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758A -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758A
KR20160148758A KR1020150084974A KR20150084974A KR20160148758A KR 20160148758 A KR20160148758 A KR 20160148758A KR 1020150084974 A KR1020150084974 A KR 1020150084974A KR 20150084974 A KR20150084974 A KR 20150084974A KR 20160148758 A KR20160148758 A KR 20160148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struction
frame
plaster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899B1 (ko
Inventor
조훈희
강경인
임현수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라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8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 공사를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마감 공사를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 공사용 골조유닛이 간격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작업자가 골조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작업자가 미장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과 각각 연결되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이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SEPARATED CLIMBING FORMWORK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골조 공사를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마감 공사를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 공사용 골조유닛이 간격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골조 공사 및 미장 마감 공사를 위해 두 가지의 가설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첫 번째는 건축물의 최상측 골조에 놓이는 곤도라에 연결된 작업 발판을 건축물의 외벽 외측에 매달아 작업자가 작업 발판을 딛고 작업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비계를 지상에서부터 쌓아 올려 작업자가 비계를 딛고 작업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곤도라에 연결된 작업 발판을 이용하는 첫 번째 방법은 불안정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추락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고, 공사 품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비계를 이용하는 두 번째 방법은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나, 가설 임대비가 증가되어 공사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고층 건축물의 시공의 경우, 건출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여 각 층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바닥과 각 층의 내부에 다수 개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대들보 및 내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해야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거푸집을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에 맞는 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철근과 함께 타설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각 거푸집의 사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충분히 양생시킨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뜯어내어 재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옹벽으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재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분리 및 재설치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과 가설 작업발판이 일체화된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골조용 프레임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연결 고정시켜 건축물의 2 내지 3층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만든 골조용 구조물에 각 층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표면 작업 및 1개 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용 발판과 거푸집을 일체로 형성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유압장치 등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을 따라 수직으로 인양될 수 있도록 건출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39913호(2000. 01. 15)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먼저 골조 공사가 완료된 후에 미장 등 마감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이용하려면 전체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를 감수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골조 공사용 가설장치의 하부에 마감 공사를위한 작업 발판이 구비된 별도의 마감 공사용 가설장치를 설치한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상측의 골조 공사용 가설장치와 하측의 마감 공사용 가설장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공사가 지연될 경우 다음 층 작업을 위해 가설장치가 상승할 수 없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진행된 다른 공사도 지연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39913호 (2000. 01. 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64737호 (2012. 07. 16)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골조 공사를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마감 공사를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 공사용 골조유닛이 간격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마감 공사용 가설유닛이 따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작업자가 골조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작업자가 미장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이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이 나머지 다른 하나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마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에는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에는 결합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삽입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동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고정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의 끝단에는 관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관통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에는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는 결합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삽입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동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는 비신축성의 라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는 리지드 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 또는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인양하기 위해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하나의 인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은, 작업자가 밟고 설 수 있는 작업대를 갖는 골조 작업 프레임과, 상기 골조 작업 프레임에 지지되는 거푸집과,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레일 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골조 작업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1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은 작업자가 밟고 설 수 있는 작업대를 갖는 미장 작업 프레임과, 상기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레일 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미장 작업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연결유닛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하나의 인양장치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동시에 인양하여 다음 골조 공사와 다음 미장 공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 공사 완료 후 미장 공사를 수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의 완료 시점이 다른 경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에서 분리하거나 연결부재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따로 인양하여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를 이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간의 상호 영향을 최소화하여 공사 지연 문제를 줄일 수 있고, 인양장치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여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의 골조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이 동시에 상승하는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의 골조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이 따로 상승하는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과, 연결유닛(300)과, 인양장치(400)를 포함한다.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은 연결유닛(300)에 의해 간결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양장치(400)는 하나가 구비되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동시에 인양하거나,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따로 인양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할 때, 상측의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을 이용하여 골조 공사를 수행하면서 하측의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이용하여 미장 공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장 공사는 건축물의 골조(10)에 부착된 외단열재(30)를 부착하는 공사나, 외단열재(30)나 건축물의 골조(10)에 미장재를 부착하는 공사나, 각종 마무리 공사 등 골조 공사 이후에 수행되는 다양한 공사가 될 수 있다.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은 골조 작업 프레임(110)과, 제 1 레일(120)과, 거푸집(130)을 포함한다. 골조 작업 프레임(110)은 거푸집(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골조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다수의 수평 빔, 수직 빔 및 대각 빔 등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골조 작업 프레임(110)은 작업자가 밟고 설 수 있는 작업대(113)와 안전 난간대(114)를 구비한다.
