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270B1 -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 Google Patents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270B1
KR101375270B1 KR1020120043442A KR20120043442A KR101375270B1 KR 101375270 B1 KR101375270 B1 KR 101375270B1 KR 1020120043442 A KR1020120043442 A KR 1020120043442A KR 20120043442 A KR20120043442 A KR 20120043442A KR 101375270 B1 KR101375270 B1 KR 10137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support
link
pair
link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294A (ko
Inventor
이병규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2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는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 및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되, 제 1 결합부는 일 단부가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및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SUPPORTING APPARATUS AND MOVING CARRIER MO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의 나셀을 지지하는 타워의 원형의 단면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타워 내부에 이동 및 설치하기 이한 이동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가 설치된 너셀 및 상기 나셀을 지지하는 타워를 포함한다.
풍력 발전기의 타워는 블레이드를 통하여 전달되는 풍하중과 나셀 및 블레이드 자체 중량을 견딜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를 위해, 타워는 강철로 형성된 일정한 간격의 단위 관형 부재를 연결하여 하나의 강철 관형 구조로 조립된다.
이러한 단위 관형 부재는 일정한 두께의 강철 판재를 말아 원통형으로 제작하는데, 제작하는 과정에서 자체 하중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는 단위 관형 부재를 풍력 발전기가 설치될 장소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단위 관형 부재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지지 장치가 타워의 내부에 용이하게 이동 및 설치되게 하는 이동 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결합부는 일 단부가 상기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 및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와 이웃하여 설치되되,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2 링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측 중 어느 일측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 부재,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측 중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부재가 관통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이 때, 상기 제 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 2 링크 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바형 부재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2 개의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 각각이 그와 연결된 상기 제 1 지지 부재와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는 0~180도 사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2 개의 제 2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 1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 때,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 사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는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결합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상기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제 1 연결부에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3 링크 부재 및
상기 2 개의 제 3 링크 부재와 이웃하여 설치되되, 상기 2 개의 제 3 링크 부재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상기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제 2 연결부에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4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의 타 단부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2 개의 제 2 링크 부재의 타 단부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 단부는 상기 2 개의 제 3 링크 부재의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타 단부는 상기 2 개의 제 4 링크 부재의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장치를 이동 및 설치하기 위한 이동 대차로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휠 및 상기 지지 장치의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가능한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장치의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기 받침대의 상측면에 놓일 수 있는 이동 대차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평판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부 평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휠은 상기 하부 평판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부 평판으로부터 상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세로 부재 및 상기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세로 부재를 연결하는 가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두 개의 세로 부재 각각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형 부재이며, 상기 핸들은 상기 가로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는, 상기 지지 장치가 타워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부에 설치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제 1 지지 부재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장착된 이동 대차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부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부에 설치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100)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10)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타워 내측면을 지지한다.
보다 상세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100)는 제 1 결합부(110) 및 제 1 지지 부재(170)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110)는 후술하는 제 1 지지 부재(170)가 타워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의 서로 이웃하는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결합부(110)는 제 1 링크 부재(111, 113), 제 2 링크 부재(112, 114) 및 각각의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 사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링크 부재(111, 113) 및 제 2 링크 부재(112, 114)는 각각 2 개의 링크 부재로 구성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111, 112, 113, 114)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는 바형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링크 부재(111, 113)의 일 단부는 제 1 지지 부재(170)의 단부(151, 153)에 각각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 1 링크 부재(111, 113)의 타 단부는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제 1 연결부(131)에 연결된다.
제 1 링크 부재(111, 113)와 마찬가지로, 제 2 링크 부재(112, 114)의 일 단부도 제 1 지지 부재(170)의 단부(151, 153)에 각각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 2 링크 부재(112, 114)의 타 단부는 제 2 연결부(133)에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제 1 링크 부재(111, 113) 및 제 2 링크 부재(112, 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70)의 연장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수단(190, 191)은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제 1 지지 부재(170)의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조절 수단(190, 191)에 의해 제 1 지지 부재(170)의 두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작동 원리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수단은 회전 부재(190) 및 관형 부재(191)를 포함한다.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부재(190)는 제 2 링크 부재(112, 114)의 타 단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133)에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19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90)의 일측에는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손잡이(135)가 형성된다.
