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956B1 -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 Google Patents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956B1
KR101118956B1 KR1020090133147A KR20090133147A KR101118956B1 KR 101118956 B1 KR101118956 B1 KR 101118956B1 KR 1020090133147 A KR1020090133147 A KR 1020090133147A KR 20090133147 A KR20090133147 A KR 20090133147A KR 101118956 B1 KR101118956 B1 KR 10111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llet
fork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442A (ko
Inventor
차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09013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9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레트의 일측방에 구성되는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파레트 상의 각각의 부품적재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완성된 차체 부품을 이송롤러를 통하여 파레트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를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해주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를 제공한다.
파레트, 위치결정, 전후진 실린더, 이동포크, 고정포크

Description

파레트 위치결정장치{A PALLET SETTING DEVICE}
본 발명은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레트의 일측방에 구성되는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파레트의 부품적재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파레트 상에 순차적인 부품 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 부품은 여러 장의 패널을 프레스 작업을 통하여 그 형상을 만들어 용접공정을 통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이러한 차체 부품들은 각 부분 별로 라인에서 한번에 대량 생산을 통하여 그 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 부품들을 대량 생산하게 됨에 따라 다음 공정까지는 일시적으로 적재용 파레트를 이용하여 적재 보관 또는 이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레트는 대부분의 차체부품을 일렬로 정렬하여 적재된다.
특히, 도어와 같은 차체 부품은 용접공정을 통하여 조립된 상태로, 마지막 공정에서, 도어의 외판을 샌딩처리하여 표면의 이물질의 흡착이나, 긁힘 등의 흠집을 제거한 후, 차체 조립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레트에 적재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도어를 파레트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샌딩공정 완 료 후, 이송롤러를 따라 이동시켜 파레트의 측면으로 도어를 밀어 넣어 순차적으로 적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레트는 하나의 도어를 적재한 후에는 다음 부품적재위치가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해야만 다음에 적재할 도어를 쉽게 밀어 넣어 적재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파레트 상의 각각의 부품적재위치를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도록 파레트의 위치를 조정해주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레트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공정의 작업자는 적어도 2명 이상이 필요하며,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어, 상기 파레트의 부품적재위치를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레트의 일측방에 구성되는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파레트 상의 각각의 부품적재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완성된 차체 부품을 이송롤러를 통하여 파레트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를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해주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레트 위치결정장치는 차체 부품을 이송하는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작업장 바닥면의 양측에 구성되는 양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투입되는 파레트 상의 각각의 부품적재위치를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도록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 바닥면의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 사이의 중앙 일측에 설치되며, 양측부를 따라 이동레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이동레일에 이동 프레임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파레트의 하부 가로빔을 이동포크로 규제하여 상기 파레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포크유닛; 상기 이동포크유닛의 후방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포크유닛을 전후진 구 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이동포크유닛의 전방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성되어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파레트의 하부 가로빔을 고정포크로 규제하여 상기 파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포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포크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이동레일에 구름 접촉되는 이동롤러를 양측부에 구성하여 상기 양측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상향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포크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나의 하부 가로빔을 규제하는 양측 이동포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포크 브라켓 사이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포크 브라켓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핀이 상기 포크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포크유닛과 상기 구동수단 사이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상태로 그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이동포크유닛의 이동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전후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포크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상향 설치되는 고정 실린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 기 파레트의 다른 하나의 하부 가로빔을 규제하여 전후진 방향으로 파레트를 고정하는 양측 고정포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핀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에 의하면, 파레트의 일측방에 구성되는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전후진 실린더의 전진 구동으로 파레트 상의 각각의 다음 부품적재위치가 작업자에 의한 파레트의 위치조정 없이도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일치되어 완성된 차체 부품을 이송롤러를 통하여 파레트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가 적용된 부품적재공정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의 측면도, 평면도,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1)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부품 즉, 도어(3)를 이송하는 이송롤러(5)에 대응하여 작업장 바닥면의 양측에 구성되는 양측 가이드 레일(7)을 따라 투입되는 파레트(9) 상의 각각의 부품적재위치(P)를 상기 이송롤러(5)에 대응하도록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주게 된다.
