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796Y1 -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796Y1
KR200159796Y1 KR2019960015079U KR19960015079U KR200159796Y1 KR 200159796 Y1 KR200159796 Y1 KR 200159796Y1 KR 2019960015079 U KR2019960015079 U KR 2019960015079U KR 19960015079 U KR19960015079 U KR 19960015079U KR 200159796 Y1 KR200159796 Y1 KR 200159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ylinder
ram
wire rop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26U (ko
Inventor
박형국
장석준
엔에스티디주식회사
Original Assignee
장석준
엔에스티디주식회사
박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준, 엔에스티디주식회사, 박형국 filed Critical 장석준
Priority to KR2019960015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796Y1/ko
Publication of KR980003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목 적] 거푸집을 내리고 올리는 작업이 수월하고도 안전하며, 거푸집 승강폭의 미조정도 용이한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짐틀 승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 성] 실린더(2)의 후단에 다리(3)를 부착하고, 상기, 실런더(2)의 말단과 램(4)의 선단에는 도르레(5, 6)를 설치하고, 이들 도르레(5, 6)간에는 외줄의 와이어 로우프(7)를 두르되 이것의 기단은 도르레(5) 또는 (6)의 첫번째 골에 가까운 실린더(2)의 후단 외면 또는 램(4)의 선단에 고정하고 와이어 로으프(7)의 자유단쪽은 실린더측 도르레(5)의 마지막 골을 경유한 후 안내도르레(10)을 경유해 내리고, 상기 다리(3)의 하단부와 램(4)의 선단부에는 활차(13a, b)를 장착한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짐 승강장치이다.

Description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승강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동 확대평면도
제3도는 동 측면도
제4도는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배치도
제5도는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의 작업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승강장치 2 : 실린더
3 : 다리 4 : 램
5, 6 : 도르레 7 : 와이어 로우프
9 : 기둥 10 : 안내도르레
11 : 장력도르레 12 : 중량추
13a, b : 활차 14 : 결속구
본 고안은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에서 지기층위에서 와이어 로우프를 내려뜨려서 거푸집을 매달고 하층으로 내려가며 층별로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슬라브와 기둥을 동시에 구축함에 있어서 그 거푸집을 매달아 올리고 내려주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거푸집을 내리고 올리는 작업이 수월하고도 안전하며, 거푸집 승강폭의 미조정도 용이한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에 있어서의 현수식 거푸집은 사방에 위치하는 기둥의 안쪽 슬라브의 평면적 만한 크기의 거푸집, 또는 그 거푸집을 수등분하여 전체 거푸집으르 조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지중에 미리 타입한 강기둥의 상단 또는 지지층 위에서 내려뜨린 여러 줄의 와이어 로우프에 거푸집의 요소요소에 천공한 와이어공으로 끼워 내린 다음에 거푸집의 위치를 바로잡고 와이어 로우프가 지나간 자리의 거푸집 상면 또는 저면에다 정착구로 정착시키고 거푸집 위에 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식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고, 당해 층의 슬라브 또는 슬라브-기둥이 양생된 후에는 그 거푸집에 대한 정착을 해제하고 미리 터파기를 마친 하층 위치까지 내린 다음에 상기의 요령으르 아래 층의 구조물을 구축하게 된다.
거푸집은 평면적에 따라 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아무리 소형이라도 그 무게는 인력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을만큼 무거워 다루기 어렵고, 지하층의 구조물을 구축할 때마다 거푸집의 철거와 재설치작업을 되풀이 시행하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될 사항은 무엇보다도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의 편리성이다.
