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349B1 -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 Google Patents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349B1
KR101958349B1 KR1020180073754A KR20180073754A KR101958349B1 KR 101958349 B1 KR101958349 B1 KR 101958349B1 KR 1020180073754 A KR1020180073754 A KR 1020180073754A KR 20180073754 A KR20180073754 A KR 20180073754A KR 101958349 B1 KR101958349 B1 KR 10195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roller
guid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석이
Original Assignee
천석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석이 filed Critical 천석이
Priority to KR102018007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정에 에어콘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천정의 높이가 3미터 내외가 되는 건물의 실내 천정에 각종 작업을 하는 경우와, 대형마트나 공장의 창고에서 물품을 수납 및 정리할 때 그들의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접이식 사다리의 상부에 작업부가 승하강되는 승하강작업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천정이나 높은 선반에서의 작업과 같은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에 승하강작업대의 작업부에 고소작업에 필요한 물품 및 공구 등을 올려놓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접이식 사다리와 승하강작업대가 간편하게 분리됨에 따라 소형 SUV차량에도 적재가 가능할 만큼 부피를 감축되어서 작업현장으로의 이동과 설치, 그리고 보관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이식사다리(20)의 상부에 승하강작업대(3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승하강작업대(30)에 포함되는 승하강대(40)의 하부가 양측 상부발판(21) 사이의 상부공간부(22)로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작업대(30)의 설치대(31)가 상부발판(21)에 볼트(2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작업대(30)는 양측 상부발판(21)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31)의 중앙에 중앙통공(3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설치대(31)에는 중앙통공(32)과 통하는 가이드관(33)이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관(33)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적재대(41)가 설치된 승하강대(4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31)의 상부에는 래치가 구비된 공지의 와이어윈치(48)가 설치되며, 승하강대(40)의 하단부에는 와이어(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내하는 이탈방지구(37)와 안내롤러(46)가 설치된 브래킷(45)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윈치(48)에서 풀려나온 와이어(50)가 중앙통공(32)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안내롤러(46)에 안내된 상태에서 중앙통공(32)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설치대(31)의 와이어고정부(49)에 고정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Ladder lift and descend workbench}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정에 에어콘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천정의 높이가 3미터 내외가 되는 건물의 실내 천정에 각종 작업을 하는 경우와, 대형마트나 공장의 창고에서 물품을 수납 및 정리할 때 그들의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접이식 사다리의 상부에 작업부가 승하강되는 승하강작업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천정이나 높은 선반에서의 작업과 같은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에 승하강작업대의 작업부에 고소작업에 필요한 물품 및 공구 등을 올려놓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접이식 사다리와 승하강작업대가 간편하게 분리됨에 따라 소형 SUV차량에도 적재가 가능할 만큼 부피를 감축되어서 작업현장으로의 이동과 설치, 그리고 보관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발목적과 적용범위가 동일한 종래발명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 지나, 고소작업을 위해 개발된 종래발명은 특허출원 제10-2008-0136438호(발명의 명칭 : 고소용 작업대)로 출원되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대(10)를 지지하기 위한 주지지대(100)와, 상기 주지지대(100)의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작업용 의자(300)와, 상기 몸체부(20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사다리(400A,400B)와, 상기 몸체부(20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보조지지대(500A,5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작업용 위자(300)의 상부에는 접철 가능한 공구대(3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의 고소용 작업대는 제 1 및 제 2 사다리(400A,400B)가 몸체부(200)와 양측 제 1 및 제 2 보조지지대(500A,500B)가 높이 조절되는 것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육중하게 부피도 커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바와 같이 실내의 천정에 천정에어콘을 설치하거나, 마트의 선반 상측의 물품을 정리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으로의 이동시킬 때 소형승합차에는 적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종래발명을 펼쳐서 설치하고 접어두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삭제
