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224A - 이동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224A
KR20080063224A KR1020070141356A KR20070141356A KR20080063224A KR 20080063224 A KR20080063224 A KR 20080063224A KR 1020070141356 A KR1020070141356 A KR 1020070141356A KR 20070141356 A KR20070141356 A KR 20070141356A KR 20080063224 A KR20080063224 A KR 20080063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ail
pedestal
worktable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하
Original Assignee
김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하 filed Critical 김민하
Publication of KR2008006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224A/ko
Priority to PCT/KR2008/0077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84889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 때 등의 고소 작업시 작업장의 지면상태나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한 이동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공중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와, 상기 몸체부와 레일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연결 지지하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대, 레일, 이동 캐리지, 이동형, 작업용카, 보조바퀴부

Description

이동형 작업대{Portable Worktable}
본 발명은 이동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 때 등의 고소 작업시 작업장의 지면상태나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한 이동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高所)용 작업대는 천정이나 벽면 등의 내,외장 작업이나 전기배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기구로서, 산업 및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대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재 또는 철재로 형성되어 무게가 무거우므로 하측에 다수 개의 바퀴를 구비하여 이동하게 된다. 종래의 이동작업대는 벽면이나 천정 등의 내,외장 작업을 하도록 사람이 올라서는 장방형의 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양단 하측에는 오르고 내리도록 사다리 형상의 지지대가 연결되며, 상기 발판의 양측에 낙하방지를 위하여 손잡이대가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4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작업대는 작업 중에 이동할 경우 발판에 서 내려와 밀어서 이동하여야 하므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작업 도중에 발판에서 지면으로 내려와 이동하면서 작업하여야 하고, 발판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높은 고가 작업을 할 경우에 별도의 발판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고소용 작업대는 이동의 편의성 또는 위치선정 후의 안정성과 같은 2가지 측면에서 어느 하나의 특성만을 만족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작업편의성 및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를 한 번 위치시키면 작업자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고소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동형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공중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와, 상기 몸체부와 레일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연결 지지하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4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와 연결 설치된 제1단 몸체의 내부로 제2단 내지 제4단 몸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 몸체의 내부에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 부에는 로드가 연결 설치되어 제2단 몸체를 승,하강 시키고, 상기 제2단 몸체의 상부 외측에는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단 몸체의 내측에는 리드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제3단 몸체와 제4단 몸체의 내측에는 제1래크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에는 스크류 기어 및 제1피니언 기어가 각각 상기 리드 스크류 및 제1래크기어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대에는 작업대의 이동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바퀴부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부는 상기 받침대의 양 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1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2다리부와, 상기 제2다리부의 양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다리부 및 상기 제3다리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바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의 연결부 하부에는 지지용 다리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레일부는 상기 블록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2래크 기어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래크 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피니언 기어가 설치된 이동캐리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캐리지의 상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이동캐리지의 양 측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사다리가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블록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본블록과, 상기 기본블록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레일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캐리지블록 및 상기 캐리지블록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업용 의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레일의 양 측면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캐리지블록의 관통홀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본블럭의 전면에는 도르레가 고정 설치되고, 후면에는 작업용사다리 이음쇠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보조 사다리 이음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르레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받침대의 상부에는 가이드윈치가 설치되고, 상기 도르레와 가이드윈치의 사이에는 와이어 로프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승,하강하는 작업용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용카는 상기 와이어 로프가 삽입되어 작업용카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틀과, 상기 손잡이틀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잠금고리가 형성된 출입문 및 상기 작업용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용 사다리 이음쇠에는 하단에 절첩 가능한 바퀴가 설치된 작업용 사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는 상기 작업용 사다리가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의 내측에는 슬라이드바가 설치되어 작업용 사다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치홈의 측면에는 절첩된 바퀴가 수용되는 바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후측 일측면에는 상기 안치홈에 안치된 상태의 작업용 사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사다리 이음쇠에는 보조 사다리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퀴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퀴축은 3단으로 구성되되, 중앙의 2단 바퀴축은 1단 및 3단 바퀴축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1단 및 3단 바퀴축과 받침대의 사이에는 각각 유압실린더와 완충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에 