공전에는 이점에 문제가 있었다. 거푸집과 철근-콘크리트의 하중이 거푸집 밑에서 거푸집이 매달린 스트랜드 와이어를 물고 있는 정착구에 대하여 정착압력을 가중시킨다. 그 결과, 해당층의 구조물을 구축하고 거푸집을 철거하려고 스트랜드 와이어에 대한 정착구의 정착을 해제하려해고 그 정착해제작업이 순탄치 못했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하층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하강시켜 설치할 때, 그 거푸집의 위치바로잡기 및 수평조정 작업, 특히 미조정작업은 매우 힘들고 어려웠던 만큼 위험하였다. 그리고 거푸집이 바르기 못했을 때 지하구조물의 시공품질저하는 당연지사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에 적용하는 승강식 거푸집을 더욱 안전하고 보다 수월하게 매달아 승강시질 수 있고, 수평맞추기와 높낮이맞추기는 물론 이들의 미조정작업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말단과 램의 선단에 도르레를 부착하고, 이들 도르레 간에는 와이어 로우프를 두르되 이것의 기단은 실린더나 램의 적소에 고정하고 와이어 로우프의 선단은 최공적으로 실린더측 도르레를 경유하여 지층 콘크리트 슬라브의 와이어공 또는 거기다 박은 슬리브를 통해 지하층으로 늘여뜨리고, 지층 콘크리트 슬라브 아래로 내려진 스트랜드 와이어 부분에 거푸집을 꿰어 정착하며, 실린더와 램에는 활차를 부착하여 이동성을 부여한 거푸집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르레는 와이어 로우프를 길게 둘러 감아둬야 하고 조금만 램을 조금만 진퇴시켜도 와이어 로우프가 길게 풀리거나 감기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겹도르레로 한다. 램에 주어진 행정거리내에서 그 움직임을 작게하면 악이어 로우프가 풀려나가고 거기서 램의 행을 늘리면 풀어졌던 와이어 로우프의 길이가 짧아진다. 거푸집을 내릴 때, 높낮이조정, 수평맞추기는 램을 조작하여 와이어 로우프를 풀어내든가 감아들이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거푸집 승강장치(1)는 와형 실린더(2)를 기본으로 한다. 실린더(2)는 유압식이다. 실린더(2)의 후단에 세워붙인 다리(3)와 램(4)의 선단에는 활차(13a, b)를 장착하여 기동성과 이동성을 부여한다.
실린더(2)의 후단과 램(4)의 선단에는 도르레(5, 6)를 설치한다. 이들 도르레(5, 6)는 겹도르레이다. 홑도르레보다는 겹도르레편이 와이어 로우프를 길게 감아둘 수 있고, 램(4)의 미동에도 와이어 로우프를 풀어내거나 감아들이는 길이가 길어서 거푸집을 내리고 올리기, 수평맞추기, 높낮이조정 작업을 차질없이 수행할 수가 있다.
양측 도르레(5, 6)간에는 외줄의 와이어 로우프(7)를 두른다. 이 와이어 로우프(7)의 기단은 도르레(5) 또는 (6)의 첫번째 골에서 가까운 실린더(2)의 후단 외면에 고정하든가, 또는 램(4)의 선단에 별도로 플랜지(8)를 부착하고 여기다 고정하고, 와이여 로우프(7)의 자유단쪽은 실린더측 도르레(5)의 마지막 골을 경유한 후 자중에 맡겨서 아래로 처져 있게 한다.
또, 다리(3)의 상단에는 기둥(9)을 세우고, 기둥(9)의 상단에는 와이어 로우프용 안내도르레(10)를 설치한다. 안내도르레(10)는 홑드르레이며, 상기 도르레(5)의 마지막 골과 동축선상에 골이 놓인다. 안내도르레(10)는 실린더측 도르레(5)에서 내려진 와이어 로우프부분이 지층 슬라브 등의 지지층에 수직천공된 와이어공 또는 와이어공에 박힌 슬리브의 언저리에 닿아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초래될지도 모를 손상이나 소선이 절선같은 불이익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 로우프(7)에서 안내도르레(10)의 이하 부분은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안내한다. 그리고 실린더(2)의 적소에는 양측 도르레(5, 6)간에 둘러진 와이어 로우프(7)중에서 그 윗가닥들이 처져서 실린더(2)와 램(4)에 접촉되지 않도록 긴장시키는 장력도르레(11)도 설치한다.
또, 다리(3)의 활차축에는 자유단에 지지층의 와이어공에 박힌 슬리브 또는 그 주변에 고정하여 설치시 거푸집 승강장치(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중량추(12)를 걸어둘 수 있게 한다.