특허출원 제10-2008-0136438호(발명의 명칭 : 고소용 작업대)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된 접이식 사다리의 상부에 작업부가 승하강되는 승하강작업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천정이나 높은 선반에서의 작업과 같은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에 승하강작업대의 작업부에 고소작업에 필요한 물품 및 공구 등을 올려놓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접이식 사다리와 승하강작업대가 간편하게 분리됨에 따라 소형 SUV차량에도 적재가 가능할 만큼 부피를 감축되어서 작업현장으로의 이동과 설치, 그리고 보관이 간편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이식사다리의 상부에 승하강작업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승하강작업대에 포함되는 승하강대의 하부가 양측 상부발판 사이의 상부공간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작업대의 설치대가 상부발판에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작업대는 양측 상부발판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의 중앙에 중앙통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설치대에는 중앙통공과 통하는 가이드관이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관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적재대가 설치된 승하강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는 래치가 구비된 공지의 와이어윈치가 설치되며, 승하강대의 하단부에는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내하는 이탈방지구와 안내롤러가 설치된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윈치에서 풀려나온 와이어가 중앙통공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안내롤러에 안내된 상태에서 중앙통공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설치대의 와이어고정부에 고정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는, 천정이나 높은 선반에서의 작업과 같은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에 승하강작업대의 작업부에 고소작업에 필요한 물품 및 공구 등을 올려놓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접이식 사다리와 승하강작업대가 간편하게 분리됨에 따라 소형 SUV차량에도 적재가 가능할 만큼 부피를 감축되어서 작업현장으로의 이동과 설치, 그리고 보관이 간편한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의 (가)(나)는 도 4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1)는, 공지된 A형 접이식사다리(20)의 상부에 승하강작업대(3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승하강작업대(30)에 포함되는 승하강대(40) 하부가 양측 상부발판(21) 사이의 상부공간부(22)로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작업대(30)의 설치대(31)가 상부발판(21)에 볼트(2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설치대(31)와 상부발판(21)에는 볼트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 볼트구멍이 일치되게 상부발판(21)의 상부에 설치대(31)를 얹은 상태로 서로 일치한 볼트구멍에 볼트(24)를 삽입시켜 승하강작업대(30)를 A형 접이식사다리(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공지된 접이식사다리(20)의 상부발판(21) 부위에 봉형 수평대가 설치된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봉형 수평대에 볼트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U볼트로 봉형 수평대와 설치대(31)를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작업대(30)는 양측 상부발판(21)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31)의 중앙에 중앙통공(3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설치대(31)에는 중앙통공(32)과 통하는 가이드관(33)이 수직 설치되며, 이 가이드관(33)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적재대(41)가 설치된 승하강대(40)가 삽입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가이드관(33)은 승하강대(40)가 상하로 관통되어 승하강대(40)의 승하강을 안내하며, 가이드관(33)을 설치대(31)의 하부에 하향 설치하면 가이드관(33)의 일측을 개방시키지 않아도 된다.
삭제
상기 승하강작업대(30)에 포함되는 승하강대(40) 하부가 양측 상부발판(21) 사이의 상부공간부(22)로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작업대(30)의 설치대(31)가 상부발판(21)에 볼트(2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작업대(30)는 양측 상부발판(21)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31)의 중앙에 중앙통공(3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설치대(31)에는 중앙통공(32)과 통하는 가이드관(33)이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관(33)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적재대(41)가 설치된 승하강대(40)가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대(40)의 하단부에는 와이어(50)가 안내되는 브라켓(45)이 설치되며, 설치대(31)의 상부에는 래치(48a)가 구비된 공지의 와이어윈치(48)가 설치되고, 와이어윈치(48)에서 풀려나온 와이어(50)가 중앙통공(32)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이탈방지구(37)가 설치된 브래킷(45)에 설치된 안내롤러(46)에 안내된 상태에서 중앙통공(32)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설치대(31)의 와이어고정부(49)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 