의하면, 작업대를 한 번 위치시키면 작업대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전,후,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고소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대의 이동시간을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몸체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몸체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이동캐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 중 바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 때 등의 고소 작업시 작업장의 지면상태나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한 이동형 작업대(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받침대(100), 바퀴(200), 몸체부(300), 레일부(500) 및 블록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받침대(100)는 작업대(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대(100)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바퀴(200)가 설치되어 작업대(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는 몸체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 부(3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할 장소의 높이에 맞추어 작업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공중에서 좌,우로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일(510)을 포함하는 레일부(5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부(500)는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블록부(40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블록부(400)가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500) 또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공중에서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몸체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단으로 구성되는데, 받침대(100)의 중앙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1단몸체(310)의 내부로 제2단 내지 제4단몸체(320,330,3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단몸체(320)의 외측 상부에는 모터(350)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모터(350)는 제3단몸체(330) 및 제4단몸체(34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3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우선 제1단몸체(310)의 내측에는 실린더(312)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312)의 상부, 즉 상기 실린더(312)와 제2단몸체(320)의 사이에는 로드(314)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로드(314)의 상승 작동에 따라 제2단몸체(320)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단몸체(330)의 내측에는 리드 스크류(332)가 설치되고, 제3단몸체(330)와 제4단몸체(340)의 내측에는 제1래크기어(342)가 설치되는데, 상기 리드 스크류(332)와 제1래크기어(342)는 각각 제2단몸체(32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350)로부터 몸체부(300)의 내측으로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352)에 결합되는 스크류기어(354)와 제1피니언기어(356)에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모터(35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352)에 결합된 스크류기어(354)가 회전하면서 제3단몸체(330)의 내측에 설치된 리드 스크류(332)를 밀어 올리게 되어 제3단몸체(330)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축(352)에 결합된 제1피니언기어(356)는 상기 제3단몸체(330)와 제4단몸체(340)의 내부에 설치된 제1래크기어(342)를 밀어 올리게 되어 제4단몸체(340)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몸체부(300)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 몸체부(300)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제2단몸체(320)의 상부 외측에 형성된 모터(3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35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352)에 결합된 스크류기어(354)와 제1피니언기어(356)가 반대로 회전하면서 각각 리드 스크류(332)와 제1래크기어(342)를 아래로 밀어 내리게 되고, 제3단몸체(330)와 제4단몸체(340)가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52)이 위치하는 제3단몸체(330)와 제4단몸체(340)의 측면에는 절결홈(335,345)이 형성되어 상기 제3단몸체(330)와 제4단몸체(340)가 최대한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후, 상기 제1단몸체(310)의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312)에 의해 로드(314)가 당겨지면서 제2단몸체(320)가 하강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단몸 체(310)의 내부로 제2단 내지 제4단몸체(320,330,340)가 모두 수용되어 몸체부(300)가 하강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부(400)는 상기 몸체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본블록(410)과, 상기 기본블록(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캐리지블록(420) 및 상기 캐리지블록(4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용의자(4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캐리지블록(420)의 중앙에는 관통홀(4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레일부(500)의 레일(510)이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용 의자(430)는 작업자가 그 위에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36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최대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작업용 의자(430)에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작업용 의자(4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레일부(500)는 다시 레일(510), 구동모터(520), 제2래크기어(530) 및 이동캐리지(540)로 구성되는데, 상기 레일(510)은 상기 블록부(400)의 캐리지블록(420) 및 이동캐리지(54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캐리지(54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동모터(520)는 상기 레일(5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캐리지(54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래크기어(530)는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510)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캐리지(540)의 관통홀(543) 내측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미도시)와 맞물려 이동캐리지(54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5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510)에 설치되는 제2래크기어(530)가 좌,우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래크기어(530)에 결합되는 제2피니언기어(미도시)가 설치된 이동캐리지(54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작업자가 공중에서 좌,우로 이동하여야 할 경우, 작업대(10) 자체를 움직일 필요 없이 이동캐리지(540) 위에서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510)의 양 측면에는 결합돌부(5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512)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캐리지블록(420)과 이동캐리지(540)의 관통홀(421,543) 내측면에는 결합홈(422,543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512)가 결합홈(422,543a)에 삽입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일(510)이 캐리지블록(4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레일(510) 또는 이동캐리지(540)를 좌,우로 이동시킬 때에도 흔들리거나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용 