이 때, 회전 부재(190)는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90)는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 사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관형 부재(191)는 제 1 링크 부재(111, 113)의 타 단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131)에 설치된다. 이 때, 회전 부재(190)는 관형 부재(191) 내부를 관통하며, 관통 부재(191)의 내주면에는 회전 부재(19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190)와 관형 부재(191)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의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보다 상세히, 회전 손잡이(135)를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 부재(190)를 회전시키면 회전 부재(190)는 제 2 연결부(133)에 연결된 채 제자리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부재(191)는 그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 부재(190)의 회전에 의해 회전 부재(190)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 부재(19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경우, 관형 부재(191)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 나사산이 회전 부재(19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관형 부재(191)가 회전 부재(190)의 축 상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형 부재(191)가 회전 부재(190)의 축 상을 이동함으로써, 제 1 연결부(131)와 제 2 연결부(13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 때, 제 1 연결부(131)와 제 2 연결부(133)에 각각 연결된 제 1 링크 부재(111, 113)와 제 2 링크 부재(112, 114) 사이의 각도가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의 두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결국,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 사이의 거리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조절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 각각이 그와 연결된 제 1 지지 부재(170)와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 1 링크 부재(111, 113) 및 제 2 링크 부재(112, 114)의 사이의 각도는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0에서 180 사이에서 조절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9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연결부(131)와 제 2 연결부(133)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 제 1 및 제 2 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제 1 링크 부재(111, 113) 및 제 2 링크 부재(112, 114) 사이의 각도가 커지면서 제 1 지지 부재(170)의 두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가 늘어난다. 반대로, 회전 부재(19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지지 부재(170)의 두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가 줄어든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 수단은 제 1 지지 부재(170)의 두 단부(151, 153)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 부재(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배열된다. 제 1 지지 부재(170)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170)는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 부재(170)는 제 1 링크 부재(111) 및 제 2 링크 부재(112)의 일 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하는 제 1 지지 부재(170)의 단부(151)에 힌지 결합(미도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 장치(100)를 타워 내부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제 1 지지 부재(170)를 반대 방향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지지 부재(170)는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 1 지지 부재(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복수 개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진 제 1 지지 부재(170)는 관형 부재의 외측면에 눈금(미도시)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관형 부재 중 하나의 관형 부재가 다른 하나의 관형 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 부재(170)는 내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일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제 1 지지 부재(170)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타워단면의 지름의 길이에 맞춰 제 1 지지 부재(1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 부재(170)는 타워 단면의 지름의 길이에 맞게 신축된 후 유압 실린더에 의해 길이를 고정하여 타워 내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지지 부재는 복수 개의 관형 부재 각 단부에 하나의 관형 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다른 하나의 관형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관형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장치는 관형 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관형 부재의 둘레를 감싸면서 관형 부재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00)가 타워 내부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제 1 지지 부재(170)는 단면 크기가 작은 관형 부재가 상대적으로 큰 관형 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포개진 상태로 보관된다.
한편, 타워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지지 부재(170)의 양측 단부에는 완충 부재(171)가 결합된다. 완충 부재(171)는 제 1 지지 부재(170)가 타워의 내측면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완충 부재(171)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장착된 이동 대차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500)는 지지 장치(100)를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부로 이동시킨 후 타워 내측면에 설치하기 위한 대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대차(500)는 베이스(510, 511), 지지대(520), 받침대(530) 및 휠(512)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평판(510, 511)을 포함한다. 이 때, 이동 대차(500)에 놓여지는 지지 장치(100)를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켜 타워 내부에 설치되도록, 베이스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평판(510)과 하부 평판(511) 사이에 높이 조절 수단이 결합된다. 높이 조절 수단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격자형 높이 조절 장치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높이 조절 수단은 전술한 지지 장치(100)의 제 1 지지 부재(170)에 사용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 평판(511)의 하부에는 이동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휠(512)이 설치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평판(510)에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520)가 결합된다. 지지대(520)는 상부 평판(5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세로 부재 및 두 개의 세로 부재를 연결하는 가로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530)는 두 개의 세로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바형 부재이다. 이 때, 받침대(5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100)를 도 7에서와 같이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 장치(100)의 회전 손잡이(135)와 결합 가능한 핸들(540)이 지지대(520)의 가로 부재에 설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손잡이(135)와 결합한 핸들(540)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장치(100)의 제 1 지지 부재의 두 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지지 장치(100)를 이동 또는 보관하는 경우, 지지 장치(100)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부(550)가 지지대(520)의 세로 부재 일측에 결합된다. 걸림부(550)는 세로 부재 타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형 부재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200)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락하고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200)는, 제 1 결합부 및 제 1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 때, 제 1 지지 부재(27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지지 부재(170, 도 3 참조)와 동일하다.
