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17Y1 -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17Y1
KR200267717Y1 KR2019990010080U KR19990010080U KR200267717Y1 KR 200267717 Y1 KR200267717 Y1 KR 200267717Y1 KR 2019990010080 U KR2019990010080 U KR 2019990010080U KR 19990010080 U KR19990010080 U KR 19990010080U KR 200267717 Y1 KR200267717 Y1 KR 200267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work table
pier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301U (ko
Inventor
전봉원
Original Assignee
전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봉원 filed Critical 전봉원
Priority to KR2019990010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17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17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교각을 시공할 때 자재의 상하이송 및 작업대 상하 이동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교각(P) 주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콘크리트 교각(P)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된 작업대(20)와, 상기 작업대(20)의 모서리마다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된 상부로울러(26)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대(2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와이어(24) 및 상기 지지와이어(24)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이 지지와이어(24)에 지지된 작업대(20)를 승강시키는 윈치(30)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작업자가 탐승하거나 자재를 고정할 수 있는 작업대(20)가 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므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한편, 거푸집을 한단계 끌어올려 재설치하는 경우 양생된 교각부에 거푸집이 포개어지는 부분을 줄일 수 있어, 1회에 타설 및 양생할 수 있는 교각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공기의 단축 및 자재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LIFTER FOR CONSTRUCTION OF A PIER}
본 고안은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교각을 시공할 때 자재를 상하 이송시키거나 작업자가 디디고 작업하는 작업대를 상하로 승강시켜 주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 콘크리트 교각을 시공할 때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올라서서 작업하는 고층 작업대,소위 비계틀을 시공교각 주위에 직립설치하고, 비계틀위에 여러명의 작업자가 올라선 상태에서 타워 크레인등으로 이동시킨 철근 또는 거푸집 등과 같은 자재를 좌우측에서 손으로 잡고 설치하거나 조립·해체하여 작업을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비계틀을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시공하고자 하는 교각 주위에 여러개의 가로파이프 및 세로파이프를 커플링으로 서로 엮거나 고정하여 적당한 높이의 비계틀을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일정한높이의 측벽을 가진 원형 거푸집을 지면 바닥에 설치하고, 그 안에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철근을 다수개 심은 다음, 그 거푸집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이와 같이 맨아래쪽의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그 양생된 콘크리트 주위에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의 상단에 거푸집의 하단이 겹쳐지게 설치높이를 올린다음, 다시 그 거푸집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교각의 시공높이를 점차 증가시킨다.
그런데, 이미 설치된 비계틀 높이 이상으로 교각의 시공높이를 올릴려면, 기 설치된 비계틀 상단에 다시 파이프를 연결설치하여 비계틀의 높이를 높이고나서, 그 비계틀위에 여러명의 작업자가 올라서서 기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한 후, 그 해체한 거푸집을 필요한 높이만큼 크레인등으로 끌어올린 상태에서 다시 조립하여 거푸집의 설치위치를 다음 위치로 상승이동시키고, 그리고 나서 다시 그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펌프카등으로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교각의 시공높이를 한 단계 높인다.
이와 같이 비계틀을 이용한 교각시공방법은 교각의 높이를 한단계씩 올릴 때마다 작업자가 수작업을 분해·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힘이 들고, 거푸집을 크레인등으로 끌어올린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조립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이 거푸집이 크레인에 지지된 상태에서 흔들리면, 작업자가 비계틀에서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다.
그리고 비계틀을 이용한 종래의 교각시공방법에서는 비계틀이 통상의 파이프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들 파이프들의 교차부분에서 클램프등으로 묶어서 제작된다. 따라서 이렇게 조립된 비계틀은 강도가 충분치 않아 작업자들이 이 비계틀위에서 거푸집이나 철근등 무거운 자재 이동시킬 때 흔들리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작업자가 디디고 작업하는 비계틀이 흔들리게 되면, 그 위에 서 있는 작업자도 흔들리면서 추락할 위험이 있었다.
