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238B1 -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238B1
KR101779238B1 KR1020130136681A KR20130136681A KR101779238B1 KR 101779238 B1 KR101779238 B1 KR 101779238B1 KR 1020130136681 A KR1020130136681 A KR 1020130136681A KR 20130136681 A KR20130136681 A KR 20130136681A KR 101779238 B1 KR101779238 B1 KR 101779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moving
roll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339A (ko
Inventor
안영환
김준우
임사진
노용호
구자건
맹관범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13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2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를 이루는 프레임을 빠르게 이동시켜 삽입된 보강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는, 프레임의 안착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롤러부와; 상기 이동롤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롤러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기준편과; 상기 기준편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1센터링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이 이동되어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2센터링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전단과 상기 이동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로 이동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를 피스로 결합시키는 보강재결합부와; 상기 보강재결합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보강재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이 배출되는 배출롤러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보강재결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피스를 박아 프레임의 전단과 보강재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 window frame reinforcing structure combination apparatus and method }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를 이루는 프레임을 빠르게 이동시켜 삽입된 보강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이때 상기의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프레임은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프레임과 금속제 창호프레임으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피브이씨(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써 창호프레임이 제작되기도 한다.
여기서, 피브이씨(P.V.C.)라 함은, 수용성 현탁액이나 유탁액에서 염화비닐을 과산화물 촉매로 처리하여 만든 유기 중합체 계열에 속하는 합성수지로서, 가소제, 안정제 및 안료 등과 섞은 후, 포장용 필름 같은 유연한 제품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피브이씨는 보통 적은 비율의 질긴 합성 중합체와 혼합하여 관체(pipe)나 구조용 패널을 만드는바, 이를 압출성형하여 창호프레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도와 같은 기계적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피브이씨 창호 프레임의 내부에는 강도와 같은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06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창호 프레임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보강재를 창호 프레임에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해서는 예전에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결합장치를 별도로 개발하여 자동으로 창호프레임에 삽입된 보강재를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 프레임에 보강재를 결합하는 결합장치를 예시한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재 결합장치는, 프레임 안착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10)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롤러부(20)와; 상기 이동롤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롤러부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1기준편(30)과; 상기 제1기준편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1센터링부(40)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롤러부(50)와; 상기 공급롤러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2기준편(60)과; 상기 제2기준편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2센터링부(70)와; 상기 제2기준편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롤러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를 피스로 결합시켜 주는 보강재결합부(80)와; 상기 보강재결합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보강재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을 배출시키는 배출롤러부(90)와; 각각의 상기 구성요소들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강재 결합장치는 상기 이동롤러부(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프레임을 상기 제1기준편(30)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을 잡아준 후, 상기 공급롤러부(50)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공급롤러부(5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제2기준편(60)에 접촉하도록 하여 다시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준 후, 상기 공급롤러부(50)에 의해 상기 보강재결합부(80)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보강재가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보강재 결합부는 상기 이동롤러부(10)와 상기 공급롤러부(50)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기준편(30) 및 상기 제2기준편(60)에 접촉시, 내부에 삽입된 상기 보강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천천히 이동하여야 하고, 상기 공급롤러부(50)에서 상기 제2기준편(30)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멈추었다가 상기 제2기준편(30)이 하강하면 다시 이동시켜 상기 보강재결합부(80)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보강재를 결합하기 위해 이동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한번 만 잡은 다음, 바로 보강재결합부로 이동시켜 보강재를 결합함으로써,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에 보강재가 결합되지 않아 천천히 이동하여야 하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최소화하여 보강재 체결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는, 프레임의 안착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롤러부와; 상기 이동롤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롤러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기준편과; 상기 기준편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1센터링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이 이동되어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2센터링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전단과 상기 이동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로 이동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를 피스로 결합시키는 보강재결합부와; 상기 보강재결합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보강재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이 배출되는 배출롤러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보강재결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피스를 