 결속된 이후에도 임베드플레이트를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임베드플레이트의 오차에도 불구하고, 중간빔이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을 도시한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를 이용한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를 이용한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를 이용한 중간빔의 양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를 이용한 가이드 레일의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벽체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부재를 이용하여 임베드 플레이트를 갱폼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부재를 이용하여 임베드 플레이트를 정위치로 유도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A)는, 초고층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200)에 임베드플레이트(100)와 다른 기초 철골 구조물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제안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A)는, 기준레벨 플랫폼(10)을 중심으로 상부에 상위레벨 플랫폼(20)이 형성되고, 기준레벨 플랫폼(10)의 하부에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 및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는 엘리베이터 벽체(200)를 형성하기 위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이 수행되며, 이를 위해 기준레벨 플랫폼(10)의 상부로 일측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갱폼(11)이 위치하고, 이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스트롱백(12)에 연결되어 서포팅된다.
또한, 상기 상위레벨 플랫폼(20)은 기준레벨 플랫폼(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임베드플레이트(100)를 상부로 노출된 철근에 결속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뿐만 아니라 상부로 노출된 철근에 연속적으로 철근을 결속하는 작업이 수행되며, 임베드플레이트(100)가 결속된 이후에는 작업자가 갱폼(11)의 내측에 콘크리트가 안정적으로 타설될 수 있도록 보조 작업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은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의 하부에서 제1,2 스트러트(31)(41)에 의하여 연결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클라이밍 슈(71)를 선택적으로 설치 및 해체하며, 또한 상기 클라이밍 슈(71)에 클라이밍 레일(70)을 선택적으로 결속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은, 상기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의 하부에 제3 스트러트(51)에 의하여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제반 작업으로 임베드플레이트(100)에 기초 철골 구조물중 하나인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의 하부에는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이 제4 스트러트(61)에 의하여 연결 구비될 수 있으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서는 중간빔(700)을 결합하거나 2차 앵글브라켓(140)을 결합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중간빔(700)은 대향하는 1차 앵글브라켓(130) 사이에 피트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1차 앵글브라켓(130)의 상부에 중간빔(700)의 단부가 맞대어져 용접 이음된다.
이때, 상기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에서도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을 결합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서도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A)에 의하면, 각 플랫폼에서 콘크리트 벽체(200)의 형성과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100)의 시공은 물론 제1,2차 앵글브라켓(130)(140)과 중간빔(700)이 일시에 시공될 수 있으므로, 후속 공정들이 일시에 함께 수행되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빔(700)의 양중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 중간빔(700)에 연결되는 로프(43)가 권취되는 제1 윈치(42)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간빔(700)의 양중 작업 및 설치시 상기 제3,4 하위레벨 플랫폼(50)(60)은 중간빔(7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중간빔(700)이 설치될 위치를 중심으로 분절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3,4 하위레벨 플랫폼(30)(40)과 중간빔(700)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A)는 콘크리트 벽체(200)가 형성되는 방향과 마찬가지로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인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발휘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 4 하위레벨 플랫폼(60)의 하부에 미리 작업된 중간빔(700)이 존재함에 따라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서는 하단부 중간빔(700)을 기준으로 정추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오차범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오차를 고려하여 수직방향으로 중간빔(700)이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는 가이드 레일(800)을 설치하기 위한 곤도라(80)가 승하강하도록 로프(63)가 권취되는 제2 윈치(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800)은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운행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미리 설치된 상기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에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벽체(200)의 내벽에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곤도라(80)의 승하강 동작은 가이드 레일(800)의 설치만을 위하여 수행되어짐에 따라 로프(63)의 길이가 분절층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될 필요가 없어 작업시 충격이나 기타 외력에 의한 곤도라(80)의 유동이나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곤도라(80)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의 상부에 설치된 중간빔(700)에는 곤도라(80)에 탑승한 작업자와 연결되는 안전줄(64)이 임시로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의 하부에는 각종 안전사고나 재해 발생시 곤도라(80)에 탑승한 작업자가 곤도라(80)에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바닥까지 이어진 곤도라용 안전설비(65)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곤도라(80)는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 거치되므로 상부의 낙하물에 의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안전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에서는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되고, 동시에 각 플랫폼에서의 작업이 완료될 경우 각 층에서 연속적으로 후속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스템 폼 장치(A)를 승강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a)와 (b)를 참조하여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의 일측에는 클라이밍 레일(70)이 구비되며, 상기 클라이밍 레일(70)은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승강 이동된다. 이때, 승강 이동을 수행하기에 앞서 시스템 폼 장치(A)는 갱폼(11)이 연결된 스트롱백(12)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양생이 종료된 콘크리트로부터 갱폼(11)을 분리하는 작업이 먼저 수행된다.
