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150B1 -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150B1
KR100354150B1 KR1019990055799A KR19990055799A KR100354150B1 KR 100354150 B1 KR100354150 B1 KR 100354150B1 KR 1019990055799 A KR1019990055799 A KR 1019990055799A KR 19990055799 A KR19990055799 A KR 19990055799A KR 100354150 B1 KR100354150 B1 KR 10035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fixed
wor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821A (ko
Inventor
전봉원
Original Assignee
전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봉원 filed Critical 전봉원
Priority to KR101999005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1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교각을 시공할 때 자재의 상하이송 및 작업대 상하 이동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교각(P) 주위를 프레임(10)으로 둘러싸게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0)내측에 작업대(20)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이 작업대(20)를 모서리마다 제1와이어(24)로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걸어 설치하되, 이 제1와이어(24)를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설치된 제1유압실린더(60)의 신축작동으로 승강시킴으로써 그 제1와이어(24)에 매달린 작업대(20)를 작업위치로 승강시키고, 아울러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70)로 승강되는 제2와이어(30)의 끝단에 행거(90) 및 고정링(80)을 매달아 지지하고, 이 고정링(80)에 여러개의 철근(S)이나 거푸집(F)을 와이어로 매달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70)를 신축시켜 행거(90) 및 고정링(80)을 승강시키면 철근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작업위치까지 이동되어 작업하기가 매우 편리해 진다. 또 작업대(20)가 세로프레임(11)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므로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한편, 1회에 타설 및 양생할 수 있는 교각높이를 증가시켜 공기단축 및 자재 소요량을 줄인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LIFTER FOR CONSTRUCTION OF A PIER}
본 발명은 콘트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교각을 시공할 때 철근 등의 자재나 거푸집 등을 상하 이송시키거나 작업자가 디디고 작업하는 작업대를 상하로 승강시켜 주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 일정한 높이의 콘크리트 교각을 시공할 때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올라서서 작업하는 고층 작업대,소위 비계틀을 시공교각 주위에 직립설치하고, 비계틀위에 여러명의 작업자가 올라선 상태에서 타워 크레인등으로 이동시킨 철근 또는 거푸집 등과 같은 자재를 좌우측에서 손으로 잡고 설치하거나 조립·해체하여 작업을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비계틀을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시공하고자 하는 교각 주위에 여러개의 가로파이프 및 세로파이프를 커플링으로 서로 엮거나 고정하여 적당한 높이의 비계틀을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일정한 높이의 측벽을 가진 원형 거푸집을 지면 바닥에 설치하고, 그 안에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철근을 다수개 심은 다음, 그 거푸집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이와 같이 맨아래쪽의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그 양생된 콘크리트 주위에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의 상단에 거푸집의 하단이 겹쳐지게 설치높이를 올린다음, 다시 그 거푸집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교각의 시공높이를 점차 증가시킨다.
그런데, 이미 설치된 비계틀 높이 이상으로 교각의 시공높이를 올릴려면, 기설치된 비계틀 상단에 다시 파이프를 연결설치하여 비계틀의 높이를 높이고나서, 그 비계틀위에 여러명의 작업자가 올라서서 기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한 후, 그 해체한 거푸집을 필요한 높이만큼 크레인등으로 끌어올린 상태에서 다시 조립하여 거푸집의 설치위치를 다음 위치로 상승이동시키고, 그리고 나서 다시 그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펌프카등으로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교각의 시공높이를 한 단계 높인다.
이와 같이 비계틀을 이용한 교각시공방법은 교각의 높이를 한단계씩 올릴 때마다 작업자가 수작업을 분해·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힘이 들고, 거푸집을 크레인등으로 끌어올린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조립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이 거푸집이 크레인에 지지된 상태에서 흔들리면, 작업자가 비계틀에서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다.
그리고 비계틀을 이용한 종래의 교각시공방법에서는 비계틀이 통상의 파이프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들 파이프들의 교차부분에서 클램프등으로 묶어서 제작된다. 따라서 이렇게 조립된 비계틀은 강도가 충분치 않아 작업자들이 이 비계틀위에서 거푸집이나 철근등 무거운 자재 이동시킬 때 흔들리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작업자가 디디고 작업하는 비계틀이 흔들리게 되면, 그 위에 서 있는 작업자도 흔들리면서 추락할 위험이 있었다.
