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013B1 -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 Google Patents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013B1
KR102602013B1 KR1020210172948A KR20210172948A KR102602013B1 KR 102602013 B1 KR102602013 B1 KR 102602013B1 KR 1020210172948 A KR1020210172948 A KR 1020210172948A KR 20210172948 A KR20210172948 A KR 20210172948A KR 102602013 B1 KR102602013 B1 KR 10260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ift
plate
guid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849A (ko
Inventor
곽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진
Priority to KR102021017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0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중,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LIFTING STRUCTURE'S HEAD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중,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의 T-BLOCK은,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러한 T-BLOCK CELL GUIDE 설치는 상하부 있어서 하부작업 리프트로 상하를 맞추고 체인으로 전, 후, 좌 및 우를 맞추면서 작업을 한다.
그러나 위의 하부작업과 전, 후, 좌 및 우를 맞추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함에 따라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품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 하, 좌, 우, 전 및 후 방향을 한번에 맞추도록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리프트(Lift)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리프트는, 고가의 높이에 위치한 설치 영역에 소정의 구조물을 설치하려는 경우 사용되는 기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리프트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높이 조절되어 구조물을 인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리프트는 일예로서, 실용신안공보 실1995-0004694호에는, 자동차 정비점검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절아암(30)의 끝단부 중간에 절취홈(31)을 형성하고, 그 절취홈(31)의 전, 후방에 한쌍의 각도조절바(50a)(50b), (50c)(50d)의 하단을 축핀(51a)(51b)으로 각각 굴대설치하여 각도변위되게 하며, 전방측에 설치된 한쌍의 각도조절바(50a)(50b)사이에 굴대설치되게 측핀(51a)에 체인기어(52)를 일체로 고정설치하고, 그 체인기어(52)의 상부에 위치되게 래칫(53)의 상단을 굴대설치하되 손잡이축봉(54)과 일체로 형성하여 회동되게 하며, 래칫(53)의 상단을 연장한 연결편(55)과 후방측에 설치된 한쌍의 각도조절바(50c)(50d)사이에 고정된 고정핀(56)사이를 탄력부재(57)로 연결하여 외부충격에 의하여 래칫(53)과 에친기어(5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저면이 개방되게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절취홈(59a)(59b)이 형성된 수평유지판(58)에 전, 후방측 한쌍의 각도조절바(50a)(50b), (50c)(50d)을 축핀(60a)(60b)으로 각각 굴대설치하여 각도변위에 따라 수평으로 높이조절되게 하는, 자동차용 리프트의 높이 조절식 차체 받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2750호에는 실린더를 이용한 상부적재 중량 및 높이조절 리프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실린더를 이용한 상부 적재중량 및 높이조절 리프트로서 산업현장에서 컨베이어 라인이나 가공라인 등.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앉은 위치나 서서 작업할 경우, 상부 적재높이를 설정할 수 있고, 부품박스에 쌓이는 하중을 설정하여 상부적재 높이에서 레일을 타고 하부로 이동하는 간격을 일정하게 하므로써 작업자가 작업환경조건에 따라 몸의 움직임의 반경을 줄여 작업자 피로를 들어주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리프트를 제공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6250호에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작업대 위에서 부품 조립 시 작업대가 있는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올려주는 기능을 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의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의 승강 시, 모터와 볼스크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동 방식과 포스트의 전후 및 좌우 4개소를 지지점으로 하는 승강 가이드 방식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트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리프트 승강 작동 시 전체적인 균형의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등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사이즈가 작고 구조 및 조작이 간단하여 취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소형의 작업장에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리프트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 하 높이 조절만 가능할 뿐, 전, 후, 좌 및 우 방향으로의 조절은 불가능하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762570호에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상부에 탑승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 외측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승강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안전바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 하부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씩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바퀴 및 제1피동바퀴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바퀴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이격된 하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의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는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며, 각각은 LM가이드에 의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판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피동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제2바퀴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기어와 이격되어 기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기어케이스와, 상기 제2바퀴와 각각 마주하는 기어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연결축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한 쌍의 기어에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승강판 및 안전바에 연결 고정되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를 컨트롤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은, 전후좌우 그리고 높이 조절에 대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부분에서 유사점이 있지만, 컨테이너선의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구성이 반영되어 설계된 것이 아니다.