이는 일실시예에서 승하강대(40)를 1단으로 구성하여 와이어윈치(48)의 와이어에 의해 승하강시켰으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의 승하강대(40)에 대응되는 기둥을 2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이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1)는, 접이식사다리(20)의 상부에 승하강작업대(30a)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승하강작업대(30a)의 설치대(31)중앙에 수직 설치되는 외부관(60)이 양측 상부발판(21) 사이의 상부공간부(22)로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작업대(30a)의 설치대(31)가 상부발판(21)에 볼트(2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중앙에 외부관(60)이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설치대(31)의 일측 소정위치에 와이어관통홀(34)이 형성되며, 외부관(60)의 상부에는 중앙에 내부관(70)이 승하강 안내되는 슬라이드홀(62)이 상하로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상부안내롤러(64)와 와이어고정부(49)가 설치되는 상부롤러설치구(61)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롤러설치구(61)의 슬라이드홀(62) 내주면 양측과 상부롤러설치구 몸체의 일측 소정위치에 와이어관통홀(63)이 상하로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부관(60)의 하부에는 하측에 하부안내롤러(67)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러설치구(61)의 일측 와이어관통홀(63)과 대응되는 와이어관통홀(65)이 형성된 하부캡(6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홀(62)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적재대(41)가 설치된 내부관(70)이 상하로 안내되게 삽입 설치되며, 외부관(60)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부관(70) 하단부 외주연에는 내부롤러설치대(71)가 외부관(60)의 내주연에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된다.
상기 내부롤러설치대(71)는 상부롤러설치구(61)에 형성된 각각의 와이어관통홀(63)과 대응되는 와이어관통홀(73)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 내부안내롤러(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31)의 상부에는 와이어가 감긴 윈치(드럼)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래치(48a)가 구비된 공지의 와이어윈치(48)가 설치되고, 와이어윈치(48)에서 풀려나온 와이어(50)가 와이어관통홀(34)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하부안내롤러(67)에 안내된 상태에서 각각의 와이어관통홀(65,73,63)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상부안내롤러(64)에 안내되고, 뒤이어 타측의 와이어관통홀(63,73)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내부안내롤러(72)에 안내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올라가 타측의 와이어관통홀(73,63)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와이어고정부(49)에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설치된 와이어윈치(48)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감긴 윈치(드럼)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공지된 래치가 설치되어 필요한 만큼 적재대(41)를 승하강시키고 와이어윈치(48)의 동작이 정지되면, 공지된 와이어윈치(48)의 윈치(드럼)이 와이어윈치(48)에 설치된 래치걸림부(도시생략)에 걸려 와이어윈치(48)의 회전이 정지되어 와이어(50)가 더 이상 풀리거나 감기지 않아서 적재대(41)가 높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4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일,이실시예에 설치된 적재대(41) 대신에 승하강대(40) 및 내부관(70)의 상단부에 후크(35)가 설치된 후크대(36)가 설치되어 들어올릴 물건을 후크(35)로 걸어서 승하강하는 것으로, 후크대(36)를 제외한 그 하측의 구성이 일,이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45a"는 와이어통과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1)는, 건물 실내의 천정에 에어콘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천정의 높이가 3미터 내외가 되는 건물의 실내 천정에 각종 작업을 하는 경우와, 대형마트나 공장의 창고 등의 선반에 물품을 수납 및 정리할 때 그들의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천정 에어콘의 탈부착 및 유지, 보수작업을 하는 경우에 소형 SUV차량이나, 소형 승합차, 1톤 내외의 소형화물차에 본 발명을 구성하는 A형 접이식사다리(20)와, 승하강작업대(30,30a,30b)를 분리시킨 상태로 적재하여 이동하며, 작업현장으로 이동시에도 서로를 분리시킨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들을 분리시킴에 따라 길이와 무게가 작업자 혼자서 별도의 장비가 없이 어깨에 짊어지거나 들어서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고, 소형 SUV차량에도 적재가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킨 A형 접이식사다리(20)와, 승하강작업대(30,30a,30b)를 작업현장에서 간단히 조립하는데, 조립 작업은 접이식사다리(20)를 도 1에서와 같이 "A"형이 되도록 펼친 뒤에 접이식사다리(20)의 양측 상부발판(21)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공간부(22)로 일실시예의 경우 승하강대(40)의 하부를 삽입시키고, 설치대(31)를 양측 상부발판(21)상부에 얹힌 뒤에 설치대(31)와 상부발판(21)을 볼트(24)로 조립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1)의 조립 및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이실시예의 경우에도 설치대(31)의 하방으로 돌출된 막대형 승하강대(40)과 외부관(60)를 상부발판(21)의 상부공간부(22)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설치대(31)와 상부발판(21)을 볼트(24)로 조립시키는 작업은 동일한 것이다.
