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471B1 - 트랙슈 챔퍼링장치 - Google Patents

트랙슈 챔퍼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471B1
KR102389471B1 KR1020200148710A KR20200148710A KR102389471B1 KR 102389471 B1 KR102389471 B1 KR 102389471B1 KR 1020200148710 A KR1020200148710 A KR 1020200148710A KR 20200148710 A KR20200148710 A KR 20200148710A KR 102389471 B1 KR102389471 B1 KR 10238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shoe
support
chamfering
lif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오
Original Assignee
정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오 filed Critical 정현오
Priority to KR102020014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75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with street plate, i.e. means to prevent tread from cutting into roa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슈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상단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단지지부의 높이를 기준으로 챔퍼링부재를 하강시켜 관통공에 대한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트랙슈의 두께, 변형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깊이로 챔퍼링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숙련공 없이도 챔퍼링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한 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슈 챔퍼링장치{A Chamfering Device for Track Shoe}
본 발명은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슈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상단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단지지부의 높이를 기준으로 챔퍼링부재를 하강시켜 관통공에 대한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트랙슈의 두께, 변형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깊이로 챔퍼링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숙련공 없이도 챔퍼링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한 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슈(Track Shoe)는 굴삭기, 포크레인 등의 건설 중장비, 탱크나 트랙터 등 주행장치인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다수의 트랙슈가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트랙슈는 바닥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중장비 등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바닥과의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 사이에는 타 구성과의 체결 등을 위해 관통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트랙슈(T)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인발 성형으로 생산된 소재를 절단하여 관통공(T3)을 천공하는 과정을 거치며, 관통공(T3) 상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링부재(300)가 삽입되어 관통공(T3)의 상부를 경사진 형태로 부드럽게 만들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트랙슈(T)의 하면을 기준으로 챔퍼링부재(300)가 하강하여 트랙슈(T)의 관통공(T3)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T)의 종류마다 상이한 두께(D1,D2,D3)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경우 챔퍼링부재(300)의 삽입 깊이를 트랙슈(T)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트랙슈(T)의 길이 조정 작업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숙련공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게 되어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정확한 길이 조정의 어려움으로 챔퍼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트랙슈는 바닥과 접촉되어 중장비 등을 이동시키는 주행장치로 충격, 하중, 마모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과 내구성을 갖도록 해야 하는바, ??칭, 템퍼링 등의 반복적인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도 2(b)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T)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변형이 발생할 경우 도 2(b)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링부재(300)는 설정된 깊이보다 더욱 깊은 깊이로 관통공(T3)에 삽입되어 과도하게 깊은 챔퍼링면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3102호(2006.06.28. 공개)"굴삭기 하부트랙 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트랙슈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상단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단지지부의 높이를 기준으로 챔퍼링부재를 하강시켜 관통공에 대한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트랙슈의 두께, 변형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깊이로 챔퍼링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숙련공 없이도 챔퍼링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한 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이본체의 일측에 승강실린더를 형성하도록 하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트랙슈를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장치의 구성과 함께 기존 챔퍼링장치에 대한 적용도 가능하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이 가능한 지지롤러를 이용하여 트랙슈를 받친 상태에서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써 트랙슈와의 마찰을 줄이고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랙슈가 스토퍼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멈추고 챔퍼링부재의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높이에서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트랙슈가 과도한 상승으로 전도되거나 지지스토터 및 기타 장치의 파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랙슈를 좌우로 정렬시키는 좌우정렬부를 포함하여 좌우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챔퍼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삽입부재를 관통공에 삽입하여 트랙슈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서 챔퍼링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랙슈의 전후 방향에서 트랙슈를 파지한 상태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트랙슈의 