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677B1 - 커넥터 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677B1
KR102510677B1 KR1020220177879A KR20220177879A KR102510677B1 KR 102510677 B1 KR102510677 B1 KR 102510677B1 KR 1020220177879 A KR1020220177879 A KR 1020220177879A KR 20220177879 A KR20220177879 A KR 20220177879A KR 102510677 B1 KR102510677 B1 KR 10251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n
insertion groove
connector
discharge guid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종호
김환진
류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플라텍
Priority to KR102022017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번호판 램프에 사용되는 한 쌍의 커넥터 핀을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테이블(11)과, 상기 테이블(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가이드(12a)의 단부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하는 진동식 피더(12)와, 상기 배출가이드(12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일측에는 상기 배출가이드(12a)와 연결되는 삽입홈(1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배출된 커넥터 핀(2)이 상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회동대(14)와, 상기 삽입홈(14a)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덮개부재(15)와, 상기 회동대(14)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대(14)를 상기 삽입홈(14a)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16)과, 상기 덮개부재(15)에 구비되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커넥터 핀(2)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커넥터 핀감지수단(17)과, 상기 삽입홈(14a)의 내부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푸셔(18)와,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16)과 푸셔(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핀 공급장치{connector pin feeding devices}
본 발명은 커넥터 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번호판 램프에 구성되는 한 쌍의 커넥터 핀을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번호판을 조명하기 위한 램프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질의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핀(2)이 결합된 하우징(1)을 제조할 때는, 상기 하우징(1)을 제작하기 위한 사출금형에 상기 커넥터 핀(2)을 결합한 후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방법을 이용한다.
그런데, 상기 커넥터 핀(2)은 매우 작은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지금까지는 상기 커넥터 핀(2)을 사출금형에 결합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실시하였다.
따라서, 작업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로 사출금형에 잘못 결합하여, 완성된 하우징(1)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KR 공개실용신안 제20-2021-0001253호 KR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03250호 KR 등록특허 10-1339195호 KR 공개특허 10-2022-011424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번호판 램프에 구성되는 한 쌍의 커넥터 핀을 신속하게 정렬하여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번호판 램프의 사출성형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핀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막대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11)과, 상기 테이블(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가이드(12a)의 단부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하는 진동식 피더(12)와, 상기 배출가이드(12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면 일측에는 상기 배출가이드(12a)와 연결되는 삽입홈(1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배출된 커넥터 핀(2)이 상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회동대(14)와, 상기 삽입홈(14a)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덮개부재(15)와, 상기 회동대(14)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대(14)를 상기 삽입홈(14a)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16)과, 상기 덮개부재(15)에 구비되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커넥터 핀(2)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커넥터 핀감지수단(17)과, 상기 삽입홈(14a)의 내부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푸셔(18)와,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16)과 푸셔(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9)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18)는 상기 삽입홈(14a)의 전단부에 삽입된 푸쉬핀(18a)과, 상기 푸쉬핀(18a)에 연결되어 푸쉬핀(18a)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18b)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9)은 상기 삽입홈(14a)이 배출가이드(12a)와 연결되도록 회동대(14)가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에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이 감지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을 제어하여 회동대(14)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푸셔(18)를 제어하여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상측으로 밀어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홈(14a)의 후방 입구부분 하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4d)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4d)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덮개부재(15)에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14d)의 상측을 통과하는 커넥터 핀(2)을 감지하는 후방감지수단(24)과, 상기 오목부(14d)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모터(22)에 구동되어 상기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이송휠(21)과, 상기 구동모터(2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19)은 상기 후방감지수단(24)의 신호를 수신하여 오목부(14d)의 상측을 통과하는 커넥터 핀(2)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이송휠(21)과 구동모터(22)를 상승시킨 후 구동모터(22)를 구동시켜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 후,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에 커넥터 핀(2)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이 하강되도록 하고 구동모터(22)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는 진동식 피더(12)에서 공급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이 회동대(14)의 삽입홈(14a)에 삽입되도록 한 후, 회동대(14)를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푸셔(18)를 이용하여 커넥터 핀(2)을 상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로봇아암이 정렬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을 픽업하여 사출금형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음으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커넥터 핀(2)이 사출금형에 잘못 결합되어, 완성된 하우징(1)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용 번호판 램프를 생산함에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로 인해 차량의 생산업체는 물론 차량을 구입하여 유지하는 소비자들에게도 