박아 프레임의 전단과 보강재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체결방법은, 컨베이어부에 프레임을 안착시킨 후, 보강재를 삽입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강재삽입 및 제1이동단계; 이동롤러부가 상기 컨베이어부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을 상승시킨 후, 상기 프레임의 전단이 기준편에 접촉되게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1센터링부에 의해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제1좌우위치설정단계; 상기 이동롤러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좌우위치가 잡힌 프레임을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가이드롤러부 및 보강재결합부로 이동시키는 제3이동단계; 상기 프레임이 상기 컨베이어부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롤러부를 상승시킨 후, 제2센터링부에 의해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제2좌우위치설정단계; 상기 보강재체결부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서 좌우 위치가 잡힌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피스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를 결합하면서 배출롤러부로 이동시키는 피스체결 및 제4이동단계; 로 이루어지되,상기 제3이동단계에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보강재결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피스를 박아 프레임의 전단과 보강재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한번 만 잡은 다음, 바로 보강재결합부로 이동시켜 보강재를 결합함으로써,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에 보강재가 결합되지 않아 천천히 이동하여야 하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최소화하여 보강재 체결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지부에 의해 긴 프레임의 전단을 감지함으로써, 작업대보다 긴 프레임도 전단 기준점을 잡아서 보강재가 결합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 프레임에 보강재를 결합하는 결합장치를 예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 이동롤러부 및 가이드롤러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 프레임의 이동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용 보강재 자동 결합방법을 나타낸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 구조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100), 이동롤러부(200) 및 가이드롤러부(500)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결합부(700)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결합부(700)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 프레임(P)의 이동과정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는, 프레임(P)의 안착과 함께 상기 프레임(P)의 내부에 보강재(R)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P)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100)와;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프레임(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롤러부(200)와;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기준편(300)과; 상기 기준편(300)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1센터링부(400)와;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이 이동되어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500)와;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2센터링부(600)와;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의 전단과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로 이동한 상기 프레임(P)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R)를 피스로 결합시키는 보강재결합부(700)와; 상기 보강재결합부(700)의 전단에 배치되어 보강재(R)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P)이 배출되는 배출롤러부(800)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감지부(900)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은 상기 보강재결합부(7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의 전단에 피스를 박을 수 있게 하여 보강재(R) 결합을 위한 이동을 빠르게 하여 제품의 생산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측은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이 이동방향의 측면을 의미하고, 전단은 상기 프레임(P)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되는 앞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컨베이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이루어져 상부에 프레임(P)을 안착하고 안착된 프레임(P)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내부에 보강재(R)를 삽입하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은 상기 프레임(P)의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컨베이어부(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500) 및 상기 보강재결합부(700)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이에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이동롤러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을 길이방향을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롤러부(200)가 상기 컨베이어부(100)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가 상승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을 들어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롤러부(20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조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롤러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롤러는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이 컨트롤 된다.
즉,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프레임(P)의 길이에 따라 상기 서보모터에 의해 이동거리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는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보강재(R)가 상기 프레임(P)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속도로 이동시켜야 하며, 특히, 후술하는 기준편(300)에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접촉할 때에는 아주 천천히 이동되게 하여 접촉에 의해 정지되는 상기 프레임(P)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R)가 이동하지 않게 한다.
상기 기준편(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준다.
즉, 상기 기준편(300)은 상기 이동롤러부(20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을 막아 상기 프레임(P)의 전단 끝단의 위치를 잡아준다.
이러한 상기 기준편(300)은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프레임(P)이 이동할 때에만 상승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 주고, 전단 기준점을 잡고 나면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P)이 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기준편(300)에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접촉하여 있으면, 접촉한 부분의 마찰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의 위치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센터링부(400)는 상기 기준편(300)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위치를 잡아 준다.
즉, 상기 제1센터링부(400)는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상부에서 상기 기준편(300)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잡아준다.
