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254B1 -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 Google Patents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254B1
KR101116254B1 KR1020100024648A KR20100024648A KR101116254B1 KR 101116254 B1 KR101116254 B1 KR 101116254B1 KR 1020100024648 A KR1020100024648 A KR 1020100024648A KR 20100024648 A KR20100024648 A KR 20100024648A KR 101116254 B1 KR101116254 B1 KR 10111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opening
table form
fram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489A (ko
Inventor
백명종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깨뱉시스템주식회사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깨뱉시스템주식회사,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깨뱉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2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에 형성시킨 개구부를 통해 테이블폼을 인양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기준층 슬래브 위에 여러 개의 테이블폼을 셋팅하고, 상기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1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단계; (b) 기준층 슬래브 위의 테이블폼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양하여 제1상층 슬래브 위에서 기준층에서와 동일한 배치로 셋팅하는 단계; (c) 기준층 슬래브 위에 슬래브거푸집을 도입하여 제1상층 슬래브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셋팅하는 단계; 및 (d) 기준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슬래브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1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우고, 제1상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단계; 를 계획된 층까지 반복 실시하고, 최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우면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High-ris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lifting up table-form}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에 형성시킨 개구부를 통해 테이블폼을 인양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을 바람의 영향에 무관하게 안전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하층에서 상층으로 축조할 때에는 테이블폼 등의 대형 슬래브 거푸집을 반복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하층 슬래브를 축조한 후 탈형한 테이블폼은 축조하는 건축물 밖으로 빼내어 끌어올린 후 상층 슬래브 축조에 활용하였다. 그러나 테이블폼을 건축물 밖에서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이동시키는 고소작업을 할 때에는 약한 바람이 불어도 테이블폼이 바람에 흔들리면서 축조중인 건축물과 충돌하여 건축물과 테이블폼이 파손, 낙하되는 위험에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어, 초고층 건축물 축조시에는 대형 슬래브 거푸집인 테이블폼의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에는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가 발현될때까지는 슬래브 밑을 별도의 동바리로 지지해야 하는데, 이 때문에 공사비가 증가하고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블폼을 축조 중인 건축물 내부에서 인양함으로써 외부의 갱폼 또는 분진방지막에 의하여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충돌 및 낙하위험 없이 안전하게 고층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발열구조를 갖는 테이블폼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가 조기발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바리를 설치해둘 필요가 없는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해 다음의 수단을 도입한다.
1. 기본 단위의 테이블폼 여러 개를 조합하여 슬래브 축조를 위한 거푸집으로 활용하며, 기본 단위의 테이블폼 2개를 하나의 평면모듈 셋팅한다.
2. 건축물의 슬래브 구축시 개구부를 형성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기본 단위의 테이블폼을 인양한다.
3. 상기 테이블폼 인양을 위해 통상의 인양장비(타워크레인, 자주식 유압크레인 등)를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이 인양리프트를 활용할 수 있다.
4.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인양리프트는 슬래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따라 수직으로 자체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승시의 좌굴방지를 위한 수단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5. 테이블폼에 발열전선을 일체로 구비시킴으로써 슬래브 콘크리트의 발열양생 후 설계기준강도가 조기에 발현되도록하여, 별도의 동바리를 설치하여 잔존시킬 필요 없이 테이블폼의 해체시기를 앞당겨 공기(工期)를 단축 할 수 있다.
6. 테이블폼의 패널구조체를 구성하는 멍에와 장선을 체결클램프로 조립하도록 한다.
