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651B1 -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 Google Patents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651B1
KR101987651B1 KR1020170167959A KR20170167959A KR101987651B1 KR 101987651 B1 KR101987651 B1 KR 101987651B1 KR 1020170167959 A KR1020170167959 A KR 1020170167959A KR 20170167959 A KR20170167959 A KR 20170167959A KR 101987651 B1 KR101987651 B1 KR 101987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rake
backward
landing gea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132Machines for removing and mounting tyres
    • B60C25/135Machines for removing and mounting tyres having a tyre support or a tool, movable along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의 트레일링 암에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탈착할 시 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일링 암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의 저감 및 작업효율의 향상을 위한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전방에 배치되며, 타이어가 기립된 형태로 안착되는 타이어 안착부와, 일단부가 상기 타이어 안착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몸체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 안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진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 조절부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부와 전후진 조절부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Apparatus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Break Or Tire For Landing Gear}
본 발명은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트레일링 암에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탈착할 시 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일링 암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의 저감 및 작업효율의 향상을 위한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랜딩기어란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거나 지상 활주 또는 계류하고 있을 때 항공기 자체의 무게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일컫는 장치로 항공기 동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구조물을 통틀어 지칭한다.
일반적인 항공기, 특히 소형 민간 항공기, T-50 및 F-16 등 군용 소형 항공기의 경우 장착되는 랜딩기어는 두 가지로, 하나는 항공기 하부 전측에 마련되는 노즈 랜딩기어(Nose Landing Gear)이고, 다른 하나는 항공기 하부 후측에 좌우로 한 쌍이 마련되는 메인 랜딩기어(Main Landing Gear)이다.
여기서, 메인 랜딩기어의 구조는 항공기로부터 뻗어진 트레일링 암(Trailing Arm)의 끝단에 끝단이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액슬(Axle)과 상기 액슬에 브레이크와 타이어에 형성된 홀을 맞추어 장착한 형태이다.
이러한 메인 랜딩기어의 조립과정은 브레이크와 타이어에 형성된 홀을 액슬의 높이와 경사에 맞추어 브레이크와 타이어를 들어 올린 후 액슬에 삽입하여 장착하는데, 브레이크와 타이어의 무게가 상당하며, 브레이크와 타이어에 형성된 홀의 직경 또한 액슬의 직경과 비교하여 여유롭지 못하여 작업 도중 작업자의 힘이 빠지거나 액슬의 경사에 정확하게 조준하지 못한 경우 장착 과정에서 액슬의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해왔다.
이렇게 발생한 액슬의 손상은 해당 부위와 연결된 모든 부품들을 재생산해야 하거나 항공기 운행 시 안전문제를 야기하였고, 작업자 또한 중량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장착작업에서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액슬의 경사에 맞추어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효과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726158호("항공기부품 장착 보조장치,"2017.04.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이동과 승강을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액슬의 형상 각도에 맞추어 브레이크와 타이어의 장착 각도를 조절하여 신속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랜딩기어의 액슬 형성 각도에 따라 브레이크와 타이어를 상기 액슬에 탈착하기 위한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전방에 배치되며, 타이어가 기립된 형태로 안착되는 타이어 안착부와, 일단부가 상기 타이어 안착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몸체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 안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진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 조절부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부와 전후진 조절부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진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전후진 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타이어 안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후진 몸체를 관통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전후진 몸체를 기준으로 타이어 안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진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전후진 조절부와 몸체부 사이 공간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동하는 각도 조절축과, 상기 각도 조절축과 전후진 몸체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축의 회동에 따라 전후진 몸체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안착부는 타이어의 일면을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슬로트 홀이 형성된 안착보드와, 타이어의 외주면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슬로트 홀에 탈착 및 결합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보드는 타측에 제 2 슬로트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제2 슬로트 홀에 탈착 및 결합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레이크를 지지하는 브레이크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전후진 조절부와 함께 진행각도가 조절되는 도킹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안착부에 안착된 타이어의 중심점을 액슬 단부의 중심점으로 안내하는 도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몸체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어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몸체부 하부에 다수 개 설치되는 나사 잭을 포함하며, 각각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불균일한 지면에 대해 몸체부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진 몸체는 상기 각도 조절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전후진 플레이트와,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 상에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상기 전후진 레일이 관통되는 전후진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전후진 측벽 내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암나사 가공이 형성된 좌우결속수단과,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형태로 상기 전후진 측벽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좌우결속수단에 결속되는 좌우조절핸들을 포함하여, 상기 좌우조절핸들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에 대한 전후진 측벽의 결합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좌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높이 