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918B1 - 차량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918B1
KR102375918B1 KR1020190131091A KR20190131091A KR102375918B1 KR 102375918 B1 KR102375918 B1 KR 102375918B1 KR 1020190131091 A KR1020190131091 A KR 1020190131091A KR 20190131091 A KR20190131091 A KR 20190131091A KR 102375918 B1 KR102375918 B1 KR 102375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
support
vehicle
rotatable
rotat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466A (ko
Inventor
배영식
이창우
박보라
Original Assignee
(주)재정테크
배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정테크, 배영식 filed Critical (주)재정테크
Priority to KR102019013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9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2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tforms horizontal dur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차체를 지지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형 지지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 장착된 것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차체를 지지하는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는 회전형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 장치{Vehicle lift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는 틸팅(tiling) 가능한 받침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 후 그 밑에서 차량의 정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기둥의 개수에 따라 2주식과 4주식으로 구분되고, 기둥의 형태에 따라 기둥형과 대문형이 있으며, 차체를 들어올리는 아암(arm)의 형태에 따라 X자형 등이 있다. 2주식은 기둥(또는 포스트)이 2개인 형태이고, 4주식은 기둥이 4개인 것이며, 기둥 1개인 실린더 지중형 방식이 있다.
통상 차량의 리프트 작업 시에는, 차체를 보호하고 정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차체와 리프트 사이에 별도의 고임목을 사용한다. 그러나 고임목 사용에 따른 불편과 관리의 효율성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리프트시 작업의 편의성 및 장비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체를 지지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형 지지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 장착된 것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차체를 지지하는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는 회전형 받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받침부에 연결된 조작 레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작 레버를 이용해서 상기 회전형 받침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받침부에 연결된 감속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속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형 받침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받침부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형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받침부는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폭도 좁아질수 있다.상기 회전형 받침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에서 차량의 진입턱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받침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형 지지대의 하강시 상기 승강형 지지대가 바닥면에 닿으면 상기 회전형 받침부는 자동으로 틸팅(tilting)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서는 승강형 지지대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는 회전형 받침부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고임목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리프트 작업 및 관리에 있어서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회전형 받침부를 위에서 바라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회전형 받침부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회전형 받침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회전형 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회전형 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지지대를 사용해서 차량을 리프트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지지대(100)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차체(미도시)를 지지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형 지지대(100)를 포함한다. 승강형 지지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단부에 장착된 슬라이딩 플레이트(20)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단부에 결합된 회전형 받침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위에서 보면, 직사각형이나 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승강형 지지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사이즈에 맞게 승강형 지지대(10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차축의 길이에 따라, 또는, 차종별로 소형/중대형 차량의 길이에 맞게 승강형 지지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0)는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바깥쪽 단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상면과 대략적으로 수직한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0)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상면과 대략적으로 수직한 상태는, 곧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태일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0)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위쪽으로 돌출된 회전형 받침부(30)는 차체(미도시)를 지지하는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0)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에서, 회전형 받침부(30)는 차량의 진입턱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회전형 받침부(30)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맞추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단부의 모양도 디자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단부에 장착된 회전형 받침부(30)를 사용하여 차량의 진입턱을 낮추는 기능 및 고임목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에 대하여 접었다 펼 수 있는 것으로, 기능적으로, "틸팅(tilting) 가능한 받침부(고임목)"라고 지칭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회전형 받침부(30)에 연결된 조작 레버(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조작 레버(5)를 이용해서 수동으로 회전형 받침부(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 레버(5)는,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5)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작 레버(5)는 회전형 받침부(30)와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작 레버(5)를 사용해서 회전형 받침부(5)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수동 조작의 방식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조작 레버(5)를 사용하지 않고 그 밖에 다른 방식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나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컨)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회전형 받침부(30)를 조작할 수도 있다. 자동 조작 방식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와 회전형 받침부(30)를 위에서 바라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회전형 받침부(30)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0)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0)와 회전형 받침부(30)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 내에 삽입된 베이스 플레이트(10)도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디자인될 수 있고, 회전형 받침부(3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에 대하여 위쪽으로 세워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1)와 회전형 받침부(3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1)의 단부에 회전형 받침부(31)가 장착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1)는 회전축(6)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1)와 조인트(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6)을 기준으로 회전형 받침부(31)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1)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1)의 상부로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형 받침부(3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1)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1)의 상부로 회전한 상태에서, 위치에 맞게 구비된 홀(hole) 부분에 고정핀(7)을 삽입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1)의 끝부분에는 연성재질부(8)가 구비될 수 있다. 연성재질부(8)는 리프트시 차체의 하부(프레임)와 직접 맞닿는 부분일 수 있다. 연성재질부(8)는 우레탄 고무나 그 밖에 다양한 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볼트 등을 이용해서 우레탄 고무 등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모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고무뿐 아니라 다른 재질, 예를 들어, 동판이나 알루미늄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연성재질부(8)의 두께나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1)는 연성재질부(8)를 지지하는 지지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9)는 철판과 같은 강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형 받침부(31)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복귀할 때, 지지부(9)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1)의 상면(상면의 경사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지지부(9)가 전체적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1)의 상면(상면의 경사부)에 접촉되므로 회전형 받침부(31)의 무게가 접촉면에 대체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1)의 상면 평탄부와 단부측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내각)는 약 160°정도일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변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2)와 회전형 받침부(32)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회전형 받침부(3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감속장치(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장치(42)는 DC 모터 및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속장치(42)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감속장치(42)의 동작을 소정의 리모컨(미도시)이나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회전형 받침부(32)의 회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형 받침부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승강형 지지대의 하강시 승강형 지지대가 바닥면에 닿으면 회전형 받침부가 자동으로 틸팅(tilting)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3)와 회전형 받침부(33)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형 받침부(33)에 연결된 로드부(53)가 마련될 수 있고, 로드부(53)와 접촉된 것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3)에 장착된 프레스 지그(6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승강형 지지대(도 1의 100)의 하강시 차량의 하중에 의해 프레스 지그(63)가 바닥면에 닿아 눌려지면 로드부(53)가 힘을 받아 그 힘으로 회전형 받침부(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전형 받침부(33)가 자동으로 틸팅(tilting)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3)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레스 지그(63)에 연결된 스프링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시킬 수 있고, 승강형 지지대(도 1의 100)의 상승시, 프레스 지그(63)의 위치가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도 6과 같이 복귀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강시 프레싱에 의한 자동 틸팅을 위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지지대를 사용해서 차량을 리프트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승강형 지지대(100A)와 제2 승강형 지지대(100B)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될 수 있고, 이들(100A, 100B)이 각각 차량(200)의 하부 프레임 좌우측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승강형 지지대(100A)에서 두 개의 회전형 받침부(30A)가 지지대(100A)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승강형 지지대(100B)에서도 두 개의 회전형 받침부(30B)가 지지대(100B)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형 받침부들(30A, 30B)은 차량(200)의 하부 프레임을 받쳐주는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승강형 지지대(100A)의 회전형 받침부(30A)를 감속장치(도 6의 설명 참조)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감속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모컨 신호 수신부(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승강형 지지대(100B)의 회전형 받침부(30B)를 감속장치(도 6의 설명 참조)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감속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모컨 신호 수신부(7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형 지지대를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 실린더 등의 구성, 그리고, 2주식, 4주식, X자형 리프트 구조 등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서는 승강형 지지대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는 회전형 받침부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고임목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고임목의 적용 및 관리에 있어서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회전형 받침부의 단부에 구비된 연성재질부(우레탄 고무 등)의 두께나 너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볼트/너트 등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해서 용이하게 교체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이동하여 차축의 길이에 따라, 또는, 차종별로 소형/중대형 차량의 길이에 맞게 승강형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리프트시 작업의 편의성 및 장비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승강형 지지대의 구조/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하나의 회전형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승강형 지지대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5 : 조작 레바 6 : 회전축
7 : 고정핀 8 : 연성재질부
9 : 지지부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슬라이딩 플레이트 30 : 회전형 받침부
42 : 감속장치 53 : 로드부
63 : 프레스 지그 100 : 승강형 지지대