상기 제1센터링부(4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이 이동되어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안착 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에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에 내부에 삽입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는 도 4(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는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에 의해 상기 보강재(R)가 결합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프레임(P)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2센터링부(6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한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센터링부(600)가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 줌으로서, 상기 보강재결합부(700)에서 정확한 위치에 피스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P)과 보강재(R)가 결합되게 한다.
상기 제2센터링부(6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보강재결합부(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의 전단과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로 이동한 상기 프레임(P)에 피스를 박아 상기 프레임(P)과 그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R)를 결합시킨다.
상기 보강재결합부(700)가 상기 프레임(P)의 전단에 피스를 결합할 때에는 상기 제2센터링부(600)에 의해 좌우위치가 맞추어진 후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은 상기 보강재결합부(7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가 상기 프레임(P)의 전단에 피스를 박아 상기 프레임(P)의 전단과 보강재(R)의 전단이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에서 첫 번째 피스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의 전단과 상기 보강재(R)의 전단이 결합됨으로써, 보강재(R) 체결을 위한 상기 프레임(P)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재결합부(7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의 하부에 배치되어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프레임(P)을 이동시키는 주동롤러부(710)와; 상기 프레임(P)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주동롤러부(710)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P)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부(720)와; 상기 지지롤러부(7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730)와; 상기 주동롤러부(71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P)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주동롤러부(710)와 상기 지지롤러부(72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프레임(P)에 피스를 박아 상기 프레임(P)에 삽입된 보강재(R)를 고정시키는 피스체결기(7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주동롤러부(710)는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가이드롤러부(5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을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P)의 중간 중간에 두 번째, 세 번째 피스 박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주동롤러부(71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을 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와 함께 승강 운동을 한다.
이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상기 주동롤러부(710)의 상부로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바로 이동되지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주동롤러부(710)는 전술한 상기 이동롤러부(200)와 달리 상기 프레임(P)을 빠르게 이동시킨다.
상기 주동롤러부(710)가 상기 프레임(P)을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이미 첫 번째 피스로 상기 프레임(P)과 상기 보강재(R)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빠르게 이동시켜도,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R)가 유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롤러부(7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동롤러부(7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상부를 눌러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롤러부(720)는 상기 주동롤러부(710)와 상기 지지롤러부(720) 사이에서 프레임(P)이 유동되지 않고, 주동롤러부(710)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정확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지지롤러부(720)를 승강시켜, 상기 주동롤러부(710)이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지지롤러부(720)가 지지하거나 지지하지 않게 한다.
상기 피스체결기(7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동롤러부(710)와 상기 지지롤러부(72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프레임(P)에 피스를 박아 상기 프레임(P)에 삽입된 상기 보강재(R)가 상기 프레임(P)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피스체결기(7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스를 박고, 좌우로 이동하면서 서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피스체결기(740)가 상기 피스를 박는 것은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피스체결기(740)가 2개 이상 배치되는 것은 상기 프레임(P) 종류에 따라 보강재(R)의 수와 그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상기 주동롤러부(710)와 상기 지지롤러부(720)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의 전단과 상기 피스체결기(740)의 센터의 수직 중심선상과의 거리(D)는 150mm ~ 200mm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피스체결기로 첫 번째 피스를 박을 때, 거리가 150mm보다 작게 되면, 상기 프레임(P)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R)가 상기 프레임(P)에 체결되지 않을 수 있고, 200mm보다 크게 되면,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제2센터링부(600)에 의해 좌우위치를 맞출 때, 상기 주동롤러부(7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너무 많이 삽입되어 좌우의 이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의 좌우위치가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배출롤러부(8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의 전단에 배치되어 보강재(R)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P)이 배출되는 롤러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은 상기 밀대(810)에 의해 상기 적재대(820)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배출롤러부(800)를 지나 다른 가공장치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P)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P)의 규격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P)의 바코드를 읽어서 상기 프레임(P)의 특징(크기, 쓰이는 곳 등)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상기 프레임(P)에 바코드를 인쇄하여 그 정보를 읽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지부(9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전단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서 상기 이동롤러부(200)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을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부(900)가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편(300)을 하강시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컨베이어부(100)에서 상기 이동롤러부(200)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P)의 길이가 길 경우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상기 기준편(300)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을 상기 감지부(900)의 감지에 의해 상기 기준편(300)을 하강시켜 상기 기준편(300)에 걸려서 상기 프레임(P)이 이동되지 않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를 역회전시켜 상기 프레임(P)을 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기준편(300)을 상승시킨다.