전도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아혀 정확한 챔퍼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챔퍼링 작업이 실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이본체와, 다이본체 상에 형성되어 트랙슈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와, 이송롤러 상으로 승강 및 회전하면서 트랙슈의 관통공 상부에 삽입되는 챔퍼링부재와, 상기 챔퍼링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이송롤러 상의 트랙슈를 들어올리는 트랙슈상승부와, 트랙슈상승부에 의한 상승되는 트랙슈의 상부를 지지하여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퍼링부재는 상기 상단지지부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상승부는 트랙슈 하부를 받친 상태로 트랙슈를 승강시키는 받침모듈과, 다이본체 일측에 지지되어 받침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받침모듈 및 승강실린더를 연결하여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받침모듈이 승강되도록 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일단이 상기 승강실린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받침모듈이 형성되는 연결지지부재와; 다이본체 상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지지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회전중심이 되는 중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모듈은 트랙슈와 회전가능하도록 접촉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는 다이본체 상에 지지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에서 트랙슈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는 트랙슈가 상기 지지스토퍼와 접촉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승감지센서를 포함하여, 트랙슈가 지지스토퍼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트랙슈상승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챔퍼링부재를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의 양측에 형성되어 트랙슈를 좌우로 정렬하는 좌우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정렬부는 트랙슈에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접촉부재를 지지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실린더와; 다이본체 상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이동실린더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의 관통공을 챔퍼링부재가 삽입될 정확한 위치로 정렬시키는 관통공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정렬부는 트랙슈의 하부에서 챔퍼링부재가 하강하는 위치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를 승강시키는 상하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가 이송되는 전후 방향에서 트랙슈를 지지하는 전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지지부는 트랙슈의 전후측에서 트랙슈를 파지하는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을 지지하며, 파지모듈이 승강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과, 상기 전후이동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모듈은 트랙슈에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승강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지지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상하이동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랙슈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상단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단지지부의 높이를 기준으로 챔퍼링부재를 하강시켜 관통공에 대한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트랙슈의 두께, 변형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깊이로 챔퍼링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숙련공 없이도 챔퍼링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한 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이본체의 일측에 승강실린더를 형성하도록 하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트랙슈를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장치의 구성과 함께 기존 챔퍼링장치에 대한 적용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이 가능한 지지롤러를 이용하여 트랙슈를 받친 상태에서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써 트랙슈와의 마찰을 줄이고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트랙슈가 스토퍼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멈추고 챔퍼링부재의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높이에서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트랙슈가 과도한 상승으로 전도되거나 지지스토터 및 기타 장치의 파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트랙슈를 좌우로 정렬시키는 좌우정렬부를 포함하여 좌우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챔퍼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삽입부재를 관통공에 삽입하여 트랙슈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서 챔퍼링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트랙슈의 전후 방향에서 트랙슈를 파지한 상태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트랙슈의 전도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아혀 정확한 챔퍼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트랙슈의 두께에 따른 종래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트랙슈의 변형에 따른 종래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트랙슈상승부 및 상단지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트랙슈상승부 및 상단지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평면도