실용신안공보 실1995-0004694호(1995.06.13.)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2750호(2011.08.18.) 등록특허공보 제10-1926250호(2019.02.26.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62570호(2017.07.2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중,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은,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중,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로서, 하측구조물(10); 상측구조물(20); 및 취부구조물(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측구조물(10)은, 기둥(20)에 직접 결합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에 결합된 실린더(12)와; 상기 실린더(12)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로드(13)와;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 다른 일측에 결합된 제1 가이드(14)와; 상기 제1 가이드(14)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3)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실린더로드(13)의 길이 가변에 따라 이송되며, 제1 가이드(14)에 의해 보조되는 중간판(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판(15)의 상면에는 상측구조물(20)이 결합되되, 상기 상측구조물(20)은, 상측구조물(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제2 가이드(21)와; 상측구조물(20)의 상면 양단부에 브라켓을 통해 결합된 장볼트(22)와; 상기 장볼트(22)에 결합되어 장볼트(22)의 회전에 따라 장볼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브라켓(23)과; 상기 이송브라켓(23)에 결합되어 이송되며, 제2 가이드(21)에 의해 보조되는 상판(24);을 포함하며, 상기 장볼트(22)의 일측으로는 핸들축(22a)이 더 연장되고, 상기 핸들축(22a)에는 핸들이 결합되어 장볼트(22)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24)의 상면에는 취부구조물(30)이 결합되되, 상기 취부구조물(30)은, '└┘'자 형상을 가지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된 2개의 지지봉(32)과; 2개의 지지봉(32) 사이에,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다른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된 지지롤러(33)와;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또 다른 관통홀 각각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롤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24)에는 고정부(31)의 바닥판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회전축(35)이 결합되고, 회전축(35)의 일측에는 용이한 회전을 위해서 베어링(35a)이 결합되며, 상기 상판(24)의 다른 일측으로는 단속봉(36)이 결합되어 입설되되, 상기 취부구조물(30)은 상기 단속봉(36)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만곡된 홀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에 의하면,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리프트의 상방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리프트 하측의 휠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트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리프트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의 하측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의 상측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의 취부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중,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출원인은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2088959호를 통해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출원하여 등록한 바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전, 후, 좌, 우 방향의 제어를 위하여 개선된 발명을 착안하였고, 그 결과 첨부된 도면의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의 하측구조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의 상측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의 취부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의 정의는, 상술된 등록특허공보 제10-2088959호의 베이스(10) 및 기둥(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구조물로 정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하측구조물(10); 상측구조물(20); 및 취부구조물(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구조물(1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술된 등록특허공보 제10-2088959호의 기둥(20)의 상측으로 결합된다. 이때 결합이란 용접, 일체, 볼팅 결합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측구조물(10)은 기둥(20)에 직접 결합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에 결합된 실린더(12)와; 상기 실린더(12)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로드(13)와;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 다른 일측에 결합된 제1 가이드(14)와; 상기 제1 가이드(14)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3)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실린더로드(13)의 길이 가변에 따라 이송되며, 제1 가이드(14)에 의해 보조되는 중간판(1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판(15)이 실린더로드(13)에 결합되는 것은, 중간판(15)의 일측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로드(13)에 고리를 포함하여 중간판(15)의 돌출된 돌기가 고리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중간판(15)의 상면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은 상측구조물(20)이 결합된다.
