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274B1 -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 Google Patents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274B1
KR101971274B1 KR1020180116556A KR20180116556A KR101971274B1 KR 101971274 B1 KR101971274 B1 KR 101971274B1 KR 1020180116556 A KR1020180116556 A KR 1020180116556A KR 20180116556 A KR20180116556 A KR 20180116556A KR 101971274 B1 KR101971274 B1 KR 10197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upport plate
bridge beam
support bracket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남
Original Assignee
윤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남 filed Critical 윤형남
Priority to KR102018011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인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상단과 교량빔 사이에 설치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상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와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앵커상부가이드에 고정되며, 중앙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너트로 락킹함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Bridge lifting apparatus and lif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피시빔과 교각 사이에 형하공간이나 연단거리 부족시 공간확보를 위해 교량빔을 인상시킬 수 있는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미 인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계곡, 강, 바다를 통과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각종 구조물을 총칭하는 것인데, 보통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과, 교각들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교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교량은 보통 상판과 상판 하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교량빔으로 구성되는데, 교좌장치는 교량빔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완충 및 내진 기능을 수행한다.
교좌장치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원인에 의해 노후되거나 파손되어 교체 또는 보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파손 또는 변형된 교량을 보수함에 있어서 파손 정도에 따라 교량 전체 또는 일부분을 철거하고 다시 복구하거나, 혹은 부분적 보수작업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구하게 되는바, 교량 구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구축하는데 많은 중장비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공사비가 막대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차량통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통행폐쇄 또는 우회로 인한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량 보수시 교량 상판이나 빔 구조물을 철거 또는 해제하지 않고 보수를 요하는 부위만을 상하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수하는 작업으로서 유압잭을 사용하여 교량빔이나 상판을 들어올려 보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교좌장치 보수, 교체 등으로 교량 상부구조물을 유압장치로 들어올리는 인상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교좌장치 교체시 유압잭 설치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교좌장치와 교각의 끝단까지 거리인 연단거리와, 빔의 하단에서 교각의 상단까지의 거리인 형하공간과 같이 유압잭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거나 응력 부족으로 인해 교량의 코핑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우려되어 유압잭을 코핑부에 설치하지 못할 경우 시도되는 공법들이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케미컬 앵커공법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교각의 코핑부 측면에 드릴로 천공하고 브라켓을 부착한 상태에서 앵커를 체결한 후 수지계 접착제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으로써 브라켓을 고정한다. 그리고 브라켓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교량빔을 인상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기존 케미컬 앵커공법의 경우, 교각의 코핑부에 천공한 후 구조물에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므로 교각에 손상을 주게 된다.
그리고 시공시 소음과 분진이 많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이 열악하다.
또 브라켓에 큰 하중이 걸리므로 앵커가 파단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더 많은 앵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오히려 교각을 더 손상, 파손시키거나 추가비용이 증가되고 공기가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12899(2002.2.20)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4531(2012.12.14) "교량 상판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방법"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02954(2003.10.10) "교량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 설치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교각의 코핑부에 천공하고 브라켓을 앵커로 체결하는 종래 케미컬 앵커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교량빔과 교각 사이에 쉽게 거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교각이나 교량빔에 손상을 주지 않고 교량빔을 인상시킬 수 있는 교량빔 인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미컬 앵커공법과 같이 많은 수의 앵커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앵커가 파단될 위험이 없는 안전한 교량빔 인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빔 인상장치는, 교각 상단과 교량빔 사이에 설치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상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와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앵커상부가이드에 고정되며, 중앙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너트로 락킹함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양단에는 상기 앵커하부가이드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하부전단보강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양단에는 상기 앵커상부가이드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상부전단보강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판의 하부면에는 하부휨좌굴보강부재가 더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상부면에는 상부휨좌굴보강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또 하부거치대 일측에는 상기 하부거치대와 상부거치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빔 인상방법은,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과,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상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 및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와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앵커상부가이드에 고정되며 중앙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로 이루어지는 교량빔 인상장치에서 상기 하부거치대를 교각 상부면에 걸쳐 거치하는 하부지지브라켓 설치단계; 별도의 유압장치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상기 상부거치대가 교량빔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상부지지브라켓 상승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하강 체결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임시로 고정하는 임시고정단계;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유압잭 설치단계; 상기 유압잭을 작동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인상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다시 체결하여 락킹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고정하는 락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교량빔 인상장치는, 교각 상단과 교량빔 사이에 설치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앵커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너트로 락킹함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양단에는 상기 앵커하부가이드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하부전단보강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부면에는 상부휨좌굴보강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교량빔 인상방법은,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과,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 및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앵커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교량빔 인상장치에서 상기 하부거치대를 교각 상부면에 걸쳐 거치하는 하부지지브라켓 설치단계; 별도의 유압장치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부지지판이 교량빔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상부지지브라켓 상승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하강 체결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임시로 고정하는 임시고정단계;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유압잭 설치단계; 상기 유압잭을 작동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인상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다시 체결하여 락킹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고정하는 락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교각과 교량빔 사이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1개의 장치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커서 종래 케미컬 앵커공법과 같이 많은 수의 앵커를 체결할 필요가 없다.