7. 모든 고층건축물현장에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분진방지막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분진방지막을 바람막이막으로 겸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단위의 테이블폼을 시공중인 건축물의 슬래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인양할 수 있어, 건축물 외부에서 인양작업을 진행하는 공법에 비해 충돌 및 낙하에 대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열양생에 의해 소요 공기(工期)를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슬래브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하로 개방되며 연속된 코어구조물을 함께 축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a)단계의 실시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테이블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b)단계의 실시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c)단계의 실시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d)단계의 실시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최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워 마무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양리프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작업층 슬래브에 정착된 인양리프트가 상층 슬래브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브래킷과 걸림턱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좌굴방지용 횡대가 받침기둥 사이에 결합된 상태와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테이블폼의 일 실시예를 위로 올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테이블폼을 구성하는 멍에, 장선 및 발열전선의 결합 실시예와 체결클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코어구조물을 함께 축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기준층 슬래브 위에 여러 개의 테이블폼을 셋팅하고, 상기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1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단계; (b) 기준층 슬래브 위의 테이블폼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양하여 제1상층 슬래브 위에서 기준층에서와 동일한 배치로 셋팅하는 단계; (c) 기준층 슬래브 위에 슬래브거푸집을 도입하여 제1상층 슬래브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셋팅하는 단계; 및 (d) 기준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슬래브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1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우고, 제1상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단계; 를 계획된 층까지 반복 실시하고, 최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우면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를 반복하여 건축물을 계획층까지 축조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준층 슬래브", "제1상층 슬래브", "제2상층 슬래브"는 특정 층을 지칭하는 용어가 아니라 (a)단계를 실시하는 작업층을 "기준층 슬래브"로, 상기 "기준층 슬래브" 바로 위의 슬래브를 "제1상층 슬래브"로, 상기 "제1상층 슬래브" 바로 위의 슬래브를 "제2상층 슬래브"로 칭한 것이다. 따라서, 1층이 기준층이 된다면 2층과 3층이 각각 제1상층과 제2상층이 되는 것이며, 5층이 기준층이 된다면 5층과 7층이 각각 제1상층과 제2상층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에 관한 것이고, 건축물의 시공에는 여러 가지 공정이 복합적으로 시행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사항 외에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기둥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의 설치, 철근의 배근 및 결합, 콘크리트의 양생 등은 본 발명의 요지(要旨)와 무관하며, 종래의 다양한 공법 중에서 시공 상황에 따라 임의로 선택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a)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층 슬래브(1) 위에 여러 개의 테이블폼(100)을 셋팅하고([도 1]의 a) 참조), 상기 테이블폼(100)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미도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도 1]의 b) 참조)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10)가 형성된 제1상층 슬래브(2)를 축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테이블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 상부에 결합된 패널구조체(120)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폼(100)은 상층의 슬래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인양되어야 하므로 인양작업의 편의를 위해 지지체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동바리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동바리(111)를 횡대(112)로 연결하여, 상기 테이블폼(100)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작업중에 콘크리트의 편심하중에 안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평면모듈을 조합하여 설계된 건축물 또는 슬래브를 동일한 평면모듈로 분할할 수 있도록 설계된 건축물은 본 (a)단계에서 상기 테이블폼(100) 2개가 짝을 이룬 평면모듈 단위로 셋팅하고, 상기 개구부(10)도 하나의 평면모듈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고속 시공을 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이블폼(100)의 패널구조체는 테두리에 L자형 단면의 사이드프레임(121)이 형성된 것으로서, 인접하여 셋팅되는 테이블폼(100)의 사이드프레임(121) 간의 조합으로 보거푸집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테이블폼(100)에 의해 보와 슬래브가 함께 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구조체(1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널(122)의 하부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장선(130)이 받쳐주고, 상기 장선(130)의 하부는 상기 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멍에(140)가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선(130)과 멍에(140)의 상하단에는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선(130)과 멍에(140)는 상기 장선의 하단 플랜지(131)와 상기 멍에의 상단 플랜지(141)를 함께 잡아 문채 고정되는 체결클램프(150)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클램프(15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선의 하단 플랜지(131) 하면과 상기 멍에의 상단 플랜지 하면(141)을 함께 떠받칠 수 있도록 상면에 단(段)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151); 상기 받침부(151)의 양측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의 하단 플랜지(131)에 걸쳐지는 걸쇠부(152); 및 상기 받침부(151)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며 결합되어 상기 멍에의 상단 플랜지에 밀착되는 결합볼트(153); 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접 없이 패널구조체(1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선의 하단 플랜지(131) 위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132)를 형성시키고, 상기 리브(132)의 안쪽에는 보강판(180)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장선(130)의 휨과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선(130)에는 상단 플랜지 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틀(133)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틀(133)에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필러부재(160)를 끼워 넣고, 상기 필러부재(160)의 삽입홈에는 발열전선(170)을 끼워 넣음으로써 콘크리트 발열 양생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a)단계와 후술할 (d)단계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상기 발열전선(170)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양생을 실시함으로써 슬래브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조기에 발현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테이블폼을 조기에 탈형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工期)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층 슬래브(1) 위의 테이블폼(100)을 상기 개구부(10)를 통해 인양하여([도 3]의 (a) 참조), 제1상층 슬래브(2) 위에서 기준층 슬래브(1)에서와 동일한 배치로 셋팅([도 3]의 (b) 참조)하는 단계이다. 테이블폼 인양작업을 위해서는 타워크레인 등 기존의 인양장비(고정식 타워크레인, 모바일 크레인 등)를 활용해도 무방하나,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인양리프트(200)를 활용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시공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인양리프트(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어떠한 장비를 이용하여 인양하든 간에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폼(100)을 비스듬하게 들어 인양함으로써, 인양작업시 개구부(10)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상층 슬래브(2)로 인양한 테이블폼(100)은 제2상층 슬래브(3) 축조를 위해 기준층 슬래브(1)에서와 동일한 배치로 셋팅하여 둔다.
