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479B1 -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479B1
KR101719479B1 KR1020150056608A KR20150056608A KR101719479B1 KR 101719479 B1 KR101719479 B1 KR 101719479B1 KR 1020150056608 A KR1020150056608 A KR 1020150056608A KR 20150056608 A KR20150056608 A KR 20150056608A KR 101719479 B1 KR101719479 B1 KR 10171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orth
coupled
rolling mean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749A (ko
Inventor
서송호
김인선
이동근
이병남
곽용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5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4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적재물이 올려지도록 형성되는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좌우이동구동부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전후이동구동부와, 상기 적재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물이 일면상에 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적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F AIRCRAFT MISSION PAYLOAD}
본 발명은 회전 기능을 갖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투기와 같은 항공기는 유지보수를 위해 엔진 등의 주요 장치의 탈부착 작업과, RF터브, 카메라, 전자파송수신장치 등과 같이 비행하면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탈부착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탈부착 작업은 주로 항공기의 저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동대차에 탑재하고 장착위치로 이동한 다음 크기, 중량 등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적재물을 들어올려 수작업으로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적재물을 수작업에 의해 장착 및 분리할 경우 작업이 어렵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하중의 임무장비를 장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추락으로 인한 적재물의 손상이나 파손,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항공기의 유지보수와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460호(2011.03.15.)"에 개시된 항공기 엔진 장착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항공기 엔진 장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항공기 엔진(140)을 위치시키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임(100)에 축핀(230)으로 축결합된 제1 측방지지받침대(200)와 제2 측방지지받침대(210)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각의 측방지지받침대(200,21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안착된 항공기 엔진(140)의 양측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바닥 전방에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엔진(140)의 하부 전방과 연결되고, 결합된 엔진(140)의 상하 위치조절을 위하여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된 하측 결합부(300,310)가 마련된다.
상기 하측 결합부(300,310)는 제1 하측 결합부(300)와 제2 하측 결합부(310)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을 상하로 관통하며, 관통한 베이스 프레임(100)과 치합되어 설치된 조절볼트(301)를 구비하고, 조절볼트(301)의 하단에는 조절볼트(301)의 회전을 위한 핸들(303)이 장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항공기 엔진 장착장치는 엔진 이송 및 장착작업을 별도의 장치로 수행하던 것을 하나의 장치에서 엔진의 이송과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엔진 이송 및 장착시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낮추고, 동시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적재물인 항공기 엔진을 지지하는 제1 측방지지받침대(200)와 제2 측방지지받침대(210)가 좌우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이하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전술한 종래의 항공기 엔진 장착장치는 하측 결합부(300,310)의 상하 이동으로 적재물인 항공기 엔지의 앞쪽 부분을 어느 정도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승강 높이가 매우 낮으므로 장착위치의 전고가 높을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조립, 분해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항공기 엔진 장착장치는 적재물을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위치 및 분리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가 없고 장착 및 분리작업이 어려워 비교적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항공기 엔진 장착장치는 적재물이 안착되는 적재부 부분이 회전되지 않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틸팅 동작이 불가능하여 장착 및 분리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으므로 장착 및 분리시 정밀도가 떨어져 조립불량을 유발하거나 임무장비의 손상이나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항공기 장비가 적재되는 적재부의 전후, 좌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한 동시에, 회전 및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적재물이 올려지도록 형성되는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좌우이동구동부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전후이동구동부와, 상기 적재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물이 일면상에 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적재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적재대는,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물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적재판, 및 상기 적재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재판에 올려지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적재물을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재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이동공을 구비하는 제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 이동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이동축과,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이동공을 구비하는 제2 슬라이딩부재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하단이 제1 이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단이 상기 제2 이동축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구동아암, 및 상기 제1 이동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이동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승강용 스크류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 상에 좌우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전후로 이동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 상에 전후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도록 상기 전후이동판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구동부는 상기 좌우이동판에 이동너트가 결합되는 좌우이동용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이동구동부는 상기 전후이동판에 이동너트가 결합되는 전후이동용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좌우이동부재, 상기 전후이동부재 및 상기 회전적재대가 이동 또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 상기 전후이동부재 및 상기 회전적재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스토핑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구름수단과, 상기 구름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름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름수단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름수단은 바퀴부, 및 상기 바퀴부를 지지하는 바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수단구동부는 