즉, 상기한 파레트 위치결정장치(1)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장 바닥면의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7) 사이의 중앙 일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1)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의 양측부를 따라서는 이동레일(13)을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측 이동레일(13)에는 이동포크유닛(20)이 설치되는데, 이동포크유닛(20)은 상기 이동레일(13)에 이동 프레임(21)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파레트(9) 상의 하나의 하부 가로빔(9a)을 이동포크(22)로 규제하여 상기 파레트(9)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포크유닛(20)은 그 후방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21)과 연결된 상태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포크유닛(20)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포크유닛(20)의 전방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는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파레트(9) 상의 하나의 하부 가로빔(9a)을 고정포크(41)로 규제하여 전후방향에 대하여 상기 파레트(9)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포크유닛(40)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이동포크유닛(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의 양측 이동레일(13)에 구름 접촉되는 이동롤러(23)를 양측부에 구성하여 상기 양측 이동레일(1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이동 프레임(21)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21)의 중앙 하부에는 승하강 실린더(24)가 상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21)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24)의 작동로드(25)와 연결되는 포크 브라켓(26)이 구성된다.
상기 포크 브라켓(26)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파레트(9)의 하나의 하부 가로빔(9a)을 규제하는 양측 이동포크(22)가 각각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21)과 상기 포크 브라켓(26) 사이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21)에 삽입되어 상기 포크 브라켓(26)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핀(27)이 상기 포크 브라켓(26)에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고정되는 전후진 실린더(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진 실린더(31)의 작동로드(33)의 선단이 상기 이동포크유닛(20)의 이동 프레임(21)에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포크유닛(20)의 이동 프레임(21)과 상기 전후진 실린더(31) 사이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21)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5)가 상기 전후진 실린더(31)의 작동로드(33) 양측방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포크유닛(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고정 프레임(4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43)의 중앙 하부에는 고정 실린더(45)가 상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43)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 실린더(45)의 작동로 드(47)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49)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49) 상의 양측에는 상기 파레트(9) 상의 다른 하나의 하부 가로빔(9a)을 규제하여 전후진 방향으로 파레트(9)를 고정하는 양측 고정포크(4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43)과 상기 고정 브라켓(49) 사이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49)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핀(48)이 상기 고정 브라켓(49)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1)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롤러(5)를 따라 상기 파레트(9)의 측방으로 그 부품적재위치(P)에 차체 부품인 도어(3)를 삽입하여 적재한 후에는 다음 도어(3)를 상기 파레트(9) 상의 다음 부품적재위치(P)에 적재할 수 있도록 파레트(9)를 일정구간 전진시켜 다음 부품적재위치(P)가 상기 이송롤러(5)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러한 파레트(9)의 위치이동을 위한 위치결정장치(1)의 작동을, 도 3과 도 6 내지 도 9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 실린더(31)는 후진한 상태로, 상기 승하강 실린더(24)는 하강하고, 상기 고정 실린더(45)는 상승하여 고정포크(41)만이 상기 파레트(9) 상의 하부 가로빔(9a)을 규제하여 전후진 방향으로 파레트(9)를 고정한 상태로, 하나의 도어(3)를 파레트(9)에 적재한다.
이어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실린더(24)는 상승하고, 상기 고정 실린더(45)는 하강하여 이동포크(22)만이 상기 파레트(9) 상의 하부 가로빔(9a)을 규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 실린더(31)가 전진 구동하면, 상기 파레트(9)는 이동포크(22)에 규제된 상태로 이동 프레임(21)과 함께 일정구간 전진하여 파레트(9) 상의 다음 부품적재위치(P)가 상기 이송롤러(5)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레트(9)의 위치이동 이후에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실린더(24)는 다시 하강하고, 상기 고정 실린더(45)는 다시 상승하여 고정포크(41)가 상기 파레트(9) 상의 하부 가로빔(9a)을 다시 규제하여 전후진 방향으로 파레트(9)를 고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 실린더(31)가 후진 구동하여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레트(9)의 다음 부품적재위치(P)가 이송롤러(5)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이 완료되면, 다음 도어(3)를 이송롤러(5)를 통하여 상기 파레트(9) 상에 적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가 적용된 부품적재공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가 적용된 부품적재공정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7)