상기 (c)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층 슬래브(1) 위에 슬래브거푸집을 도입하여 제1상층 슬래브(2) 개구부(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셋팅하는 단계. 본 단계에서 도입되는 슬래브거푸집은 슬래브 개구부를 메우기 위한 것으로서, [도 4]는 앞선 단계의 테이블폼(100)과 동일한 것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테이블폼 이외의 어떠한 것이라도 상기 슬래브 개구부 하면을 받치며 슬래브거푸집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면 적용 가능하다.
상기 (d)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층 슬래브(1) 위에 셋팅된 슬래브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1상층 슬래브(2)의 개구부를 메우고, 제1상층 슬래브(2) 위에 셋팅된 테이블폼(100)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층 슬래브(3)를 축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제1상층 슬래브(2)의 개구부(10)를 메우는 작업과 제2상층 슬래브(3)를 축조하는 작업의 선후관계는 정해진 것이 아니며, 위의 양 작업을 동시에 진행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은 전술한 (a)단계 내지 (d)단계를 계획된 층까지 반복 실시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우면서 마무리한다. 이 과정에서 슬래브 축조를 위한 테이블폼은 모두 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통해 상층 슬래브 위로 인양된다. 상기 (c)단계와 (d)단계에서 개구부를 메우는 작업을 위해 도입되는 슬래브거푸집으로서 테이블폼이 적용될 때에는 상기 테이블폼을 건축물 외부를 통해 상층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다만 테이블폼을 건축물 외부로 빼내어 이동시키는 작업보다는 현장조립이 용이한 통상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개구부를 메우고 상기 통상의 거푸집을 탈형한 후에는 인력으로 상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더욱 간결하고 안전하다.
한편, 상기 (b)단계에서의 테이블폼 인양작업은 제1상층 슬래브의 개구부 둘레에 설치되는 인양리프트(200)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양리프트(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틀(210); 상기 상부틀(210)을 지지하며 외관(221)과 내관(222)이 이중관 구조로 결합된 4개의 받침기둥(220); 상기 상부틀(210) 위에 설치되는 윈치(230); 상기 상부틀(210)에 결합된 가이드레일(240); 상기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250); 상기 외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틀(225); 상기 내관의 하단에 결합된 채 수평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10)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브래킷(260); 상기 하부틀(225)에 결합되어 하방향으로는 접히고 상방향으로는 접히지 않으며, 슬래브의 상면에 접지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270); 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221)은 상기 하부틀(225)을 관통하며 외관으로부터 인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테이블폼(100)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로프는 상기 윈치(23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인양로프는 상기 호이스트(250)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호이스트(250)는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양리프트(200)는 4개의 받침기둥(220)이 각각 내관(222)과 외관(221)이 중첩된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관(222)이 외관(22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해 나가는 길이에 따라 인양리프트(200)의 높이가 결정된다. 상기 받침기둥(220)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의 구조를 응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관은 실린더에 해당하고 내관은 피스톤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인양리프트(200)는 상기 내관(222)의 하단에는 수평운동을 하여 상기 개구부(10)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브래킷(260)이 장착되고, 상기 외관(221)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틀(225)에는 하방향으로는 접하고 상방향으로는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 지지부재(270)가 구비되어 있다. 인양리프트(200)가 개구부(10)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상태(즉, 본 발명의 (b)단계를 수행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기둥(220)의 내관(222)이 외관(221)에 완전히 함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260)이 개구부(10)에 걸쳐진 상태로 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270)는 슬래브(10) 위에 접지되어 안착된 상태가 되어 인양리프트(200)가 자립할 수 있게 된다. 