그런 다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기준편(300)에 접촉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900)가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을 감지함으로써, 작업대보다 긴 프레임(P)도 전단 기준점을 잡아서 보강재결합부(7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롤러부(200), 상기 가이드롤러부(500), 상기 주동롤러부(710) 및 상기 배출롤러부(800)는 상승하여 상기 프레임(P)을 상기 프레임(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롤러부(200), 상기 가이드롤러부(500), 상기 주동롤러부(710) 및 상기 배출롤러부(800)는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P)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의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컨베이어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프레임(P)을 측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센터링부(400)와 상기 제2센터링부(600)는, 도 3(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의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부(410,610)와; 실린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10,610)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롤러부(200)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P)을 가이드부(410,610)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P)의 일측면을 상기 가이드부(410,610)에 접촉시키는 이동부(420,620); 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센터링부(400)는 상기 이동롤러부(2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준편(300)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P)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420)가 실린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10)로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가이드부(410)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준다.
그리고 상기 제2센터링부(600)는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620)가 실린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610)로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가이드부(610)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센터링부(400)와 상기 제2센터링부(600)의 구성을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주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방법은, 컨베이어부(100)에 프레임(P)을 안착시킨 후, 보강재(R)를 삽입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강재삽입 및 제1이동단계(S10); 이동롤러부(200)가 상기 컨베이어부(100)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을 상승시킨 후,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기준편(300)에 접촉되게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P)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S30); 상기 프레임(P)의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제1센터링부(400)에 의해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제1좌우위치설정단계(S40); 상기 이동롤러부(200)가 하강하면서, 상기 좌우위치가 잡힌 프레임(P)을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가이드롤러부(500) 및 보강재결합부(700)로 이동시키는 제3이동단계(S50);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롤러부(500)를 상승시킨 후, 제2센터링부(600)에 의해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제2좌우위치설정단계(S60); 상기 보강재(R)체결부가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에서 좌우 위치가 잡힌 상기 프레임(P)의 전단과 그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R)를 피스 결합하면서 배출롤러부(800)로 이동시키는 피스체결 및 제4이동단계(S70);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S30) 이전에,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900)가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을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편(300)을 하강시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이동롤러부(200)로 이동되게 한 후, 상기 이동롤러부(200)를 역회전시켜 상기 프레임(P)을 후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기준편하강 및 프레임역방향이동단계(S2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강재삽입 및 제1이동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컨베이어부(100) 상부에 안착한 후, 안착된 상기 프레임(P)에 보강재(R)를 삽입하여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S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를 상승시켜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을 들어올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편(300)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기준편(300)에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접촉되게 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의 기준점을 잡아주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기준편(300)에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컨베이어부(100)의 회전은 정지되고, 상기 기준편(300)을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1좌우위치설정단계(S40)는 상기 기준편(300)이 잡힌 상기 프레임(P)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부(410)방향으로 상기 이동부(420)가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P)을 가이드부(410)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프레임(P)의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410)에 접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1좌우위치설정단계(S40)는 상기 제1센터링부(400)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단계이다.