도 8은 트랙슈상승부 및 상단지지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좌우정렬부 및 관통공정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파지모듈이 승강지지부를 따라 승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 내지 도 16은 전후지지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이송롤러(200) 상의 트랙슈(T)를 들어올리는 트랙슈상승부(1)와, 트랙슈상승부(1)에 의한 상승되는 트랙슈(T)의 상부를 지지하여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지지부(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중장비 등의 무한궤도에 사용되는 트랙슈(T)에 있어서, 트랙슈(T)에 형성되는 관통공(T3) 상부에 챔퍼링부재(300)를 삽입하여 경사진 챔퍼링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장치로, 트랙슈(T)는 베이스플레이트(T1)와 베이스플레이트(T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T2), 돌출부(T2) 사이에서 베이스플레이트(T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T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종래와 같이 챔퍼링 작업이 실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이본체(100)와, 다이본체(100) 상에 형성되어 트랙슈(T)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200)와, 이송롤러(200) 상으로 승강 및 회전하면서 트랙슈(T)의 관통공(T3) 상부에 삽입되는 챔퍼링부재(300)와, 상기 챔퍼링부재(3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을 포함하도록 한다. 다이본체(100), 이송롤러(200), 챔퍼링부재(300), 승강수단(400)은 기존 챔퍼링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종래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닥(트랙슈의 파면)을 기준으로 챔퍼링부재(300)를 승강시켰던바, 트랙슈(T)의 베이스플레이트(T1)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는 챔퍼링부재(300)가 하강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일정한 챔퍼링의 깊이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숙련공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그 길이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할 경우 챔퍼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트랙슈(T)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챔퍼링부재(300)가 과도한 깊이로 삽입되어 균일하지 못한 챔퍼링면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T)를 들어올려 트랙슈(T) 상부가 일정 높이에 지지된 상태로 트랙슈(T) 상부면을 기준으로 챔퍼링부재(30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챔퍼링부재(300)의 하강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챔퍼링부재(300)가 항상 트랙슈(T)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랙슈(T)의 두께가 상이하거나 트랙슈(T)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깊이의 챔퍼링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챔퍼링부재(300)의 정밀한 길이 조절 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숙련공이 필요없어 원가가 절감되며, 그럼에도 챔퍼링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랙슈상승부(1)는 이송롤러(200)에 지지된 트랙슈(T)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트랙슈(T)가 상단지지부(2)에 지지될 때까지 트랙슈(T)를 들어올리도록 한다. 특히, 상기 트랙슈상승부(1)는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기존 챔퍼링장치에 대한 설치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다이본체(100)의 측면과 연결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트랙슈상승부(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T)를 받치는 받침모듈(11), 받침모듈(1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2), 받침모듈(11)과 승강실린더(12)를 연결하는 연결모듈(13)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모듈(11)은 이송롤러(200) 상에 지지된 트랙슈(T)를 들어올리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모듈(13)과 연결되어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모듈(11)은 상기 연결모듈(13)의 후술할 연결지지부재(131)이 끝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모듈(11)은 트랙슈(T)를 균형있게 받쳐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200)의 내측으로 전후 방향으로도 한 쌍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모듈(11)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롤러(111)를 포함하여 지지롤러(111)에 의해 트랙슈(T)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받침모듈(11)과 트랙슈(T)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한 트랙슈(T)의 승강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1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T3)과 전후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트랙슈(T)와 접촉되도록 하여 상단지지부(2)에 지지되는 트랙슈(T)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고 내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12)는 상기 받침모듈(11)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다이본체(10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12)는 그 설치를 위해 다이본체(100) 내에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의 챔퍼링장치에도 용이하게 장착하여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12) 상부에는 상기 연결모듈(13)의 연결지지부재(131)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연결지지부재(131)의 일단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실린더(12)의 상부에는 연결지지부재(131)의 후술할 승강회전축(131a)이 연결되어 연결지지부재(13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모듈(13)은 승강실린더(12)와 받침모듈(11)을 연결하여 측면에 형성되는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받침모듈(11)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승강실린더(12) 및 받침모듈(11)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재(131)와, 다이본체(100) 상에 지지되어 연결지지부재(131)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부재(131)는 승강실린더(12)와 받침모듈(11)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일단에는 승강실린더(12)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받침모듈(11)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재(131) 상에는 중심부재(132)가 형성되도록 하여 중심부재(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12)를 상승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받침모듈(11)이 하강하고, 승강실린더(12)를 하강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받침모듈(11)이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지지부재(131)는 이러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승강실린더(12)가 연결되는 일단에 승강회전축(131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승강회전축(131a)은 승강실린더(1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연결지지부재(131)가 중심부재(13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재(1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12)의 양측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받침모듈(11)이 승강지지부재(521)의 양측에서 트랙슈(T)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132)는 