기준층 슬래브(1)의 테이블폼(100)을 제1상층 슬래브(2) 위로 인양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제2상층 슬래브(3)를 시공작업이 완료되면, 제1상층 슬래브(2)의 테이블폼(100)을 제2상층 슬래브(3) 위로 인양하기 위해, 상기 인양리프트(200)를 상층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받침기둥(220)의 내관(222)이 외관(22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인양리프트(200)를 밀어올림으로써 인양리프트의 높이가 제2상층 슬래브(3) 위로 올라가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하부틀(225)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재(270)도 함께 위로 올라가며 제2상층 슬래브(3)의 개구부에 걸리지 않도록 아래로 접혔다가 상기 개구부를 지나면 다시 위로 펼쳐져 제2상층 슬래브(3)에 접지된 상태로 안착하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인양리프트(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를 따라 하층에서 상층으로 수직 이동시켜 거치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브래킷(260)과 걸림턱(270)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브래킷(260)은 내관(222)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여, 상기 인양리프트의 수직 이동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70)는 상기 하부틀(225)에 결합되어 하방향으로는 접히고 상방향으로는 접히지 않으며, 슬래브의 상면에 접지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지지부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조립된 ㄱ자 형태로 구성하여 수평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평부재 하부에 위치한 하부틀(225)에 의해 상방향으로는 접히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상기 브래킷(260)을 작업층 슬래브의 개구부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재(270)를 작업층 슬래브 위에 안착시킨 상태이다. [도 9]의 (b)는 내관(222)이 외관(22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인출되어 인양리프트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c)는 외관(221)이 상층 슬래브 위까지 상승하고, 상기 지지부재(270)를 상층 슬래브 위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d)는 작업층 슬래브의 개구부에 밀착되어 있던 브래킷(260)을 후퇴시킨 채 상기 내관(222)을 외관(221) 속으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e)는 상기 내관(222)이 외관(221) 속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브래킷(2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슬래브의 개구부(10)에 걸리지 않도록 안쪽으로 후퇴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9]의 (f)는 상기 브래킷(260)을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층 슬래브의 개구부(10)에 걸쳐진 채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상기 인양리프트(200)는 작업층 슬래브에서 상층 슬래브로 수직 이동하는 것이며, 위 과정을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양리프트를 작업층 슬래브에서 상층 슬래브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받침기둥(220)의 내관(222)이 외관(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260)은 작업층 슬래브의 개구부에 걸쳐져 밀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270)는 작업층 슬래브 위에 안착되어 있는 단계;
(2) 상기 받침기둥(220)의 내관(222)이 하방향으로 빠져나오는 힘으로 인양리프트(200)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3) 상기 지지부재(270)를 상층 슬래브 위에 접지된 채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
(4) 상기 브래킷(260)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내관(222)을 외관(221) 속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브래킷(260)을 다시 전진시켜 상층 개구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인양리프트(200)는 위의 과정에 따라 작업층 슬래브에서 상층 슬래브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내관(222)이 외관(221)으로부터 인출되어 인양리프트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받침기둥(220)의 내관(222)과 외관(221)의 중복부분이 짧아지면서 좌굴에 따른 심각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양리프트가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받침기둥(220) 사이에 가설횡대(280)를 결합시켜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2)단계 실시 전에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기둥(220)의 내관(222)과 외관(221)에 각각에 좌굴방지용 가설횡대(280)를 결합시킴으로써 인양리프트 상승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렇게 결합된 가설횡대(280)는 후의 테이블폼(100) 인양 작업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4)단계 실시 후에는 상기 가설횡대(280)를 해체하여야 한다. 이 때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설횡대(280)를 받침기둥의 외관에 장착된 거치틀(290)에 거치시켜 둘 수 있다.
상기 가설횡대(280) 설치를 위해서는 가설횡대(280)의 양 단부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좁혀지는 형상의 테이퍼형 결합판(281)을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틀(225)의 내측면과 상기 브래킷(260)의 내측 횡단부에 각각 상기 테이퍼형 결합판(281)이 안착되는 테이퍼형 정착구(285)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설횡대(280)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테이퍼형 결합판(281)을 상기 테이퍼형 정착구(285)에 결합시키고, 상기 가설횡대(280)를 해체할 때에는 상기 테이퍼형 결합판(281)을 상기 테이퍼형 정착구(285)에서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결합?해체 작업을 간편화 할 수 있다. 한편, 해체한 가설횡대(280)는 상기 받침기둥(220)의 외관(221)에 결합된 거치틀(290)에 거치시킴으로써, 가설횡대(280)가 시공현장에 어지럽게 놓이는 등으로 공정상 방해 요소가 되지 않도록 정리해 둘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메워 마감하지 않고, 상기 개구부 형성부위에 상하로 뚫려 있는 코어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도 13] 참조).