특히 종래 교각시공방법에서는, 거푸집의 높이를 한단계 높일 때마다, 한단계 위로 새로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단부가 이미 양생된 아래쪽의 교각부 위쪽 선단에 지지되는 상태로 재설치하여야 하는 데, 이 교각 상단부와 거푸집의 하단부가서로 겹치는 부분만큼, 새로 타설 및 양생되는 부분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 및 공기의 연장되게 되는 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거푸집의 높이를 한단계씩 높이는 작업과 함께 거푸집안으로 설치되는 철근의 길이도 증가시켜야 하는 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교각을 시공하는 데, 거푸집의 높이를 재설치하여야 하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 거푸집안에서 이미 양생된 교각의 철근상부와 새로 설치하는 철근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그 철근 연결부의 개소도 증가되므로 그만큼 철근의 소요량도 증가하는 등 자재소요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비계틀을 이용한 교각시공방법의 단점을 해소한 리프트장치를 본 출원인은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10080호(이하, 선출원이라 함)로 출원한 바있다.
상기 선출원은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데 윈치를 사용하게 되어 있어, 작업대에 거푸집이나 자재를 한꺼번에 매달 경우 그 하중이 크므로 윈치에 부하가 커서 용량을 키워야 하는 데, 그 윈치는 비용에 대한 작업능력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선출원은 거푸집을 분리해체하거나 이송시키거나 철근 등 자재를 들어올리고 설치작업을 할 때, 그 거푸집이나 철근을 1개의 작업대에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분리해체작업 또는 이송시키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선출원에서는 철근 이송 또는 설치작업과, 거푸집의 설치 또는 분리해체작업 및 이송작업을 동시에 할 수 없어 작업능률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비계틀을 이용한 교각시공방법과 본 출원인의 선출원이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계틀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작업 안전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아울러 자재의 단위 소요량도 감소시켜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교각 주위에 둘러싸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골조에 로울러로써 안내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콘크리트 교각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작업대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의 각 모서리를 와이어로 매달아 지지하며 유압펌프의 압유를 동력원으로 하여 신축작동하면서 상기 여러가닥의 제1와이어를 동시에 끌어올리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작업대를 수평상태로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면을 따라 내측면에 인접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철근을 고정하여 일정한 형태로 유지시키거나 거푸집을 매달아 지지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매달아 지지하는 행거부재와, 상기 행거부재를 여러가닥의 제2와이어로 매달아 지지하면서 상기 제2와이어를 당겨올리거나 풀어내림으로써 상기 행거부재 및 그 행거부재에 고정된 철근 등의 자재나 거푸집을 승강시키는 제2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한 구성으로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작업대의 각 모서리마다 낙하방지용 스토퍼가 구비되고, 이 스토퍼는 상기 제1와이어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와이어가 파단되는 경우 내장 스프링의 힘으로 플런저가 돌출하여 프레임에 걸리게 함으로써 제1와이어파단에 따른 작업대 낙하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은 프레임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승강사다리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교각둘레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유압실린더가 제1와이어를 끌어올리거나 풀어내리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은 제2유압실린더가 제2와이어를 끌어올리거나 풀어내리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작업대 낙하방지수단이 멈춤작동하기 전 상태의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작업대 낙하방지수단의 작동상태도로서, 와이어가 절단되어 멈춤작동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7는 도 1의 'A-A'방향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콘크리트 교각 F: 거푸집
10: 프레임 11: 세로프레임
12: 가로프레임 12a: 상단 가로프레임
20: 작업대 20a,20b: 좌측 및 우측 작업대
21: 보호난간 23: 관통공
24: 제1와이어 25: 하부로울러
26: 상부로울러 28: 거푸집 결합수단
30: 제2와이어 35: 제3와이어
40: 낙하방지수단 41: 케이싱
42: 스프링 43: 스토퍼
50: 승강사다리 60: 제1유압실린더
61: 실린더몸체 62: 피스톤로드
63: 가동브라켓트 64: 고정브라켓트
65a,65b: 로울러 66: 고정단
70: 제2유압실린더 71: 실린더몸체
72: 피스톤로드 73: 가동브라켓트
74: 고정브라켓트 75a,75b: 로울러
76: 고정단 80: 행거
81: 힌지 82: U형 클램프용 구멍
