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584A -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584A
KR20060068584A KR1020040107310A KR20040107310A KR20060068584A KR 20060068584 A KR20060068584 A KR 20060068584A KR 1020040107310 A KR1020040107310 A KR 1020040107310A KR 20040107310 A KR20040107310 A KR 20040107310A KR 20060068584 A KR20060068584 A KR 20060068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llet
roller
vehicle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281B1 (ko
Inventor
김기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2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롤러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열로 장착되어, 다수개의 차량 도어가 상기 제1롤러부재 상에 슬라이딩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팔렛트부재와, 팔렛트부재의 근접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팔렛트부재의 차량 도어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슬라이딩 이동 안착되도록 하는 본체와, 본체에 장착된 승강 실린더부재의 구동력으로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길이 방향의 하부에 다수개로 장착되며, 상기 차량 도어가 슬라이딩 안착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롤러부재와, 승강부재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제2롤러부재에 안착된 상기 차량 도어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3롤러부재와, 본체의 일측 하단에 돌출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위치결정 핀부재와, 차량 도어가 장착되는 차량 바디의 근접 위치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위치결정 핀부재를 가이드 고정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도어, 롤러, 가이드, 팔렛트

Description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DOOR MOUN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도어 적재 팔렛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도어의 가이드 롤러에의 안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차량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본체에 안착된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후면도.
도 7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8은 도 5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를 이용한 차량 도어 장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팔렛트부재 11...제1롤러부재
20...본체 40...승강부재
41...제2롤러부재 48...제3롤러부재
50...위치결정부재 51...핀부재
60...가이드부재
본 발명은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의 장착시 작업자의 직접 파지 이송이 아닌, 롤러구동에 의한 이송으로 차량 바디에 도어의 장착이 가능함으로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바디에 도어의 장착은 팔레트에 안착된 도어를 작업자가 차랑 바디 근접위치에 이송하여 에어 툴을 활용하여 조립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차량 바디의 도어 장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렛트(1)에 안착된 도어(3)를 작업자가 이송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가이드 롤러(5)에 차량 도어(3)를 안착시킨다. 이러한 차량 도어(3)의 가이드 롤러(5)에 안착 후, 차량 바디에 근접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도어(3)의 이동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소정의 미도시된 에어툴(AIR TOOL)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3)에 마련된 경첩(9)을 이용하여 차량 바디(7)에 결합하여 도어를 장착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차량 바디의 도어 장착은 작업자가 팔렛트의 도어를 직접 수작업으로 운반하는 관계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며, 도어의 외판부위가 주변의 간섭물과 부딪혀 요철 발생의 원인이 되어 품질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 도어의 장착시 작업자의 직접 이송이 아닌, 롤러구동에 의한 이송으로 차량 바디에 도어의 장착이 가능함으로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는, 제1롤러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열로 장착되어, 다수개의 차량 도어가 상기 제1롤러부재 상에 슬라이딩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팔렛트부재; 상기 팔렛트부재의 근접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팔렛트부재의 차량 도어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슬라이딩 이동 안착되도록 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승강 실린더부재의 구동력으로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 방향의 하부에 다수개로 장착되며, 상기 차량 도어가 슬라이딩 안착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롤러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제2롤러부재에 안착된 상기 차량 도어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3롤러부재; 상기 본체의 일측 하단에 돌출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위치결정 핀부재; 및 상기 차량 도어가 장착되는 차량 바디의 근접 위치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위치결정 핀부재를 가이드 고정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부재와 상기 본체 간에는 상기 본체를 상기 팔렛트부재에 가이드 고정하는 팔렛트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 고정부재는, 상기 팔렛트부재의 다수개의 열로 마련된 상기 제1롤러부재의 연장선상의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준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돌출 장착되며, 상기 기준핀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선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롤러부재가 일측에 장착되는 제1이동체; 상기 제1이동체에 장착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실린더;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3롤러부재가 일측에 장착되는 제2이동체; 및 상기 제2이동체에 장착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3실린더; 및 상기 제3실린더의 로드 작동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핀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차량 바디의 근접 위치에 고정 장착되며, 상측에는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핀부재를 가이드 하는 인입부가 형성된 가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 저면의 하측에는 상기 핀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본체에 안착된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후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일측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를 이용한 차량 도어 장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100)는, 제1롤러부재(11)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열로 장착되어 다수개의 차량 도어가 제1롤러부재(11) 상에 슬라이딩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팔렛트부재(10)와, 팔렛트부재(10)의 근접 위치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팔렛트부재(10)의 차량 도어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슬라이딩 이동 안착되도록 하는 본체(20)와, 본체(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승강부재(40)와, 승강부재(40)의 길이 방향의 하부에 다수개로 장착되며 차량 도어(13)가 슬라이딩 안착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롤러부재(41)와, 승강부재(40)의 상측에 장착되며 본체(20)의 제2롤러부재(41)에 안착된 차량 도어(13)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3롤러부재(47)와, 본체(20)의 일측 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장착된 핀부재(51)를 구비하여 본체(20)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위치결정부재(50)와, 차량 도어(13)가 장착되는 차량 바디(14)의 근접 위치에 고정 장착되며 위치결정부재(50)를 가이드 고정하여 본체(20)가 위치결정부재(5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부재(60)와, 승강부재(40)의 선택적인 승강높이와 위치결정부재(50)의 핀부재(51)의 돌출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부(70)를 구비한다.