의자(430) 위의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업용 의자(430) 보다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필요할 경우, 상기 이동캐리지(540)의 상부에 사다리(546)를 착탈 가능하도록 부가 설치할 수도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캐리지(540)의 상부에 삽입홈(54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542)의 위치에 대응되는 이동캐리지(540)의 양 측면에 결합홀(544)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542)에 사다리(546)를 삽입시킨 후 상기 결합홀(544)을 통해 볼트 등의 결합수단(548)을 삽입하여 사다리(546)를 이동 캐리지(54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캐리지(540)의 상부에 형성된 홀(541)에 상기 작업용 의자(4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블록부(400) 중 기본블록(410)의 전면에는 도르레(412)가 고정 설치되고, 후면에는 후술할 작업용 사다리(800)가 고정 설치되는 작업용 사다리 이음쇠(414)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보조 사다리(미도시)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사다리 이음쇠(416)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 사다리(미도시)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공중에서 동시에 작업할 경우나, 공사 현장에서 작업용 사다리(800)를 펼치기 어려운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르레(412)는 작업 도중에 필요한 공구나 자재 등을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작업자가 작업용 의자(430)에 올라가기 위해 사용하는 작업용카(70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르레(4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받침대(100)의 상부에는 가이드윈치(110)가 설치되고, 상기 도르레(412)와 가이드윈치(110)의 사이에는 와이어 로프(112)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112)에는 작업용카(7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작업용카는(700) 케이블(14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하로 이동하며, 받침대(100)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블(142)을 수용하는 케이블 박스(140)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작업용카(7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로프(112)가 삽입되어 작업용카(700)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하는 와이어 가이드(710)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710)에 연결 설치되어 작업용카(700)에 놓여진 공구나 자재 등이 바깥으로 떨어지지 않게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틀(720)과, 상기 손잡이틀(720)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출입문(730) 및 상기 작업용카(7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740)로 구성되는데, 상기 출입문(730)에는 출입문(73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고리(7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박스(740)는 상기 작업용카(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142)과 연결 설치되어 작업용카(700)의 운행 전반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 박스(740)의 세부 구성 및 작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컨트롤 박스(740)의 구성과 동일하고,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기본블록(410)의 후면에 형성된 작업용 사다리 이음쇠(414)에는 작업용 사다리(800)가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작업용 사다리(800)의 하부에는 바퀴(810)가 설치되어 사용시 작업용 사다리(8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용 사다리(800)가 지면에 안전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작업용 사다리(800)는 미사용시 받침대(100)의 안치홈(120)에 안치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로 빼내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용 사다리(800)가 지면에 닿게 하기 위해서는 작업용 사다리(800)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용 사다리(800)의 하단에 바퀴(810)를 설치하되, 상기 바퀴(810)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보관시에는 바퀴(810)를 절첩하여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바퀴(810)를 펼쳐서 지면에 작업용 사다리(8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퀴(800)는 작업용 사다리(800)의 안쪽으로만 절첩되도록 설치하여 사용시 바퀴(810)가 바깥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대(100)의 후면에는 작업용 사다리(800)가 안치되는 안치홈(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치홈(120)의 측면에는 절첩된 바퀴(8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바퀴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치홈(120)의 내측으로는 슬라이드바(122)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슬라이드바(122)의 일측 단부는 작업용 사다리(8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상기 작업용 사다리(800)의 인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수동으로 인출할 경우에도 작업용 사다리(800)가 보다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의 후측 일측면, 즉 상기 안치홈(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받침대(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안치홈(120)에 안치된 작업용 사다리(8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130)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핀(130)은 상기 작업용 사다리(8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820)에 결합되어 안치된 상태의 작업용 사다리(800)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작업대(10)는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작업장의 지면 상황에 따라 작업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00)만으로는 이동이 어려운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특히 작업대(1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소비되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작업대(10)의 이동 및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대(10)의 양 측면에는 보조 바퀴부(600)가 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부(600)는 미사용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100)의 내측으로 절첩하여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하여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미도시)에 의한 보조 바퀴부(600)의 설치 및 철수 과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고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바퀴부(600)는 상기 받침대(100)의 양 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1다리부(610)와, 상기 제1다리부(610)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2다리부(620)와, 상기 제2다리부(620)의 양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다리부(630) 및 상기 제3다리부(630)의 하단에 결합되는 보조바퀴(640)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1다리부(610) 및 제2다리부(6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사용시 상기 받침대(1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다리부(620)의 양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다리부(630)는 미사용시 위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대(100)의 측면에 형성된 거치대(150)에 거치시켜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다리부(630)의 