조절부 및 전후진 조절부의 구성을 통해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적은 힘으로 효과적이게 승강 및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도 조절부의 구성을 통해 액슬의 형성 각도에 맞게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장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도킹부의 구성을 통해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장착 시 액슬의 정확한 위치로 안내 및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좌우 조절부의 구성을 통해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장착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타이어 안착부와 브레이크 안착부의 구성을 통해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형상과 크기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섯째, 수평 조절부를 통해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장치를 수평상태로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후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전후진 록킹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몸체부와 수평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높이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랙 잭 내부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각도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각도 조절부와 타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싣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랜딩기어의 액슬에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액슬의 형성 각도에 맞추어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크게 타이어 안착부(100), 브레이크 안착부(200), 전후진 조절부(300), 좌우 조절부(400), 도킹부(500), 몸체부(600), 수평 조절부(700), 높이 조절부(800), 각도 조절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타이어 안착부(100)와, 브레이크 안착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타이어 안착부(100)는 액슬에 장착될 타이어가 직접적으로 안착되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할 몸체부 전방에 배치되며, 안착보드(110)와 안착롤러(130)로 구성된다.
안착보드(110)는 타이어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판 형상이되 그 상측은 안착보드(110)의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홈이 형성된 형태인데, 이는 후술할 도킹 샤프트가 관통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히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형태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안착보드(110)는 안착보드의 하부 좌우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제1 슬로트홀(111)이 형성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슬로트홀(111)을 좌우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슬로트홀(11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안착보드(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안착롤러(130)는 타이어의 외주연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 슬로트홀(111)에 대해 결합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며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롤러 후면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를 제1 슬로트홀(111)에 삽입하여 제1 슬로트홀(111)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며 결합 위치를 설정한 후 안착보드(110) 후면에서 상기 나사에 너트를 조여 위치를 구속하는 방식이다.
안착롤러(130)가 안착보드(110)에 대해 결합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은 후술할 도킹 샤프트가 안착보드(110)와 타이어의 중심점을 관통하여 지나는데,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대응하여 안착롤러(130)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안착보드(110)와 타이어의 중심점을 일치시켜 타이어가 도킹 샤프트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안착롤러(130)는 외면에 탄성재질로 감싸져 타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 안착부(200)는 브레이크가 안착되는 부위로, 결합보드(210)와 브레이크 지지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타이어 안착부(100)와 브레이크 안착부(200)가 별도로 구성된 이유는 첫째로, 브레이크가 통상 타이어보다 작게 형성되고, 원형인 타이어와 비교하여 그 형상 또한 복잡하여 타이어 안착부(100)에 브레이크를 안착시킬 경우 타이어 안착부(100)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고, 둘째로, 항공기의 액슬에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브레이크와 타이어의 장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타이어 안착부(100)에서 브레이크의 지지를 함께 수행한다면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장착 할 시 매회 위치조정을 다시 해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상기 브레이크 안착부(200)는 결합보드(210)와 브레이크 지지부재(2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안착보드(110)는 하부에 상기 브레이크 안착부(200)가 결합되기 위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 슬로트홀(113)이 더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드(210)는 상기 안착보드(110) 전면에 결합되어 브레이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안착보드(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슬로트홀(113)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지지부재(230)는 브레이크의 외주면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브레이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보드(210) 전면에 배치되고, 나사 및 너트와 같은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제2 슬로트홀(113)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지지부재(230) 역시 브레이크 지지부재(230)에 안착되는 브레이크의 크기에 따라 브레이크 지지부재(230)가 안착보드(11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안착된 브레이크의 중심점과 안착보드(110)의 중심점이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도킹 샤프트(51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안착부(200)는 상술한 실시예 외에도 안착보드(110)의 제2 슬로트홀(113)을 통해 상기 결합보드(210)만 나사와 너트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하고, 결합보드(210) 전면에는 브레이크 지지부재(230)를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브레이크 지지부재(230) 후면에는 상기 홈에 끼움결합 가능한 돌기를 형성하여 브레이크 지지부재(230)를 탈착할 시 별도의 위치 조절을 하는 수고를 덜게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항공기에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장착 후 두 번째 항공기에 브레이크를 장착 할 시 브레이크 지지부재(230)의 위치 조절을 다시 할 필요 없이 상기 홈과 돌기를 통해 단순히 끼우기만 하면 브레이크 지지부재(230)를 알맞은 위치에 장착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고로 전후진 조절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후진 조절부(300)는 크게 전후진 몸체(310)와, 전후진 레일(330)과, 전후진 록킹수단(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 몸체(310)는 사각판 형태의 전후진 플레이트(311)와 상기 전후진 프레이트 상면의 전측과 좌우측에 기립된 판 형태, 즉'ㄷ'자 형태로, 전후진 플레이트(311)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진 측벽(313)을 포함한다.
