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63B1 -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7163B1 KR101897163B1 KR1020160147717A KR20160147717A KR101897163B1 KR 101897163 B1 KR101897163 B1 KR 101897163B1 KR 1020160147717 A KR1020160147717 A KR 1020160147717A KR 20160147717 A KR20160147717 A KR 20160147717A KR 101897163 B1 KR101897163 B1 KR 101897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present
- fork arm
- flow groove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테이블과 같은 평판형의 설비를 특정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리프트 장치에 운송 대상물을 거치한 상태에서 운송 대상물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조향휠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의 하부에 이동휠을 구비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승하강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구비되어 승하강 동작하는 포크암;과, 상기 포크암의 상면에 부착되어 운송 대상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운송 대상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조절 블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조향휠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의 하부에 이동휠을 구비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승하강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구비되어 승하강 동작하는 포크암;과, 상기 포크암의 상면에 부착되어 운송 대상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운송 대상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조절 블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용 라인 설비 설치 작업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중량의 평판형 구조물을 프레임 등에 조립할 때 사용하기 위한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 사이즈가 대형화되고, 무게 또한 증가함에 따라 유리기판 이송설비의 크기도 대형화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를 위한 제조설비는 유리 기판을 이송하며 공정이 진행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유리 기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설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리기 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설비의 설치작업에 사용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기판 이송을 위한 이송 테이블을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의 이송 테이블을 들어 올리고, 수평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조향휠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의 하부에 이동휠을 구비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승하강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구비되어 승하강 동작하는 포크암;과, 상기 포크암의 상면에 부착되어 운송 대상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운송 대상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조절 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조절 블럭의 상면에 체결되는 지지 스트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조절 블럭은 상기 포크암에 체결되는 하부 블럭과, 상기 하부 블럭에 탄성부재를 통해 체결되는 상부 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블럭은 상부에 상부 유동홈을 구비하고, 하부에 하부 유동홈을 구비하며, 복수개의 탄성부재가 중심을 통과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 유동홈에 이동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블럭과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 블럭은 상기 상부 블럭과 상기 하부 블럭의 사이에 볼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고중량의 이송 테이블과 같은 운반 대상물을 원하는 높이로 들어 올린 후, 프레임과 조립을 위하여 미세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 테이블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위치 조절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위치 조절 블럭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위치 조절 블럭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위치 조절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위치 조절 블럭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위치 조절 블럭의 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0)는 조향휠(112)을 구비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의 하부에 이동휠(122)을 구비하는 지지다리(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승하강 리프터(130)와, 상기 리프터(130)에 구비되어 승하강 동작하는 포크암(140)과, 상기 포크암(140)의 상면에 부착되어 운송 대상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운송 대상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조절 블럭(150)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조절 블럭(150)은 지지 스트립(160)으로 상부가 복수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3개의 포크암(140)이 구비되고, 각각의 포크암(140)의 상면에 2개의 위치 조절 블럭(150)이 배치되고, 2개의 위치 조절 블럭(150)이 길이 방향으로 지지 스트립(160)으로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나, 포크암(140)의 개수나 하나의 포크암(140)에 구비되는 위치 조절 블럭(150)의 개수 그리고 지지 스트립(160)으로 연결되는 개수는 리트프 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위치 조절 블럭(150)은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운송 대상물의 바닥면과의 접지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지 스트립(160)으로 복수개의 위치 조절 블럭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0)는 승하강 리프터(130)의 동작은 유압이나 공압에 의하여 동작하게 된다.