즉, 상기 (c)단계는 기준층 슬래브 위에 내벽거푸집을 도입하여, 상기 내벽거푸집의 거푸집면 라인이 제1상층 슬래브 개구부의 형성라인에 일치하도록 셋팅하는 (c′)단계로 치환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내벽거푸집 바깥쪽에 철근을 배근하고, 외벽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기준층의 코어구조물을 축조하고, 제1상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d′)단계로 치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코어구조물을 함께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를 계획된 층까지 반복 실시하고, 최상층 슬래브 위에 코어구조물을 축조하면서 본 공법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내벽거푸집으로는 슬라이딩 갱폼을 적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시키며 상층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벽거푸집으로는 경량소판폼을 적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상층으로 운송하며 설치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기준층 슬래브 2 : 제1상층 슬래브
2 : 제2상층 슬래브
10 : 개구부
100 : 테이블폼 110 : 지지체
120 : 패널구조체 121 : 사이드프레임
122 : 거푸집널 130 : 장선
131 : 장선의 하단 플랜지 132 : 리브
133 : 삽입틀 140 : 멍에
141 : 멍에의 상단 플랜지 150 : 체결클램프
151 : 받침부 152 : 걸쇠부
153 : 결합볼트 160 : 필러부재
170 : 발열전선 180 : 보강판
200 : 인양리프트 210 : 상부틀
220 : 받침기둥 221 : 외관
222 : 내관 225 : 하부틀
230 : 윈치 240 : 가이드레일
250 : 호이스트 260 : 브래킷
270 : 지지부재 280 : 가설횡대
281 : 테이퍼형 결합판 285 : 테이퍼형 정착구
290 : 거치틀 300 : 코어구조물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부에 결합된 패널구조체로 구성된 테이블폼을 이용하되,
    상기 패널구조체는 테두리에 L자형 단면의 사이드프레임이 형성된 것으로서, 인접하여 셋팅되는 테이블폼의 사이드프레임 간의 조합으로 보거푸집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널구조체는 거푸집널의 하부를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장선이 받쳐주고, 상기 장선의 하부는 상기 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멍에가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선과 멍에의 상하단에는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선과 멍에는 상기 장선의 하단 플랜지와 상기 멍에의 상단 플랜지를 함께 잡아 문채 고정되는 체결클램프로 연결되며,
    상기 체결클램프는, 상기 장선의 하단 플랜지 하면과 상기 멍에의 상단 플랜지 하면을 함께 떠받칠 수 있도록 상면에 단(段)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양측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의 하단 플랜지에 걸쳐지는 걸쇠부; 및 상기 받침부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며 결합되어 상기 멍에의 상단 플랜지에 밀착되는 결합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a) 기준층 슬래브 위에 상기 테이블폼을 2개가 짝을 이룬 평면모듈 단위로 여러 개 셋팅하고, 상기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기 평면모듈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1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단계;
    (b) 기준층 슬래브 위의 테이블폼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양하여 제1상층 슬래브 위에서 기준층에서와 동일한 배치로 셋팅하는 단계;
    (c) 기준층 슬래브 위에 슬래브거푸집을 도입하여 제1상층 슬래브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셋팅하는 단계; 및
    (d) 기준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슬래브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1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우고, 제1상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단계; 를 계획된 층까지 반복 실시하고,
    최상층 슬래브의 개구부를 메우면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6. 제5항에서,
    상기 장선의 하단 플랜지 위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의 안쪽에 보강판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7. 제5항에서,
    상기 장선에는 상단 플랜지 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틀에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필러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필러부재의 삽입홈에는 발열전선이 끼워져,
    상기 (a)단계와 (d)단계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상기 발열전선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양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8. 제5항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개구부 둘레에 설치되는 인양리프트로 테이블폼을 상층으로 인양하되,
    상기 인양리프트는, 상부틀; 상기 상부틀을 지지하며 내관과 외관이 이중관 구조로 결합된 4개의 받침기둥; 상기 상부틀 위에 설치되는 윈치; 상기 상부틀에 결합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 상기 외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틀; 상기 내관의 하단에 결합된 채 수평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브래킷; 상기 하부틀에 결합되어 하방향으로는 접히고 상방향으로는 접히지 않으며, 슬래브의 상면에 접지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상기 하부틀을 관통하며 외관으로부터 인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9. 제8항에서,
    상기 인양리프트의 받침기둥 사이 사이에는 좌굴방지용 가설횡대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10. 제9항에서,