전후진 측벽(313)이 전후진 플레이트(311)에 대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전후진 플레이트(311)의 전후진 측벽(313)이 결합된 부위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홀이 형성되고, 전후진 측벽(313) 하면의 상기 장홀이 형성된 부위에는 별도의 결속구가 형성되어, 결속구가 장홀을 따라 슬라이딩 하거나, 전후진 측벽(313)과 전후진 플레이트(311) 사이에 슬라이딩 레일이 마련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후진 레일(33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으로, 일단, 더욱 정확하게는 전측 단부는 전후진 측벽(313)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보드(110) 후면에 고정되고, 전후진 측벽(313)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후진 레일(330)의 타단, 즉 후측 단부의 직경은 확장 형성되어 전후진 레일(330)이 전후진 측벽(3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상기 브레이크 안착부(200) 및 타이어 안착부(100)에 안착된 브레이크 및 타이어는 상기 전후진 레일(33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액슬이 위치한 전방으로 이동 가능 한 것이다.
한편, 전후진 록킹수단(350)은 전후진 레일(33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진 측벽(313)의 전후진 레일(330)이 관통하는 부위에 마련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전후진 록킹수단(350)의 각부 구성을 살펴보면, 전후진 록킹수단(350)은 레일홀더(351)와, 로커 핸들(357)과, 로커 축(355)로 구성된다.
레일홀더(351)는 전후진 레일(33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된 형상이되, 중앙에 전후진 레일(330)이 관통하는 전후진 레일 관통홀(353)이 형성되며, 폐구된 하단부는 상기 전후진 측벽(313)의 전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로커 축(355)은 레일홀더(351)의 개구된 양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레일홀더(351)의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은 로커 축(355)이 레일홀더(35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확장 형성되고, 레일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된 타단은 로커 핸들(357)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이다.
상기 로커 핸들(357)은 도 8에 나타나 있듯, 원형이되 일측에 바가 연장 형성된 형태인데, 로커 핸들(357)의 회전 중심점은 로커 핸들(357)을 형상하고 있는 원의 중심점으로부터 한쪽으로 편심 되게 위치하여 로커 핸들(357)을 회전시킴에 따라 로커 핸들(357)의 회전 중심점으로부터 로커 핸들과 레일 홀더(351)가 맞닿는 부위까지의 거리가 가변됨으로써 레일 홀더(351)의 개구된 단부를 가압하고, 레일 홀더(351)는 전후진 레일 관통홀(353)을 관통하는 전후진 레일(330)을 파지하여 전후진 몸체(310)에 대한 전후진 레일(330)의 전후방향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좌우 조절부(400)은 전후진 플레이트(311) 상면에 결합된 전후진 측벽(313)의 결합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9a 내지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조절 핸들(430)과 좌우결속수단(450)으로 구성된다.