리프트 장치(100)의 이동은 무동력으로 작업자가 밀거나 끌어서 이동할 수 있으며,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리프트 장치(100)의 방향 전환은, 핸들부(114)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핸들부(114)는 조향휠(112)과 연결되어, 핸들부(114)의 회전에 따라 조향휠(112)의 방향이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포크암(140)에 거치되는 이송 테이블과 같은 평판 형태의 운송 대상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시에 운송 대상물의 수평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송 대상물의 미세 위치 조절은 위치 조절 블럭(150)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위치 조절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위치 조절 블럭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위치 조절 블럭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 블럭(150)은 포크암의 상면에 체결되는 하부 블럭(152)과, 상기 하부 블럭(15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블럭(154)과, 상기 하부 블럭(152)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블럭(154)을 지지하는 볼베어링(156)과, 상기 하부 블럭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부 블럭(154)에 고정되는 탄성부재(158)와, 상기 상부 블럭(154)과 상기 탄성부재(158)의 중앙을 체결하는 체결부재(159)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블럭(152)의 중앙부에는 상부 유동홈(152a)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홈(152a)을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탄성부재 배치홈(152c)이 구비된다.
또한, 하부 블럭(152)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 유동홈(15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하부 유동홈(152b)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유동홈(152b)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유동홈(152a)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하부 유동홈(152b)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이동플레이트(155)가 구비된다.
이동플레이트(155)의 외경과, 상기 하부 유동홈(152b)의 내경의 차이를 조절하면, 상부 블럭(154)의 수평 방향 이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블럭(152)에는 상기 탄성부재 배치홈(152c)의 사이 공간에 볼베어링(156)이 안착되는 베어링홈(152d)이 구비된다.
볼베어링(156)은 상기 상부 블럭(154)에 인가되는 하중을 상기 하부 블럭(152)으로 전달하며, 상기 상부 블럭(154)의 상기 하부 블럭(152)에 대한 수평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을 수행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 배치홈(152c)이 하부 블럭(152)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60도 각도로 균분하며 6개가 배치된 형태이나, 탄성부재 배치홈(152c)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균분하며 4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블럭(152)의 하부 유동홈(152d)에는 상기 상부 유동홈(152a)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하부 유동홈(152d)의 직경보다 작은 이동플레이트(155)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55)는 중심부에 체결돌기(155a)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돌기(155a)를 상기 상부 블럭(154)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59)와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부재(159)가 상기 상부 블럭(154)과, 상기 탄성부재(158)와 상기 이동플레이트(155)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구조는 상기 상부 블럭(154)이 하부 블럭(152)과는 탄성부재(158)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블럭(154)의 상기 하부 블럭(152)을 사이에 두고 이동플레이트(155)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블럭(154)이 상기 하부 블럭(152)의 상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탄성부재(156)는 인장과 압축이 가능한 형태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상기 상부 블럭(154)이 상기 하부 블럭(152)과 중심이 탄성력에 의하여 유지되는 상태에서 고정되되,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면 수평방향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인가된 외력이 제거되면 다심 중심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하부 블럭(152)이 포크암(140)에 고정되고, 상부 블럭(154)(또는 상부 블럭의 상부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거치된 운반 대상물은 포크암(140)에 거치된 상태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수평방향으로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송 테이블과 같은 고중량의 설비를 프레임에 설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작업자들의 수작업에 의하여, 이송 테이블을 프레임 상에 임시로 거치한 후 다시 프레임과의 체결을 위해서 이리저리 밀고 당기는 작업을 한 후, 체결을 하고 있었다.
또는 지게차나 리프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프레임 상에 임시로 거치한 후 작업자들이 수작업에 의하여 미세 위치를 조절할 수 밖에 없었다.