RCS 폼(Rail Climbing System Form)으로 알려진 실시형태를 본 발명의 시스템 폼 장치(A)에 도입하면, 상기 시스템 폼 장치(A)는 클라이밍 레일(70)과 동시에 승강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이밍 레일(70)과 시스템 폼 장치(A)는 일체로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클라이밍 슈(71)에 체결된 클라이밍 레일(70)을 분리한 후, 상기 클라이밍 레일(70)의 승강 이동과 함께 시스템 폼 장치(A)가 승강 이동되어 상부에 미리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와 재체결될 수 있다.
한편, ACS 폼(Auto Climbing System Form)으로 알려진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폼 장치(A)의 승강은 클라이밍 레일(70)과 별도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클라이밍 슈(71)에 체결된 클라이밍 레일(70)을 분리하고, 상기 클라이밍 레일(70)을 승강 이동시킨 뒤 상부에서 미리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와 재체결을 수행하여 클라이밍 레일(70)의 위치를 변경 고정한다. 이후,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밍 레일(70)을 따라 상기 시스템 폼 장치(A)를 승강 이동한 후, 정위치에서 클라이밍 레일(70)에 다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폼 장치(A)의 승강 이동 동작은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임베드플레이트(100)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베드플레이트(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스틸부재의 배면에 쉐어커넥터(120)의 일측이 맞대어진 상태로 용접이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임베드플레이트(100)는 도 7의 (a)와 같이 임베드플레이트(100)의 설치 위치에 쉐어커넥터(120)를 철근(210)에 결속선으로 결속하여 가고정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갱폼(11)이 설치한다.
이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베드플레이트(100)의 전면을 갱폼(11)에 밀착시켜, 갱폼(11)의 해체시에 전면이 안정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갱폼(11)에 별도의 마그네틱 부재(14)를 구비하여 밀착을 유도할 수 있다.