90: 행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가 설치된 정면도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교각(P) 외측을 둘러싸게 설치되는 프레임(10)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10)은 H형강으로 된 가로프레임(12)과 세로프레임(11)들을 서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교각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될 수 있다. 예컨대 원형 또는 타원형 교각을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10)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작업대(2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작업대(20)의 중앙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교각(P)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대(20)의 외곽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의 보호난간(21)이 설치되어 작업대(20)위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20)는 각 모서리마다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한쪽 선단이 고정설치되어 연장되는 4개의 제1와이어(24)의 다른 쪽 선단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가로프레임(12a)에는 상기 복수 가닥의 제1와이어(24)를 로울러 주위로 감아서 지지한 상태에서 유압펌프(100)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힘으로 신축작동하면서 상기 제1와이어(24)들을 끌어올리거나 풀어내림으로써 작업대(20)를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6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몸체(61)가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2) 선단측에는 가동브라켓트(63)가 결합되며, 실린더몸체(61)의 후단에는 고정브라켓트(64)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동브라켓트(63)는 좌우측 선단에 각각 1쌍씩 로울러(65a)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그 가동브라켓트(63)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로울러(65a)는 제1와이어(24)를 안내지지하는 3개의 안내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이어(224) 각각의 가닥은 한쪽 선단이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구비된 고정단(66)에 고정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1쌍의 로울러(65a,65b)의 안내홈에 감겨진 다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작업대(20)의 각 모서리 저면에 구비된 하부로울러(25)에 지지된다음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각 제1와이어 (24)가닥들은 상기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로울러(65a,65b)들에 3열 루우프로 감겨져 지지된다.
제1와이어(24)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제1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2)를 신장하게 되면 그 피스톤로드(62) 선단에 부착된 가동브라켓트(63)도 함께 전진이동하면서 그 좌우측에 구비된 로울러(65a)들을 동시에 전진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이 로울러(65a,65b)들에 감겨진 각 제1와이어(24)들을 동시에 같은 길이만큼 당겨서 결국 그 제1와이어(24)들에 모서리가 고정된 작업대(20)도 수평방향을 유지한 채 위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62)를 후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작업대(20)가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1와이어(24) 각 가닥들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로울러(65a,65b)의 3개의 안내홈을 따라 감져져 3개의 루우프를 이루도록 장착되므로 상기 제1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2)가 연장 또는 신축하는 길이에 대한 6배의 변위로 가변되게 된다. 즉 피스톤로드(62)가 1m 연장되면 그에 따라 제1와이어(24)들이 동시에 당겨지는 길이는 6m가 되고, 그 결과 작업대도 6m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와이어(24)가 1쌍의 로울러(65a,65b)에 3회 감겨진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각 로울러(65a,65b)들에 안내홈의 수를 필요에 따라 증감시키고 이 안내홈에 대응하는 루우프만큼 제1와이어(24)를 걸어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로울러(25) 선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20)를 지지하고 있는 제1와이어(24)가 파단되어 작업대(20)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경우에 그 낙하하는 작업대(20)를 세로프레임(11)에 걸어서 정지시키는낙하방지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이 낙하방지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의 내부에 스프링(42)으로 탄력설치된 스토퍼(43)가 상기 제1와이어(24)의 각 선단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이어(24)가 끊어지면 상기 스토퍼(43)가 제1와이어(24)로부터 힘을 받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42)의 힘을 