둘째, 기존 케미컬 앵커공법의 경우 교각의 코핑부에 천공한 후 구조물에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므로 교각에 손상을 주게 되지만, 본 발명은 교각에 거치하는 방식이므로 교각이나 교량빔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는다.
셋째, 앵커로 체결하고 접착제로 응고시키는 과정이 없으므로 공사비가 크게 절감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시공시 소음과 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작업환경이 좋고, 친환경적이다.
넷째, 유압잭과 앵커가 동시에 교량빔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앵커가 파단되는 위험이 훨씬 줄어들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즉,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교량빔 인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교량빔 인상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제1 실시 예 >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교량빔 인상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교량빔 인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크게 하부지지브라켓(100), 상부지지브라켓(200), 앵커(300) 및 유압잭(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거리측정기(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00)은 교각(10)의 상부면에 거치하여 상기 유압잭(400)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하부지지판(110), 앵커하부가이드(120), 하부거치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11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잭(400)을 지지해야 하므로 유압잭(400)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판(110)은 교각을 지지하도록 충분한 강도와 강성 및 두께를 가져야 하고 적절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재질은 고강도의 주강,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110)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가 내입되면서 결합되도록 반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는 원통형 또는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지판(110)과 수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하부지지판(110)은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는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는 한 쌍이 이격되어 상기 하부지지판(110)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앵커(300)의 하부가 관통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도 큰 하중이 걸리므로 압축강도나 좌굴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재질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하부거치대(1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교각의 상부면에 걸쳐지면서 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하부거치대(130)에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주물로 성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00)은 대략 측단면이 ' ̄│_'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110)의 양단에수직으로 하부전단보강판(1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단보강판(140)은 대략 직각삼각형의 평판일 수 있는데, 하부면이 상기 하부지지판(110)의 양측 상부면에 결합되고, 측면이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와 상기 하부지지판(110)의 결합면에 걸리는 전단력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판(110)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빔으로 구성된 하부휨좌굴보강부재(15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110)은 큰 하중이 걸리면서 휘어지거나 좌굴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지지판(110)에 상기 하부휨좌굴보강부재(1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양측 앵커하부가이드(120) 사이에는 가이드결속부재(121)가 결합되어 양 앵커하부가이드를 서로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00)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단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00)을 뒤집어 배치한 구조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은 상부지지판(210), 앵커상부가이드(220), 상부거치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21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지판(110)과 유사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판(210)은 교량빔(20)을 지지하도록 충분한 강도와 강성 및 두께를 가져야 하고 적절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재질은 고강도의 주강,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가 내입되면서 결합되도록 반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는 원통형 또는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지지판과 수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판(210)은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는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는 한 쌍이 이격되어 상기 상부지지판(210)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앵커(300)의 상부가 관통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도 큰 하중이 걸리므로 압축강도나 좌굴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재질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상부거치대(2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교량빔(20)의 하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상부거치대(230)에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가 관통하면서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홀이 형성되어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주물로 성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00)은 대략 측단면이 '_│ ̄'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양단에 수직으로 상부전단보강판(2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단보강판(240)은 대략 직각삼각형의 평판일 수 있는데, 역방향으로 상부면이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양측 하부면에 결합되고, 측면이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와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결합면에 걸리는 전단력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빔으로 구성된 상부휨좌굴보강부재(25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양측 앵커상부가이드(220) 사이에는 가이드결속부재(221)가 결합되어 양 앵커하부가이드를 서로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앵커(300)는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와 앵커하부가이드(12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앵커의 상부는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반면 상기 앵커(300)의 하부는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300)의 중앙부에 나사산(310)이 형성되고 나사산(310)에는 고정너트(320)가 체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32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너트(320)는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지지판(110)과 상부지지판(210) 사이에는 유압잭(400)이 설치된다.