하단에 결합되는 보조바퀴(640)는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10)를 회전시킬 경우 보조바퀴(640)의 각도가 자유롭게 변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다리부(610)와 제2다리부(620)의 연결부에는 아래쪽 방향으로 지지용 다리(650)가 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용 다리(650)는 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할 경우, 바퀴(200) 및 보조바퀴(640)에 의해 작업대(10)가 흔들리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대(10)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작업대(10)의 받침대(100)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00) 사이를 연결하는 바퀴축(210)은 3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중앙의 2단 바퀴축(214)은 1단 및 3단 바퀴축(212,216)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퀴(20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현장의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작업대(10)를 이동시킬 때 작업대(1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대(10)의 상부에 올라가 있는 작업자가 균형을 잃지 않고 안전히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1단 및 3단 바퀴축(212,216)과 받침대(100)의 하부 사이에는 각각 유압실린더(220)와 완충스프링(230)이 설치되어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작업대(10)를 이동시킬 경우 작업대(10)가 받는 충격을 줄임으로써 작업대(10)를 구성하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대(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에 의하면 고소 작업시 작업장의 지면상태나 주변환경에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도 있으며, 작업대(10)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전,후,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 때 등의 고소 작업시 작업장의 지면상태나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한 이동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몸체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몸체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이동캐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작업대 중 바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작업대 100 : 받침대
110 : 가이드윈치 112 : 와이어 로프
120 : 안치홈 122 : 슬라이드바
124 : 바퀴홈 130 : 고정핀
140 : 케이블박스 142 : 케이블
150 : 거치대 200 : 바퀴
210 : 바퀴축 212 : 1단 바퀴축
214 : 2단 바퀴축 216 : 3단 바퀴축
220 : 유압실린더 230 : 완충스프링
300 : 몸체부 310 : 제1단몸체
312 : 실린더 314 : 로드
320 : 제2단몸체 330 : 제3단몸체
332 : 리드스크류 335,345 : 절결홈
340 : 제4단몸체 342 : 제1래크기어
350 : 모터 352 : 회전축
354 : 스크류기어 356 : 제1피니언기어
400 : 블록부 410 : 기본블록
412 : 도르레 414 : 작업용 사다리 이음쇠
416 : 보조 사다리 이음쇠 420 : 캐리지 블록
421 : 관통홀 422 : 결합홈
430 : 작업용 의자 500 : 레일부
510 : 레일 512 : 결합돌부
520 : 구동모터 530 : 제2래크기어
540 : 이동캐리지 541 : 홀
542 : 삽입홈 543 : 관통홀
543a : 결합홈 544 : 결합홀
546 : 사다리 548 : 결합수단
600 : 보조사다리부 610 : 제1다리부
620 : 제2다리부 630 : 제3다리부
640 : 보조바퀴 650 : 지지용 다리
700 : 작업용카 710 : 와이어 가이드
720 : 손잡이틀 730 : 출입문
732 : 잠금고리 740 : 컨트롤 박스
800 : 작업용 사다리 810 : 바퀴
820 : 고정홀

Claims (20)

  1. 작업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공중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와,
    상기 몸체부와 레일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연결 지지하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4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와 연결 설치된 제1단 몸체의 내부로 제2단 내지 제4단 몸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 몸체의 내부에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는 로드가 연결 설치되어 제2단 몸체를 승,하강 시키고, 상기 제2단 몸체의 상부 외측에는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단 몸체의 내측에는 리드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제3단 몸체와 제4단 몸체의 내측에는 제1래크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에는 스크류 기어 및 제1피니언 기어가 각각 상기 리드 스크류 및 제1래크기어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작업대의 이동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바퀴부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부는 상기 받침대의 양 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1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2다리부와, 상기 제2다리부의 양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다리부 및 상기 제3다리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바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의 연결부 하부에는 지지용 다리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블록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2래크 기어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래크 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피니언 기어가 설치된 이동캐리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캐리지의 상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이동캐리지의 양 측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사다리가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본블록과, 상기 기본블록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레일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캐리지블록 및 상기 캐리지블록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업용 의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양 측면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캐리지블록의 관통홀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럭의 전면에는 도르레가 고정 설치되고, 후면에는 작업용사다리 이음쇠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보조 사다리 이음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받침대의 상부에는 가이드윈치가 설치되고, 상기 도르레와 가이드윈치의 사이에는 와이어 로프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승,하강하는 작업용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카는 상기 와이어 로프가 삽입되어 작업용카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틀과, 상기 손잡이틀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잠금고리가 형성된 출입문 및 상기 작업용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사다리 이음쇠에는 하단에 절첩 가능한 바퀴가 설치된 작업용 사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는 상기 작업용 사다리가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의 내측에는 슬라이드바가 설치되어 작업용 사다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치홈의 측면에는 절첩된 바퀴가 수용되는 바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후측 일측면에는 상기 안치홈에 안치된 상태의 작업용 사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사다리 이음쇠에는 보조 사다리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퀴축은 3단으로 구성되되, 중앙의 2단 바퀴축은 1단 및 3단 바퀴축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1단 및 3단 바퀴축과 받침대의 사이에는 각각 유압실린더와 완충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작업대.