좌우결속수단(450)은 내부에 암나사 가공이 형성된 것으로, 전후진 측벽(313) 내측면, 더욱 정확하게는 전후진 측벽(313)의 내면 전방에 고정되고, 좌우조절 핸들(43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에는 핸들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가공이 형성된 것으로, 전후진 측벽(313)을 좌우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좌우결속수단(450)에 결속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좌우조절 핸들(4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전후진 측벽(313) 외측에 위치한 좌우조절 핸들(430)의 단부로부터 좌우결속수단(450)까지의 거리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전후진 플레이트(311)에 대한 전후진 측벽(313)의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 이다. 여기서, 좌우 조절부(400)의 조작에 따라 전후진 측벽(313)에 결합된 전후진 레일(330)과 이에 결합된 타이어 안착부(100) 및 브레이크 안착부(200)의 위치 또한 조절됨은 물론이다.
도킹부(500)는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액슬에 장착하기 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를 액슬의 위치 및 형성 각도에 알맞게 조절 되었는지 확인하고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액슬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액슬의 단부에는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액슬 단부에 형성된 홈에 도킹부(500)를 안착시켜 봄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킹부(500)는 크게 도킹 샤프트(510)와 도킹 홀더(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킹 샤프트(510)는 전후진 측벽(313)을 관통하며 전후진 측벽(3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킹 샤프트(510)가 전후진 측벽(313)에 결합되는 위치는, 브레이크 안착부(200)와 타이어 안착부(100)에 타이어와 브레이크를 안착시켰을 시 상기 도킹 샤프트(510)가 타이어와 브레이크의 중심점을 관통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도킹 샤프트(510)는 전방 단부 즉, 타이어 안착부(100)가 위치한 측 단부에는 도킹 아답터(511)가 씌워지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돌기(513)가 형성된다.
도킹 아답터(511)는 도킹 샤프트(510)가 액슬의 단부에 접촉할 시 액슬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액슬 단부에 형성된 홈에 안착 될 수 있도록 그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킹 아답터(511)는 도킹 샤프트(510)와 탈착 가능하게 끼움결합 되어 도킹 아답터(511)의 손상 및 액슬 단부 형상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돌기(513)는 도킹 샤프트(5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킹 홀더(530)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킹 홀더(530)는 도킹 샤프트(510)와 전후진 측벽(313)이 연결되는 부위에 전후진 측벽(313)에 고정되어 도킹 샤프트(5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 된다. 그리고 일측에 'ㄱ'자 형상의 고정홀(531)이 형성되는데, 상기 도킹 샤프트(51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돌기(513)를 상기 고정홀 내부로 삽입한 후 도킹 샤프트(510)를 회동시켜 고정홀(531)에 고정돌기(513)를 구속시킴으로써 도킹 샤프트(510)가 후측으로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킹부(500)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도킹 샤프트(510)가 설치되는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레이저의 형태로 구성하여 작업을 좀 더 간단히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몸체부(600)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각부 구성이 설치됨과 동시에 각 구성의 무게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몸체부(600)는 버킷 형상으로,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날개(63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날개(630) 하면에는 몸체부(60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캐스터(610)가 설치되며, 몸체날개(630) 상측으로는 손잡이 어셈블리(6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캐스터(610)에는 캐스터(610)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캐스터(610)의 사용유무를 선택 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650)는 몸체날개(630) 상면에 마련되는 손잡이 브라켓(652)과, 상기 손잡이 브라켓(652)에 삽입되어 몸체부(600) 상에 기립된 형태로 결합되는 손잡이(651)와, 상기 손잡이 브라켓(652) 일측면을 관통하여 손잡이 브라켓(652) 내부에 삽입된 손잡이(651)를 손잡이 브라켓(652) 상에 고정하는 손잡이 탈착핀(653)을 포함한다.
손잡이 어셈블리(65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몸체부(600)의 이송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높이가 낮은 물체의 하측을 통과할 시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600)에는 수평 조절부(7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수평 조절부(700)는 고르지 못한 지면 위에서 작업을 할 경우 몸체부(600)를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날개(6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나사 잭(710)으로 이루어진다.