Claims (6)

  1. 차체를 지지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형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형 지지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 장착된 것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차체를 지지하는 고임목 역할을 할 수 있는 회전형 받침부; 및
    상기 회전형 받침부에 연결된 감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형 받침부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형 받침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형 지지대의 하강시 상기 승강형 지지대가 바닥면에 닿으면 상기 회전형 받침부는 자동으로 틸팅(tilting)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받침부에 연결된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이용해서 상기 회전형 받침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받침부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형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받침부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형 받침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에서 차량의 진입턱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6. 삭제
KR1020190131091A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237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91A KR102375918B1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91A KR102375918B1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66A KR20210047466A (ko) 2021-04-30
KR102375918B1 true KR102375918B1 (ko) 2022-03-17

Family

ID=7574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091A KR102375918B1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9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06Y1 (ko) 2004-02-24 2004-06-04 헤스본주식회사 자동차용 리프트의 낙하방지구조
JP2005104657A (ja) * 2003-09-30 2005-04-21 Sugiyasu Corp 車両整備用リフ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07A (ja) * 1993-06-15 1995-01-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立体駐車設備における移動台車のタイヤ止め装置
KR200156654Y1 (ko) * 1997-11-03 1999-10-01 권오현 리프트장치
KR100354889B1 (ko) * 1999-04-06 2002-09-30 김진유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KR100554937B1 (ko) * 2004-03-12 2006-03-03 헤스본주식회사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657A (ja) * 2003-09-30 2005-04-21 Sugiyasu Corp 車両整備用リフト
KR200352106Y1 (ko) 2004-02-24 2004-06-04 헤스본주식회사 자동차용 리프트의 낙하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66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5287A (en) Vehicle lifter
US3844421A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tilting automobiles
JP3122130B2 (ja) 作業台水平化装置
US6845848B1 (en) Vehicle lift with adjustable outriggers
KR101719479B1 (ko)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CN111075208B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装置
CA1282404C (en) Motor vehicle lift
US4692084A (en) Lifting apparatus
KR102375918B1 (ko) 차량용 리프트 장치
US20210047159A1 (en) Vehicle lift with high-capacity adjustable bridge
US4503983A (en) Dolly equipped with loading-unloading scissor hoist
US3347342A (en) Lift installation
US6264221B1 (en) Base structure for a mobile access platform
KR100387566B1 (ko) 자동차용 리프트 장치
US5971692A (en) Truck leveler
US3567053A (en) Load hoisting truck
JP2010155662A (ja) ジャッキ昇降装置
CN112978617A (zh) 具有改进的稳定器的操作机
US5762460A (en) Truck leveler
KR20210027923A (ko) 반목 장치
JP3139438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RU2801011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стабилизаторами
CN217054232U (zh) 一种装配式建筑施工平台
KR200443186Y1 (ko) 다리부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팔레트 스태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