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836A -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836A
KR20220032836A KR1020200114638A KR20200114638A KR20220032836A KR 20220032836 A KR20220032836 A KR 20220032836A KR 1020200114638 A KR1020200114638 A KR 1020200114638A KR 20200114638 A KR20200114638 A KR 20200114638A KR 20220032836 A KR20220032836 A KR 20220032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scaffold
scaffolding
moving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405B1 (ko
Inventor
명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114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16H1/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one of the members being internally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조립 또는 점검 대상인 발사체가 상부면에 세워져 위치되는 베이스 받침부재, 상기 발사체의 동체가 통과되고 상면에서 작업자가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상에 위치되어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를 승하강시키는 발판 승하강부를 포함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 작업용 발판부로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발사체의 조립 작업 및 가능하여 낮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보관 시 공간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VERTICAL ASSEMBLY STAGE FOR LAUNCH VEHICLE}
본 발명은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 관한 발명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진 발사체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발사체는 크기 및 구조 특성 상 수직으로 섹션 조립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발사체의 조립을 위한 조립대는 조립면의 높이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고정형 타워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즉, 발사체의 조립을 위한 조립 및 점검 작업은 조립면의 높이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고정형 타워 형태로 구현된 종래의 타워형 조립대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타워형 조립대는 고정형 구조물이라 안정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고정식 구조물의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워형 조립대는 특정한 발사체 제원에 맞추어 설계되기 때문에 제원이 다른 발사체의 조립에 사용되지 못해 발사체의 제원에 맞게 새로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타워형 조립대는 다양한 제원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발사체에 대한 호환 사용이 불가능하여 제원이 다른 발사체에 맞게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제작에 따른 시간으로 발사체의 조립 효율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워형 조립대는 크기가 고정되고, 거대한 크기를 가지며 해당 제원에 맞는 발사체 조립 작업 이외에 사용이 불가능하고 보관되어야 하므로 보관 시 큰 공간을 차지하여 보관에 따른 보관 비용이 높고, 공간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002128호 "수평/수직 겸용 발사체 조립장치"(2010.12.1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 작업용 발판부로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발사체의 조립 작업 및 가능한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작업용 발판부로 직경이 다른 다양한 발사체를 잡아 다양한 제원의 발사체를 조립하는데 호환될 수 있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바퀴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복수의 접이식 지지 다리를 이용하여 승하강 작동으로 조립 중에 롤링으로 인한 진동과 전도 위험성을 방지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조립 또는 점검 대상인 발사체가 상부면에 세워져 위치되는 베이스 받침부재, 상기 발사체의 동체가 통과되고 상면에서 작업자가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상에 위치되어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를 승하강시키는 발판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 승하강부는 피스톤 로드가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는 텔레스코프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사다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는 상기 발판 승하강부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발사체가 통과되는 제1발사체 통과부가 위치된 베이스 발판부재, 상기 베이스 발판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회전 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서로 맞붙어 발사체가 통과되는 제2발사체 통과부를 형성하고, 이동되거나 회전되어 제2발사체 통과부를 적어도 한 측으로 개방하는 제1발판부재와 제2발판부재 및 상기제1발판부재와 상기제2발판부재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제2발사체 통과부를 적어도 어느 한측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발판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발판부재에는 상기 제1발사체 통과부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발사체가 수평 방향으로 통과되는 발사체 수평 통과부가 위치되며, 상기 발판 개방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발사체 수평 통과부의 방향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 개방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회전시키는 발판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발판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2발판부재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발판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 개방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발판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직선 이동부로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간격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 직선 이동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제2발판부재를 각각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간격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주행 모터로 회전되어 베이스 받침부재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펼쳐져 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접이식 지지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접이식 지지다리부를 회전시켜 펼치거나 접는 복수의 지지다리용 회전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이식 지지다리부는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다리부재, 상기 제1다리부재의 단부에서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다리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제2다리부재 및 상기 제2다리부재를 회전시키는 지면 지지용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다리부재는 상기 제1다리부재와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다리몸체, 상기 회전 다리몸체의 단부 측에 이동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 다리몸체 및 상기 회전 다리몸체 내에 위치되어 상기 지면 다리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면 다리몸체는 하부면이 반구형을 가지거나 상기 회전 다리몸체의 회전 방향으로 굴곡진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발판부 및 상기 이동 발판부를 제2발사체 통과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발판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 이동부는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 내에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내주면에 이격된 다수의 기어치가 위치된 링기어부재, 상기 이동 발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링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되는 이동용 스퍼어기어부재 및 상기 이동용 스퍼어기어부재를 회전시키는 기어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 