즉,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마그네틱 부재(14)의 자성에 의해 스틸부재인 임베드플레이트(100)가 갱폼(11)에 완전 밀착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양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베드플레이트(1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부재(110a)와 슬라이딩 부재(110b)로 이루어진 본체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 부재(110a)의 배면에 쉐어커넥터(1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b)의 전면에 형성된 보조 결합볼트(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쉐어커넥터(120)는 철근(210)에 결속되어 케이싱 부재(110a)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가결합되며, 상기 케이싱 부재(110a)에는 전면이 개방된 레일 홈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b)가 상기 레일 홈을 따라 내측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로써, 임베드플레이트(100)의 시공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임베드플레이트의 위치 오차에도 불구하고, 중간빔(700)이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부재(110b)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 부재(110a)는 슬라이딩 부재(110b)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딩 부재(110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 단부에는 마구리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타설된 콘트리트의 페이스트가 레일 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볼트(112)는 레일 홈으로 노출되어 갱폼(11)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 결합볼트(112)에 의해 임베드플레이트(100)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쉐어커넥터(120)가 철근(210)에 결속된 상태에서도 갱폼(11)의 전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부재(14)에 의하여 보조 결합볼트(112)가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갱폼(11)에 끼워진 보조 결합볼트(112)의 단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1)의 외측에 별도의 너트부재가 체결되어 임베드플레이트(100)의 전면이 갱폼(11)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케이싱 부재(110a)가 갱폼(11)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므로 개방된 레일 홈을 통하여 페이스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 벽체(200)에 매립된 보조 결합볼트(112)가 1차 앵글브라켓(130)에 형성된 볼트공에 삽입된 후, 너트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슬라이드 부재(110b)의 슬라이드 이동시 발생하는 케이싱 부재(110a)와 슬라이딩 부재(110b)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 부재(110b)의 상단부와 하단부 전방과, 케이싱 부재(110a)의 전방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b)와 케이싱 부재(110a)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합성수지로 제작된 한 쌍의 슬립부재(111a)(111b)가 상호 맞닿도록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부재(111a)(111b)는 밀착시 상호 경사지게 면접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밀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PE(폴리에틸렌)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슬립레일(111a)(111b)을 매개로 상기 케이싱 부재(110a)와 슬라이딩 부재(110b)는 안정적인 밀착이 가능하면서도 필요시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M)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폼 장치(A)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임베드플레이트(100)를 시공하는 방법은, 임베드플레이트 및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1 단계(S10)와, 갱폼이 연결된 스트롱백을 이동하는 제2 단계(S20)와, 클라이밍 슈를 이동 설치하는 제3 단계(S30)와, 시스템 폼 장치(A)를 전체적으로 승강시키는 제4 단계(S40)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6 단계(S60)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1 단계(S10)는 임베드플레이트(100)과 1차, 2차 앵글브라켓(130)(140) 및 중간빔(700)을 일시에 설치하는 단계로서, 시스템 폼 장치(A)의 복수의 레벨 플랫폼들에서 여러 공정들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임베드플레이트 결속단계(S11)와, 콘크리트 양생단계(S12)와, 1차 앵글브라켓 결합단계(S13)와, 중간빔 또는 2차 앵글브라켓 설치단계(S14)가 동시에 진행된다.
먼저, 상기 임베드플레이트 결속단계(S11)는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수행되는 단계로서, 엘리베이터 벽체(200)의 상단에 철근(210)을 결속 배근하고, 상기 임베드플레이트(100)의 배면에 형성된 쉐어커넥터(120)를 배근된 철근(210)에 결속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양생단계(S12)는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수행되는 단계로서, 갱폼(11)이 연결된 스트롱백(12)이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지하여 양생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트롱백(12)은 사재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기준레벨 플랫폼(10)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내,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수행되는 상기 1차 앵글브라켓 결합단계(S13)는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에서 수행되는 단계로서, 노출된 임베드플레이트(100)에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실시형태나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 뿐만 아니라,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서도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앵글브라켓 결합단계(S14)는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서 수행되는 단계로서, 설치된 1차 앵글브라켓(130)에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을 설치하는 공정(S14)이 진행되는 단계이다. 