상기 상측구조물(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제2 가이드(21)와; 상측구조물(20)의 상면 양단부에 브라켓을 통해 결합된 장볼트(22)와; 상기 장볼트(22)에 결합되어 장볼트(22)의 회전에 따라 장볼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브라켓(23)과; 상기 이송브라켓(23)에 결합되어 이송되며, 제2 가이드(21)에 의해 보조되는 상판(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볼트(22)의 일측으로는 핸들축(22a)이 더 연장되고, 상기 핸들축(22a)에는 핸들(도면에 미표시)이 결합되어 장볼트(2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판(24)의 상면으로는 취부구조물(30)이 결합된다.
이때, 취부구조물(30)은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구성되며, 구조물을 취부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취부구조물(30)은 상판(24)으로부터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자 형상을 가지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된 2개의 지지봉(32)과; 2개의 지지봉(32) 사이에,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다른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된 지지롤러(3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취부구조물(30)의 지지봉(32)과 지지롤러(33)의 상측에 구조물이 취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부구조물(30)은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또 다른 관통홀 각각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롤러(34);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취부구조물(30)에 취부된 구조물의 측방향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취부구조물(30)은 상판(24)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판(24)에는 회전축(35)이 결합되고, 회전축(35)의 일측에는 용이한 회전을 위해서 베어링(35a)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판(24)의 다른 일측으로는 단속봉(36)이 결합되어 입설되는데, 이러한 단속봉(36)은 고정부(31)의 바닥판에 형성된 만곡된 홀(도면부호 미표시)에 내삽되어, 상기 취부구조물(30)이 회전축(35)을 통해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하면서, 동시에 지나친 범위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35)은 '凸'의 2단 형상으로 구성되며, 단턱과 베어링(35a) 사이에 아래 [표 1]에 도시된 충격완화구조물(40)이 내삽된다.
이러한 충격완화구조물(40)은 베어링(35a)과 마찬가지로서 링의 형상을 가지며,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수직벽 일측에 오목홈(41a)을 포함하는 제1 몸체(41)와;
상기 제1 몸체(41)의 하측에서 결합되며 외측돌기(42a)와 내측돌기(42b)를 포함하여 '土'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2 몸체(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돌기(42b)는 제1 몸체(41)의 오목홈(41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41)의 수직벽 하측에서부터 제2 몸체(42)의 상면 일측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실리콘링(43)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41)와 제2 몸체(42)의 사이공간 중 외측공간으로는 스프링이 다수 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이때 외측돌기(42a)는 스프링의 일측에 끼워진다. 또한, 스프링의 상/하 단부는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볼팅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42)의 최상면은 실리콘링(43)에 의해 제1 몸체(4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취부구조물(30)에 구조물이 취부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되어도 충격완화구조물에 의해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하측구조물
11 : 베이스판
12 : 실린더
13 : 실린더로드
14 : 제1 가이드
15 : 중간판
20 : 상측구조물
21 : 제2 가이드
22 : 장볼트
22a : 핸들축
23 : 이송브라켓
24 : 상판
30 : 취부구조물
31 : 고정부
32 : 지지봉
33 : 지지롤러
34 : 고정롤러
35 : 회전축
35a : 베어링
36 : 단속봉

Claims (5)

  1.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중,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로서,
    하측구조물(10); 상측구조물(20); 및 취부구조물(30)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구조물(10)은,
    기둥(20)에 직접 결합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에 결합된 실린더(12)와;
    상기 실린더(12)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로드(13)와;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 다른 일측에 결합된 제1 가이드(14)와;
    상기 제1 가이드(14)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3)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실린더로드(13)의 길이 가변에 따라 이송되며, 제1 가이드(14)에 의해 보조되는 중간판(15)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15)의 상면에는 상측구조물(20)이 결합되되,
    상기 상측구조물(20)은,
    상측구조물(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제2 가이드(21)와;