이송 테이블이 고중량인 경우에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이송테이블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에 필요하였으며, 또한 미세 위치 조절 작업시에 이송 테이블과 프레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면, 리프트 장치의 포크암에 이송 테이블을 거치한 상태에서, 1명 또는 2명의 작업자가 손쉽게 이송 테이블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고, 프레임과의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리프트 장치
110 : 몸체부
120 : 지지다리
130 : 승하강 리프터
140 : 포크암
150 : 위치 조절 블럭
152 : 하부 블럭
152a : 상부 유동홈
152b : 하부 유동홈
152c : 탄성부재홈
152d : 베어링홈
154 : 상부 블럭
155 : 이동플레이트
156 : 볼 베어링
158 : 탄성부재
159 : 체결부재
110 : 몸체부
120 : 지지다리
130 : 승하강 리프터
140 : 포크암
150 : 위치 조절 블럭
152 : 하부 블럭
152a : 상부 유동홈
152b : 하부 유동홈
152c : 탄성부재홈
152d : 베어링홈
154 : 상부 블럭
155 : 이동플레이트
156 : 볼 베어링
158 : 탄성부재
159 : 체결부재
Claims (5)
- 조향휠(112)을 구비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의 하부에 이동휠(122)을 구비하는 지지다리(120);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승하강 리프터(130);
상기 리프터(130)에 구비되어 승하강 동작하는 포크암(140); 및
상기 포크암(140)의 상면에 부착되어 운송 대상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운송 대상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조절 블럭(150);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블럭(150)은
상기 포크암(140)에 체결되는 하부 블럭(152)과, 상기 하부 블럭(152)에 탄성부재(158)를 통해 체결되는 상부 블럭(154)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블럭(150)은
상기 하부 블럭(152)이 상부에 상부 유동홈(152a)을 구비하고, 하부에 하부 유동홈(152b)을 구비하며,
복수개의 탄성부재(158)가 중심을 통과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 유동홈(152b)에 이동플레이트(155)가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럭(154)과 상기 탄성부재(158)와, 상기 이동플레이트(155)가 체결부재(159)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블럭(150)의 상면에 체결되는 지지 스트립(160)을 더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블럭(150)은
상기 상부 블럭(154)과 상기 하부 블럭(152)의 사이에 볼베어링(15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7717A KR101897163B1 (ko) | 2016-11-07 | 2016-11-07 |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7717A KR101897163B1 (ko) | 2016-11-07 | 2016-11-07 |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0987A KR20180050987A (ko) | 2018-05-16 |
KR101897163B1 true KR101897163B1 (ko) | 2018-10-18 |
Family
ID=6245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7717A KR101897163B1 (ko) | 2016-11-07 | 2016-11-07 |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716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13268A (ja) * | 2006-07-03 | 2008-01-24 |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 収納棚及び収納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4415A (en) * | 1991-12-16 | 1992-12-29 | Teledyne Princeton, Inc. | Walk behind fork lift truck |
JP2567982Y2 (ja) * | 1992-10-23 | 1998-04-08 |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 揚重作業車の安全装置 |
-
2016
- 2016-11-07 KR KR1020160147717A patent/KR101897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13268A (ja) * | 2006-07-03 | 2008-01-24 |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 収納棚及び収納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0987A (ko) | 2018-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9479B1 (ko) |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 |
KR102138739B1 (ko) | 자동 용접 로봇 이동 장치 | |
KR101749982B1 (ko) |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장치 | |
KR101220105B1 (ko) |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 |
JP2008214007A (ja) | 移載用昇降装置 | |
JP2012056050A (ja) | ワーク支持装置及びワーク支持方法 | |
KR100905861B1 (ko) |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 |
KR20210136260A (ko) | 밸브조립용 테이블장치 | |
WO2018214970A1 (zh) | 靶材搬运车 | |
KR200482680Y1 (ko) | 배관용 리프터 | |
KR101897163B1 (ko) | 라인 설비 설치용 리프트 장치 | |
CN104973536A (zh) | 一种升降台 | |
KR101761260B1 (ko) |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 |
CN205972884U (zh) | 一种接料移载平台 | |
JP5805137B2 (ja) | 車両のドア着脱装置 | |
KR101553179B1 (ko) | 대형타이어 교환 리프트장치 | |
KR102694003B1 (ko) | 타이어 리프트 | |
US8763991B2 (en) | Liftable puller device | |
JP2010254197A (ja) | リフト機能付きキャスター装置 | |
KR102213315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밸브 정비용 대차 | |
JP6121932B2 (ja) | ドア保持装置 | |
TWI795141B (zh) | 頂高機 | |
US20220032412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nd positioning mechanical components or tools | |
CN211809270U (zh) | 辅助工装以及转运工装 | |
KR102542318B1 (ko) | 반도체 부품 핸들링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