상기 유압잭(400)은 상기 하부지지판(11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부에서 유압을 공급하여 로드가 상기 상부지지판을 지지하면서 밀어올릴 수 있다.
상기 유압잭(400)은 교량빔(20)의 중량에 맞춰 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만일 교량빔의 중량이 1000톤이고 4개의 교량빔 인상장치를 사용한다면 상기 각 유압잭은 250톤 이상의 힘을 가진 것을 사용해야 한다.
상기 유압잭(400)을 작동시키면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이 상승함에 따라 교량빔(20)이 인상되는데,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이 상승하면서 상기 앵커도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320)를 돌려 상승시킨 후 락킹하면 상기 앵커(300)는 상기 유압잭(400)과 더불어 교량빔(20)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거치대(130)와 상부거치대(230) 사이에는 거리측정기(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기(500)는 교각 상부면과 교량빔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빔(20)을 인상할 때 인상 거리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각 인상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키더라도 인상높이는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각 인상장치에 부착된 거리측정기를 참조하여 상호 거리를 맞춰 인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본 발명 일 실시 예를 이용하여 교량빔을 인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교량빔 인상장치를 교량빔(20)과 교각(10) 사이에 설치하는 설치단계이다.
즉, 상술한 교량빔 인상장치에서 유압잭을 제외한 장치를 교량빔과 교각 사이에 거치하되, 상기 하부지지브라켓의 하부거치대를 교각 상부면에 걸치면서 거치한다. 이때, 상기 앵커하부가이드가 교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의 상부거치대(230)는 교량빔(20)과 교각(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부지지브라켓 상승단계이다.
즉, 별도의 유압장치, 예를 들어 수동유압자키(미도시)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을 상승시키는데, 상기 상부거치대(230)가 교량빔(20)의 하부면에 밀착될 때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앵커상부가이드(220)가 교량빔(2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임시고정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부지지브라켓(200)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320)를 돌려 상기 하부거치대(130)의 상부면까지 하강시켜 체결하면,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은 하강하지 않고 임시로 고정된다. 이때, 임시고정 후 별도의 유압장치는 제거한다.
다음으로 유압잭 설치단계이다.
상기 유압잭(400)을 상기 하부지지판(110)과 상부지지판(21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은 상기 유압잭(400)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을 상승시키는 인상단계이다.
상기 유압잭(400)은 외부에서 유압을 공급하되, 정밀하게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잭(400)의 로드가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지지판(210)을 밀어올리면 상기 앵커(300)가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 전체가 교량빔(20)을 인상시킨다.
상기 거리측정기(500)를 참조하면서 상기 유압잭(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적절한 높이로 교량빔(20)을 인상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위치에 설치된 인상장치의 유압잭 및 거리측정기를 참조, 제어하여 각 장치별로 인상높이를 맞추어 작업한다.
이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너트(320)를 돌려 상기 상부거치대의 하부면까지 상승시킨 후 락킹시킴으로써 인상작업이 완료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 제2 실시 예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교량빔 인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앞선 제1 실시 예는 교각의 폭과 교량빔의 폭이 동일한 경우 또는 교량빔의 폭이 좁아 4개의 장치로 인상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의 폭과 교량빔의 폭이 다르거나 교량빔의 폭이 넓어 다수개의 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하부지지브라켓(100), 앵커(300), 상부지지브라켓(200), 유압잭(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거리측정기(500)가 더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00)과 유압잭(400) 및 거리측정기(500)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하부지지브라켓(100)과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나는 앵커 및 상부지지브라켓(2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앵커(300)는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앵커(300)의 상부에는 나사산(31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310)에는 고정너트(320)가 체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32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너트(320)는 상기 나사산(310)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은 상부지지판(210)과 상부거치대(2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판(21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교량빔(20)을 지지하도록 충분한 강도와 강성 및 두께를 가져야 하고 적절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재질은 고강도의 주강,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거치대(230)는 상기 상부지지판(2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거치대(230)의 상부면과 상부지지판(210)의 상부면은 동시에 교량빔(2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동일한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거치대(230)에는 상기 앵커의 상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이 상승하면 상기 앵커(300)도 함께 상승한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판(110)의 양단에는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하부전단보강판(1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지판(110)의 전단을 방지하도록 보강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하부면에는 상부휨좌굴보강부재(250)가 하나 이상 더 부착되어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휨 또는 좌굴을 방지하도록 보강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고정너트(320)를 돌려 상승시킨 후 락킹하면 상기 앵커(300)는 상기 유압잭(400)과 더불어 교량빔(20)을 지지하게 된다.