유익한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큰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램프의 하우징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블록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제2 실시예의 블록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핀 공급장치는 테이블(11)과, 상기 테이블(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가이드(12a)의 단부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하는 진동식 피더(12)와, 상기 배출가이드(12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일측에는 상기 배출가이드(12a)와 연결되는 삽입홈(1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회동대(14)와, 상기 삽입홈(14a)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덮개부재(15)와, 상기 회동대(14)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대(14)를 상기 삽입홈(14a)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16)과, 상기 덮개부재(15)에 구비되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커넥터 핀(2)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커넥터 핀감지수단(17)과, 상기 삽입홈(14a)의 내부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푸셔(18)와,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16)과 푸셔(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9)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11)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사출금형에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에는 도시 안된 로봇아암이 구비되어, 커넥터 핀 공급장치에 의해 정렬된 커넥터 핀(2)을 픽업하여 상기 사출금형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식 피더(12)는 다수개의 커넥터 핀(2)이 내부에 저장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가이드(12a)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가이드홈(12b)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내주에 저장된 커넥터 핀(2)을 평행하게 정렬하여 상기 가이드홈(12b)을 통해 전방으로 2개씩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진동식 피더(12)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대(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12a)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대(14)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고 하측은 호형상을 이루는 반원형태로 구성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14b)에 의해 상기 지지대(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삽입홈(14a)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가이드(12a)의 가이드홈(12b)과 대응되도록 2개가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커넥터 핀(2)이 배출되면, 배출된 커넥터 핀(2)이 상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동대(14)의 후단부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4c)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4a)은 상기 돌출부(14c)의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삽입부의 전단부가 상기 돌출부(14c)의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4a)은 상하방향 높이가 커넥터 핀(2)의 높이에 비해 높게 구성되어, 커넥터 핀(2)이 삽입홈(14a)의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재(15)는 양측에 상기 회동대(14)의 양측면을 덮는 연장부(15a)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15a)를 관통하는 고정나사(15b)에 의해 상기 삽입홈(14a)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은 상기 지지대(13)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대(14)의 회전축(14b)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19)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동대(14)의 상면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4a)이 상측을 향하도록 전단부를 상측으로 90도 회동시킨다.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은 상기 덮개부재(1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핀이 후술하는 푸셔(18)의 푸쉬핀(18a)에 접촉되도록 삽입홈(14a)에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금속재질로 구성된 커넥터 핀(2)을 감지하는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은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푸셔(18)는 상기 삽입홈(14a)의 전단부에 삽입된 푸쉬핀(18a)과, 상기 푸쉬핀(18a)에 연결되어 푸쉬핀(18a)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18b)로 구성된다.
상기 푸쉬핀(18a)은 후단부가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의 하측까지 연장되도록 삽입홈(14a)에 삽입되고, 전단부는 삽입홈(14a)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4a)이 배출가이드(12a)의 가이드홈(12b)에 연결되도록 회동대(14)가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식 피더(12)에서 배출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이 회동대(14)의 삽입홈(14a)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핀(2)이 상기 푸쉬핀(18a)에 닿을 정도로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수단(19)은 상기 진동식 피더(12)를 정지시키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을 제어하여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이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대(14)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9)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셔(18)를 구동시켜 푸쉬핀(18a)이 커넥터 핀(2)을 상측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푸쉬핀(18a)에 의해 커넥터 핀(2)이 상측으로 밀려나면, 전술한 로봇아암이 상측으로 밀려난 커넥터 핀(2)의 상단을 픽업하여 사출금형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로봇아암이 커넥터 핀(2)을 픽업하면, 상기 제어수단(19)은 상기 푸쉬핀(18a)을 원래위치로 후퇴시키고, 회동구동수단(16)을 제어하여 회동대(14)를 초기위치, 즉,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진동식 피더(12)를 구동시켜 삽입홈(14a)에 커넥터 핀(2)이 삽입되도록 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시켜, 반복적으로 커넥터 핀(2)을 사출금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핀 공급장치는 진동식 피더(12)에서 공급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이 회동대(14)의 삽입홈(14a)에 삽입되도록 한 후, 회동대(14)를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푸셔(18)를 이용하여 커넥터 핀(2)을 상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로봇아암이 정렬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을 픽업하여 사출금형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음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커넥터 핀(2)이 사출금형에 잘못 결합되어, 완성된 하우징(1)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삽입홈(14a)의 후방 입구부분 하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4d)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4d)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덮개부재(15)에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14d)의 상측을 통과하는 커넥터 핀(2)을 감지하는 후방감지수단(24)과, 상기 오목부(14d)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모터(22)에 구동되어 상기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이송휠(21)과, 상기 구동모터(2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이 더 구비된다.