  1. 차체 부품을 이송하는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작업장 바닥면의 양측에 구성되는 양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투입되는 파레트 상의 각각의 부품적재위치를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도록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작업장 바닥면의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 사이의 중앙 일측에 설치되며, 양측부를 따라 이동레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이동레일에 이동 프레임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파레트의 하부 가로빔을 이동포크로 규제하여 상기 파레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포크유닛; 상기 이동포크유닛의 후방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포크유닛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이동포크유닛의 전방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성되어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파레트의 하부 가로빔을 고정포크로 규제하여 상기 파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포크유닛을 포함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크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이동레일에 구름 접촉되는 이동롤러를 양측부에 구성하여 상기 양측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상향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포크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하나의 하부 가로빔을 규제하는 양측 이동포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포크 브라켓 사이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포크 브라켓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핀이 상기 포크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이동포크유닛과 상기 구동수단 사이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상태로 그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이동포크유닛의 이동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전후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고정포크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상향 설치되는 고정 실린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파레트의 다른 하나의 하부 가로빔을 규제하여 전후진 방향으로 파레트를 고정하는 양측 고정포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핀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20090133147A 2009-12-29 2009-12-29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111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47A KR101118956B1 (ko) 2009-12-29 2009-12-29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47A KR101118956B1 (ko) 2009-12-29 2009-12-29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42A KR20110076442A (ko) 2011-07-06
KR101118956B1 true KR101118956B1 (ko) 2012-02-27

Family

ID=4491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147A KR101118956B1 (ko) 2009-12-29 2009-12-29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98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호원 파레트형 이동 적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028A (ja) * 1993-03-22 1994-09-27 Daifuku Co Ltd 板状物供給設備
JP2004203521A (ja) * 2002-12-24 2004-07-22 Toyota Auto Body Co Ltd 搬送装置の被搬送物停止装置
KR20060068584A (ko) * 2004-12-16 200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KR100792542B1 (ko) * 2006-10-11 2008-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부품 팔레트 고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028A (ja) * 1993-03-22 1994-09-27 Daifuku Co Ltd 板状物供給設備
JP2004203521A (ja) * 2002-12-24 2004-07-22 Toyota Auto Body Co Ltd 搬送装置の被搬送物停止装置
KR20060068584A (ko) * 2004-12-16 200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KR100792542B1 (ko) * 2006-10-11 2008-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부품 팔레트 고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98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호원 파레트형 이동 적재장치
KR102081653B1 (ko) * 2017-11-17 2020-03-06 주식회사 호원 파레트형 이동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42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CN106078329A (zh) 气缸翻转机
JP4825539B2 (ja) ワーク取付け方法
KR101118956B1 (ko)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CN107717483B (zh) 电梯门板全自动化生产流水线
KR20090109003A (ko)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KR101479569B1 (ko) 그린타이어 형상 복원장치
US20160144910A1 (en) Overhead conveyor apparatus
KR100666248B1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KR101051891B1 (ko) 앵커세트용 브라켓 제조장치
KR20140104176A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KR20110002104U (ko) 금속 판재의 곡면 성형장치
CN105014217B (zh) 高效型电梯轿底焊接方法及自动焊接生产线
CN210150280U (zh) 一种用于钢质板材的传送桁架
JP4424099B2 (ja) 荷支持昇降装置
JP2011218434A (ja) グレーチングの枠材溶接装置
KR102539871B1 (ko) 엘리베이터 패널 제조장치
CN221092825U (zh) 线路板上料装置
KR100462232B1 (ko) 매쉬시임 용접기용 패널 오버랩 클램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2687B1 (ko) 판재 정렬장치
KR101016170B1 (ko) 이동형 팔렛의 자중식 정렬장치
CN215363401U (zh) 混凝土板材钢筋网输送装置
KR200432447Y1 (ko) 열융착기
KR100579310B1 (ko) 프로펠러 샤프트 자동 이송장치
JP4496072B2 (ja) ビーム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