상기 제3이동단계(S50)는 상기 이동롤러부(200)에서 전단 기준점 및 좌우위치를 잡은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부(200)가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P)은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안착되게 한 후,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3이동단계(S50)에서 상기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이동단계(S50)에서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로 바로 이동하게 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로 보강재(R)가 결합되기 때문에 보강재(R)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더 이상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없어 이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제2좌우위치설정단계(S6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이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부(500)가 상승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P)을 들어올린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부(610)방향으로 상기 이동부(620)가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P)을 가이드부(610)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프레임(P)의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부(610)에 접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2좌우위치설정단계(S60)는 상기 제2센터링부(400)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단계이다.
상기 피스체결 및 제4이동단계(S7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상기 보강재결합부(70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500)에서 좌우위치가 잡히게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부(720)가 실린더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을 유동되지 않게 눌러서 지지한 후, 상기 치스체결기가 상승하여 상기 프레임(P)에 피스를 박아 상기 보강재(R)가 결합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주동롤러부(710)가 회전하면서 상기 프레임(P)을 이동시킨 두 번째 및/또는 세 번째 피스를 박아서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기준편하강 및 프레임역방향이동단계(S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이 길 경우, 상기 감지부(900)에서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준편(300)을 하강시켜 상기 기준편(300)의 방해 없이 상기 이동롤러부(200)의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이동롤러부(200)가 상승하면서 상기 프레임(P)을 들어서 상기 프레임(P)이 후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게 상기 이동롤러부(200)를 역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프레임(P)이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전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기준편(300)에 접촉하여 전단 기준점을 잡아줄 수 있는 정도의 거리로 설정된다.
이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S30)로 이루어져 순차적인 방법에 의해 보강재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준편하강 및 프레임역방향이동단계(S20)의 의해 길이 긴 프레임(P)도 전단의 기준점을 잡아 보강재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중창에 사용되는 창틀프레임(P)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단창 또는 창짝 프레임(P)에 보강재(R)를 체결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재(R)가 하나만 삽입되는 프레임(P)일 경우에는 하나의 상기 피스체결기(740)만 작동하여 피스를 박아 보강재(R)가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컨베이어부 200: 이동롤러부 300: 기준편
400: 제1센터링부 410: 가이드부 420:이동부
500: 가이드롤러부 600: 제2센터링부 610: 가이드부
620: 이동부 700: 보강재결합부 710: 주동롤러부
720: 지지롤러부 730: 실린더부 740: 피스체결기
800: 배출롤러부 810: 밀대 820: 적재대
P: 프레임 R: 보강재
S10: 보강재삽입 및 제1이동단계 S20: 기준편하강 및 프레임역방향이동단계
S30: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 S40: 제1좌우위치설정단계
S50: 제3이동단계, S60: 제2좌우위치설정단계
S70: 피스체결 및 제4이동단계

Claims (7)

  1. 프레임의 안착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롤러부와;
    상기 이동롤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롤러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기준편과;
    상기 기준편에 의해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1센터링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이 이동되어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2센터링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전단과 상기 이동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로 이동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를 피스로 결합시키는 보강재결합부와;
    상기 보강재결합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보강재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이 배출되는 배출롤러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부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보강재결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피스를 박아 프레임의 전단과 보강재가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주동롤러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주동롤러부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부와;
    상기 지지롤러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와;
    상기 주동롤러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주동롤러부와 상기 지지롤러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프레임에 피스를 박아 상기 프레임에 삽입된 보강재를 고정시키는 피스체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주동롤러부와 상기 지지롤러부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의 전단과 상기 피스체결기의 센터의 수직 중심선상과의 거리(D)는 150mm ~ 20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 상기 가이드롤러부, 상기 주동롤러부 및 상기 배출롤러부는 상승하여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롤러부, 상기 가이드롤러부, 상기 주동롤러부 및 상기 배출롤러부는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이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센터링부와 상기 제2센터링부는,