이렇게 조립 설치된 일실시예에 의한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1)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 예를 들어 천정형 에어콘의 설치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초기에는 적재대(41)를 내려서 적재대(41)가 상부발판(21)의 바로 위에 멈춰있게 한 상태에서 적재대(41)의 상부에 천정에 설치할 에어콘 및 작업공구를 얹힌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와이어윈치(48)를 수동핸들이나 핸드드릴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공지된 와이어윈치(48)에 설치된 윈치에 와이어(50)가 감기게 되는데, 와이어(50)가 풀려나온 단부는 와이어윈치(48)가 설치된 설치대(31)의 반대편에 와이어고정부(49)에 고정된 상태에서 윈치(드럼)에 와이어가 감김에 따라 윈치에서 풀려나온 와이어(5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승하강대(40)의 하단부에 설치된 안내롤러(46)에 와이어(50)가 안내되어 승하강대(40)가 상승하게 된다.
승하강대(40)가 상승할 때 승하강대(40)가 가이드관(33)에 안내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필요한 높이만큼 적재대(41)가 상승하여 와이어윈치(48)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와이어윈치(48)에 설치된 래치(48a)에 의해 와이어윈치(48)에 설치된 윈치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적재대(41)가 상승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설치대(31)에 고정 설치된 외부관(60)의 내부에 내부관(70)이 2단으로 출몰되도록 된 것이다.
즉, 설치대(31)에 설치된 와이어윈치(48)가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윈치(48)에서 풀려 나온 와이어(50)의 단부가 와이어윈치(48) 반대편의 와이어고정부(49)에 고정된 상태에서 윈치에 와이어가 감김에 따라 와이어윈치(48)의 윈치에서 풀려나온 와이어(50)의 전체길이가 짧아지면서 외부관(60)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관(70)이 상승하는데, 풀려나온 와이어(50)의 길이가 단축되는 것에 대하여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윈치(48)가 회전되면서 그 윈치(드럼)에 와이어(50)가 감겨지면, 그 와이어(50)는 상부롤러설치구(61)의 우측 와이어관통홀(63)과, 그 하측의 내부롤러설치대(71)의 우측 와이어관통홀(73)을 통과하여 하측의 내부안내롤러(72)에 안내된다.
그 뒤에 내부롤러설치대(71)의 좌측 와이어관통홀(73)과, 그 상측의 상부롤러설치구(61)의 내부관 좌측의 와이어관통홀(63)로 올라가서 상부안내롤러(64)에 안내되어 상부안내롤러(64) 좌측의 와이어관통홀(63)로 내려오고, 뒤이어 내부롤러설치대(71)의 맨 좌측 와이어관통홀(73)과, 하부캡(66)의 와이어관통홀(65)을 통과한 뒤에 하부안내롤러(67)에 감겨져 안내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올라가 설치대(31)의 와이어관통홀(34)로 나가서 와이어윈치(48)에 와이어(50)가 감김에 따라 내부관(70)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외부관(60)의 내부에서 내부관(70)이 상승할 때, 내부관(70)의 하측에 설치된 내부롤러설치대(71)가 외부관(60)의 내주연에 안내될 만큼 소정의 폭(높이)으로 형성되고, 외부관(6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롤러설치구(61)의 중심부에 내부관(70)의 승하강을 안내되는 슬라이드홀(62)이 도 3에서와 같이 형성되어서 내부관(70)이 외부관(60)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내부관(70) 상측의 적재대(41)가 필요한 높이만큼 상승한 뒤에 와이어윈치(48)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와이어윈치(48)에 포함된 래치에 의해 적재대(41)가 상승된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후크대(36)를 설치한 삼실시예에 의한 승하강작업대(30b)는 후크대(36)를 제외하고는 와이어윈치(48)를 이용하여 승하강대(40)와 내부관(70)을 승하강시키는 구성이 일,이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삼실시예에 의한 승하강작업대(30b)는, 승하강대(40)와 내부관(70)의 상부에 후크(35)를 설치한 후크대(36)가 설치되어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는 것이며, 특히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에어콘실외기를 크레인 형태로 걸어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 안전한 작업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와이어윈치(48)가 설치된 일,이,삼실시예에서 와이어(50)를 안내하는 각각의 안내롤러(46,67)의 브래킷(45)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7)를 설치하여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위에서의 설명에서 적재대(41) 및 후크대(36)가 상승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는데, 적재대(41) 및 후크대(36)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그들의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적재대(41) 