제3도에서 부호 (12)는 거푸집 승강장치(1)를 움직이지 못하게 잠그기 위한 중량추로서, 거푸집 승강장치(1)의 무게중심 뒷쪽에 필요시에만 부착한다. 와이어 로우프(7)의 자유단에 매달린 것은 거푸집을 매다는 스트랜드 와이어의 상단을 잇기위한 결속구(14)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제1도의 실선표시는 램(4)을 전진한계점까지 전진시켜 와이어 로우프(7)를 감아들인 상태이고, 2점 쇄선표시는 램(4)을 후퇴한계점까지 불러들여서 와이어 로우프(7)를 풀어낸 상태이다.
램(4)이 전진하면 도르레(5)와 안내도르레(10)와의 축간거리가 멀어지므로 풀려나갔던 와이어르우프(7)가 감긴다. 반면에 램(4)이 후퇴하면 양측 도르레(5, 6)간의 축간거리가 줄어들므로 와이어 로우프(7)는 풀어진다, 와이어 로우프(7)를 풀어내든 감아들이든 간에 그 자유단쪽 부분은 안내도르레(10)를 경유한 뒤에는 언제나 수직을 유지해야 슬리브(B)와의 마찰을 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거푸집 승강장치(1)는 제1, 4도에서 보듯이, 지층 몬크리트 슬라브 등의 지지층(A)상에서 와이어공 주위에 배치하고, 램(4)을 후퇴시켜 이때 풀리는 와이어 로우프(7)의 선단을 와이어공에 박힌 슬리브(B)속으로 끼워 내린다. 지지층(A) 아래로 내려진 결속구(14)에는 스트랜드 와이어(SW)를 매단다.
제4도와 같이, 지중에 미리 시설한 강기둥중에서 사각형안에 드는 4개의 강기둥(C1-4)을 기본단위로 하고, 이들 강기둥의 폭 절반까지를 평면적에 포함시킨 넓이의 거푸집(D)을 제작한다. 이 거푸집(D)의 적어도 네군데, 구체적으로는 네모퉁이 부근에다 지지층(A)의 와이어공과 같은 위치에 와이어공을 천공하고, 모든 와이어공의 밑에는 정착구를 부착 또는 준비하고, 와이어공으로 스트랜드 와이어(SW)를 끼워내린 다음에 정착시킨다.
제5도(a)와 같이, 강기둥(C1-4) 사이마다 버림콘코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다음 그 위에 먹선긋기 등의 정리작업을 실시한다. 그리고 (b)와 같이, 강기둥(C1-4) 사이에 상기 거푸집(D)을 배치하고, 수평보기, 고정앵커와 슬리브, 정착구 등의 부속물을 거푸집(D)에 설치한다.
이어서,(c)와 같이, 거푸집(D)위에서 슬라브철근을 조립하고, 지하 1층 옹벽 및 기둥 콘크리트타설 슈트를 매설한 후에 상기 거푸집(D)위에 콘크리르(F)를 타설, 양생한다.
지층 콘크리트(F)가 양생되는 동안에 (d)처럼 지하 1층에 대한 터파기를 하고서 정착구의 설치 및 고정앵커 철거, 지하 1층용 기둥 및 옹벽용 철근시공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장치의 기둥 및 옹벽위치 설정, 지하 1층 기뭉 및 옹벽용 거푸집(홈타이)의 설치순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e)와 갈이, 지하 1층에 대한 굴토작업이 완료된 다음에 지하 1층용 기둥,옹벽 콘크리트, 자중 지지저판, 및 정착구를 설치하고, 수직정도 및 위치를 점검한 후 지하 1층의 기둥과 옹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밖에 기둥,옹벽 거푸집작업용 발판 등을 설치한다.
그 다음으로는 (f)와 같이, 지하 2층 굴토작업, 지하 1층 기둥옹벽의 양생, 기동옹벽의 거푸집 하단작업용 발판작업위치로 하강, 지하 1층 기둥, 옹벽 홈타이 자중지지저판의 해체, 지하 2층 기둥, 옹벽철근시공의 순으로 이어진다.