발판부와 상기 발판 이동부는 서로 분리되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 발판부는 상기 발판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 본체부재, 상기 발판 본체부재 내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보조 발판부재 및 상기 보조 발판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보조 발판부재의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발판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 발판 이동부는 상기 보조 발판부재의 하부면에 상기 보조 발판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위치되는 랙기어부재, 상기 랙기어부재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랙기어부재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재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보조 발판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보조발판 이동용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 작업용 발판부로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발사체의 조립 작업 및 가능하여 낮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보관 시 공간 효율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제원의 발사체를 조립하는데 호환될 수 있어 제원에 따른 발사체를 제작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발생되지 않아 발사체의 조립 및 점검 작업 시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 바퀴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복수의 접이식 지지 다리를 이용하여 조립 중에 롤링으로 인한 진동과 전도 위험성을 방지하여 발사체 조립 및 점검 작업 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서 조립 작업용 발판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서 조립 작업용 발판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서 접이식 지지다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발판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서 조립 작업용 발판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는 수직으로 세워진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또는 점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올라탄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를 승하강시켜 하나의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로 발사체(10)의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조립 또는 점검 대상인 발사체(10)가 상부면에 세워져 위치되는 베이스 받침부재(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상부 측에는 승하강되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가 위치된다.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는 발사체(10)의 동체가 통과되는 발사체 통과부가 구비되고, 상면에서 작업자가 조립작업 또는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 상에 올라탄 상태에서 발사체 통과부를 통과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또는 점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는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발판 승하강부(300)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어 작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발판 승하강부(300)는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세워져 위치되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발판 승하강부(300)는 피스톤 로드가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는 텔레스코프 유압 실린더(310)로 최초 초기 높이를 최소화하고,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높이 조절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발판 승하강부(300)는 유압 실린더 이외에도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승하강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사다리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다리부재(400)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최저 위치 즉,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길이에 따라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최저 높이가 제한된다.
이에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높이가 일정 이하로 낮아질 수 없어 베이스 받침부재(100) 상에서 작업자가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로 올라가지 못하게 되거나,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로 올라 타는데 불편함이 있다.
사다리부재(400)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최저 위치에서 하단부가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지지된다.
이에 작업자는 사다리부재(400)를 통해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상면에서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의 상부로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는 발판 승하강부(300)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발사체(10)가 통과되는 제1발사체 통과부(211)가 위치된 베이스 발판부재(210), 베이스 발판부재(2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회전 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서로 맞붙어 발사체(10)가 통과되는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형성하고, 이동되거나 회전되어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적어도 한 측으로 개방하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적어도 어느 한측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발판 개방부(240)를 포함한다.
베이스 발판부재(210)에는 제1발사체 통과부(211)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발사체(10)가 수평 방향으로 통과되는 발사체 수평 통과부가 위치된다.
그리고, 발판 개방부(240)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회전시키거나 직선 이동시켜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발사체 수평 통과부의 방향으로 개방시키다.
제1발판부재(220)는 일측에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일부분인 반원형 제1통과부가 형성되고, 제2발판부재(230)는 타측에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나머지 부분인 반원형 제2통과부가 형성된다.
제2발사체 통과부(221)는 원통형의 발사체(10)가 형성될 수 있는 원형의 개방부이고, 제1발판부재(220)의 일측에는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절반 즉, 반원형의 개방부가 위치되며, 제2발판부재(230)의 타측에는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절반 즉, 반원형의 개방부가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는 발판 개방부(240)의 작동에 의해 서로 마주보고 회전되거나 이동되어 제2발사체 통과부(221)가 발사체 수평 통과부의 방향으로 개방된다.
도 2 및 도 3은 발판 개방부(240)가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회전시키는 발판 회전모터(242)를 포함하여 제1발판부재(220)의 일측과 제2발판부재(230)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발판 힌지부(241)를 중심으로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가 회전되어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개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발판 힌지부(241)는 발판 수평 통과부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발판 회전모터(242)는 발판 힌지부(241)를 중심으로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발판부재(220)의 일측과 제2발판부재(230)의 타측이 벌어지게 하고, 이에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발사체 수평 통과부의 방향으로 개방하여 발사체(10)가 발사체 수평 통과부를 통과하여 제2발사체 통과부(221) 내로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발판 회전모터(242)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발판 힌지부(241)를 중심으로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발판부재(220)의 일측과 제2발판부재(230)의 타측을 맞붙게 함으로써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닫게 된다.