상기 후방감지수단(24)은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과 동일한 것을 이용한다.
상기 이송휠(21)은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부에는 링형상으로 구성된 2개의 돌출부(21a)가 형성되어, 상승되면 상기 돌출부(21a)가 상기 삽입홈(14a)의 내부로 삽입된 커넥터 핀(2)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2)는 상기 덮개부재(15)의 측면에 상기 이송휠(21)과 동심축선상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송휠(21)과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재(15)의 측면에는 도시 안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22)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이 함께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재(15)의 연장부(15a)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5c)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2)가 상기 장공(15c)을 통해 이송휠(21)에 연결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은 상기 덮개부재(15)의 측면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구동모터(22)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이 승강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핀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19)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대(14)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이송휠(21)과 구동모터(22)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감지수단(2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식 피더(12)에서 배출된 커넥터 핀(2)이 상기 오목부(14d)의 상측을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휠(21)과 구동모터(22)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송휠(21)과 구동모터(22)가 상승되면, 이송휠(21)이 커넥터 핀(2)의 하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9)은 구동모터(22)를 구동시켜 이송휠(21)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이송휠(21)에 의해 커넥터 핀(2)이 삽입홈(14a)의 전방으로 강제로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9)은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의 신호를 수신하여, 커넥터 핀감지수단(17)에 커넥터 핀(2)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이 하강되도록 하고 구동모터(22)를 정지시킴으로써, 커넥터 핀(2)이 삽입홈(14a)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핀 공급장치는 상기 커넥터 핀(2)이 삽입홈(14a)의 내부로 삽입되면, 이송휠(21)을 이용하여 삽입홈(14a)의 전방으로 끝까지 밀어냄으로, 커넥터 핀(2)이 삽입홈(14a)의 내부로 원활히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단순히 진동식 피더(12)에 의해 커넥터 핀(2)이 밀려나오는 힘에 의해 커넥터 핀(2)이 삽입홈(14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였으나, 이때, 커넥터 핀(2)이 밀려나오는 힘이 약하여 커넥터 핀(2)이 삽입홈(14a)의 내부로 깊게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이송휠(21)을 이용하여 커넥터 핀(2)을 삽입홈(14a)의 내부로 강제로 밀어냄으로써, 커넥터 핀(2)이 원활하게 삽입홈(14a)의 내부로 깊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11. 테이블 12. 진동식피더
13. 지지대 14. 회동대
15. 덮개부재 16. 회동구동수단
17. 커넥터 핀감지수단 18. 푸셔
19. 제어수단

Claims (4)

  1. 막대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11)과,
    상기 테이블(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핀(2)을 정렬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가이드(12a)의 단부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하는 진동식 피더(12)와,
    상기 배출가이드(12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일측에는 상기 배출가이드(12a)와 연결되는 삽입홈(1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배출된 커넥터 핀(2)이 상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회동대(14)와,
    상기 삽입홈(14a)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덮개부재(15)와,
    상기 회동대(14)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대(14)를 상기 삽입홈(14a)이 상기 배출가이드(12a)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16)과,
    상기 덮개부재(15)에 구비되며 삽입홈(14a)의 후단부로 커넥터 핀(2)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커넥터 핀감지수단(17)과,
    상기 삽입홈(14a)의 내부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푸셔(18)와,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16)과 푸셔(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18)는 상기 삽입홈(14a)의 전단부에 삽입된 푸쉬핀(18a)과,
    상기 푸쉬핀(18a)에 연결되어 푸쉬핀(18a)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18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9)은 상기 삽입홈(14a)이 배출가이드(12a)와 연결되도록 회동대(14)가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에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이 감지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을 제어하여 회동대(14)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푸셔(18)를 제어하여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상측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4a)의 후방 입구부분 하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4d)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4d)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덮개부재(15)에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14d)의 상측을 통과하는 커넥터 핀(2)을 감지하는 후방감지수단(24)과,
    상기 오목부(14d)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모터(22)에 구동되어 상기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이송휠(21)과,
    상기 구동모터(2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19)은 상기 후방감지수단(24)의 신호를 수신하여 오목부(14d)의 상측을 통과하는 커넥터 핀(2)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이송휠(21)과 구동모터(22)를 상승시킨 후 구동모터(22)를 구동시켜 삽입홈(14a)에 삽입된 커넥터 핀(2)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 후, 상기 커넥터 핀감지수단(17)에 커넥터 핀(2)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구동모터(22)와 이송휠(21)이 하강되도록 하고 구동모터(22)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공급장치.