나사축이 상기 바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구름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름수단용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에 의하면, 적재부에 탑재된 항공기 장비를 구름수단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고, 항공기 장비를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좌우이동구동부에 의해 좌우이동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전후이동구동부에 의해 전후이동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항공기 장비의 장착 및 분리시에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항공기 장비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에 의하면, 항공기 장비가 탑재되는 회전적재대가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항공기 장비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구름수단구동부의 수동핸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름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항공기 장비를 틸팅시킬 수 있으므로 항공기 장비의 정비, 조립, 및 해체시에 적절한 각도로 회전 및 틸팅시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희망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장착 및 분리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항공기 장비의 장착 및 분리시 정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항공기 엔진 장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에 적재물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승강용 스크류잭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적재부를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구름수단구동부로 이용되는 구름수단용 스크류잭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에 적재물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는 적재부(3)를 상하방향,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회전동작과 틸팅동작이 가능하여 장착 및 분리시에 작업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재(1), 승강수단(2), 적재부(3), 구름수단(5), 구름수단구동부(6), 및 이동용핸들(7)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는 판상부재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름수단(5)이 배치되는 전후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수단(2)은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어 적재부(3)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적재부(3)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유압구동방식, 또는 공압실린더를 구비한 공압구동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슬라이딩부재(21), 제1 이동축(22), 제2 슬라이딩부재(23), 제2 이동축(24), 한 쌍의 구동아암(25), 및 승강용 스크류잭(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직사각판 형상의 몸체를 절곡하여 양쪽에 장공 형태의 제1 이동공(211)이 관통된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베이스부재(1)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23)는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직사각판 형상의 몸체에 장공 형태의 제2 이동공(231)이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및 2 슬라이딩부재(21,23)는 'ㄴ'자 형강을 베이스부재(1)에 양쪽에 각각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판재를 절곡하고 그 절곡된 돌부에 이동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제1 이동축(22)은 양쪽 제1 슬라이딩부재(21)의 제1 이동공(211) 사이에 삽입되어 횡설되는 부재로서 봉상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이동축(24)은 제2 슬라이딩부재(23)의 제2 이동공(231)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 봉상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아암(25)은 베이스부재(1)의 일측 및 타측에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 구성된 것으로서, 대략 평철 형태로 형성된 제1 링크부재(251) 및 제2 링크부재(252)가 X자 형태로 힌지축(253)에 의해 교차되게 결합된 것으로, 제1 링크부재(251)의 하단이 제1 이동축(22)에 접속되고 제2 링크부재(252)의 상단이 제2 이동축(2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크부재(251)의 상단은 제2 슬라이딩부재(23)에 설치된 제2 회동축(28)에 접속되고 제2 링크부재(252)의 하단은 제1 회동축(27)에 접속되어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동아암(25)은 후술되는 승강용 스크류잭(26)의 나사축(263)이 회전되면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너트(264)에 의해 이동되는 제1 이동축(22)에 접속된 제1 링크부재(251)가 전후로 이동되므로 절첩되면서 적재부(3)를 승강시키게 된다.
승강용 스크류잭(26)은 제1 이동축(22)이 전후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통상 스크류 잭(screw jack) 이라고 호칭되는 기계요소로 구성된다.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승강용 스크류잭(26)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승강용 스크류잭(26)은, 잭하우징(261)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동핸들(265)과 접속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262)와, 이 워엄기어(262)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나사축(263), 및 이 나사축(263)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이동너트(26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너트(264)는 전술한 제1 링크부재(251)의 하단에 접속되는 제1 이동축(22)에 결합되어 있어서 수동핸들(265)의 정역방향 회전조작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워엄기어(262)에 의해 나사축(263)이 회전되면 이동너트(26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에 연동되는 제1 이동축(22)의 전후이동으로 구동아암(25)이 절첩되면서 상승 및 하강동작이 수행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적재부를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적재부(3)는, 승강수단(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이동부재(31), 좌우이동구동부(32), 전후이동부재(33), 전후이동구동부(34), 회전부재(35), 및 회전적재대(36)를 구비한다.
좌우이동부재(31)는 승강수단(2)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제2 슬라이딩부재(23)의 상면에 결합된 적재베이스판(313)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판(311)과, 이 좌우이동판(311)의 원활한 좌우방향 이동을 위해 배치되는 좌우이동안내수단(3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좌우이동안내수단(312)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베이스판(313) 부분에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레일(312a)과, 이 제1 가이드레일(312a)에 접속되도록 좌우이동판(311)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블록(312b)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 가이드레일(312a)과 제1 가이드블록(312b)은 통상 엘앰가이드(LM guide)라고 호칭되는 기계요소가 적용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좌우이동구동부(32)는 좌우이동부재(31)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이동판(311)에 이동너트가 결합되게 구성된 좌우이동용 스크류잭(32a)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이동용 스크류잭(32a)은 통상 스크류 잭(screw jack) 이라고 호칭되는 기계요소로서, 전술한 승강용 스크류잭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핸들(321)과 접속되어 회전되는 나사축(322), 이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이동너트(323)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너트(323)는 좌우이동판(311)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어서 수동핸들(321)의 정역방향 회전조작에 따라 나사축(322)이 정역 회전되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에 좌우이동판(313)은 연동되어 좌우로 이동된다.