상기 팔렛트부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 작업라인에 장착된다. 상기 팔렛트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제1롤러부재(11)가 다수개의 열로 장착된다. 상기 제1롤러부재(11)는 'V' 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차량도어(13)가 안착된다. 이러한 제1롤러부재(11)에 상면에 차량도어(13)가 안착됨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차량도어(13)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상기 팔렛트부재(10)의 일측에는 차량 도어(13) 장착을 위한 본체(20)가 위치된다. 상기 본체(20)와 팔렛트부재(10) 간에는 본체(20)를 팔렛트부재(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팔렛트부재(10)의 제1롤러부재(11)의 장착된 연장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개의 기준핀(31)과, 본체(20)의 일측에 돌출 장착되어, 기준핀(31)이 인입되는 인입홀(33)이 선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35)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20)는 팔렛트부재(10)의 근접 위치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본체(20)의 이동을 위해 그 하부에는 구동롤러(21)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20)의 상면에는 팔렛트부재(10)의 차량도어(13)가 이동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20)에 차량 도어의 안착은 승강부재(40)에 장착된 제2롤러부재(41)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40)는 본체(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승강부재(40)는 본체(20)의 높이 방향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2롤러부재(41)가 일측에 장착되는 제1이동체(43)와, 제1이동체(43)에 장착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실린더(45)와, 본체(20)의 높이 방향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3롤러부재(47)가 일측에 장착되는 제2이동체(49)와, 제2이동체(49)에 장착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실린더(42)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재(40)는 제1/제2실린더(45)(42)의 작동으로 차량 도어(13)의 차종에 해당하는 높이로 셋팅된다. 즉, 상기 제1실린더(45)가 작동되면 제1롤러부재(41)의 설치 위치의 조정으로 차량 도어(13)의 하부 안착위치를 조정하며, 제2실린더(42)가 작동되면 차량 도어(13)의 제2롤러부재(47)의 설치위치의 조정이 이루어져 차량 도어(13)의 측면 지지위치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제2실린더(45)(42)의 조정으로 차량 도어의 해당 차종으로 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에는 일측에는 위치결정부재(50)가 장착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50)는 본체(20)의 일측 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장착된 핀부재(51)를 구비하여, 본체(20)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위치결정부재(50)는 본체(20)에 장착되는 제3실린더(53)와, 제3실린더(53)의 로드 작동으로 본체(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핀부재(51)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핀부재(51)는 후술하는 가이드부재(60)에 선택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차량 도어(13)의 차량 바디(14)에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60)는 작업대상 차량 바디(14)의 작업라인 근접 위치에 고정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0)는 차량 바디(14)의 근접 위치에 고정 장착되며, 상측에는 위치결정부재의 핀부재(51)를 가이드 하는 인입부(61)가 형성된 가이더(63)가 형성되고, 인입부(61) 저면의 하측에는 핀부재(51)가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홀(65)이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60)에 위치결정부재(50)의 핀부재(51)가 가이드고정되면, 본체(20)는 핀부재(51)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장착으로 본체(20) 상에 위치된 차량 도어(13)를 차량 바디(14)에 장착가능하다. 이러한 차량도어(13)의 이동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롤러구동으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여, 차량 도어(13)의 차량바디(14)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0)는 승강부재(40)의 제1/제2실린더(45)(42)의 제어에 의한 선택적인 승강높이와, 위치결정부재(50)의 제3실린더(53)의 제어로 핀부재(51) 돌출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 도어(13)가 적재된 팔렛트부재(10)와 본체(20)를 고정부재(30)로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부재(30)를 통한 고정으로, 팔렛트부재(10)의 제1롤러부재(11)와, 본체(20)의 제2롤러부재(41)는 일직선상으로 위치된다.
다음,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팔렛트부재(10)의 차량 도어(13)를 본체(20) 상의 제2롤러부재(41) 상으로 위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승강부재(40)는 조작부(70)의 제어로 차종의 해당하는 위치로 위치제어된다.
이어서, 본체(20)의 고정부재(30) 대향 위치에 마련된 위치결정부재(50)를 통하여 차량 바디(14) 근접부의 가이드부재(6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위치결정부재(50)는 제3실린더(53)의 구동으로 핀부재(51)가 가이드부재(60)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60)와 본체(20) 간의 고정은 작업자의 차량 도어(13) 장착작업이 용이한 각도로 장착가능하다.