받아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의 앞쪽으로 돌출하여 세로프레임(11)에 구비된 멈춤바아(44)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작업대(20)가 더 이상 추락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은 교각(P) 구조물안에 매설되는 철근(S) 또는 이 철근(S) 둘레를 에워싸는 거푸집(F)을 걸어서 지지하거나 상하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고정링(80)과, 이 고정링(80)을 와이어로 매달아 지지하는 행거(90) 및 이 행거(90)를 와이어로 매달아 승강시키는 제2유압실린더(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7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로드(72) 선단에 가동브라켓트(73)를 설치하고, 실린더몸체(71)의 뒤쪽 선단측 가로프레임(12a)상에는 고정브라켓트(74)를 고정설치한다. 상기 가동브라켓트(73)와 고정브라켓트(74)에는 각각 제2와이어(30)를 걸어서 지지하는 로울러(75a,75b)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와이어(30)는 가동브라켓트(73)와 고정브라켓트(74)에 각각 구비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배치된 1쌍의 로울러(75a,75b)들에 루우프형태로 감겨져 지지된 상태에서 한쪽 선단은 상기 상단 가로프레임(12a)일측 고정단(76)에 고정되고 다른 쪽 선단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행거(90)의 상단면 좌우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행거(90)를 걸어 지지하게 된다. 상기 행거(90)는 아래쪽에 복수개의 제3와이어(35)로써 고정링(80)을 걸어 매달게 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제2와이어(30) 가닥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로울러(75a,75b)들에 3열 루우프로 감겨져 지지된다. 제2와이어(30)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제2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로드(72)를 신장하게 되면 그 피스톤로드(72) 선단에 부착된 가동브라켓트(73)도 함께 전진이동하면서 그 좌우측에 구비된 로울러(75a)들을 동시에 전진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1쌍의 로울러(75a,75b)들에 감겨진 각 제2와이어(30)들을 동시에 같은 길이만큼 당겨서 결국 그 제2와이어(30)들에 고정된 행거(90) 및 이 행거(90)에 제3와이어(35)로 매달린 고정링(80)도 수평방향을 유지한 채 위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제2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로드(72)를 후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행거(90)가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2와이어(30) 각 가닥들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로울러(75a,75b)의 3개의 안내홈을 따라 감져져 3개의 루우프를 이루도록 장착되므로 상기 제2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로드(72)가 연장 또는 신축하는 길이에 대한 6배의 변위로 가변되게 된다. 즉 피스톤로드가 1m 연장되면 그에 따라 제2와이어(30)들이 동시에 당겨지는 길이는 6m가 되고, 그 결과 행거(90)도 6m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와이어(30)가 1쌍의 로울러(75a,75b)에 3회 감겨진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각 로울러들에 안내홈의 수를 필요에 따라 증감시키고 이 안내홈에 대응하는 루우프만큼 제2와이어(30)를 걸어 지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스톤로드의 이동거리에 대한 행거(90)의 승강높이도 가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압실린더(60) 및 제2유압실린더(7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100)등은 상기 상단 가로프레임(12a)의 상단면, 이들 실린더(60,7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링(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P)의 단면형상에 따라 대략 원형으로 이루이지되, 2개의 원호형 조각들이 서로 인접하는 조각들끼리 서로 힌지(81)로 결합되어 분리결합 또는 부분적으로 개폐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80)은 측벽에는 철근 고정용 U형 클램프가 삽입되는 구멍(82)이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뚫려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링(80)을 행거(90)에 매달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그 안쪽 벽을 따라 철근(S)을 인접하게 직립배치한 다음, 그 측벽에 형성된 2개의 구멍(82)마다 1개씩 U형 클램프를 삽입하여 이 클램프들이 각각 1개의 철근(S)을 조여 고정하도록 너트를 결합하면 여러개의 철근(S)들이 고정링(80)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그 고정링(8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원형)를 유지하면서 교각(P)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링(80)에 철근(S)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80)을 행거(90)와 제2유압실린더(70)로 상승시키면, 상기 다수개의 철근(S)들은 교각(P)의골조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작업위치까지 상승되게 되므로, 교각 시공높이를 한단계 더 높이기 위해 이미 콘크리트에 매설된 하부측 철근(S)에 상부측 철근(S)을 연결하는 작업이 아주 편리해진다.