    상측구조물(20)의 상면 양단부에 브라켓을 통해 결합된 장볼트(22)와;
    상기 장볼트(22)에 결합되어 장볼트(22)의 회전에 따라 장볼트(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브라켓(23)과;
    상기 이송브라켓(23)에 결합되어 이송되며, 제2 가이드(21)에 의해 보조되는 상판(24)을 포함하며;
    상기 장볼트(22)의 일측으로는 핸들축(22a)이 더 연장되고,
    상기 핸들축(22a)에는 핸들이 결합되어 장볼트(22)를 회전시키며;
    상기 상판(24)의 상면에는 취부구조물(30)이 결합되되,
    상기 취부구조물(30)은,
    '└┘'자 형상을 가지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된 2개의 지지봉(32)과;
    2개의 지지봉(32) 사이에,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다른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된 지지롤러(33)와;
    상기 고정부(31)의 마주하는 양벽에 마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또 다른 관통홀 각각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롤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24)에는 고정부(31)의 바닥판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회전축(35)이 결합되고, 회전축(35)의 일측에는 용이한 회전을 위해서 베어링(35a)이 결합되며, 상기 상판(24)의 다른 일측으로는 단속봉(36)이 결합되어 입설되되,
    상기 취부구조물(30)은 상기 단속봉(36)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만곡된 홀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2948A 2021-12-06 2021-12-06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KR10260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948A KR102602013B1 (ko) 2021-12-06 2021-12-06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948A KR102602013B1 (ko) 2021-12-06 2021-12-06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849A KR20230084849A (ko) 2023-06-13
KR102602013B1 true KR102602013B1 (ko) 2023-11-14

Family

ID=8676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948A KR102602013B1 (ko) 2021-12-06 2021-12-06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0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59B1 (ko) * 2019-11-11 2020-05-26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694A (ko) 1993-07-02 1995-02-18 정몽원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방진고정자
JP3360574B2 (ja) * 1997-08-07 2002-12-24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ライドテーブル付きリフタ
KR100643088B1 (ko) * 2004-12-22 2006-11-10 김재만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단열작업용 장치
KR200473239Y1 (ko) * 2009-12-17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형 스크류 잭
KR20110092750A (ko) 2010-02-10 2011-08-18 성두창 실린더를 이용한 상부적재 중량 및 높이조절 리프트
KR20130000755U (ko) * 2011-07-22 2013-0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한 중량물 곡면 취부용 핸들장치
KR101762570B1 (ko) 2016-11-17 2017-07-28 근우테크 주식회사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KR101926250B1 (ko) 2017-02-24 2019-02-26 박용오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59B1 (ko) * 2019-11-11 2020-05-26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849A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090B2 (en)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KR100692150B1 (ko) 드롭 리프트 장치
KR101057629B1 (ko) 이송장치에 있어서의 승강대의 부착구조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CN108862100A (zh) 一种角度可调的电动车电池举升机
CN114537258B (zh) 节臂支撑架及节臂拆装辅助装置
KR102602013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2088959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CN104455947A (zh) 升降式机架的升降机构
CN104565688B (zh) 可升降式行走支架
CN210256043U (zh) 辅助装配装置
CN210499074U (zh) 一种凹底升降式滚轮装置
CN114319903A (zh) 一种装配建筑施工用上料装配校正装置
CN211169680U (zh) 升降机构
CN113845023A (zh) 一种车身升降翻转吊具及其使用方法
CN212355517U (zh) 食品原料提升机
KR102609033B1 (ko)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자동화시스템
CN219860390U (zh) 维修平台
CN214933265U (zh) 链式升降机
CN220841468U (zh) 用于顶升3d打印平台的升降机构及3d打印设备
CN214942615U (zh) 一种叠合侧楼板施工用调姿装置
CN219078270U (zh) 一种升降输送装置
ES2199399T3 (es) Aparato para la transferencia de plataformas de carga.
JP2015112674A (ja) 昇降ガイド、昇降装置、これを備えた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