한편, 제 1 결합부는 제 1 지지 부재(270)가 타워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270)의 서로 이웃하는 단부(252, 2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 때, 제 1 결합부는 제 1 링크 부재(211, 213), 제 2 링크 부재(212, 214) 및 각각의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 사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수단은 한 쌍의 관형 부재(291) 및 회전 부재(290)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200)의 한 쌍의 관형 부재(291)는 제 1 연결부(231) 및 제 2 연결부(233)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관형 부재(29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관형 부재(29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회전 부재(290)는 한 쌍의 관형 부재(291)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때, 회전 부재(290)의 외주면에는 관형 부재(29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된다. 회전 부재(290)의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231)과 제 2 연결부(233)의 중앙을 기준으로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부재(290)가 한 쌍의 관형 부재(291)를 관통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2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도 3 참조)에 설치된 회전 부재(190)가 하나의 관형 부재(191)를 관통하는 경우보다, 신속하게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부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락하고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3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100, 도 2 참조)에 제 2 지지 부재(380) 및 제 2 결합부가 더 결합된 형태이다.
이하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X 방향, X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Y 방향, 그리고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Z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장치(300)는 X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 부재(370), 제 1 결합부, Y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지지 부재(380)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지지 부재(370) 및 제 1 결합부는 타워 내측면을 X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100, 도 2 참조)의 제 1 지지 부재 및 제 1 결합부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락한다.
한편, 제 2 지지 부재(3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배열된다. 제 2 지지 부재(380)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측면을 Y 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제 2 지지 부재(380)는 제 1 지지 부재(370)와 마찬가지로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지지 부재(380)의 양측 단부에는 완충 부재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결합부는 전술한 제 2 지지 부재(380)가 타워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380)의 서로 이웃하는 단부(355, 35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 때, 제 2 결합부는 제 3 링크 부재(315, 317) 및 제 4 링크 부재(316, 318)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3 링크 부재(315, 317) 및 제 4 링크 부재(316, 318)는 각각 2 개의 링크 부재로 구성된다. 이 때,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315, 316, 317, 318)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는 바형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링크 부재(315, 317)의 일 단부는 제 2 지지 부재(380)의 단부(355, 357)에 각각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 3 링크 부재(315, 317)의 타 단부는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제 1 연결부(331)에 연결된다.
이 때, 제 1 연결부(331)는 제 1 링크 부재(311, 313)의 타 단부가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동일하다. 다만, 제 1 링크 부재(311, 313)는 제 1 연결부(331)에 Y 방향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링크 부재(315, 317)는 제 1 연결부(331)에 X 방향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링크 부재(311, 313)의 타 단부는 제 3 링크 부재(315, 317)의 타 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1 연결부에 결합된다.
제 3 링크 부재(315, 317)와 마찬가지로, 제 4 링크 부재(316, 318)의 일 단부는 제 2 지지 부재(380)의 단부(355, 357)에 각각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 4 링크 부재(316, 318)의 타 단부는 제 2 연결부(333)에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제 2 연결부(333)는 제 2 링크 부재(312, 314)의 타 단부가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동일하다. 제 1 연결부(331)과 마찬가지로, 제 2 링크 부재(312, 314)는 제 2 연결부(333)에 Y 방향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4 링크 부재(316, 318)는 제 2 연결부(333)에 X 방향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링크 부재(312, 314)의 타 단부는 제 4 링크 부재(316, 318)의 타 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2 연결부에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300)는, 제 1 지지 부재(370)의 서로 이웃하는 단부(351, 353) 및 제 2 지지 부재(380)의 서로 이웃하는 단부(355, 35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390, 391)을 구비한다.
이 때, 조절 수단(390, 391)은 제 1 링크 부재(311, 313), 제 2 링크 부재(312, 314), 제 3 링크 부재(315, 317) 및 제 4 링크 부재(316, 318) 사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지지 부재(370)와 제 2 지지 부재(380)가 각각 X 및 Y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제 1 지지 부재(370)의 단부(351, 353) 및 제 2 지지 부재(380)의 단부(355, 357) 사이의 거리가 동시에 조절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수단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절 수단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조절 수단은 회전 부재(390) 및 관형 부재(391)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390)는 제 2 연결부(333)에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 부재(391)는 제 1 연결부(331)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 수단은 제 1 실시예의 조절 수단(도 2 참조)과 동일한 바, 조절 수단의 작동 원리는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390) 및 관형 부재(391)의 작동에 의해, 제 1 지지 부재(370) 및 제 2 지지 부재(380)가 각각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타워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300)가 타워 내측면을 서로 수직한 X 및 Y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어, 타워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수단은, 회전 부재(190, 290, 390) 및 관형 부재(191, 291, 391)의 작동에 의해 제 1 연결부(131, 231, 331) 및 제 2 연결부(133, 233, 33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유압 실린더로 연결하여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 내측면을 일정한 방향으로 지지하여 타워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를 타워의 단위 관형 부재의 내측면에 설치한 후 단위 관형 부재를 풍력 발전기가 설치될 장소로 운반하면, 단위 관형 부재의 운반 과정에서 단위 관형 부재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대차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를 타워 내부에 용이하게 이동 및 설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뿐만 아니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 또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구조물의 내측면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지지 장치 110: 제 1 결합부
111, 113: 제 1 링크 부재 112, 114: 제 2 링크 부재
131: 제 1 연결부 133: 제 2 연결부
190: 회전 부재 191: 관형 부재
500: 이동 대차 510, 511: 베이스
512: 휠 520: 지지대
530: 받침대 540: 핸들

Claims (22)

  1.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결합부는
    일 단부가 상기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 및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와 이웃하여 설치되되,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2 링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측 중 어느 일측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 부재;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측 중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부재가 관통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 2 링크 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바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 각각이 그와 연결된 상기 제 1 지지 부재와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는 0~18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제 2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 1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는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부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두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결합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상기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제 1 연결부에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3 링크 부재 및
    상기 2 개의 제 3 링크 부재와 이웃하여 설치되되, 상기 2 개의 제 3 링크 부재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상기 두 단부에 각각 힌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가 제 2 연결부에 서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 개의 제 4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2 개의 제 1 링크 부재의 타 단부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2 개의 제 2 링크 부재의 타 단부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 단부는 상기 2 개의 제 3 링크 부재의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타 단부는 상기 2 개의 제 4 링크 부재의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지 장치.
