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919B1 -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919B1
KR100558919B1 KR1020040059591A KR20040059591A KR100558919B1 KR 100558919 B1 KR100558919 B1 KR 100558919B1 KR 1020040059591 A KR1020040059591 A KR 1020040059591A KR 20040059591 A KR20040059591 A KR 20040059591A KR 100558919 B1 KR100558919 B1 KR 10055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end module
base frame
pall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972A (ko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9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 구동력을 부여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팔레트(PALLET)가 안착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장착 중심축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프론트 엔드 모듈, 모터, 리프터, 슬라이더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LIFTER FOR SUPPLYING FRONT END MODU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작동도면.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엔드 모듈이 적재된 팔레트가 승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장착로더를 이용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의 로딩이 원활하도록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 부품을 공급 팔레트에서 장착 장비로 로딩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상,하 2단 구조의 팔레트에서 장착 장비를 수직으로 이동 및 팔레트를 취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은, 작업라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로더(3)를 이용하여, 팔레트(5)에 적재된 프론트 엔드 모듈(7)을 로딩하여 차량에 장착한다. 이러한 장착로더(3)의 이동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동시켜, 차량 프론트 엔드 모듈(7)을 로딩하여 이송되도록 하여 차량에 장착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을 위한 팔레트(5)는 2단으로 구성되어 장착로더(3)를 이용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7)을 로딩하기 위하여, 상,하위치에 부품 위치 맞춤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써, 작업 시간 과다 소요 및 부품 스크래치로 품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자세의 불편으로 근골격계 질환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론트 엔드 모듈이 적재된 팔레트가 승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장착로더를 이용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의 로딩이 원활하도록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 는 슬라이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 구동력을 부여하는 승강모터;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팔레트(PALLET)가 안착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장착 중심축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팔레트의 안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근접 위치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 팬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100)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20)와,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슬라이더(20)의 승강 구동력을 부여하는 승강모터(40)와, 슬라이더(20)의 선단에 장착되어 슬라이더(20)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30)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팔레트(PALLET)(13)가 안착되는 회전 플레이트(50)와, 회전 플레이트(50)의 장착 중심축(51)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어 회전 플레이트(50)의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구동모터(6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작업 공간의 저면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공간의 저면 내부로 인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슬라이더(20)가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근접 위치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 팬스(11)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20)의 선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슬라이더(20)의 선단에 장착되어 함께 승강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승강모터(40)가 장착된다.
상기 승강모터(4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슬라이더(20)의 승강 구동력을 부여한다. 상기 승강모터(40)는 작업자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작동 가능하다. 즉, 작업자의 스위치(FOOT SWITCH)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상 기 베이스 프레임(10) 상부에는 회전 플레이트(50)가 장착된다. 이러한 승강모터(40)의 작동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플레이트(50)에 안착되는 팔레트(13)의 위치를 작업자가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0)는 팔레트(PALLET)(13)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0)의 회전 중심에는 회전 중심축(51)이 하방향으로 돌출 마련된다. 상기 팔레트(13)는 차량 프론트 엔드 모듈(15)이 적재되는 것으로서 2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는 회전 플레이트(50)의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회전 구동모터(60)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0)에는 팔레트의 안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17)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0)에는 회전 플레이트(50)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부재(19)가 장착된다. 이러한 클램핑부재는 실린더 구동으로 클램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구동모터(6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50)의 회전 중심축(51)을 회전되도록 하여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회전 구동모터(60)의 구동은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 플레이트(50)의 회전됨에 따라 팔레트(13)가 회전되도록 하여, 로딩하고자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15)이 작업자가 로딩이 용이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공급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팔레트(13)가 로딩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장착로더(12)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며, 이러한 이동됨과 함께 미도시된 풋 스위치(FOOT SWITCH)를 조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일정거리 하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정 거리 하강됨에 의하여, 작업자는 장착로더(12)를 통하여 팔레트(13) 하단의 프론트 엔드 모듈(15)을 로딩하여 차량(14)에 장착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팔레트(13) 하단 일측의 프론트 엔드 모듈(15)을 로딩한 후에는, 재차 풋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전 플레이트(50)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팔레트(13) 하단 타측의 프론트 엔드 모듈(15)을 로딩하여 차량(14)에 장착하도록 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3) 하단의 프론트 엔드 모듈(15)의 차량 장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풋 스위치를 작동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0)를 하강시킨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50)의 하강됨으로, 팔레트(13)의 상단이 작업자의 해당높이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장착로더(12)의 작동으로 통해 팔레트(13) 상단의 프론트 엔드 모듈(15)을 로딩하여 차량에 장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팔레트(13) 상단 일측의 프론트 엔드 모듈(15)의 장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풋 스위치를 재차 작동하여 팔레트(13)가 회전 되도록 함으로써, 팔레트(13) 상단 타측의 프론트 엔드 모듈(15)을 차량에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2단으로 구성되어 프론트 엔드 모듈이 적재된 팔레트가 승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장착로더를 이용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의 로딩이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간이 축소되며 장착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 구동력을 부여하는 승강모터;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팔레트(PALLET)가 안착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장착 중심축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공급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팔레트의 안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공급 리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공급 리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근접 위치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 팬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공급 리프터.
KR1020040059591A 2004-07-29 2004-07-29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KR100558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591A KR100558919B1 (ko) 2004-07-29 2004-07-29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591A KR100558919B1 (ko) 2004-07-29 2004-07-29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972A KR20060010972A (ko) 2006-02-03
KR100558919B1 true KR100558919B1 (ko) 2006-03-10

Family

ID=3712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591A KR100558919B1 (ko) 2004-07-29 2004-07-29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03B1 (ko) * 2005-12-09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용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972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KR200317671Y1 (ko) 러그 절단기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055891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KR101811173B1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101317141B1 (ko) 차량용 시트 투입장치
KR20170079817A (ko) 수중운동체용 압력용기 탑재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040037428A (ko) 회전 테이블 장치
KR101322959B1 (ko)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KR100623281B1 (ko)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KR101546017B1 (ko) 공작기계용 스핀들유닛
KR100500133B1 (ko) 차량정비 도크용 리프트
KR100610836B1 (ko) 헤밍장치
JP5944722B2 (ja) 高所作業車
TW200410894A (en) Vehicle lifting platform used in maintenance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CN219931099U (zh) 一种装岩机用回转装置
JP2002220057A (ja) 台 車
KR200433361Y1 (ko) 전동식 리프트
KR20190113032A (ko) 지게차 마스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2375918B1 (ko) 차량용 리프트 장치
CN219689277U (zh) 高空作业车及其控制系统
CN216235829U (zh) 一种汽修用汽车举升装置
CN217437562U (zh) 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