제1발판부재(220)의 일측과 제2발판부재(230)의 타측을 맞붙어 제2발사체 통과부(221)가 닫히면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가 작업 대상인 발사체(10)를 감싸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 상에서 작업자가 발사체(10)의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발판 개방부(240)가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발판 직선 이동부(243)를 포함하여 직선 이동부로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간격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개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발판 직선 이동부(243)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켜 발사체의 직경에 따라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크기를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제원의 발사체(10)를 조립하는데 호환될 수 있다.
발판 직선 이동부(243)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각각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243a),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243a)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간격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용 모터(243b)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243a)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제1발판부재(220)의 나사 결합 방향과 제2발판부재(230)의 나사 결합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직선 이동용 모터(243b)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간격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243a)는 제1발판부재(220)와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고, 제2발판부재(230)와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반대로 제1발판부재(220)와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고, 제2발판부재(230)와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직선 이동용 모터(243b)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243a)를 회전시켜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고, 이에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발사체 수평 통과부의 방향으로 개방하여 발사체(10)가 발사체 수평 통과부를 통과하여 제2발사체 통과부(221) 내로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직선 이동용 모터(243b)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의 간격이 넓혀진 상태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243a)를 회전시켜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고 제1발판부재(220)의 일측과 제2발판부재(230)의 타측을 맞붙게 함으로써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닫는다.
제1발판부재(220)의 일측과 제2발판부재(230)의 타측을 맞붙어 제2발사체 통과부(221)가 닫히면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가 작업 대상인 발사체(10)를 감싸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 상에서 작업자가 발사체(10)의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에서 접이식 지지다리부(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주행 모터로 회전되어 베이스 받침부재(100)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 바퀴부(500)를 더 포함한다.
구동 바퀴부(500)는 공지의 주행용 구동 바퀴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펼쳐져 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접이식 지지다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접이식 다리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되어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킨다.
복수의 접이식 다리부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각 꼭지점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접혀져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하부면에 안쪽으로 접혀져 위치되고,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외측으로 펼쳐져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조립용 발판부의 승하강 작동 시 롤링으로 인한 진동과 전도 위험성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받침부재(100)에 위치되고 접이식 지지다리부(600)를 회전시켜 펼치거나 접는 복수의 지지다리용 회전모터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다리용 회전모터부(700)는 접이식 다리부를 회전시켜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하부면에 접혀진 접이식 지지다리부(600)를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외측으로 펼치거나, 펼쳐진 접이식 지지다리부(6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하부면으로 접어 위치시킬 수 있다.
접이식 지지다리부(600)는 사용 중에만 펼쳐져 위치되고 미 사용시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하부면에서 안쪽으로 접혀져 위치되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접이식 지지다리부(600)는 베이스 받침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다리부재(610), 제1다리부재(610)의 단부에서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다리부재(610)에 힌지결합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제2다리부재(620), 제2다리부재(620)를 회전시키는 지면 지지용 회전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다리부재(620)는 제1다리부재(610)와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다리몸체(621), 회전 다리몸체(621)의 단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 다리몸체(622), 회전 다리몸체(621) 내에 위치되어 지면 다리몸체(62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체(6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면 다리몸체(622)는 하부면이 반구형을 가지거나 회전 다리몸체(621)의 회전 방향으로 굴곡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시 지면과 접촉되면서 스프링체(623)를 압축하면서 자연스럽게 지면과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사이에 세워져 위치된다.
지면 다리몸체(622)는 지면 지지용 회전모터(630)에 의해 하부 측으로 회전하면서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된다.
지면 다리몸체(622)는 스프링체(623)를 압축하면서 지면에 지지되고, 하부면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베이스 받침부재(100)의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보강하고, 구동바퀴부에 의한 움직임을 제한하고, 작업 중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 시 안전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발판부(8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는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발판부(800), 이동 발판부(800)를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발판 이동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발판부(800)는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에서 발판 이동부(900)를 따라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고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 위치에서 정지되어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통과한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이동 발판부(800) 상에 올라탄 상태로 발사체(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발판 이동부(900)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 내에 제2발사체 통과부(221)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내주면에 이격된 다수의 기어치가 위치된 링기어부재(910), 이동 발판부(80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링기어부재(910)에 맞물려 회전되는 이동용 스퍼어기어부재(920), 이동용 스퍼어기어부재(920)를 회전시키는 기어회전모터(930)를 포함한다.