전후이동부재(33)는 좌우이동부재(31)의 상부에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 전후로 이동되는 전후이동판(331), 이 전후이동판(331)의 원활한 전후방향 이동을 위해 배치되는 전후이동안내수단(332)으로 이루어진다.
전후이동안내수단(332)은 좌우이동판(311)의 상면에 전후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332a)과 이 제2 가이드레일(332a)에 접속되도록 전후이동판(331)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블록(332b)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2 가이드레일(332a)과 제2 가이드블록(332b)은 통상 엘앰가이드(LM guide)라고 호칭되는 기계요소가 적용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후이동구동부(34)는 전후이동부재(33)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접속, 구성되는 것으로, 전후이동판(331)에 이동너트가 결합되게 구성된 전후이동용 스크류잭(3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후이동용 스크류잭(34a)은 전술한 좌우이동용 스크류잭과 유사하게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수동핸들(341)과 접속되어 회전되는 나사축(342), 이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이동너트(343)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너트(343)는 전후이동판(331)과 결합되어 있어서 수동핸들(341)의 정역방향 회전조작에 따라 나사축(342)이 정역 회전되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에 전후이동판(331)은 연동되어 전후로 이동된다.
한편, 회전부재(35)는 적재물이 탑재되는 회전적재대(3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전후이동부재(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35)는 전후이동부재(33)에 결합되는 베어링(351), 이 베어링(351)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베어링(351)은 수직 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회전적재대(36)는 적재물인 항공기용 임무장비가 실질적으로 탑재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부재(35)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적재대(36)는 회전부재(35)의 지지축에 결합되는 원판형의 판상부재로 형성된 적재판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회전적재대(36)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 장비 중에서 원형몸체에 돌출부가 형성된 ELINT 안테나(p)와 같은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보조부재(3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보조부재(37)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조립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적재보조부재(37)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판 형상을 갖는 부재가 호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적재대(36)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적재보조부재(37)는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나비너트와 스크류 등으로 이루어진 적재물고정수단(38)이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회전적재대(36)에는 항공기 장비가 탑재되어 정위치된 상태에서 헛돌지 않도록 회전판용 스토핑수단(39)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판용 스토핑수단(39)은 핸들이 형성된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전후이동판(331)에 탈착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좌우이동부재(31) 및 전후이동부재(33)에는 정위치된 상태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해 회전식 고정막대 형상 등으로 형성된 스토핑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전기능을 갖춘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는 항공기 장비의 전체적인 이동동작 및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재(1)의 모서리 부분에 구름이동을 위한 복수의 구름수단(5)과, 구름수단(5)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름수단구동부(6)를 구비한다.
상기 구름수단(5)은 통상 캐스터라고 호칭되는 구름휠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바퀴부(51)와, 이 바퀴부(51)를 지지하는 바퀴프레임(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퀴프레임(52)에는 바퀴부(51)의 회전동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구름수단구동부로 이용되는 구름수단용 스크류잭(6a)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구름수단구동부(6)는 나사축이 바퀴프레임(52)에 결합되는 구름수단용 스크류잭(6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여 구름수단용 스크류잭(6a)의 내부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구름수단용 스크류잭(6a)은 통상 스크류 잭(screw jack) 이라고 호칭되는 기계요소이다.
구름수단용 스크류잭(6a)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하우징(61)의 내부에 수동핸들(65)과 접속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62)와, 워엄기어(62)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나사축(63)이 구비한다. 그리고, 나사축(63)의 단부에는 바퀴프레임(52)과 접속되도록 접속공을 갖는 접속부재(66)가 결합된다.