이러한 골조 작업 프레임(110)은 제 1 레일(120)과 결합되어 제 1 레일(120)을 통해 건축물의 골조(10)에 결합된다. 제 1 레일(120)은 건축물의 골조(10)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레일 슈(20)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벽체 외측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 1 레일(120)은 건축물의 골조(10)에 설치되는 인양장치(30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층의 콘크리트 타설 등 골조 공사가 완료되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은 제 1 레일(120)이 레일 슈(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승한다.
거푸집(130)은 골조 작업 프레임(110)의 작업대(111)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 거푸집(130)이 틸팅됨으로써 거푸집(130)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거푸집(130)의 수직도는 각도 조절유닛(13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각도 조절유닛(135)은 그 일단이 작업대(111)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단이 거푸집(130)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도 조절유닛(135)은 거푸집(130)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거푸집(130)의 수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 조절유닛(135)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골조 작업 프레임(110)이 복수의 작업대(111)가 상하로 배치된 복층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은 다양한 층 수를 갖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은 미장 공사를 지원하기 위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하측에 설치된다.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은 미장 작업 프레임(210)과, 제 2 레일(220)을 포함한다. 미장 작업 프레임(210)은 작업자가 미장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다수의 수평 빔 및 수직 빔 등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장 작업 프레임(210)은 작업자가 밟고 설 수 있는 작업대(211)와 안전 난간대(212)를 구비한다.
미장 작업 프레임(210)은 제 2 레일(220)과 결합되어 제 2 레일(220)을 통해 건축물의 골조(10)에 결합된다. 제 2 레일(220)은 건축물의 골조(10)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레일 슈(20)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벽체 외측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 2 레일(220)은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이 인양장치(400)에 의해 인양될 때 연결유닛(300)에 이끌려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함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인양장치(3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인양될 수 있다. 해당 층의 미장 공사가 완료되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은 제 2 레일(220)이 레일 슈(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방식으로 인양된다.
도면에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미장 작업 프레임(210)이 복수의 작업대(211)가 상하로 배치된 복층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은 다양한 층 수를 갖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연결유닛(300)은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이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연결유닛(300)은 연결부재(310)와, 결합 핀(320)과, 후크(33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10)는 일단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제 1 레일(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제 2 레일(220)에 연결되는 체인(311)과, 체인(31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판(312)을 구비한다. 결합판(312)에는 제 1 레일(120)에 마련되는 결합구멍(122)에 대응하는 삽입구멍(313)이 구비된다. 결합구멍(122)은 제 1 레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연결부재(310)는 결합 핀(320)에 의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제 1 레일(120)에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결합 핀(320)이 결합판(312)의 삽입구멍(313) 및 제 1 레일(120)의 결합구멍(122)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310)가 제 1 레일(120)에 결합된다. 작업자는 결합 핀(320)을 분리하고 결합판(312)을 제 1 레일(120) 상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결합 핀(320)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 1 레일(120) 상에서 연결부재(310)의 결합 위치를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제 1 레일(120) 상에서 연결부재(310)의 결합 위치를 바꿈으로써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후크(330)는 체인(311)의 타단에 결합된다.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제 2 레일(220) 끝단에는 관통구멍(222)이 마련되고, 후크(330)가 이 관통구멍(222)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310)가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에 고정된다. 후크(33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제 2 레일(220)의 관통구멍(222)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310)는 후크(330)를 통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유닛(300)은 연결부재(310)의 일단이 결합 핀(320)에 의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제 1 레일(12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타단이 후크(330)를 통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제 2 레일(220)에 고정됨으로써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연결한다. 따라서 인양장치(400)가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을 상측으로 끌어 올리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도 함께 인양된다.
인양장치(400)는 건축물의 골조(10)에 설치되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또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인양할 수 있다. 인양장치(400)로는 유압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인양장치(400)의 설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및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동시에 인양하거나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만을 인양할 때는 인양장치(400)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이 위치하는 건축물의 골조(10)에 설치하여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만을 인양할 필요가 있을 때는 인양장치(400)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이 위치하는 건축물의 골조(10)에 설치하여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건축물의 시공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연결유닛(300)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제 1 레일(120)을 건축물의 골조(10)에 고정된 레일 슈(20)에 결합하여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을 건축물의 골조(10) 외측에 고정하고,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제 2 레일(220)을 건축물의 골조(10)에 고정된 또 다른 레일 슈(20)에 결합하여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하측의 건축물의 골조(10) 외측에 고정한다. 인양장치(400)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연결되도록 건축물의 골조(10)에 설치된다.