및 후크대(36)를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와이어윈치(48)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 래치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는 것으로 설치하였는데, 상기 래치는 공지된 양방향래치를 적용 설치하며, 양방향 래치에는 방향전환 레버가 구비되어 윈치가 회전을 멈추면 그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되게 래치가 걸리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윈치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방향전환 레버로 방향을 전환하면 변경된 방향으로의 회전이 멈췄을 때 그 것에 대한 역회전을 방지하는 공지된 것이다.
1 :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20 : 접이식사다리
21 : 상부발판 22 : 상부공간부
24 : 볼트 30,30a,30b : 승하강작업대
31 : 설치대 32 : 중앙통공 33 : 가이드관
34,63,65,73 : 와이어관통홀 35 : 후크
36 : 후크대 37 : 이탈방지구 40 : 승하강대
41 : 적재대 42 : 래크부 43 : 피니언
44 : 구동기 45 : 브래킷 46 : 안내롤러
48 : 와이어윈치 49 : 와이어고정부
50 : 와이어 60 : 외부관 61 : 상부롤러설치구
62 : 슬라이드홀 64 : 상부안내롤러 66 : 하부캡
67 : 하부안내롤러 70 : 내부관 71 : 내부롤러설치대
72 : 내부안내롤러

Claims (4)

  1. 삭제
  2. 접이식사다리(20)의 상부에 승하강작업대(3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승하강작업대(30)에 포함되는 승하강대(40)의 하부가 양측 상부발판(21) 사이의 상부공간부(22)로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작업대(30)의 설치대(31)가 상부발판(21)에 볼트(2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작업대(30)는 양측 상부발판(21)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31)의 중앙에 중앙통공(3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설치대(31)에는 중앙통공(32)과 통하는 가이드관(33)이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관(33)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적재대(41)가 설치된 승하강대(4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31)의 상부에는 래치가 구비된 공지의 와이어윈치(48)가 설치되며, 승하강대(40)의 하단부에는 와이어(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내하는 이탈방지구(37)와 안내롤러(46)가 설치된 브래킷(45)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윈치(48)에서 풀려나온 와이어(50)가 중앙통공(32)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안내롤러(46)에 안내된 상태에서 중앙통공(32)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설치대(31)의 와이어고정부(49)에 고정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3. 접이식사다리(20)의 상부에 승하강작업대(30a)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승하강작업대(30a)의 외부관(60)이 양측 상부발판(21) 사이의 상부공간부(22)로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작업대(30a)의 설치대(31)가 상부발판(21)에 볼트(2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작업대(30a)는 양측 상부발판(21)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31)의 중앙에 외부관(60)이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이 설치대(31)에는 와이어관통홀(34)과 이 와이어관통홀(34)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윈치(48)가 설치되며,
    상기 외부관(60)의 상부에 상부롤러설치구(61)를 설치하되, 이 상부롤러설치구(61)는 중앙에 내부관(70)이 승하강 안내되는 슬라이드홀(62)이 상하로 형성되며 이 슬라이드홀(62)의 양측 내주면과 상부롤러설치구의 몸체의 일측 소정위치에 와이어관통홀(6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부관(60)의 하부에는 하측에는 와이어(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내하는 이탈방지구(37)와 하부안내롤러(46)가 설치된 브래킷(45)에 설치되며, 상부롤러설치구(61)의 일측 와이어관통홀(63)과 대응되는 와이어관통홀(65)이 형성된 하부캡(66)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홀(62)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적재대(41)가 설치된 내부관(70)이 상하로 안내되게 삽입 설치되며, 외부관(60) 내측의 내부관(70) 하단부 외주연에는 상부롤러설치구(61)에 형성된 각각의 와이어관통홀(63)과 대응되는 와이어관통홀(73)이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 내부안내롤러(72)가 설치된 내부롤러설치대(71)가 외부관(60)의 내주연에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윈치(48)에서 