특히 종래 교각시공방법에서는, 거푸집의 높이를 한단계 높일 때마다, 한단계 위로 새로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단부가 이미 양생된 아래쪽의 교각부 위쪽 선단에 지지되는 상태로 재설치하여야 하는 데, 이 교각 상단부와 거푸집의 하단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만큼, 새로 타설 및 양생되는 부분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 및 공기의 연장되게 되는 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거푸집의 높이를 한단계씩 높이는 작업과 함께 거푸집안으로 설치되는 철근의 길이도 증가시켜야 하는 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교각을 시공하는 데, 거푸집의 높이를 재설치하여야 하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 거푸집안에서 이미 양생된 교각의 철근상부와 새로 설치하는 철근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그 철근 연결부의 개소도 증가되므로 그만큼 철근의 소요량도 증가하는 등 자재소요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비계틀을 이용한 교각시공방법이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계틀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작업 안전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아울러 자재의 단위 소요량도 감소시켜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교각 주위에 둘러싸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골조에 가이드 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콘크리트 교각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모서리마다 연결되고, 상기 모서리부근에 설치되는 로울러와 프레임 상단 골조에 설치된 로울러에 각각 지지된 복수개의 와이어와,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작업대를 수평상태로 승강시키는 윈치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작업대의 관통공 테두리부에 거푸집의 플랜지부를 고정연결할 수 있는 커플링이 구비되어 이 커플링에 거푸집을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대를 윈치로 승강시킴으로써 거푸집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작업대의 저면 각 모서리마다 낙하방지용 스토퍼가 구비되고, 이 스토퍼는 상기 로우프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우프가 파단되는 경우 내장 스프링의 힘으로 플런저가 돌출하여 프레임에 걸리게 함으로써 로우프 파단에 따른 작업대 자연낙하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은 프레임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승강사다리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교각둘레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작업대에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작업대 스토퍼수단이 멈춤작동하기 전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작업대 스토퍼수단의 작동상태도로서, 와이어가 절단되어 멈춤작동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A-A'방향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콘크리트 교각 F: 거푸집
10: 프레임 11: 세로프레임
12: 가로프레임 12a: 상부 가로프레임
20: 작업대 20a,20b: 좌측 및 우측 작업대
21: 보호난간 23: 관통공
24: 지지와이어
25: 하부로울러 26: 상부로울러
28: 거푸집 결합수단 30: 윈치
40: 스토퍼수단 41: 케이싱
42: 스프링 43: 스토퍼핀
50: 승강사다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가 설치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교각(P)을 둘러싸게 설치되는 프레임(10)을 포함하고, 이프레임(10)은 H형강으로 된 가로프레임(12)과 세로프레임(11)들을 서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작업대(2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이 작업대(20)의 중앙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교각(P)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대(20)의 외곽 둘레와 관통공(23)둘레에는 보호난간(21)이 설치되어 작업대(20)위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20)는 저면 각 모서리마다 1개씩 모두 4개의 지지와이어(24)가 고정되되, 이들 각 지지와이어(2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20)의 저면 모서리마다 구비된 하부로울러(25)에 하단이 지지되고,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최상단 가로프레임(12a) 각 모서리마다 구비된 상부로울러(26)에 지지안내되어 1개의 연결바아(도시안됨)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연결바아(도시안됨)의 중앙에는 한쪽 선단이 윈치(winch,30)에 감겨진 견인와이어의 다른 쪽 선단이 연결되어, 이 견인와이어를 윈치(30)로 감아 상기 연결바아(도시안됨)를 아래쪽으로 당겨내리면 상기 작업대(20)의 모서리마다 연결된 4개의 지지와이어(24)를 동시에 일정한 길이만큼 당겨서 작업대(20)를 수평으로 상승시키게 되고, 반대로 상기 윈치(30)에 감겨진 견인와이어를 풀어서 연결바아(도시안됨)을 아래쪽으로 내려주면, 상기 작업대(20)의 모서리마다 연결된 4개의 지지와이어(24)를 동시에 일정한 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서 작업대(20)를 수평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로울러(25)선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2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와이어(24)가 파단되어 작업대(20)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경우에 그 낙하하는 작업대(20)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스토퍼수단(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의 내부에 스프링(42)으로 탄력설치된 스토퍼핀(43)이 상기 지지와이어(24)의 각 선단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와이어(24)가 끊어지면 상기 스토퍼핀(43)이 