이렇게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작업 공간에서 골조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작업 공간에서 다른 작업자 미장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을 이용한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이용한 미장 공사가 동시에 완료되는 경우, 도 3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양장치(400)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동시에 인양함으로써 다음 층에 대한 골조 공사와 다음 층에 대한 미장 공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의 완료 시점이 달라 골조 공사가 미장 공사보다 먼저 완료되는 경우,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따로 인양하여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를 수행한다. 즉,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상에서 연결부재(31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부재(310)를 느슨하게 하거나, 연결부재(310)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인양장치(400)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만 인양한다. 연결부재(310)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에서 분리하는 경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을 인양한 후, 다시 연결부재(310)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에 결합하여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연결한다. 이렇게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에서 미장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만 인양하여 다음 층에 대한 골조 공사를 수행함으로써, 전체적인 공사가 지연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체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다음 층에 대한 골조 공사가 완료되기 전에 미장 공사가 완료되면, 도 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양장치(400)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이 있는 위치로 이동시켜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만 다음 작업 층으로 인양할 수 있다. 이때,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상에서 연결부재(31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느슨해진 연결부재(310)를 처지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의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의 완료 시점에 따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동시에 인양하거나,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따로 인양하여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정상적인 경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연결유닛(300)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하나의 인양장치(400)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동시에 인양하여 다음 층에 대한 골조 공사와 다음 층에 대한 미장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의 완료 시점이 다른 경우, 연결유닛(300)의 연결부재(310)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에서 분리하거나 연결부재(310)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따로 인양하여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를 이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간의 상호 영향 없이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고, 인양장치(40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여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과, 연결유닛(500)과, 인양장치(400)를 포함한다.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은 골조 작업 프레임(110)과, 제 1 레일(120)과, 거푸집(130)과, 각도 조절유닛(135)을 포함한다.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인양장치(400)는 상술한 것과 같다.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은 미장 작업 프레임(210)과, 제 2 레일(230)을 포함한다. 제 2 레일(23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결합구멍(232)을 갖는다.
연결유닛(500)은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이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연결유닛(500)은 연결부재(510)와, 결합 핀(520)과, 고정 핀(530)을 포함한다. 연결부재(510)는 일단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제 1 레일(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제 2 레일(230)에 연결되는 리지드 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51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삽입구멍(511)을 갖는다.
연결부재(510)는 결합 핀(520)에 의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제 1 레일(120)에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결합 핀(520)이 연결부재(510)의 삽입구멍(511) 및 제 1 레일(120)의 결합구멍(122)에 동시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510)가 제 1 레일(120)에 결합된다. 작업자는 결합 핀(520)을 분리하고 연결부재(510)를 제 1 레일(120) 상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결합 핀(520)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 1 레일(120) 상에서 연결부재(510)의 결합 위치를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제 1 레일(120) 상에서 연결부재(510)의 결합 위치를 바꿈으로써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510)는 고정 핀(530)에 의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제 2 레일(2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 핀(530)이 연결부재(510)의 삽입구멍(511) 및 제 2 레일(230)의 결합구멍(232)에 동시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510)가 제 2 레일(2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작업자는 고정 핀(530)을 분리하고 연결부재(510)를 제 2 레일(230) 상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고정 핀(530)을 결합함으로써, 제 2 레일(230) 상에서 연결부재(510)의 고정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정상적인 경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연결유닛(500)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하나의 인양장치(400)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동시에 인양하여 다음 층에 대한 골조 공사와 다음 층에 대한 미장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의 완료 시점이 다른 경우, 결합 핀(520)이나 고정 핀(530)을 분리하여 연결부재(510)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또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에서 분리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한 상태에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따로 인양하여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를 이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간의 상호 영향 없이 건축물의 시공이 가능하고, 인양장치(40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여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연결유닛으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이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게 연결하여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동시에 인양하거나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따로 인양함으로써, 골조 공사와 미장 공사간의 상호 영향을 최소화하여 공사 지연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연결유닛(300)(500)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의 제 1 레일(12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의 제 2 레일(220)(230)에 각각 결합되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간격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연결유닛은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의 다른 부분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의 다른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은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는 체인 이외의 다른 비신축성 라인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레일 구조 이외의 다른 리지드 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가 비신축성 