즉, 몸체날개(630)에 설치된 각각의 나사 잭(710)을 조절하여 부분적으로 승강 및 하강함으로써, 몸체부(600)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은 높이 조절부(800)를 나타낸 것이다.
높이 조절부(800)는 상기 몸체부(6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800)는 크게 높이조절 바디(810), 커버(811), 높이 구동축(830), 높이 조절축(850), 랙 잭(870)으로 구성된다.
높이조절 바디(810)는 높이 조절부(800)의 각부 구성이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버킷 형태이며, 몸체부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지지부재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플레이트가 더 형성 될 수 있다.
한편, 커버(811)는 높이조절 바디(810) 내부에 설치되는 각부 구성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높이 구동축(830)은 높이 조절부(800)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높이조절 바디(810) 후측 벽면을 관통하여 일단은 높이조절 바디(810) 외부에, 타단은 높이조절 바디(8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는 높이 구동축(83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 핸들(83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 축 지지부재(833)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축 지지부재(833)의 내부에는 높이 구동축(830)이 더욱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구동축(830) 하측에는 높이 구동축(83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높이조절 바디(8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 조절축(850)이 마련된다.
높이 조절축(850)은 상기 높이 구동축(830)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랙 잭(870)에 전달시켜주기 위한 구성으로, 높이 구동축(830)과 높이 조절축(850)이 직교하는 부분은 제1 워엄휠(835)과 제1 워엄기어(851)가 각각 마련된다.
즉, 높이 구동축(830)의 외주면에는 제1 워엄휠(835)이 마련되고, 높이 조절축(850)의 외주면에는 제1 워엄기어(851)가 마련되어 상기 높이 구동축(8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워엄휠(835)과 제1 워엄기어(851)가 맞물리면서 높이 조절축(850)이 연동하여 회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 조절축(850)은 랙 잭(870)과 연결되어 높이조절 바디(810)을 승하강 시키는데, 그 자세한 결합관계를 도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랙 잭(870) 내부에는 기립된 형상의 랙기어(871)가 높이조절 바디(8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랙기어(871)의 하단은 평평하고 넓게 형성되어 몸체부(600)의 상면에 안착되며, 높이조절 바디(810)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축(850)의 단부에는 제1 피니언기어(872)가 마련되며, 제1 피니언기어(872)는 랙기어(871)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축(850)이 회전하면 랙기어(871)와 맞물리게 배치된 제1 피니언기어(872)가 랙기어(871)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함으로써 높이조절 바디(81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높이조절 바디(8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승하강 및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피니언기어(872)는 높이 조절축(850) 양단에 설치되고, 랙 잭(870) 또한 높이 조절축(850)의 양단부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12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랙 잭(870)을 추가로 더 설치하고, 양단에 제2 피니언기어(874)가 마련된 연결축(873)을 상기 제1 피니언기어(872)와 연결된 랙기어(871)와 추가로 설치한 랙 잭(870)의 랙기어(871)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표식어셈블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표식어셈블리는 몸체부(600)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시바(892)와, 높이조절 바디(810) 외측면 중 높이조절 바디(810)를 몸체부(600) 상에 설치했을 시 지시바(892)가 위치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눈금자로 구성된다.
즉, 높이 조절부(800)가 몸체부(600) 상에서 승하강 됨에 따라, 지시바(892)의 단부가 가리키는 눈금자의 눈금을 확인함으로써 높이 조절부(800)가 얼마나 승강되었는지 인지 할 수 있는 것이다.
각도 조절부(9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구동축(910)과, 각도 조절축(930)과, 연결수단(950)과, 토션 스프링(970)을 포함한다.