전술한 구름수단용 스크류잭(6a)은 수동핸들(65)의 정역방향 회전조작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워엄기어(62)에 의해 나사축(63)이 회전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전후진 되면 이 나사축(63)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부재(64)에 결합된 구름수단(5)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부재(1)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구름수단(5)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면 적재부(3)에 안착된 항공기 장비(p)를 틸팅시킬 수 있으므로 항공기 장비(p)의 정비, 조립, 및 해체시에 적절한 각도로 틸팅시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희망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름수단(5) 및 구름수단구동부(6)가 구비되면 베이스부재(1)의 전체적인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재(1)의 전후 좌우 높낮이가 조절되어 적재부(3)에 안착된 항공기 장비(p)의 틸팅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항공기 장비의 조립 및 해체작업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용핸들(7)은 이동시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부재(1)의 상면 양쪽에 설치되는 지주(71)와, 이 지주(71)의 상단에 굴곡, 형성되는 손잡이(72)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승강수단(2)의 승강용 스크류잭(26)의 수동핸들(265)를 일방향으로 조작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아암(25)이 접혀져 적재부(3)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항공기 장비(p)의 탑재가 용이하도록 한 후 항공기 장비를 탑재하고, 항공기의 장착 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승강용 스크류잭(26)의 수동핸들(265)를 타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나사축(263)이 회전되어 이동너트(264)가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이동너트(264)에 의해 이동되는 제1 이동축(22)에 접속된 제1 링크부재(251)가 전방으로 당겨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 있던 구동아암(25)이 펼쳐지게 되므로 항공기 장비의 탑재 위치까지 적재부(3)가 상승되어 항공기 장비(p)를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부(3)에 탑재되는 적재물이 레이돔과 같은 항공기용 임무장비일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회전적재대(36)의 상부에 조립된 적재보조부재(37)를 분리하고 상기 항공기용 임무장비를 탑재한 후 전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는 적재부(3)가 승강 될 뿐만 아니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회전동작과 틸팅동작이 가능하여 장착 및 분리시에 작업성과 정확도가 향상되는 장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항공기 장비(p)가 안착되는 회전적재대(36)를 좌우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좌우이동용 스크류잭(32a)의 수동핸들(321)을 정역방향 회전조작하게 되면 나사축(322)이 정역 회전되면서 이동너트(32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좌우이동판(311)이 좌우로 이동되고 연동되어 회전적재대(36) 또한 좌우로 이동된다.
그리고, 항공기 장비(p)가 안착되는 회전적재대(36)를 전후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후이동용 스크류잭(34a)의 수동핸들(341)을 정역방향 회전조작하게 되면 나사축(342)이 정역 회전되면서 이동너트(34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전후이동판(331)이 전후로 이동되고 연동되어 회전적재대(36) 또한 전후로 이동된다.
또한, 항공기 장비(p)가 안착되는 회전적재대(36)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판용 스토핑수단(39)의 고정핀을 전후이동판(331)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회전적재대(36)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므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적재대(36)를 각운동 시킨 후 회전판용 스토핑수단(39)을 이용하여 회전적재대(36)을 전후이동판(331)에 재고정한다.
아울러, 항공기 장비(p)를 일정 각도만큼 틸팅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구름수단구동부(6)인 구름수단용 스크류잭의 수동핸들(65)을 정역방향 회전시켜 구름수단(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부재(1)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구름수단(5)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면 적재부(3)에 안착된 항공기용 임무장비(p)를 틸팅시킬 수 있으므로 항공기용 임무장비(p)의 정비, 조립, 및 해체시에 적절한 각도로 틸팅시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희망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됨은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비교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수준에서 변형, 부가, 삭제, 치환 가능한 발명 등 모든 균등한 수준의 발명에 대하여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베이스부재 2 : 승강수단
21 : 제1 슬라이딩부재 22 : 제1 이동축
23 : 제2 슬라이딩부재 24 : 제2 이동축
25 : 구동아암 26 : 승강용 스크류잭
3 : 적재부 31 : 좌우이동부재
32 : 좌우이동구동부 33 : 전후이동부재
34 : 전후이동구동부 35 : 회전부재
36 : 회전적재대 5 : 구름수단
5 : 구름수단 51 : 바퀴부
52 : 바퀴프레임 6 : 구름수단구동부
7 : 이동용핸들 71 : 지주
72 : 손잡이

Claims (8)

  1.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적재물이 올려지도록 형성되는 적재부;
    상기 베이스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구름수단; 및
    상기 구름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름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름수단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좌우이동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좌우이동구동부;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후이동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전후이동구동부;
    상기 적재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물이 일면상에 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적재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이동공을 구비하는 제1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 이동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이동축;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이동공을 구비하는 제2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2 이동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이동축;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하단이 상기 제1 이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단이 상기 제2 이동축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구동아암; 및
    상기 제1 이동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이동축에 교차되게 결합되며 나사 체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이동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승강용 스크류잭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수단은,
    바퀴부; 및