연결지지부재(131)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다이본체(100)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132)는 중심회전축(132a)에 의해 연결지지부재(13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지지부재(131)가 중심부재(13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단지지부(2)는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트랙슈상승부(1)에 의해 상승되는 트랙슈(T)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트랙슈(T)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지지부(2)는 항상 트랙슈(T) 상부면이 일정높이에서 지지되어 멈추도록 하고, 트랙슈(T)의 관통공(T3)에 삽입되는 챔퍼링부재(300)가 트랙슈(T)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일정 깊이까지 하강하도록 하여 트랙슈(T)의 변형, 두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깊이로 챔퍼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단지지부(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모듈(11)의 전후 방향 양측으로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여 트랙슈(T)를 상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부(2)는 트랙슈(T)가 상단지지부(2)에 지지되는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승강실린더(12)의 작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트랙슈(T)의 과도한 상승으로 트랙슈(T)가 전도되거나 챔퍼링장치의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랙슈(T)가 정확한 높이에서 지지되어 더욱 정확한 깊이로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단지지부(2)는 고정프레임(21), 지지스토퍼(22), 상승감지센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은 다이본체(100) 상에 지지되어 지지스토퍼(22)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송롤러(200)의 양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트랙슈(T) 상에서 지지스토퍼(22)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스토퍼(22)는 상기 트랙슈상승부(1)에 의해 상승되는 트랙슈(T)와 일정 높이에서 접촉되어 트랙슈(T)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슈(T)의 상부면이 항상 일정 높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토퍼(22)는 일정 높이에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트랙슈(T)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트랙슈(T)가 항상 일정 높이에서 지지된 상태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스토퍼(22)는 받침모듈(11)과 같이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T3)과 전후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관통공(T3)의 높이에서 트랙슈(T) 상부면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챔퍼링 높이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토퍼(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T)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트랙슈(T)의 상부면을 항상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그 높이에 맞추어 챔퍼링부재(300)가 하강하도록 하므로 항상 일정한 깊이로 챔퍼링부재(300)가 삽입되어 일정한 챔퍼링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승감지센서(23)는 트랙슈(T)가 지지스토퍼(22)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지지스토퍼(22)의 하단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상승감지센서(23)는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21)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승감지센서(23)에 의해 트랙슈(T)가 지지스토퍼(22) 하단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승강실린더(12)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지지스토퍼(22)에 의한 트랙슈(T)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챔퍼링부재(300)를 하강시켜 관통공(T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작동과정에 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T)가 챔퍼링 위치에 도달하면 승강실린더(12)가 작동을 시작하여 연결지지부재(131)의 일단을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받침모듈(11)이 상승하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111)가 트랙슈(T) 하부에 접촉되며, 승강실린더(12)가 지속적으로 연결지지부재(131)의 일단을 하강시켜 받침모듈(11)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T)의 상부면이 지지스토퍼(22) 하단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트랙슈(T)기 지지스토퍼(22) 하단에 접촉되는 것이 상승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되면 챔퍼링부재(300)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관통공(T3) 상부에 삽입됨으로써 챔퍼링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챔퍼링부재(300)는 항상 지지스토퍼(22)에 지지되는 트랙슈(T) 상부면에 맞추어 하강하게 되므로 트랙슈(T)의 두께, 변형에 상관없이 일정한 깊이로 챔퍼링부재(30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슈 챔퍼링장치를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T)의 양측에 형성되어 트랙슈(T)를 좌우로 정렬하는 좌우정렬부(3)와, 트랙슈의 관통공(T3)을 챔퍼링부재(300)가 삽입될 정확한 위치로 정렬시키는 관통공정렬부(4)와, 트랙슈(T)가 이송되는 전후 방향에서 트랙슈(T)를 지지하는 전후지지부(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정렬부(3)는 이송롤러(200) 상의 트랙슈(T)를 좌우로 정렬시키는 구성으로, 좌우 방향에서 트랙슈(T)를 밀어 챔퍼링부재(300)가 삽입되는 위치에 트랙슈(T)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정렬부(3)는 좌우 양측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T)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트랙슈(T)를 정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좌우정렬부(3)는 모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일측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타측만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여 트랙슈(T)를 좌우 방향에서 정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좌우정렬부(3)는 접촉부재(31), 수평바(32), 수평이동실린더(33), 측면지지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31)는 상기 트랙슈(T)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좌우측 끝단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31)는 상기 수평바(32) 끝단에 연결되어 