각도 구동축(910)은 상기 높이 구동축과 유사하게 각도 조절부(900)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이며, 높이조절 바디(810) 후측 벽면을 관통하여 일단은 높이조절 바디(810) 외부에, 타단은 높이조절 바디(8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는 높이 구동축(83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각도조절 핸들(9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축 지지부재(913)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도 구동축(910)의 타단부에는 그 상측으로 각도 조절축(930)이 직교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축(930)은 높이조절 바디(8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도 구동축(910)과 각도 조절축(930) 각각이 서로 직교하는 부위에 각도 구동축(910)에는 제2 워엄휠(915)이, 각도 조절축(930)에는 제2 워엄기어(93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축(930)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950)이 각도 조절축(9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며, 그 상면은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의 하면에 나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정리하면, 도 14a 내지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도조절 핸들을 회동시켜 각도 구동축(910)이 회동하면, 제2 워엄휠(915)과 제2 워엄기어(931)가 맞물려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도 조절축(930)이 회전하면 연결수단(950)을 통해 연결된 전후진 조절부가 각도 조절축(930)의 직경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전후진 조절부(300)의 전후진 조절부의 진행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게끔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13에는 연결수단(950)을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토션 스프링(970)은 타이어 안착부에 타이어를 적재할 시 타이어의 무게로 인한 순간적인 충격으로 각도 조절축(930)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각도 구동축(910)을 조작할 시 조절된 각도가 어느 정도인지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970)은 각도 조절축(930)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는 일부가 각도 조절축(93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높이조절 바디 내부의 각도 조절축(930)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수단(971)에 구속되고, 타단은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타이어 안착부에 타이어를 적재할 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은 전후진 플레이트 하면을 일부 지지하고 있는 토션 스프링(970)으로 전달되어 그 충격을 흡수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의 각도를 조절할 시에는 각도 구동축(910)과 연동하여 각도 조절축(930)이 회동함에 따라 토션 스프링(970)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바, 토션 스프링(970)의 탄성에 따른 저항이 각도조절 핸들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에 의하면, 타이어 안착부(100)와 브레이크 안착부(200)를 통하여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와 브레이크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후진 조절부(300)를 통하여 브레이크 및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좌우 조절부(400) 및 도킹부(500)를 통해 브레이크 및 타이어의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 할 수 있으며, 수평 조절부(700)를 통해 고르지 못한 지면에서도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부(800) 및 각도 조절부(900)를 통하여 액슬의 위치 및 형성 각도에 맞추어 높이 및 틸팅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
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타이어 안착부 110: 안착보드
111: 제1 슬로트홀 113: 제2 슬로트홀
130: 안착롤러
200: 브레이크 안착부 210: 결합보드
230: 브레이크 지지부재
300:전후진 조절부 310: 전후진 몸체
311: 전후진 플레이트 313: 전후진 측벽
330: 전후진 레일 350: 전후진 록킹수단
351: 레일홀더 353: 전후진 레일 관통홀
355: 로커 축 357: 로커핸들
400: 좌우 조절부 410: 결합수단
450: 좌우결속수단
500: 도킹부 510: 도킹 샤프트
511: 도킹 아답터 513: 고정돌기
530: 도킹홀더 531: 고정홀
600: 몸체부 610: 캐스터
630: 몸체날개 650: 손잡이 어셈블리
651: 손잡이 652: 손잡이 브라켓
653: 손잡이 탈착핀
700: 수평 조절부 710: 나사 잭
800: 높이 조절부 810: 높이조절 바디
811: 커버 830: 높이 구동축
831: 높이조절 핸들 833: 제1 축 지지부재
835: 제1 워엄휠 850: 높이 조절축
851: 제1 워엄기어 870: 랙잭
871: 랙기어 872: 제1 피니언기어
873: 연결축 874: 제2 피니언기어
892: 지시바
900: 각도 조절부 910: 각도 구동축
911: 각도조절 핸들 913: 제2 축 지지부재
915: 제2 워엄휠 930: 각도 조절축
931: 제2 워엄기어 950: 연결수단
970: 토션스프링 971: 스프링 지지수단

Claims (8)

  1. 랜딩기어의 액슬 형성 각도에 따라 브레이크와 타이어를 상기 액슬에 탈착하기 위한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전방에 배치되며, 타이어가 기립된 형태로 안착되는 타이어 안착부;
    일단부가 상기 타이어 안착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몸체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 안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진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 조절부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부와 전후진 조절부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전후진 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타이어 안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후진 몸체를 관통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전후진 몸체를 기준으로 타이어 안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진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전후진 조절부와 몸체부 사이 공간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동하는 각도 조절축과,
    상기 각도 조절축과 전후진 몸체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축의 회동에 따라 전후진 몸체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안착부는,
    타이어의 일면을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슬로트 홀이 형성된 안착보드와,