이어서 (g)와 같이, 지하 1층 역타설 무지보 구조물용 구축장치의 철거 후 지하 2층 위치로의 하강, 지중 연속벽의 다우웰 바 정돈, 지하 2층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장치의 1차 수평조정, 지하 1층 슬라브의 철근시공, 지하 2층의 기둥, 옹벽 자중지지저판 및 거푸집 홈타이설치, 지하 2층기둥, 옹벽 거푸집 하단작업발판 인양고정, 지하 1층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강치의 2차 수평조정, 콘크리트 타설의 순으로 진행한다.
(h) 이후이 지하충에 대한 구축공사는 상기 (h) 이후의 공정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하강, 위치 및 수평조정작업에는 본 고안의 거푸집 승강장치(1)이 쓰인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는 간단한 스위치조작으로 실린더(2)를 작동, 그 램(4)을 진퇴시킴에 따라 실린더와 램에 갖춘 도르레에 무른 와이어 로우프가 감겨지거나 풀리면서 거기에 매단 거푸집이 승강되게 한 것으로 중량체인 거푸집을 내리고 올리는 작업이 아주 수월하고 안전하다.
또, 램의 진퇴가 용이하므로 거푸집의 승강폭도 미조정이 가능하므로 지하구조물의 시공품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활차는 거푸집 승강장치의 기동성을 높여 다른 장소로 이동배치하기도 아주 수월하다.

Claims (4)

  1. 실린더(2)의 후단에 다리(3)를 부착하고, 상기 실런더(2)의 말단과 램(4)의 선단에는 도르레(5, 6)를 설치하고, 이들 도르레(5, 6)간에는 외줄의 와이어 로우프(7)를 두르되 이것의 기단은 드르레(5) 또는 (6)의 첫번재 골에 가까운 실런더(2)의 후단 외면 또는 램(4)의 선단에 고정하고 와이어 르우프(7)의 자유단쪽은 실린더측 도트레(5)의 마지막 골을 경유한 후 안내도르레(10)을 경유해 내리고, 상기 다리(3)의 하단부와 램(4)의 선단부에는 활차(13a, b)를 장착한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5, 6)가 겹도르레인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다리(3)에는 정지용 중량추(12)로 매단 역타설 무지보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상에 와이어 로우프(7)의 자유단에 스트랜드 와이어용 결속구(14)를 부착한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KR2019960015079U 1996-06-07 1996-06-07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KR200159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079U KR200159796Y1 (ko) 1996-06-07 1996-06-07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079U KR200159796Y1 (ko) 1996-06-07 1996-06-07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26U KR980003126U (ko) 1998-03-30
KR200159796Y1 true KR200159796Y1 (ko) 1999-11-01

Family

ID=1945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079U KR200159796Y1 (ko) 1996-06-07 1996-06-07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7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149B1 (ko) 2005-12-02 2006-08-22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지상구조물의 역타설공법
KR100694503B1 (ko) * 2005-04-27 2007-03-13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4852A (ko) * 2005-09-26 2007-03-29 강병수 건축물지하공사용 이동식 거푸집거더 현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03B1 (ko) * 2005-04-27 2007-03-13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4852A (ko) * 2005-09-26 2007-03-29 강병수 건축물지하공사용 이동식 거푸집거더 현수장치
KR100615149B1 (ko) 2005-12-02 2006-08-22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지상구조물의 역타설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26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9814A (en) Scaffolding
US5159993A (en)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AU2019409113B2 (en) Building site device having a climbing formwork and an elevator system
EP0457806A1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11098490B2 (en) Self-lifting concrete form with plat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200159796Y1 (ko)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KR20110105489A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JPH0571159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の据付け方法
CN207727440U (zh) 用于桥塔施工的整体自爬式集成平台
US56448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torey buildings
KR100354150B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US38180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struction of multi-storey buildings
CN104948206B (zh) 一种用于城门洞型斜井混凝土浇筑的滑模台车
CN211974269U (zh) 一种自爬式电梯井钢平台
CN113338537A (zh) 一种超高、大截面的混凝土框架柱的施工方法
KR20050102793A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CN113175201A (zh)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3532161B2 (ja) 鉄塔構築機および鉄塔構築方法
KR200179392Y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JP3560000B2 (ja) 立坑移動セントル
CN114251106B (zh) 便于安拆的整体式仰拱端头钢模及施工方法
KR102577469B1 (ko) 잭 서포트 설치 장치
CN215107202U (zh)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