한편, 상기 작업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절반으로 나뉘어져 진 두조각(20a,20b)이 서로 접합된 구조로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거푸집(F)은 분해조립이 간편하도록 반원형의 2 부분을 접합부에서 보울트 체결하여 원형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외측둘레를 따라 사선방향으로 승강사다리(50)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기초공사후 지면위로 교각(P)을 한단계 높이는 작업을 하는 경우, 제1유압실린더(60)에 피스톤로드(62)를 최대로 수축시켜 그 피스톤로드(62)에 설치된 가동브라켓트(63)가 고정브라켓트(64)쪽으로 접근시키면 그들 각 로울러(65a,65b)에 지지된 제1와이어(24)의 길이는 줄어드는 반면 제1와이어(24) 들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로 동시에 연장되면서 그 제1와이어(24)들의 끝단에 고정된 작업대(20)를 최저위치(지면에 인접하게 되는 위치)까지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2유압실린더(70)를 수축시켜 제2와이어(30)를 풀어내림으로써 그 선단에 매달린 행거(90) 및 행거(90)에 매달린 고정링(80)을 하강시키고, 고정링(80) 안쪽에 여러개의 철근(S)을 직립배치하되, 각 철근(S)들을 고정링(80)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하여 각각 1개의 U형 클램프로써 고정한다. 이렇게 하고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철근(S)들이 상기 고정링(80)의 형상과 같이 원형을 이루면서 매달려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링(80)에 매달려 지지된 철근(S)을 이미 양생된 부분에서 위로 돌출한 철근(S)에 서로 엮어서 고정함으로써 철근(S)을 한단계 높인다. 이때 상기 철근(S)끼리 엮어 고정하는 작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대(20)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위치까지 이동시켜 그 작업대 위에서 작업자가 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철근(S)의 높이를 한단계 높이고나서 그 철근(S)둘레로 거푸집(F)을 둘러싸는 작업을 하는 데, 이 경우에도 상기 고정링(80)에 2조각으로 이루어진 거푸집(F)을 대응하는 제3와이어(35)로 각각 매달아 고정한 다음, 제2유압실린더(70)를 수축 또는 신장하여 행거(90)를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그 행거(90)에 매달린 고정링(80)을 상하로 이송시켜 그 고정링(80)에 매달린 거푸집(F)을 철근(S)둘레로 에워싸게 배치한 다음 그 거푸집(F) 조각들을 서로 보울트로 체결하여 설치완성한다. 이 상태에서 거푸집(F)을 지지하고 있던 제3와이어(35)를 풀고 행거(90) 및 고정링(80)을 제2유압실린더(70)로 끌어올린 다음 거푸집(F)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교각(P)은 거푸집(F)의 높이만큼 한 단계 더 증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교각(P)이 한단계 더 증축되고 나면 제2유압실린더(70)로 행거(90) 및 고정링(80)을 이미 설치된 거푸집(F)부근까지 하강시킨 다음 거푸집(F)을 고정링(80)에 제3와이어(35)로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F)을 해체한다. 이때 거푸집(F)은 고정링(80)에 매달려 지지되어 있으므로 거푸집(F)을 분해하더라도 넘어지지 않으며 분해해체작업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과정을 반복하여 교각(P)을 소정높이로 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탐승하거나 자재를 실어나를 수 있는 작업대(20)가 프레임(11)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므로 작업자가 추락위험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그 작업대(20)에 낙하방지수단(4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대(20)를 지지하고 있던 제1와이어(24)가 끊어지더라도, 상기 낙하방지수단이 그 작업대를 정지시켜 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거푸집(F)이나 철근(S)을 작업대 승강수단과 별도의 고정수단과 승강수단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킬 수 있어 교각시공작업중 작업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과 거푸집(F)이나 철근(S)을 설치하는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F)을 한단계 끌어올려 재설치하는 경우 양생된 교각부에 거푸집(F)이 포개어지는 부분을 줄일 수 있어, 1회에 타설 및 양생할 수 있는 교각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공기의 단축 및 자재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교각(P) 주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콘크리트 교각(P)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된 작업대(20);
    상기 작업대(20)의 모서리마다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단 가로프레임(12a)까지 연장되어 상단 가로프레임(12a)에 고정되어 상기 작업대(2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 가닥의 제1와이어(24);