한편,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1차 앵글브라켓(130)에 2차 앵글브라켓(140)을 연결하는 공정은,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단계(S10)는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 결속된 곤도라(80)에서 상기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에 가이드 레일(800)을 설치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계(S10)에서 여러 공정이 일시에 진행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분업화가 가능하며,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특히,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분절 지지대와 곤도라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S20)는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갱폼(11)이 연결된 스트롱백(12)이 레일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는 단계로서,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갱폼(11)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 폼 장치(A)를 상부로 승강하기 위한 사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후 진행되는 상기 제3 단계(S30)는 기 설치된 클라이밍 슈(71)를 이동 설치하는 단계로서,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진행되는 클라이밍 슈 설치단계(S31)와,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서 진행되는 클라이밍 슈 해체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클라이밍 슈 설치단계(S31)는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승강될 위치에 클라이밍 레일(70)을 고정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클라이밍 슈(71)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수행되는 클라이밍 슈 해체단계(S32)는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서 불필요한 클라이밍 슈(71)를 해체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클라이밍 슈 해체단계(S32)와 클라이밍 슈 설치단계(S31)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오히려 클라이밍 슈 해체단계(S32)가 먼저 수행되어 수거한 클라이밍 슈(71)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클라이밍 슈 설치단계(S31)는 제1 하위레벨 플랫폼(3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진행되는, 상기 제4 단계(S40)는 시스템 폼 장치(A)를 승강시키는 단계로서, 클라이밍 레일(70)을 상부로 이동시켜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에 클라이밍 레일(70)을 결합함으로써 시스템 폼 장치(A)를 승강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시스템 폼 장치(A)는, 상기 클라이밍 레일(70)과 함께 승강 이동되거나, 별도의 유압장치를 가동하여 클라이밍 레일(70)과 별도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단계(S60)는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작업자의 보조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서, 갱폼(11)의 내측에 임베드플레이트(10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한편,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제6 단계(S60) 이전에 임베드 플레이트를 갱폼에 밀착시키는 제5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S50)는 상기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갱폼(11)에 임베드플레이트(100)가 밀착되도록 갱폼(11)의 대응되는 외측면에 마그네틱 부재(14)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부재(14)를 이용하여 스틸부재인 임베드플레이트(1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임베드플레이트(100)를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일면이 노출되도록 매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시스템 폼 장치 10 : 기준레벨 플랫폼
11 : 갱폼 12 : 스트롱백
14 : 마그네틱 부재 20 : 상위레벨 플랫폼
30 : 제1 하위레벨 플랫폼 31 : 제1 스트러트
40 : 제2 하위레벨 플랫폼 41 : 제2 스트러트
42 : 제1 윈치 43 : 로프
50 : 제3 하위레벨 플랫폼 51 : 제3스트러트
60 : 제4 하위레벨 플랫폼 61 : 제4 스트러트
62 : 제2 윈치 63 : 로프
70 : 클라이밍 레일 71 : 클라이밍 슈
80 : 곤도라 100 : 임베드플레이트
120 : 쉐어커넥터 130 : 1차 앵글브라켓
140 : 2차 앵글브라켓 200 : 엘리베이터 벽체
210 : 철근 700 : 중간빔
800 : 가이드레일

Claims (7)

  1. 기준레벨 플랫폼(10)의 상부로 일측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갱폼(11)이 스트롱백(1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의 하부에는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이 제1,2 스트러트(31)(41)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2 하위레벨 플랫폼(30)(40)의 일측에 위치하는 클라이밍 레일(70)이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승강하는 시스템 폼 장치(A)에 있어서,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의 상부에는 임베드플레이트(100)를 철근에 결속하기 위한 상위레벨 플랫폼(2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는 중간빔(700)을 양중하기 위한 로프(43)가 권취되는 제1 윈치(4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의 하부에는 상기 임베드플레이트(100)에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하기 위한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이 제3 스트러트(51)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의 하부에는 대향하는 1차 앵글브라켓(130) 사이에 중간빔(700)을 결합하거나 2차 앵글브라켓(140)을 결합하기 위한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이 제4 스트러트(61)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3,4 하위레벨 플랫폼(50)(60)은 중간빔(7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중간빔(700)이 설치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분절 형성되며,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는 로프(63)가 권취되는 제2 윈치(62)가 구비되어 상기 로프(63)에 곤도라(8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 거치된 상태로 곤도라(80)가 승하강하여 중간빔 또는 2차 앵글브라켓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공정도 