    타이어의 외주면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슬로트 홀에 탈착 및 결합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보드는,
    타측에 제2 슬로트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제2 슬로트 홀에 탈착 및 결합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레이크를 지지하는 브레이크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전후진 조절부와 함께 진행각도가 조절되는 도킹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안착부에 안착된 타이어의 중심점을 액슬 단부의 중심점으로 안내하는 도킹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몸체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어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높이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몸체부 하부에 다수 개 설치되는 나사 잭을 포함하며, 각각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불균일한 지면에 대해 몸체부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8.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몸체는,
    상기 각도 조절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전후진 플레이트와,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 상에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상기 전후진 레일이 관통되는 전후진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는,
    상기 전후진 측벽 내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암나사 가공이 형성된 좌우결속수단과,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형태로 상기 전후진 측벽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좌우결속수단에 결속되는 좌우조절핸들을 포함하여, 상기 좌우조절핸들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에 대한 전후진 측벽의 결합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좌우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KR1020170167959A 2017-12-08 2017-12-08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KR101987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59A KR101987651B1 (ko) 2017-12-08 2017-12-08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59A KR101987651B1 (ko) 2017-12-08 2017-12-08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651B1 true KR101987651B1 (ko) 2019-06-12

Family

ID=6684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959A KR101987651B1 (ko) 2017-12-08 2017-12-08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752A (zh) * 2019-12-05 2020-03-13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多功能对接平台
CN112918200A (zh) * 2021-01-20 2021-06-08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轮胎快速维修矫正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151A (ko) * 2001-11-02 2003-05-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앞바퀴 착륙장치용 장착대
KR20030084185A (ko) * 2002-04-25 2003-11-0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랜딩기어 설치용 지지장치
KR101719479B1 (ko) * 2015-04-22 2017-03-24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KR101726158B1 (ko) 2015-12-30 2017-04-12 대한민국 항공기부품 장착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151A (ko) * 2001-11-02 2003-05-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앞바퀴 착륙장치용 장착대
KR20030084185A (ko) * 2002-04-25 2003-11-0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랜딩기어 설치용 지지장치
KR101719479B1 (ko) * 2015-04-22 2017-03-24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KR101726158B1 (ko) 2015-12-30 2017-04-12 대한민국 항공기부품 장착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752A (zh) * 2019-12-05 2020-03-13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多功能对接平台
CN112918200A (zh) * 2021-01-20 2021-06-08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轮胎快速维修矫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651B1 (ko) 랜딩기어의 브레이크 및 타이어 장탈착 장치
US3830387A (en) Vehicle wheel handling apparatus
JP5429107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ー交換装置
US10076931B2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uninstalling a wheel using such a lifting device
US8201809B2 (en) Lift for servicing aircraft
US9771990B2 (en) Brake component handling apparatus
KR101719479B1 (ko)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US4021017A (en) Third member handling jack
KR101503026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털스테이션
US20050116432A1 (en) Pallet truck
US10112523B2 (en) Weight distributing trailer hitch installation and storage dolly
CN114833467A (zh) 一种用于金属板材的激光切割设备
KR101514568B1 (ko)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CN210437413U (zh) 一种手推飞机舷梯的支撑装置
US9522625B2 (en) Boat loading allignment device and method
SE1451035A1 (en) A wheel lifting device
KR101464113B1 (ko) 포탑 선회 구동기의 정비작업용 거치대
JP4803119B2 (ja) バッテリ交換用台車
US20120210835A1 (en) Transfer car, and a method of machining a panel in a flat bed machine
US20110052356A1 (en) Multidimensional Lifting Handtruck
US20090136329A1 (en) Electric Motor Driven Lift For Vehicle Wheel
EP0107348A1 (en) Mobile maintenance stand for servicing and transporting ejection seats
JP4047233B2 (ja) タイヤ着脱作業台車
KR102182548B1 (ko) 광학장비 장탈착 트롤리
US20070063471A1 (en) Glass handl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