    상기 바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수단구동부는,
    잭하우징;
    상기 잭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워엄기어;
    상기 워엄기어를 회전시키는 수동핸들; 및
    상기 워엄기어와 치합되는 나사축;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이 상기 바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구름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름수단용 스크류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적재대는,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물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적재판; 및
    상기 적재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재판에 올려지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적재물을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재보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판;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 상에 좌우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전후로 이동되는 전후이동판;
    상기 좌우이동판 상에 전후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도록 상기 전후이동판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구동부는 상기 좌우이동판에 이동너트가 결합되는 좌우이동용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이동구동부는 상기 전후이동판에 이동너트가 결합되는 전후이동용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 상기 전후이동부재 및 상기 회전적재대가 이동 또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 상기 전후이동부재 및 상기 회전적재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스토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50056608A 2015-04-22 2015-04-22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KR101719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08A KR101719479B1 (ko) 2015-04-22 2015-04-22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08A KR101719479B1 (ko) 2015-04-22 2015-04-22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49A KR20160125749A (ko) 2016-11-01
KR101719479B1 true KR101719479B1 (ko) 2017-03-24

Family

ID=5748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608A KR101719479B1 (ko) 2015-04-22 2015-04-22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51B1 (ko) * 2017-12-08 2019-06-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KR20190094998A (ko) * 2018-02-06 2019-08-14 김상구 액제 분무기용 이동 대차
CN111203830A (zh) * 2020-03-10 2020-05-29 中烜航空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万向调节功能用于飞机零部件装配的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245B1 (ko) * 2018-09-11 2020-01-30 정홍기 항공기 브레이크용 냉각장치
KR102182535B1 (ko) * 2019-07-29 2020-11-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항공용 광학장비 장탈착 트롤리
KR102182548B1 (ko) * 2019-07-29 2020-11-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장비 장탈착 트롤리
KR102182541B1 (ko) * 2019-07-29 2020-11-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미세조절이 가능한 광학장비 장탈착 트롤리
KR102480561B1 (ko) * 2020-11-30 2022-12-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즐 교체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KR102415492B1 (ko) * 2021-11-23 2022-07-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항공용 외장포드 정비용 다용도 거치장치
CN115751024B (zh) * 2022-10-18 2024-06-0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用于柱状装备的可重组式试验台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65A (ko) * 2000-10-09 2002-04-17 김병화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이동장치
KR101008142B1 (ko) * 2008-08-07 2011-01-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KR101045426B1 (ko) * 2009-08-18 2011-06-3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7축 제어 장치
KR101198538B1 (ko) * 2009-12-24 2012-1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51B1 (ko) * 2017-12-08 2019-06-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KR20190094998A (ko) * 2018-02-06 2019-08-14 김상구 액제 분무기용 이동 대차
KR102055559B1 (ko) * 2018-02-06 2019-12-13 김상구 액제 분무기용 이동 대차
CN111203830A (zh) * 2020-03-10 2020-05-29 中烜航空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万向调节功能用于飞机零部件装配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49A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479B1 (ko)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KR101749982B1 (ko)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장치
KR102017136B1 (ko)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RU2544421C2 (ru) Тележк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модуля авиаци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EP2960183B1 (en) Stacker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2206675B1 (en) Apparatus for elevating and positioning a work platform
CN110397253B (zh) 墙板安装机器人
US8465247B2 (en) Aircraft landing gear loader
US20070110552A1 (en) Aircraft landing gear loader
JP4303237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パネル検査装置のパネル供給装置
US20120325587A1 (en) Vehicle Lift With Front Platforms And Rear Carrying Arms
KR20110068087A (ko) 액체로켓엔진에서의 터보펌프 조립 장치
JP2010023832A (ja) 構成部分モジュールのための運搬・組付け車両
KR101031872B1 (ko)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
US20130145893A1 (en) Ceiling-mounted scara robot
CN106625540B (zh) 转运装配车
JP3710453B2 (ja) 鉄塔基礎材の据付架台及び鉄塔基礎材据付工法
JP3891393B2 (ja) 配材装置および鋼構造物組立設備
CN112319581B (zh) 一种天线阵面自动化装配工装
KR101824898B1 (ko) 트럭크레인의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CN114770107B (zh) 发动机装箭设备及发动机装箭方法
JP6234735B2 (ja) 台車及び台車への対象物固定方法
KR101506242B1 (ko) 스크류 탈착용 이동대차
KR101897163B1 (ko)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
KR20030079021A (ko) 부품 장착용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