KR1020070141356A 2006-12-29 2007-12-31 이동형 작업대 KR20080063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7740 WO2009084889A2 (en) 2007-12-31 2008-12-29 Movable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7566 2006-12-29
KR1020060137566 2006-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224A true KR20080063224A (ko) 2008-07-03

Family

ID=3981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56A KR20080063224A (ko) 2006-12-29 2007-12-31 이동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2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37B1 (ko) * 2009-08-06 2010-03-30 한세이엔씨(주)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부 보수보강을 위한 양방향 이동식 작업대를 가진 에폭시 주입장치
KR101111276B1 (ko) * 2009-06-16 2012-02-21 오상인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CN106368439A (zh) * 2016-10-10 2017-02-01 天津盛泰佳业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建材传递平台
CN108358135A (zh) * 2018-04-26 2018-08-03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一种折叠式平衡升降作业车
KR20220032836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한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76B1 (ko) * 2009-06-16 2012-02-21 오상인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KR100949937B1 (ko) * 2009-08-06 2010-03-30 한세이엔씨(주)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부 보수보강을 위한 양방향 이동식 작업대를 가진 에폭시 주입장치
CN106368439A (zh) * 2016-10-10 2017-02-01 天津盛泰佳业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建材传递平台
CN108358135A (zh) * 2018-04-26 2018-08-03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一种折叠式平衡升降作业车
CN108358135B (zh) * 2018-04-26 2024-02-06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一种折叠式平衡升降作业车
KR20220032836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한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481B1 (ko) 변속기용 작업대
EP0702121B1 (en) Elevatable work facility
KR20080063224A (ko) 이동형 작업대
GB2610951A (en) Lifting device and plastering apparatus
US8740188B1 (en) Cabinet lifting device
KR102070103B1 (ko) 자주 구동식 작업대
KR20100078235A (ko) 고소용 작업대
KR20200048121A (ko)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20190029010A (ko) 엔진 분해 및 조립장치
KR102458584B1 (ko) 고소 작업용 안전 리프트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CN110512869A (zh) 新型多功能切墙钻孔开槽及材料提升一体机
CN209780178U (zh) 一种房屋修缮用脚手架
KR20220129552A (ko) 모바일 운송 장치 및 설치 프레임을 샤프트에 도입하는 방법
US3197178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continuous rows of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KR200266423Y1 (ko) 고소(高所) 작업대
KR102409163B1 (ko) 칸막이 판넬용 운반 대차
KR20220126404A (ko) 벽면패널 부착용 보조 장치
CN113653503A (zh) 一种地铁隧道施工用的多功能作业平台
CN210888003U (zh) 一种移动式可升降钢管架操作平台装置
KR102056629B1 (ko) 창호/방충방진망 설치용 이동식 작업 장치
WO2009084889A2 (en) Movable worktable
JP3218841U (ja) 昇降式移動足場
CN219788304U (zh) 一种移动升降式通讯设备修理工具箱
CN219808686U (zh) 一种便于移动的建筑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