  2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 장치를 이동 및 설치하기 위한 이동 대차로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휠 및
    상기 지지 장치의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가능한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장치의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기 받침대의 상측면에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평판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부 평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휠은 상기 하부 평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부 평판으로부터 상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세로 부재 및
    상기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세로 부재를 연결하는 가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두 개의 세로 부재 각각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형 부재이며,
    상기 핸들은 상기 가로 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KR1020120043442A 2012-04-25 2012-04-25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KR10137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42A KR101375270B1 (ko) 2012-04-25 2012-04-25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42A KR101375270B1 (ko) 2012-04-25 2012-04-25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94A KR20130120294A (ko) 2013-11-04
KR101375270B1 true KR101375270B1 (ko) 2014-04-01

Family

ID=4985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442A KR101375270B1 (ko) 2012-04-25 2012-04-25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3974A (zh) * 2020-01-14 2020-05-08 苏州鑫捷顺五金机电有限公司 一种油压机的安全支撑装置
CN117102924B (zh) * 2023-10-19 2023-12-26 如东黄海泵业有限公司 一种基于电机外壳加工用的固定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09Y1 (ko) * 2001-07-27 2001-11-22 한국산업안전공단 엔진 및 변속기용 리프트 잭
KR20040040067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잭
JP2011144807A (ja) 2010-01-18 2011-07-28 Siemens Ag 風車タワーを輸送する方法
JP2011163492A (ja) * 2010-02-12 2011-08-25 Sekisui Chem Co Ltd 管体の軸心位置特定治具および軸心位置特定治具を用いた管体軸心位置特定方法ならびに取付穴罫描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09Y1 (ko) * 2001-07-27 2001-11-22 한국산업안전공단 엔진 및 변속기용 리프트 잭
KR20040040067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잭
JP2011144807A (ja) 2010-01-18 2011-07-28 Siemens Ag 風車タワーを輸送する方法
JP2011163492A (ja) * 2010-02-12 2011-08-25 Sekisui Chem Co Ltd 管体の軸心位置特定治具および軸心位置特定治具を用いた管体軸心位置特定方法ならびに取付穴罫描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94A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62708U (zh) 卷体直径可调式散装电缆放线架
CN104749860A (zh) 工业用移动摄像支架
US20150023017A1 (en) Light tower
PT2922779T (pt) Dispositivo manipulador para o manuseamento de redes de armadura para segmentos de torre de um aerogerador
KR101505458B1 (ko) 매니폴드 장치
CN106575126A (zh) 太阳跟踪器的方位角旋转机构
KR101375270B1 (ko)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CN105152067A (zh) 一种飞机主千斤顶调节装置
KR200479122Y1 (ko) 파이프 회전지지 장치
CN205001846U (zh) 新型气瓶护座
KR100905861B1 (ko)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CN203760619U (zh) 一种车载天线座架
CN104594709A (zh) 遮拦杆
CN109518954A (zh) 一种角度可调的建筑模板支撑装置
CN210890742U (zh) 一种可调节方位的支架
CN210860330U (zh) 墩柱钢筋保护层检测仪器的辅助升降装置
CN102361252A (zh) 折叠式旋转绝缘平台
CN208707516U (zh) 一种应用于直流高压发生器的多功能底盘
CN111431082A (zh) 一种电力管道巡检装置
CN105416830B (zh) 一种对运载货物进行支撑固定的方法
CN104555839B (zh) 高空作业车
CN105014631B (zh) 手动二维倾角调整平台
CN203398654U (zh) 便携式电缆转施放架
CN206390919U (zh) X光透视检查支架
CN211579402U (zh) 高压线缆操作用支撑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