제2발사체 통과부(221)의 내주면에는 내주면 측으로 개방되어 이동 발판부(80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발판 이동용 레일부(221a)가 위치되며, 이동 발판부(800)는 몸체의 일부분이 발판 이동용 레일부(221a) 내로 삽입되어 발판 이동용 레일부(221a)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 발판부(800)와 발판 이동부(900)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에 각각 위치되어 즉, 제1발판부재(220)에 형성된 반원형 제1통과부의 내주면 및 제2발판부재(230)에 형성된 반원형 제2통과부의 내주면에 각각 위치되어 작업 시 2개의 이동 발판부(8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발판부(800)와 발판 이동부(900)는 서로 분리되는 제1발판부재(220)와 제2발판부재(230)에 각각 위치되어 작업자가 이동 발판부(800)에 올라탄 상태로 발사체(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발판부(800)는 발판 이동부(900)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 본체부재(810), 발판 본체부재(810) 내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보조 발판부재(820), 보조 발판부재(820)를 전, 후 이동시켜 보조 발판부재(820)의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발판 이동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발판 이동부(830)는 보조 발판부재(820)의 하부면에 보조 발판부재(820)의 이동 방향으로 위치되는 랙기어부재(831), 랙기어부재(831)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랙기어부재(831)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재(832), 피니언 기어부재(832)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 발판부재(820)를 전, 후 이동시키는 보조발판 이동용 회전모터(833)를 포함한다.
보조 발판 이동부(830)는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될 수도 있고, 공지의 직선 이동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어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보조 발판부재(820)는 선단부 측이 원호부로 휘어져 형성되어 원통형의 발사체(10)를 일부 감싸도록 위치되며 전, 후 이동되어 원통형 발사체(10)의 직경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보조 발판부재(820)는 작업 대상인 발사체(10)의 직경에 따라 전, 후 이동되어 발사체(10)의 외측면과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되고, 이에 다양한 제원의 발사체(10)에 대한 조립 작업 및 점검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 작업용 발판부(200)로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발사체(10)의 조립 작업 및 가능하여 낮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보관 시 공간 효율성이 높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제원의 발사체(10)를 조립하는데 호환될 수 있어 제원에 따른 발사체(10)를 제작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발생되지 않아 발사체(10)의 조립 및 점검 작업 시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 바퀴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복수의 접이식 지지 다리를 이용하여 조립 중에 롤링으로 인한 진동과 전도 위험성을 방지하여 발사체(10) 조립 및 점검 작업 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발사체 100 : 베이스 받침부재
200 : 조립 작업용 발판부 210 : 베이스 발판부재
211 : 제1발사체 통과부 220 : 제1발판부재
221 : 제2발사체 통과부 221a : 발판 이동용 레일부
230 : 제2발판부재 240 : 발판 개방부
241 : 발판 힌지부 242 : 발판 회전모터
243 : 발판 직선 이동부 243a :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
243b : 직선 이동용 모터 300 : 발판 승하강부
310 : 텔레스코프 유압 실린더 400 : 사다리부재
500 : 구동 바퀴부 600 : 접이식 지지다리부
610 : 제1다리부재 620 : 제2다리부재
621 : 회전 다리몸체 622 : 지면 다리몸체
623 : 스프링체 630 : 지면 지지용 회전모터
700 : 지지다리용 회전모터부 800 : 이동 발판부
810 : 발판 본체부재 820 : 보조 발판부재
830 : 보조 발판 이동부 831 : 랙기어부재
832 : 피니언 기어부재
833 : 보조발판 이동용 회전모터
900 : 발판 이동부 910 : 링기어부재
920 : 이동용 스퍼어기어부재 930 : 기어회전모터

Claims (19)

  1. 조립 또는 점검 대상인 발사체가 상부면에 세워져 위치되는 베이스 받침부재;
    상기 발사체의 동체가 통과되고 상면에서 작업자가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 작업용 발판부; 및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상에 위치되어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를 승하강시키는 발판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 승하강부는 피스톤 로드가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는 텔레스코프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사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는,
    상기 발판 승하강부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으로 발사체가 통과되는 제1발사체 통과부가 위치된 베이스 발판부재;
    상기 베이스 발판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회전 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서로 맞붙어 발사체가 통과되는 제2발사체 통과부를 형성하고, 이동되거나 회전되어 제2발사체 통과부를 적어도 한 측으로 개방하는 제1발판부재와 제2발판부재; 및
    상기제1발판부재와 상기제2발판부재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제2발사체 통과부를 적어도 어느 한측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발판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발판부재에는 상기 제1발사체 통과부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발사체가 수평 방향으로 통과되는 발사체 수평 통과부가 위치되며,
    상기 발판 개방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발사체 수평 통과부의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판 개방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회전시키는 발판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발판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2발판부재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발판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판 개방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각각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발판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직선 이동부로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간격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직선 이동부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제2발판부재를 각각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발판 이동 스크류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를 간격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주행 모터로 회전되어 베이스 받침부재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펼쳐져 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접이식 지지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접이식 지지다리부를 회전시켜 펼치거나 접는 복수의 지지다리용 회전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지지다리부는,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다리부재;