수평이동실린더(33)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트랙슈(T)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트랙슈(T)가 좌우정렬부(3) 사이에 위치한 후 접촉부재(31)를 트랙슈(T)에 근접시켜 트랙슈(T)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31)는 상기 트랙슈상승부(1)에 의해 트랙슈(T)가 상승하는 동안 트랙슈(T)의 양측을 지지하여 기울어짐이나 전도를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바(32)는 바닥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접촉부재(3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그 끝단에 접촉부재(31)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바(32)는 수평이동실린더(33)와 연결되어 수평이동실린더(33)의 작동에 따라 접촉부재(3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실린더(33)는 수평바(32)를 좌우로 이동시켜 접촉부재(31)의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측의 좌우정렬부(3) 또는 양측의 좌우정렬부(3)에 모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실린더(33)는 트랙슈(T)가 챔퍼링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작동하여 접촉부재(31)를 트랙슈(T)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접촉부재(31)가 트랙슈(T)에 접촉되는 경우 그 작동을 멈추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챔퍼링이 종료된 후 다시 접촉부재(31)가 트랙슈(T)로부터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대(34)는 상기 수평이동실린더(33)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다이본체(100) 상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면지지대(34)는 이송롤러(200) 양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평이동실린더(33)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평바(32)를 직접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정렬부(4)는 트랙슈(T)의 관통공(T3)을 챔퍼링부재(300)가 삽입되는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좌우정렬부(3)에 의한 트랙슈(T)의 좌우 방향 정렬이 이루어진 후 관통공(T3)을 정위치에 정렬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통공정렬부(4)는 관통공(T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41)와, 상기 삽입부재(41)를 승강시키는 상하구동실린더(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41)는 트랙슈(T) 하부에서 관통공(T3)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구성으로, 챔퍼링부재(30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41)가 관통공(T3)에 삽입되는 경우 관통공(T3)은 챔퍼링부재(300)가 삽입되는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한 챔퍼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구동실린더(42)는 삽입부재(41)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트랙슈(T)가 투입되는 위치 하부로 다이본체(100) 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구동실린더(42)는 상기 좌우정렬부(3)에 의해 트랙슈(T)가 정렬된 후 삽입부재(41)를 상승시켜 트랙슈(T)의 관통공(T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트랙슈(T)가 더욱 정확한 위치에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후지지부(5)는 트랙슈(T)를 전후 방향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전후 방향에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송롤러(200)를 통해 유입되는 트랙슈(T)를 전후 방향에서 파지하여 트랙슈상승부(1)를 통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트랙슈(T)가 전도되거나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후지지부(5)는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는 트랙슈(T)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자체적인 승강도 가능하도록 하며,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도록 하여 트랙슈(T)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후지지부(5)는 트랙슈(T)를 파지한 상태에서 트랙슈(T)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자유로운 이동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지지부(5)는 파지모듈(51), 승강지지부(52), 전후이동수단(53), 상하이동수단(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모듈(51)은 트랙슈(T)를 파지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트랙슈(T)를 상하측에서 지지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모듈(51)은 트랙슈(T)의 베이스플레이트(T1)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부(T2) 사이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모듈(51)은 상기 승강지지부(52)에 지지되어 트랙슈(T)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트랙슈(T)가 트랙슈상승부(1)에 의해 승강되는 동안에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모듈(51)은 트랙슈(T)의 전후측에서 끼워지는 끼움부재(511)와, 상기 끼움부재(511)가 고정되며, 승강지지부(52)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511)는 트랙슈(T)에 끼워져 상하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하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에 트랙슈(T)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511)는 좌우 방향으로도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트랙슈(T)의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끼움부재(511)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12)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하이동부재(512)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12)는 일단에 상기 끼움부재(511)가 형성되며, 타단은 승강지지부(52)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부재(512)는 승강지지부(52)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트랙슈(T)의 승강에 따라 끼움부재(511)도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랙슈(T)가 승강하는 동안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512)는 상기 승강지지부(52)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양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512a)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돌기(512a)가 승강지지부(52)의 후술할 상하이동홈(523)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지지부(52)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12)가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512)를 수용하는 승강지지부재(521), 승강지지부재(521) 