KR1020220177879A 2022-12-19 2022-12-19 커넥터 핀 공급장치 KR10251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79A KR102510677B1 (ko) 2022-12-19 2022-12-19 커넥터 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79A KR102510677B1 (ko) 2022-12-19 2022-12-19 커넥터 핀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677B1 true KR102510677B1 (ko) 2023-03-16

Family

ID=8598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879A KR102510677B1 (ko) 2022-12-19 2022-12-19 커넥터 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6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630B2 (ja) * 1985-11-29 1995-11-13 フラマトーム・コネクタース・ベルジューム・ナー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電気コネクタピンをプリント配線板に自動的且つ選択的に插入する機械装置
KR960003250U (ko) 1994-06-01 1996-01-22 전동기의 소음저감장치
JP2007123189A (ja) * 2005-10-31 2007-05-17 Yazaki Corp 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方法
KR101339195B1 (ko) 2012-11-27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 스트립 공급용 가이드 장치
KR20210001253U (ko) 2019-11-28 2021-06-07 이소희 차량용 번호판 led등
KR102381876B1 (ko) * 2021-10-27 2022-04-01 홍천석 전선터미널 압착시스템
JP7054754B1 (ja) * 2021-10-03 2022-04-14 三晶エムイーシー株式会社 端子連鎖帯の連結具及び端子供給装置
KR20220114246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금성산업 배터리용 전극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630B2 (ja) * 1985-11-29 1995-11-13 フラマトーム・コネクタース・ベルジューム・ナー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電気コネクタピンをプリント配線板に自動的且つ選択的に插入する機械装置
KR960003250U (ko) 1994-06-01 1996-01-22 전동기의 소음저감장치
JP2007123189A (ja) * 2005-10-31 2007-05-17 Yazaki Corp 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方法
KR101339195B1 (ko) 2012-11-27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 스트립 공급용 가이드 장치
KR20210001253U (ko) 2019-11-28 2021-06-07 이소희 차량용 번호판 led등
KR20220114246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금성산업 배터리용 전극 공급장치
JP7054754B1 (ja) * 2021-10-03 2022-04-14 三晶エムイーシー株式会社 端子連鎖帯の連結具及び端子供給装置
KR102381876B1 (ko) * 2021-10-27 2022-04-01 홍천석 전선터미널 압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6971A (ko) 자동나사조임장치
WO2021043056A1 (zh) Agv的电池更换方法及电池更换装置
KR100898267B1 (ko) 이동통신단말기 사출 케이스의 인서트철판 공급장치
KR102510677B1 (ko) 커넥터 핀 공급장치
JP2002021139A (ja) シンクの取付け装置
CN109262954B (zh) 一种具有入子自动循环上下料的注射成型设备
CN111016050A (zh) 电芯自动入料模注塑生产线
CN206936756U (zh) 一种泵体曲轴弹簧在线安装设备的送料机构
CN108942214B (zh) 一种汽车车厢合页铰链自动装配机
KR102389471B1 (ko) 트랙슈 챔퍼링장치
KR100488735B1 (ko) 파레트 투입장치
KR102208153B1 (ko)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CN212932823U (zh) 一种可兼容多种支架的测试工装
KR101719305B1 (ko) 진단 키트용 케이스 정렬장치
WO2021043054A1 (zh) Agv的定位机构及定位方法
KR200412985Y1 (ko) 인서트부재 정렬장치
KR1013895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출케이스 인서트플레이트 공급기
KR101956150B1 (ko) 핀 자동 삽입장치
KR101779238B1 (ko)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CN219686276U (zh) 用于导管插针的针具载座
CN112077593A (zh) 一种硅胶帽组装机构
KR100939686B1 (ko) 프레스
CN219338338U (zh) 一种用于注塑设备的埋入取出治具
CN219566726U (zh) 一种非等距推送治具机构
KR101883636B1 (ko) 인 사이드 스프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