다음, 작업자는 차량 도어(13)를 소정의 에어툴(AIR TOOL)(15)을 이용하여 차량 바디(14)에 용이하게 장착한다. 이러한 장착으로 차량 도어(13)는 밀림 이동으로 작업공간내에서 이동됨으로, 차량 도어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차량 도어의 장착시 작업자의 직접 이송이 아닌, 롤러구동에 의한 이송으로 차량 바디에 도어의 장착이 가능함으로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도어의 이송시에 타부품과 간섭됨을 방지하여 차량 품질의 향상을 이룬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제1롤러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열로 장착되어, 다수개의 차량 도어가 상기 제1롤러부재 상에 슬라이딩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팔렛트부재;
    상기 팔렛트부재의 근접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팔렛트부재의 차량 도어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슬라이딩 이동 안착되도록 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승강 실린더부재의 구동력으로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 방향의 하부에 다수개로 장착되며, 상기 차량 도어가 슬라이딩 안착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롤러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제2롤러부재에 안착된 상기 차량 도어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3롤러부재;
    상기 본체의 일측 하단에 돌출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위치결정 핀부재; 및
    상기 차량 도어가 장착되는 차량 바디의 근접 위치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위치결정 핀부재를 가이드 고정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부재와 상기 본체 간에는 상기 본체를 상기 팔렛트부재에 가이드 고정하는 팔렛트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 고정부재는,
    상기 팔렛트부재의 다수개의 열로 마련된 상기 제1롤러부재의 연장선상의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준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돌출 장착되며, 상기 기준핀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선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롤러부재가 일측에 장착되는 제1이동체;
    상기 제1이동체에 장착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실린더;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3롤러부재가 일측에 장착되는 제2이동체; 및
    상기 제2이동체에 장착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3실린더; 및
    상기 제3실린더의 로드 작동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핀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차량 바디의 근접 위치에 고정 장착되며, 상측에는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핀부재를 가이드 하는 인입부가 형성된 가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 저면의 하측에는 상기 핀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고정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KR1020040107310A 2004-12-16 2004-12-16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KR10062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310A KR100623281B1 (ko) 2004-12-16 2004-12-16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310A KR100623281B1 (ko) 2004-12-16 2004-12-16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584A true KR20060068584A (ko) 2006-06-21
KR100623281B1 KR100623281B1 (ko) 2006-09-19

Family

ID=3716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310A KR100623281B1 (ko) 2004-12-16 2004-12-16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2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98B1 (ko) * 2007-01-12 2008-01-29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높이조절장치
KR100809282B1 (ko) * 2007-05-18 2008-03-03 양순호 자동차 창문 정 위치 설정조립기
KR100892700B1 (ko) * 2007-11-20 2009-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장착장치
KR101118956B1 (ko) * 2009-12-29 2012-02-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2153420B1 (ko) * 2020-01-13 2020-09-08 박종삼 도어 어셈블리의 용접부 사상작업용 반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98B1 (ko) * 2007-01-12 2008-01-29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높이조절장치
KR100809282B1 (ko) * 2007-05-18 2008-03-03 양순호 자동차 창문 정 위치 설정조립기
KR100892700B1 (ko) * 2007-11-20 2009-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장착장치
KR101118956B1 (ko) * 2009-12-29 2012-02-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2153420B1 (ko) * 2020-01-13 2020-09-08 박종삼 도어 어셈블리의 용접부 사상작업용 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281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718B1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KR100623281B1 (ko)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KR102229333B1 (ko) 용접용 지그
US7498541B2 (en) Method of assembling motor vehicle body
KR20090118257A (ko)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
KR102173869B1 (ko) 그리퍼 장치
CN110546103B (zh) 升降平台
KR101317141B1 (ko) 차량용 시트 투입장치
JP2010054381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取付部の耐久試験装置
CN113650550B (zh) 车载运输装置
KR100764720B1 (ko) 차량의 분리형 시트 공급장치
JP4941765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101232474B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JP2005238945A (ja) 車両用シート搭載装置
KR10055891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KR101625680B1 (ko) 건설장비의 운전석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100634601B1 (ko) 트렁크 리드 사절 링크 장작장치
JPH07187344A (ja) フィーダーに於けるフィードアームの駆動構造
KR101544399B1 (ko) 틸팅 기능을 갖춘 리프터 시스템
JPH0639825Y2 (ja) シーラ塗布装置
KR20110013634A (ko) 자동차용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 조립용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한 내장 부품과 기능성 부품의 조립 방법
JP2007261730A (ja) ワーク保持装置
KR100748673B1 (ko) 차량용 엔진 변속기 장착용 리프팅 장치
JP2019083795A (ja) 田植機
KR0155128B1 (ko) 연료탱크 상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