상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상하이동부재(51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522), 상기 삽입돌기(512a)가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상하이동홈(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부재(521)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12)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홈(522)이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수용홈(522)의 양측으로는 상하이동홈(523)이 함입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부재(521)는 상기 전후이동수단(53)에 고정되어 전후이동수단(53)의 작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수용홈(522)은 상기 승강지지부재(521) 일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512)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상하이동부재(5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522)은 상하이동부재(512)가 상하로 이동되는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트랙슈(T)가 트랙슈상승부(1)에 의해 승강되는 높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트랙슈(T)가 승강하는 동안 상하이동부재(512)도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이동홈(523)은 수용홈(522)의 양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삽입돌기(512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상하이동홈(523)은 삽입돌기(512a)를 지지하여 상하이동부재(512)가 수용홈(522)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승강지지부재(521)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트랙슈(T)가 승강하는 동안 파지모듈(51)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홈(523) 역시 수용홈(522)과 같이 트랙슈(T)의 승강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후이동수단(53)은 상기 파지모듈(5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지지부재(521)가 일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후이동수단(53)은 유압, 공기압 등의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작동에 따라 승강지지부재(52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끼움부재(511)가 트랙슈(T)에 끼워지거나 끼움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이동수단(54)은 파지모듈(51) 및 승강지지부(5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전후이동수단(53) 하부에 고정되어 전후이동수단(5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수단(54) 역시 실린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작동에 따라 전후이동수단(53)을 승강시켜 파지모듈(51) 및 승강지지부(52)도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이동수단(54)은 다이본체(1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트랙슈(T)의 이송시에는 파지모듈(51) 및 승강지지부(52)를 하강시키도록 하고, 트랙슈(T)가 챔퍼링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파지모듈(51) 및 승강지지부(52)를 상승시켜 트랙슈(T)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의 작동 과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전후지지부(5)가 형성되거나 전후지지부(5) 없이 작동할 수 있으며, 먼저 상기 전후지지부(5)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트랙슈(T)가 챔퍼링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관통공정렬부(4)의 삽입부재(41)가 상승하여 트랙슈(T)의 관통공(T3)에 삽입됨으로써 트랙슈(T)가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좌우정렬부(3)에 의한 지지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트랙슈상승부(1)가 작동하여 트랙슈(T)를 들어올리게 되고, 트랙슈(T)가 지지스토퍼(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챔퍼링부재(300)가 관통공(T3)으로 삽입되어 챔퍼링면을 형성하게 된다. 챔퍼링면이 형성되고 나면, 상기 트랙슈상승부(1)에 의해 트랙슈(T)가 하강하여 챔퍼링 작업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전후지지부(5)가 형성되어 작동하는 경우에는 먼저 트랙슈(T)가 챔퍼링 위치로 후측 방향에서 진입될 때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의 전후지지부(5'')는 하강하도록 하고, 전측의 전후지지부(5')는 상승하고 후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끼움부재(511)에 트랙슈(T)가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정렬부(3) 및 관통공정렬부(4)에 의해 트랙슈(T)의 위치를 정렬한 상태에서 후측의 전후지지부(5'')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수단(54)을 작동시켜 파지모듈(51) 및 승강지지부(52)를 상승시키고,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수단(53)을 작동시켜 파지모듈(51)이 전진되면서 트랙슈(T)에 끼움부재(511)가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측의 전후지지부(5'5'')는 트랙슈상승부(1)에 의한 트랙슈(T)의 상승에 따라 승강지지부재(521)가 승강지지부(52)를 따라 상승하여 끼움부재(511)가 트랙슈(T)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지지된 상태에서 챔퍼링부재(300)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관통공(T3)에 삽입됨으로써 챔퍼링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후지지부(5)는 트랙슈(T)가 상승하는 동안, 그리고 챔퍼링부재(300)에 의해 챔퍼링이 실시되는 동안 트랙슈상승부(1)에 의해 들어오려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랙슈(T)의 챔퍼링 작업이 끝다고 나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슈상승부(1)의 작동에 따라 트랙슈(T)는 하강하며, 이때에도 트랙슈(T)는 끼움부재(5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트랙슈(T)가 이송롤러(200) 상으로 하강하면 상기 전측의 전후지지부(5')는 전후이동수단(53)의 작동에 따라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모듈(51)을 트랙슈(T)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수단(54)을 작동시켜 파지모듈(51) 및 승강지지부(52)가 하강하도록 하여 트랙슈(T)가 전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트랙슈상승부
11: 받침모듈 111: 지지롤러 12: 승강실린더
13: 연결모듈 131: 연결지지부재 131a: 승강회전축
132: 중심부재 132a: 중심회전축
2: 상단지지부
21: 고정프레임 22: 지지스토퍼 23: 상승감지센서
3: 좌우정렬부
31: 접촉부재 32: 수평바 33: 수평이동실린더 34: 측면지지대
4: 관통공정렬부
41: 삽입부재 42: 상하구동실린더
5: 전후지지부
51: 파지모듈 511: 끼움부재 512: 상하이동부재
512a: 삽입돌기 52: 승강지지부 521: 승강지지부재
522: 수용홈 523: 상하이동홈 53: 전후이동수단
54: 상하이동수단
100: 다이본체 200: 이송롤러 300: 챔퍼링부재 400: 승강수단
T: 트랙슈 T1: 베이스플레이트 T2: 돌출부 T3: 관통공

Claims (7)