풀려나온 와이어(50)가 와이어관통홀(34)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하부안내롤러(67)에 안내된 상태에서 각각의 와이어관통홀(65,73,63)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상부안내롤러(64)에 안내되고, 타측의 와이어관통홀(63,73)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내부안내롤러(72)에 안내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올라가 타측의 와이어관통홀(73,63)을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 와이어고정부(49)에 고정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41) 대신에 선단부에 후크(35)가 구비된 후크대(36)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KR1020180073754A 2018-06-27 2018-06-27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KR10195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54A KR101958349B1 (ko) 2018-06-27 2018-06-27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54A KR101958349B1 (ko) 2018-06-27 2018-06-27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349B1 true KR101958349B1 (ko) 2019-03-14

Family

ID=6575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754A KR101958349B1 (ko) 2018-06-27 2018-06-27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128B1 (ko) 2023-12-27 2024-04-25 오동영 화물 이송용 이동식 사다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438B1 (ko) 1994-07-23 1998-04-25 김선중 고온 에탄올 발효에 유용한 신규 효모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제조방법
JP2003265633A (ja) * 2002-03-15 2003-09-24 Matsumoto Kiko Kk 避難装置
JP2003321987A (ja) * 2002-05-07 2003-11-14 Taku Yoshizaki 脚立に装着するリフト装置及びリフト装置を備えた脚立
JP2012062640A (ja) * 2010-09-14 2012-03-29 Pica Corp 踏台
KR101767014B1 (ko) * 2016-11-02 2017-08-09 서동영 전동 드라이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사다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438B1 (ko) 1994-07-23 1998-04-25 김선중 고온 에탄올 발효에 유용한 신규 효모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제조방법
JP2003265633A (ja) * 2002-03-15 2003-09-24 Matsumoto Kiko Kk 避難装置
JP2003321987A (ja) * 2002-05-07 2003-11-14 Taku Yoshizaki 脚立に装着するリフト装置及びリフト装置を備えた脚立
JP2012062640A (ja) * 2010-09-14 2012-03-29 Pica Corp 踏台
KR101767014B1 (ko) * 2016-11-02 2017-08-09 서동영 전동 드라이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128B1 (ko) 2023-12-27 2024-04-25 오동영 화물 이송용 이동식 사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US7448598B1 (en) Quick panel lifter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US5772183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for demountable positioning in an overhead location
JP2009084901A (ja) 昇降作業台装置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KR100956177B1 (ko) 고소작업대
US4897011A (en) Mechanical lift device
KR101958349B1 (ko)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KR102105675B1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KR20080063224A (ko) 이동형 작업대
JP3142741B2 (ja) 重量物移動装置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KR20080102922A (ko) 리프트 고소 작업대
JP3548287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台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JP2515215B2 (ja) 簡易作業台
JPH08333975A (ja) リフト型高所作業台
CN218597708U (zh) 一种房建用搭载架
JP5647772B2 (ja) 昇降移動式張り出し足場
KR20220145528A (ko) 올 덕트 지그
JP2019081636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用はしご装置
KR102250101B1 (ko) 접이식 고소작업대
KR20170062891A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