상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시스템 폼 장치(A)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임베드플레이트(100)를 설치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M)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폼 장치(A)의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엘리베이터 벽체(200)의 상단에 철근(210)을 배근하여 상기 임베드플레이트(100)의 배면에 형성된 쉐어커넥터(120)를 결속하고(S11),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는 갱폼(11)이 연결된 스트롱백(12)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도록 지지하며(S12), 제3 하위레벨 플랫폼(50)에서는 노출된 임베드플레이트(100)에 1차 앵글브라켓(130)을 결합하고(S13),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서는 1차 앵글브라켓(130)에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을 설치하는 공정(S14)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1 단계(S10);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갱폼(11)이 연결된 스트롱백(12)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S20);
    상기 기준레벨 플랫폼(10)에서 엘리베이터 벽체(200)에 클라이밍 슈(71)를 설치하고(S31), 제2 하위레벨 플랫폼(40)에서 클라이밍 슈(71)를 해체하는 공정(S22)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3 단계(S30);
    클라이밍 레일(70)을 상부로 이동시켜 설치된 클라이밍 슈(71)에 클라이밍 레일(70)을 결합함으로써 시스템 폼 장치(A)를 승강시키는 제4 단계(S40);
    상기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갱폼(11)에 임베드플레이트(100)가 밀착되도록 갱폼(11)의 대응되는 외측면에 마그네틱 부재(14)를 구비하는 제5 단계(S50); 및
    상기 상위레벨 플랫폼(20)에서 갱폼(11)의 내측에 임베드플레이트(10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6 단계(S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10)는,
    상기 제4 하위레벨 플랫폼(60)에 결속된 곤도라(80)에서 상기 중간빔(700) 또는 2차 앵글브라켓(140)에 가이드레일(800)을 설치하는 단계(S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 플레이트 시공방법.
  7. 삭제
KR1020230012340A 2023-01-31 2023-01-31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258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340A KR102585356B1 (ko) 2023-01-31 2023-01-31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340A KR102585356B1 (ko) 2023-01-31 2023-01-31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356B1 true KR102585356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340A KR102585356B1 (ko) 2023-01-31 2023-01-31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3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624A (ja) * 1995-04-21 1996-11-05 Fujita Corp 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建築資材搬送用水平クレーン装置
KR0140904B1 (ko) 1994-12-24 1999-02-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20110095562A (ko) * 2010-02-19 2011-08-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거푸집 자동 상승 장치
KR20120022317A (ko) * 2010-09-02 2012-03-12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160148757A (ko) * 2015-06-16 2016-12-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단열 동시 공사용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904B1 (ko) 1994-12-24 1999-02-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JPH08291624A (ja) * 1995-04-21 1996-11-05 Fujita Corp 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建築資材搬送用水平クレーン装置
KR20110095562A (ko) * 2010-02-19 2011-08-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거푸집 자동 상승 장치
KR20120022317A (ko) * 2010-09-02 2012-03-12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1228917B1 (ko) 2010-09-02 2013-02-01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160148757A (ko) * 2015-06-16 2016-12-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단열 동시 공사용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327B2 (e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115380B1 (ko) 유압식 슬립폼 안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와 중간슬라브 시공방법
JP2010048060A (ja) 構造物の構築方法
EP2723955A1 (en) Formwork support improvements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20190041189A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US9683338B2 (en) Form traveller for the construction of engineering works
KR102585356B1 (ko)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CN210659200U (zh) 一种高层建筑电梯井作业平台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JP4011722B2 (ja) 吊り階段
CN206220484U (zh) 一种钢平台的模板吊点承重梁
KR20160148758A (ko)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CN214996342U (zh) 楼梯井一体化防护通道
CN116181041B (zh)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CN116335398B (zh) 一种多层快速施工方法
CN211421802U (zh) 一种高层建筑施工机械
EP2021552A1 (en) Construction method
KR200267717Y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CN115288414A (zh) 超高层核心筒异形井筒液压爬升操作架的施工方法
KR200256771Y1 (ko) 저 교각 시공 자동화 시스템
SU1096360A1 (ru) Опалубка перекрытий
CN117328368A (zh) 一种墩柱钢筋绑扎胎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