  1. 챔퍼링 작업이 실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이본체와, 다이본체 상에 형성되어 트랙슈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와, 이송롤러 상으로 승강 및 회전하면서 트랙슈의 관통공 상부에 삽입되는 챔퍼링부재와, 상기 챔퍼링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에 있어서,
    이송롤러 상의 트랙슈를 들어올리는 트랙슈상승부와,
    트랙슈상승부에 의한 상승되는 트랙슈의 상부를 지지하여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퍼링부재는 상기 상단지지부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강되도록 하며,
    상기 트랙슈상승부는,
    트랙슈 하부를 받친 상태로 트랙슈를 승강시키는 받침모듈과, 다이본체 일측에 지지되어 받침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받침모듈 및 승강실린더를 연결하여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받침모듈이 승강되도록 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일단이 상기 승강실린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받침모듈이 형성되는 연결지지부재와; 다이본체 상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지지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회전중심이 되는 중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모듈은 트랙슈와 회전가능하도록 접촉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는
    다이본체 상에 지지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에서 트랙슈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는
    트랙슈가 상기 지지스토퍼와 접촉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승감지센서를 포함하여, 트랙슈가 지지스토퍼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트랙슈상승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챔퍼링부재를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의 양측에 형성되어 트랙슈를 좌우로 정렬하는 좌우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정렬부는,
    트랙슈에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접촉부재를 지지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실린더와; 다이본체 상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이동실린더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의 관통공을 챔퍼링부재가 삽입될 정확한 위치로 정렬시키는 관통공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정렬부는,
    트랙슈의 하부에서 챔퍼링부재가 하강하는 위치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를 승강시키는 상하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 챔퍼링장치는
    트랙슈가 이송되는 전후 방향에서 트랙슈를 지지하는 전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지지부는,
    트랙슈의 전후측에서 트랙슈를 파지하는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을 지지하며, 파지모듈이 승강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과, 상기 전후이동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모듈은,
    트랙슈에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승강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지지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상하이동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슈 챔퍼링장치.
KR1020200148710A 2020-11-09 2020-11-09 트랙슈 챔퍼링장치 KR10238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10A KR102389471B1 (ko) 2020-11-09 2020-11-09 트랙슈 챔퍼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10A KR102389471B1 (ko) 2020-11-09 2020-11-09 트랙슈 챔퍼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471B1 true KR102389471B1 (ko) 2022-04-25

Family

ID=8145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710A KR102389471B1 (ko) 2020-11-09 2020-11-09 트랙슈 챔퍼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4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382A (ja) * 2001-11-06 2003-05-14 Nippon Koshuha Steel Co Ltd 棒材端面部の面取り装置
KR101030084B1 (ko) * 2010-10-20 2011-04-19 (주) 티오피에스 디스플레이용 박판유리의 면취장치
KR101672041B1 (ko) * 2016-08-28 2016-11-03 (주) 신흥이엔지 가공부품의 가공홀 이동식 면취장치
KR20170047078A (ko) * 2015-10-22 2017-05-04 거산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단자부 면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382A (ja) * 2001-11-06 2003-05-14 Nippon Koshuha Steel Co Ltd 棒材端面部の面取り装置
KR101030084B1 (ko) * 2010-10-20 2011-04-19 (주) 티오피에스 디스플레이용 박판유리의 면취장치
KR20170047078A (ko) * 2015-10-22 2017-05-04 거산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단자부 면취장치
KR101672041B1 (ko) * 2016-08-28 2016-11-03 (주) 신흥이엔지 가공부품의 가공홀 이동식 면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4497B2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US4796346A (en) Vehicle body positioning apparatus
US9254540B2 (en) Mounting structure of movable manufacturing device, fixing structure and movable manufacturing device
WO2010098241A1 (ja) 反転装置
KR102389471B1 (ko) 트랙슈 챔퍼링장치
KR101725871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그립퍼 유닛
KR100853966B1 (ko) 파형강판 펀칭장치
KR100697661B1 (ko) 노치 정렬 장치 및 노치 정렬방법
CN111847160B (zh) 电梯轨道用夹具
KR102088959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KR100815136B1 (ko) 반도체소자용 스트립 피커장치
KR102111901B1 (ko) 차량 쇼바 브라켓 볼트 자동 장착 시스템
EP1897749B1 (en) Load handling trolley
CN113603009A (zh) 一种预制构件带有转运功能的检测装置
KR20160094852A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KR102510677B1 (ko) 커넥터 핀 공급장치
CN217534586U (zh) 一种治具顶升定位机构
CN113202739B (zh) 油缸定位设备和方法
KR102627005B1 (ko) 브라켓 볼팅시스템 및 브라켓 볼팅방법
US11891248B2 (en) Article support device and artic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JPS602039Y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CN218016443U (zh) 一种筒体激光打标机
KR102615720B1 (ko) 브라켓 공급모듈
KR100723440B1 (ko)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위치결정장치
JPH0751229Y2 (ja) 基板の位置整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