이하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사용하여 교량빔을 인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교량빔 인상장치를 교량빔(20)과 교각(10) 사이에 설치하는 설치단계이다.
즉, 상술한 교량빔 인상장치에서 유압잭을 제외한 장치를 교량빔(20)과 교각(10) 사이에 거치하되,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00)의 하부거치대(130)를 교각(10) 상부면에 걸치면서 거치한다. 이때,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가 교각(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의 상부거치대(230) 및 상부지지판(210)은 교량빔(20)의 하측에 위치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부지지브라켓 상승단계이다.
즉, 별도의 유압장치, 예를 들어 수동 유압자키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을 상승시키는데, 상기 상부거치대(230) 및 상부지지판(210)이 교량빔(20)의 하부면에 밀착될 때까지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임시고정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부지지브라켓(200)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320)를 돌려 상기 하부거치대(130)의 상부면까지 하강시켜 체결하면,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은 하강하지 않고 임시로 고정된다. 이때, 임시고정 후 별도의 유압장치는 제거한다.
다음으로 유압잭 설치단계이다.
상기 유압잭(400)을 상기 하부지지판(110)과 상부지지판(21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은 상기 유압잭(400)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을 상승시키는 인상단계이다.
상기 유압잭(400)은 외부에서 유압을 공급하되, 정밀하게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잭(400)의 로드가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지지판(210)을 밀어올리면 상기 앵커(300)가 상기 앵커하부가이드(120)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00) 전체가 교량빔(20)을 인상시킨다.
상기 거리측정기(500)를 참조하면서 상기 유압잭(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적절한 높이로 교량빔(20)을 인상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위치에 설치된 인상장치의 유압잭(400) 및 거리측정기(500)를 참조, 제어하여 각 장치별로 인상높이를 맞추어 작업한다.
이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너트(320)를 돌려 상기 상부거치대의 하부면까지 상승시킨 후 락킹시킴으로써 인상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교각 20 : 교량빔
30 : 교좌장치
100 : 하부지지브라켓
110 : 하부지지판 120 : 앵커하부가이드
121 : 가이드결속부재 130 : 하부거치대
140 : 하부전단보강판 150 : 하부휨좌굴보강부재
200 : 상부지지브라켓
210 : 상부지지판 220 : 앵커상부가이드
221 : 가이드결속부재 230 : 상부거치대
240 : 상부전단보강판 250 : 상부휨좌굴보강부재
300 : 앵커
310 : 나사산 320 : 고정너트
400 : 유압잭
500 : 거리측정기

Claims (8)

  1. 교각 상단과 교량빔 사이에 설치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상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와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앵커상부가이드에 고정되며, 중앙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너트로 락킹함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양단에는 상기 앵커하부가이드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하부전단보강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양단에는 상기 앵커상부가이드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상부전단보강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하부면에는 하부휨좌굴보강부재가 더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상부면에는 상부휨좌굴보강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거치대 일측에는 상기 하부거치대와 상부거치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5. 교량빔을 인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과,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상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 및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상부가이드와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앵커상부가이드에 고정되며 중앙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로 이루어지는 교량빔 인상장치에서 상기 하부거치대를 교각 상부면에 걸쳐 거치하는 하부지지브라켓 설치단계;
    별도의 유압장치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상기 상부거치대가 교량빔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상부지지브라켓 상승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하강 체결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임시로 고정하는 임시고정단계;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유압잭 설치단계;
    상기 유압잭을 작동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인상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다시 체결하여 락킹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고정하는 락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6. 교각 상단과 교량빔 사이에 설치하여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앵커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너트로 락킹함으로써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양단에는 상기 앵커하부가이드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하부전단보강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부면에는 상부휨좌굴보강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장치.
  8. 교량빔을 인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앵커하부가이드와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브라켓과,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앵커하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 및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교량빔의 하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앵커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교량빔 인상장치에서 상기 하부거치대를 교각 상부면에 걸쳐 거치하는 하부지지브라켓 설치단계;
    별도의 유압장치로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상기 상부거치대와 상부지지판이 교량빔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하는 상부지지브라켓 상승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하강 체결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임시로 고정하는 임시고정단계;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유압잭 설치단계;
    상기 유압잭을 작동하여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상승시켜 교량빔을 인상시키는 인상단계;
    상기 고정너트를 다시 체결하여 락킹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브라켓을 고정하는 락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 인상방법.