    상기 이동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와;
    실린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을 가이드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을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시키는 이동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편은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며,
    상기 이동롤러부의 전단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서 상기 이동롤러부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을 감지하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을 감지하면, 상기 기준편을 하강시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컨베이어부에서 상기 이동롤러부로 이동되게 한 후, 상기 이동롤러부를 역회전시켜 상기 프레임을 후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기준편을 상승시킨 후, 상기 이동롤러부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이 기준편에 접촉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6. 컨베이어부에 프레임을 안착시킨 후, 보강재를 삽입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강재삽입 및 제1이동단계;
    이동롤러부가 상기 컨베이어부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을 상승시킨 후, 상기 프레임의 전단이 기준편에 접촉되게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
    상기 프레임의 전단 기준점이 잡힌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1센터링부에 의해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제1좌우위치설정단계;
    상기 이동롤러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좌우위치가 잡힌 프레임을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가이드롤러부 및 보강재결합부로 이동시키는 제3이동단계;
    상기 프레임이 상기 컨베이어부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롤러부를 상승시킨 후, 제2센터링부에 의해 좌우위치를 잡아주는 제2좌우위치설정단계;
    상기 보강재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서 좌우 위치가 잡힌 상기 프레임의 전단과 그 내부에 삽입된 보강재를 피스로 결합하면서 배출롤러부로 이동시키는 피스체결 및 제4이동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이동단계에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보강재결합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피스를 박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 및 기준점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컨베이어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감지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단을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상기 기준편을 하강시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이동롤러부로 이동되게 한 후, 상기 이동롤러부를 역회전시켜 상기 프레임을 후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기준편하강 및 프레임역방향이동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방법.
KR1020130136681A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KR101779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81A KR101779238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81A KR101779238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339A KR20150054339A (ko) 2015-05-20
KR101779238B1 true KR101779238B1 (ko) 2017-09-18

Family

ID=5339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681A KR101779238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67A (ko)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vc 창호용 보강재 자동 체결 장치
KR20210044419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vc 창호용 보강재 자동 체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554B1 (ko) 2005-04-18 2007-09-10 모건 컨스트럭션 캄파니 전장을 갖는 바아로부터 짧은 길이를 갖는 바아를 분류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554B1 (ko) 2005-04-18 2007-09-10 모건 컨스트럭션 캄파니 전장을 갖는 바아로부터 짧은 길이를 갖는 바아를 분류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67A (ko)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vc 창호용 보강재 자동 체결 장치
KR20210044419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vc 창호용 보강재 자동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339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238B1 (ko) 창호프레임의 보강재 자동 결합장치 및 방법
CN105712065A (zh) 全自动码垛系统及工艺
KR102053476B1 (ko) 창호용 프로파일의 보강재 자동 체결장치 및 방법
CN207464607U (zh) 一种自动进出料设备
CN104384117B (zh) 一种错料回收装置
CN104858579A (zh) 一种空调底座螺栓、底座脚自动焊接生产系统
KR101807974B1 (ko) 자동차 시트레일 자동 조립기용 레일 공급장치
KR101829938B1 (ko)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CN105403801A (zh) 一种自动化老化测试生产线
CN201804900U (zh) 用于led设备的自动上卸料系统
CN107717483B (zh) 电梯门板全自动化生产流水线
CN107161578B (zh) 自动拆卸筒纱装置
KR101051891B1 (ko) 앵커세트용 브라켓 제조장치
CN105398814A (zh) 一种电源老化线的移动送料装置
CN207156318U (zh) 一种用于注塑机嵌件埋入的自动供料装置
KR20160031725A (ko) 창호용 프로파일 이송장치
CN205871024U (zh) 一种卧式装料拿取机器人
CN211197727U (zh) 随行工装分料及二次定位装置
CN219076606U (zh) 成型机胎胚自动输送装置和轮胎成型机
TWM510911U (zh) 電子料件多流道載料設備
KR102510677B1 (ko) 커넥터 핀 공급장치
CN215624729U (zh) 一种步进输送装置
CN111015214A (zh) 一种高效率泵阀零件加工流水线
KR101118956B1 (ko)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CN216373392U (zh) 一种拉链拼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