지지와이어(24)로부터 힘을 받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42)의 힘을 받아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의 앞쪽으로 돌출하여 수직프레임(11)에 구비된 멈춤바아(44)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작업대(20)가 더 이상 추락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작업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절반으로 나뉘어져 진 두조각(20a,20b)이 서로 접합된 구조로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작업대(20)의 관통공(23) 테두리부에 거푸집(F)를 고정연결할 수 있는 결합수단(28)이 구비되어 이 결합수단에 거푸집(F)을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대(20)를 윈치(30)로 승강시킴으로써 거푸집(F)을 별도의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외측둘레를 따라 사선방향으로 승강사다리(50)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작업자가 탐승하거나 자재를 고정할 수 있는 작업대가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므로 작업자가 추락위험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그 작업대에 추락방지용 스토퍼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대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로우프가 끊어지더라도, 상기 스토퍼수단이 그 작업대를 정지시켜 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작업대에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어 거푸집을 한단계 끌어올려 재설치하는 경우 양생된 교각부에 거푸집이 포개어지는 부분을 줄일 수 있어, 1회에 타설 및 양생할 수 있는 교각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공기의 단축 및 자재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교각(P) 주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콘크리트 교각(P)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된 작업대(20);
    상기 작업대(20)의 모서리마다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된 상부로울러(26)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대(2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와이어(24);
    상기 지지와이어(24)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이 지지와이어(24)에 지지된 작업대(20)를 승강시키는 윈치(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0)의 저면 각 모서리마다 고정된 케이싱(41)과, 이 케이싱(4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설치하며, 스프링(42)으로 탄력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와이어(24)에 연결된 스토퍼핀(43)으로 이루어진 작업대 추락방지용 스토퍼수단(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KR2019990010080U 1999-06-08 1999-06-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KR200267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80U KR200267717Y1 (ko) 1999-06-08 1999-06-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80U KR200267717Y1 (ko) 1999-06-08 1999-06-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01U KR20010000301U (ko) 2001-01-05
KR200267717Y1 true KR200267717Y1 (ko) 2002-03-15

Family

ID=5476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080U KR200267717Y1 (ko) 1999-06-08 1999-06-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29B1 (ko) 2020-10-27 2023-08-29 주식회사 지디아이앤디 완력기
CN114875797B (zh) * 2022-06-01 2023-08-18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上承式可自动升降的桥墩高空施工防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01U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9814A (en) Scaffolding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JP2000288111A (ja) 安全帯取付け装置
US20160200552A1 (e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267717Y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KR100583785B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KR100354150B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CN216196742U (zh) 一种用于高低跨位置的墙板安装装置
JP2737868B2 (ja) 移動式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の足場装置
CN212895943U (zh) 小截面墩柱钢筋绑扎用作业平台装置
CN210561720U (zh) 一种墩柱养护修补操作平台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219952606U (zh) 用于梁板预制场的安全平台
CN217299872U (zh) 一种井筒液压综合布料平台
JP4011722B2 (ja) 吊り階段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KR200179392Y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JPH03125755A (ja) 筒状高層構造物の施工方法
JP2944998B1 (ja) 塔状構造物建設用足場装置
JP3560000B2 (ja) 立坑移動セントル
JP2006144402A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JPH1072936A (ja) 昇降式作業床
CN116181041B (zh)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CN215564411U (zh) 一种用于高耸筒状建筑物的滑移施工装置
CN212507521U (zh) 一种伸缩式电梯井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