    상기 제1다리부재의 단부에서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다리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제2다리부재; 및
    상기 제2다리부재를 회전시키는 지면 지지용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다리부재는,
    상기 제1다리부재와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다리몸체;
    상기 회전 다리몸체의 단부 측에 이동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 다리몸체; 및
    상기 회전 다리몸체 내에 위치되어 상기 지면 다리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면 다리몸체는 하부면이 반구형을 가지거나 상기 회전 다리몸체의 회전 방향으로 굴곡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발판부; 및
    상기 이동 발판부를 제2발사체 통과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발판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발판 이동부는,
    상기 조립 작업용 발판부 내에 상기 제2발사체 통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내주면에 이격된 다수의 기어치가 위치된 링기어부재;
    상기 이동 발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링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되는 이동용 스퍼어기어부재; 및
    상기 이동용 스퍼어기어부재를 회전시키는 기어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발판부와 상기 발판 이동부는 서로 분리되는 상기 제1발판부재와 상기 제2발판부재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발판부는,
    상기 발판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 본체부재;
    상기 발판 본체부재 내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보조 발판부재; 및
    상기 보조 발판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보조 발판부재의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발판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발판 이동부는,
    상기 보조 발판부재의 하부면에 상기 보조 발판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위치되는 랙기어부재;
    상기 랙기어부재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랙기어부재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재;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보조 발판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보조발판 이동용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KR1020200114638A 2020-09-08 2020-09-08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KR102418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38A KR102418405B1 (ko) 2020-09-08 2020-09-08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38A KR102418405B1 (ko) 2020-09-08 2020-09-08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836A true KR20220032836A (ko) 2022-03-15
KR102418405B1 KR102418405B1 (ko) 2022-07-06

Family

ID=8081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638A KR102418405B1 (ko) 2020-09-08 2020-09-08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4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080Y1 (ko) * 2005-03-30 2005-06-28 석동영 엘엔지 선박건조를 위한 프라스마 용접용 작업대
KR20080063224A (ko) * 2006-12-29 2008-07-03 김민하 이동형 작업대
KR101002128B1 (ko) 2008-08-28 2010-12-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유연한 조립 자세를 갖는 수평/수직 겸용 발사체 조립장치
KR101514568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080Y1 (ko) * 2005-03-30 2005-06-28 석동영 엘엔지 선박건조를 위한 프라스마 용접용 작업대
KR20080063224A (ko) * 2006-12-29 2008-07-03 김민하 이동형 작업대
KR101002128B1 (ko) 2008-08-28 2010-12-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유연한 조립 자세를 갖는 수평/수직 겸용 발사체 조립장치
KR101514568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405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2108B2 (ja) 投光機
CN107055421B (zh) 一种升降机构
CN209163408U (zh) 一种可调节的房屋建设用支撑平台
US10557279B1 (en) Rotating light tower assembly
CN208964487U (zh) 具有可移动稳定基座的升降机构和座部
CN109368564A (zh) 一种电力维修用小型升降装置
CN206592727U (zh) 一种可伸缩支架
CN105858535A (zh) 一种电力检修支撑装置
CN105773040A (zh) 环形构件内部折展夹具
KR102418405B1 (ko) 발사체의 수직방향 조립용 작업대
CN208899835U (zh) 工程质量监理平台
CN102654278A (zh) 一种升降杆及照明装置
GB2546588A (en) A lifting tree
CN103601095A (zh) 移动式摇柄升降机构
CN210755343U (zh) 一种快速定位顶部钻孔装置
CN109185627B (zh) 一种可旋转的物品多角度拍摄用装置
CN103851346B (zh) 便携式灯具
KR101375270B1 (ko)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US2351611A (en) Lifting jack with extendible leg structure
ES2291770T3 (es) Dispositivo de ajuste de altura de una plataforma de escenario.
CN209334512U (zh) 方向调整式咬边机
CN209723639U (zh) 一种用于预应力液压张拉设备的移动升降架
CN209274757U (zh) 爬壁机器人
CN108553855A (zh) 电动升降篮架
CN207213987U (zh) 一种可调角度的户外用工矿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