    상기 가설횡대의 양 단부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좁혀지는 형상의 테이퍼형 결합판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틀의 내측면과 상기 브래킷의 내측 횡단부에는 상기 테이퍼형 결합판이 안착되는 테이퍼형 정착구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테이퍼형 결합판을 상기 테이퍼형 정착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설횡대를 설치하고, 상기 테이퍼형 결합판을 테이퍼형 정착구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가설횡대를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11. 제9항에서,
    상기 받침기둥의 외관에는 거치틀이 결합되어 있어, 해체한 가설횡대를 상기 거치틀에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c)단계는 기준층 슬래브 위에 내벽거푸집을 도입하여, 상기 내벽거푸집의 거푸집면 라인이 제1상층 슬래브 개구부의 형성라인에 일치하도록 셋팅하는 (c′)단계로 치환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내벽거푸집 바깥쪽에 철근을 배근하고, 외벽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기준층의 코어구조물을 축조하고, 제1상층 슬래브 위에 셋팅된 테이블폼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하로 뚫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층 슬래브를 축조하는 (d′)단계로 치환하여,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를 계획된 층까지 반복 실시하고,
    최상층 슬래브 위에 코어구조물을 축조하면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13. 제12항에서,
    상기 내벽거푸집은 슬라이딩 갱폼을 적용하고, 상기 외벽거푸집은 경량소판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KR1020100024648A 2010-03-19 2010-03-19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KR10111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48A KR101116254B1 (ko) 2010-03-19 2010-03-19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48A KR101116254B1 (ko) 2010-03-19 2010-03-19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89A KR20110105489A (ko) 2011-09-27
KR101116254B1 true KR101116254B1 (ko) 2012-03-09

Family

ID=4541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648A KR101116254B1 (ko) 2010-03-19 2010-03-19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151B1 (ko) * 2020-11-13 2021-07-0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바닥 타설 직후 공장제작 화장실 모듈을 인양하고 설치 시기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시공방법
KR102281887B1 (ko) * 2020-11-13 2021-07-27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천장 슬래브 개방을 이용한 공장제작 화장실 모듈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369B1 (ko) * 2012-04-10 2014-0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CN110439268A (zh) * 2018-05-02 2019-11-12 深圳市前海胜德建筑科技有限公司 基于预制叠合楼板的整体式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RU197923U1 (ru) * 2020-01-24 2020-06-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бстрин)" Опалубка перекрыти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151B1 (ko) * 2020-11-13 2021-07-0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바닥 타설 직후 공장제작 화장실 모듈을 인양하고 설치 시기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시공방법
KR102281887B1 (ko) * 2020-11-13 2021-07-27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천장 슬래브 개방을 이용한 공장제작 화장실 모듈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89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025B2 (en) Constructing method for concrete cylinder of construction steel bar of high-rise steel structure
CN105736016A (zh) 隧道二衬钢筋骨架施工装备及其应用
CN106193584B (zh) 一种自支撑组合大钢模板及其防火墙施工方法
KR101116254B1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CN108331336B (zh) 楼板同步施工的整体提升钢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JP6474151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013450B1 (ko) 수직터널의 상부에 돔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6956979U (zh) 一种带顶柱的一字型剪力墙
CN109296117B (zh) 复合式中空内模板轻质隔墙及施工方法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16493B1 (ko) 수직터널 콘크리트 주벽 성형용 슬립폼과 그 콘크리트 주벽시공방법
KR101025317B1 (ko)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449637B2 (ja) 建物の構築方法
CN114439202A (zh) 薄壁超高墙体双侧模板作业平台及可调节固定系统
JP6391135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JP2009299346A (ja) 建築物の施工方法
CN105525629A (zh) 地铁车站施工方法及装置
JP5437876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工程における支持部材の解体撤去方法
JP2016145477A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1025320B1 (ko)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101232B2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CN114251106B (zh) 便于安拆的整体式仰拱端头钢模及施工方法
JP3543246B2 (ja) 仮設養生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