KR1020180116556A 2018-09-28 2018-09-28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KR10197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556A KR101971274B1 (ko) 2018-09-28 2018-09-28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556A KR101971274B1 (ko) 2018-09-28 2018-09-28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274B1 true KR101971274B1 (ko) 2019-04-22

Family

ID=6628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556A KR101971274B1 (ko) 2018-09-28 2018-09-28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1664A (zh) * 2019-04-05 2019-05-28 陈绪涛 一种建筑桥梁修建工程施工移动式吊装支架
CN110700113A (zh) * 2019-11-05 2020-01-17 中建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无预应力束桥梁的预应力施加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250709A (zh) * 2021-12-30 2022-03-29 中铁十二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高位不顶升落梁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899A (ko) 2000-08-09 2002-02-20 박재만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100402954B1 (en) 2002-08-12 2003-10-30 Anpoong Construction Co Ltd Bridge seat system for pulling and preventing fall of bridge be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0538155B1 (ko) * 2005-09-22 2005-12-21 (주)부흥시스템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보수방법
KR100853235B1 (ko) * 2008-02-15 2008-08-20 차현남 고정밀 전자식 압력 측정이 우수한 교축·교직용 j.p.c플랫 잭
KR101066837B1 (ko) * 2011-02-17 2011-09-26 심규숙 받침기능을 보유하고 탈락방지가 가능한 탈착식 교량용 인상장치
KR101214531B1 (ko) 2012-11-12 2013-01-09 (주)우암건설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KR101243232B1 (ko) * 2012-11-02 2013-03-15 해평토 주식회사 기계식 자동인상 장치와 안전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교량상판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899A (ko) 2000-08-09 2002-02-20 박재만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100402954B1 (en) 2002-08-12 2003-10-30 Anpoong Construction Co Ltd Bridge seat system for pulling and preventing fall of bridge be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0538155B1 (ko) * 2005-09-22 2005-12-21 (주)부흥시스템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보수방법
KR100853235B1 (ko) * 2008-02-15 2008-08-20 차현남 고정밀 전자식 압력 측정이 우수한 교축·교직용 j.p.c플랫 잭
KR101066837B1 (ko) * 2011-02-17 2011-09-26 심규숙 받침기능을 보유하고 탈락방지가 가능한 탈착식 교량용 인상장치
KR101243232B1 (ko) * 2012-11-02 2013-03-15 해평토 주식회사 기계식 자동인상 장치와 안전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교량상판 승강장치
KR101214531B1 (ko) 2012-11-12 2013-01-09 (주)우암건설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1664A (zh) * 2019-04-05 2019-05-28 陈绪涛 一种建筑桥梁修建工程施工移动式吊装支架
CN110700113A (zh) * 2019-11-05 2020-01-17 中建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无预应力束桥梁的预应力施加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250709A (zh) * 2021-12-30 2022-03-29 中铁十二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高位不顶升落梁施工方法
CN114250709B (zh) * 2021-12-30 2024-03-26 中铁十二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高位不顶升落梁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274B1 (ko)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US8136191B2 (en) Scaffold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edge structure of a concrete bridge
US8550213B2 (en) Scaffold element, arrangement and method of use
KR100719959B1 (ko)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KR101300073B1 (ko) 거더 인상장치
KR100726163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0707312B1 (ko)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KR101095450B1 (ko) 승강수단을 이용한 교량 해체공법
KR102368433B1 (ko)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KR101736680B1 (ko) 가로보를 이용한 교량상부구조물의 측면인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교량받침의 교체방법
KR101004795B1 (ko) 강판형교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구조
KR101066837B1 (ko) 받침기능을 보유하고 탈락방지가 가능한 탈착식 교량용 인상장치
KR101809176B1 (ko) 인상잭 아치지지대를 이용한 교량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방법
KR101116345B1 (ko)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100478701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승상 및 보수, 보강방법
KR101193470B1 (ko) 교량받침 및 교량의 시공방법
KR101605011B1 (ko) 교량 하부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0944007B1 (ko)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KR100450863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장치
US10113324B2 (en)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JP6495846B2 (ja) 法面のアンカー工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レールユニットセット
KR20040076348A (ko) 아이형강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설치방법
KR100452495B1 (ko)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및 이를이용한 지지인상방법
KR102003990B1 (ko) 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KR200337552Y1 (ko)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