    상기 제1와이어(24)를 동시에 당겨올리거나 풀어내려서 제1와이어(24)에 지지된 작업대(20)를 승강시키는 작업대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 승강수단은 제1유압실린더(60)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2) 선단측에 고정되는 가동브라켓트(63)와, 실린더몸체(61)의 후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64)와, 상기 가동브라켓트(63)와 고정브라켓트(64)의 각 좌우측 선단에 각각 1쌍씩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로울러(65a,65b)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65a,65b)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로울러(65a,65b) 마다 1가닥의 제1와이어(24)를 루우프형상으로 감아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한쪽 선단들이 고정연결되어 연장된 2가닥 이상의 제2와이어(30)의 다른 쪽 선단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는 행거(90)와, 상기 행거(90)에 복수가닥의 제3와이어(35)로써 매달려 지지되며 아래쪽에 거푸집(F)을 와이어로써 매달아 지지하는 고정링(80)과, 상기 제2와이어(30)를 실린더몸체측에 구비된 고정로울러(75b)와 피스톤로드(72)측에 구비된 로울러(75a) 둘레로 감아서 지지하여 상기 피스톤로드(72)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으로써 이들 로울러(75a,75b)들에 감겨진 제2와이어(30)를 당겨올리거나 풀어내려 행거(90)를 승강시키는 제2유압실린더(7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65a,65b)(75a,75b)들은 각각 외주면에 복수개의 와이어안내홈이 형성되어 1개의 와이어마다 복수열로 감아지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0)의 저면 각 모서리마다 고정된 케이싱(41)과, 이 케이싱(4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설치하며, 스프링(42)으로 탄력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제1와이어(24)에 연결된 스토퍼(43)으로 이루어진 작업대 낙하방지수단(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80)은 원형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측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철근고정용 보울트 체결구멍(82)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80)은 2개의 반원형 링이 서로 체결되어 조립되게 되어 있고, 각 반원형 링은 복수개의 조각들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서 힌지(81)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교각시공용 리프트장치.
KR1019990055799A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KR100354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99A KR100354150B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99A KR100354150B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27146U Division KR200179392Y1 (ko) 1999-12-04 1999-12-04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21A KR20010054821A (ko) 2001-07-02
KR100354150B1 true KR100354150B1 (ko) 2002-09-28

Family

ID=1962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99A KR100354150B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10A (ko) * 2001-08-20 2003-03-03 진성토건 주식회사 저 교각 시공 자동화 시스템
CN110318528A (zh) * 2019-06-27 2019-10-11 联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井道施工的辅助内爬架结构及其升降方法
CN111021701B (zh) * 2019-12-18 2021-07-23 青岛康太源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升降体系
KR102369115B1 (ko) * 2020-04-23 2022-02-28 김정규 고압살수를 이용하여 교각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CN113023634B (zh) * 2021-04-07 2024-04-19 唐山市时迁科技有限公司 一种稳固的矿山机械作业平台
CN114351760B (zh) * 2022-01-10 2023-11-24 成都建工集团有限公司 用于密集既有建筑群地下空间开发的施工平台及施工方法
CN115405094A (zh) * 2022-09-26 2022-11-29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圆柱施工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21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5336B (zh) 混凝土塔和相关模架及相关构造方法
US4809814A (en) Scaffolding
US3302749A (en) Derrick scaffold structure
KR100354150B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KR200179392Y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KR20190008918A (ko) 주위 안전 스크린 어셈블리
CN201330506Y (zh) 一种布料机爬升机构
CN215717173U (zh) 建筑竖向模板悬挂整拼整提的施工设备
CN202023149U (zh) 建筑用挂篮
KR100312817B1 (ko) 소형 수직구조물의 복공벽성형용 시스템폼 및 그를 이용한 소형수직구조물의 복공벽 시공방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4001332B2 (ja) 煙突解体用足場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煙突解体方法
KR200159796Y1 (ko)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CN217299872U (zh) 一种井筒液压综合布料平台
KR200267717Y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RU2334068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высот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сооружений с изменяющейся конусностью, например градирен и промышленных труб
CN111877727B (zh) 一种施工移动式操作平台及操作方法
JP2780571B2 (ja) 鉄筋籠の建込み装置
CN215564411U (zh) 一种用于高耸筒状建筑物的滑移施工装置
CN221141126U (zh) 一种用于高边坡钻孔支护的移动支架
JP3560000B2 (ja) 立坑移動セントル
CN213563388U (zh) 一种爬升式布料机组件
CN211523220U (zh) 地下连续墙施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