라인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부재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또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에 감기는 구조로 설치되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또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통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다른 결합 구조를 통해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에 탈착삭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다른 고정 구조를 통해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부재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인양장치(400)가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 또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을 선택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인양장치(400)의 이동을 손쉽게 하기 위한 승강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인양장치(400)를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100)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200) 사이에서 승강시킴으로써 인양장치(400)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인양장치(400)의 이동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는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인양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이 인양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10...건축물의 골조 20...레일 슈
100...골조 공사용 가설유닛 110...골조 작업 프레임
111, 211...작업대 112, 212...안전 난간대
120...제 1 레일 122, 232...결합구멍
130...거푸집 135...각도 조절유닛
200...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210...미장 작업 프레임
220, 230...제 2 레일 300, 500...연결유닛
310, 510...연결부재 311...체인
312...결합판 313, 511...삽입구멍
320, 520...결합 핀 330...후크
400...인양장치 530...고정 핀

Claims (11)

  1. 작업자가 골조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
    작업자가 미장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및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이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이 나머지 다른 하나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마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에는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에는 결합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삽입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동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고정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의 끝단에는 관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관통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에는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과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 중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는 결합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삽입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동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는 비신축성의 라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는 리지드 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 또는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을 인양하기 위해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하나의 인양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공사용 가설유닛은, 작업자가 밟고 설 수 있는 작업대를 갖는 골조 작업 프레임과, 상기 골조 작업 프레임에 지지되는 거푸집과,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레일 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골조 작업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1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 공사용 가설유닛은 작업자가 밟고 설 수 있는 작업대를 갖는 미장 작업 프레임과, 상기 건축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레일 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미장 작업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KR1020150084974A 2015-06-16 2015-06-16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KR10172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74A KR101725899B1 (ko) 2015-06-16 2015-06-16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74A KR101725899B1 (ko) 2015-06-16 2015-06-16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758A true KR20160148758A (ko) 2016-12-27
KR101725899B1 KR101725899B1 (ko) 2017-04-27

Family

ID=5773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974A KR101725899B1 (ko) 2015-06-16 2015-06-16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775A (zh) * 2017-02-27 2017-06-13 北京城建十六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操作平台提升装置、液压爬升操作平台以及提升方法
CN113216595A (zh) * 2021-05-20 2021-08-06 黎明职业大学 一种装配式混凝土结构收张可调式外挂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913B1 (ko) 1997-09-24 2000-01-15 유성용 거푸집 자동 상승장치
KR101164737B1 (ko) 2010-02-19 2012-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거푸집 자동 상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4987B2 (ja) * 2006-10-10 2010-03-31 日本ビソー株式会社 壁面作業用仮設ガイド装置
KR101509905B1 (ko) * 2013-07-26 2015-04-07 (주)대우건설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913B1 (ko) 1997-09-24 2000-01-15 유성용 거푸집 자동 상승장치
KR101164737B1 (ko) 2010-02-19 2012-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을 이용한 거푸집 자동 상승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775A (zh) * 2017-02-27 2017-06-13 北京城建十六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操作平台提升装置、液压爬升操作平台以及提升方法
CN113216595A (zh) * 2021-05-20 2021-08-06 黎明职业大学 一种装配式混凝土结构收张可调式外挂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899B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453615U (zh) 模板支撑系统
KR101744345B1 (ko) 외단열 동시 공사용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CN108331336B (zh) 楼板同步施工的整体提升钢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CN107313506A (zh) 设有边梁的建筑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80127066A (ko) 시스템 동바리
US10914083B2 (en) Wall-climbing concrete form lifting system
JP2664789B2 (ja) 建物内部にエレベータまたは貨物用リフトを搭載する方法,この方法において使用される搭載枠組
US20180245357A1 (en) Method for erecting a concrete structure and climbing formwork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CN107246073A (zh) 核心筒纵横结构同步施工结构及方法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KR101725899B1 (ko)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JP3196043B2 (ja)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KR101219629B1 (ko) 갱폼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CN107100361A (zh) 一种外爬内撑铝模装置及其安装方法
CN112267692B (zh) 一种装配式建筑构件吊装综合装备及其施工方法
KR101116254B1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JPH10292618A (ja) 壁工事用の作業足場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KR20090084163A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갱폼 가이드 시스템
WO2017067912A1 (en) Building system
JP4516585B2 (ja)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102207137B1 (ko) 이동식 거푸집
JP5150313B2 (ja) ボイド内立体駐車装置およびその建設方法
JPH10292619A (ja) 大空間対応吊り足場構築システムに用いるセルフクライミング吊り足場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