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959B1 -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959B1
KR101322959B1 KR1020110134931A KR20110134931A KR101322959B1 KR 101322959 B1 KR101322959 B1 KR 101322959B1 KR 1020110134931 A KR1020110134931 A KR 1020110134931A KR 20110134931 A KR20110134931 A KR 20110134931A KR 101322959 B1 KR101322959 B1 KR 10132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ase plate
attachment
slider
attach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894A (ko
Inventor
김철민
권오종
양문식
라호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9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Abstract

선박 건조시에 각 블럭의 데크 천정면에 패드를 부착할 때 사용하는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동바퀴를 구비하는 대차; 상기 대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슬라이더; 상기 승하강슬라이더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LIFT DEVICE FOR OVER HEAD PAD MOUNT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시에 각 블럭의 데크 천정면에 패드를 부착할 때 사용하는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 과정에서, 각 블럭의 천정에 패드를 부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천정에 패드를 손으로 부착한 상태에서 테크 용접을 수행한 후 본 용접을 하여 패드를 부착하고 있었다.
그런데, 패드의 중량이 무겁고 작업 자세가 좋지 못하여 작업자 부상의 우려가 있었으며, 패드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를 데크의 천정면에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밀착시킬 수 있는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의 부착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동바퀴를 구비하는 대차; 상기 대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슬라이더; 상기 승하강슬라이더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하강슬라이더는 모터의 구동력 또는 유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승하강슬라이더에 로테이팅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슬라이더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로테이팅축의 회전각도는 전동으로 조절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 편,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부착 플레이트에 고정된 패드를 천정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패드의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패드와 접촉하는 면에 전자석을 구비하여 자기력을 이용하여 패드를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는, 중량물인 패드를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한 후, 천정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는 천정면이 수평이 아닌 경사면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패드의 부착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승하강슬라이더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부착 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부착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100)는 이동바퀴를 구비하는 대차(110)와, 상기 대차(11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20) 상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슬라이더(130)와, 상기 승하강슬라이더(130)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0)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대차(110)에 구비되는 바퀴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지 않도라도, 작업자가 대차(110)를 용이하게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대차(110)의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승하강슬라이더(130)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 슬라이더(130)는 수직 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승하강 슬라이더(130)의 이동은 모터의 구동력 또는 유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 슬라이더(130)를 하강한 상태에서, 부착할 패드(미도시)를 부착 플레이트(150)에 고정한후, 승하강 슬라이더(130)를 상승시켜 데크의 천정면으로 이동시킨다.
승하강 슬라이더(130)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로테이팅축(도 3의 142)으로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일면에는 부착 플레이트(150)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로테이팅축의 회전에 따라 부착 플레이트(150)가 바닥면을 향하거나, 천정면을 향하게 조절될 수 있다.
패드를 부착 플레이트(150)에 고정하기 위해서, 패드를 바닥면에 안치 한 후, 승하강 슬라이더(13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부착 플레이트(150)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한다. 그 다음 부착 플레이트(150)를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하강하도록 하여, 부착 플레이트(150)가 패드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이 때, 부착 플레이트(150)는 자기력에 의하여 패드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렇게 부착 플레이트(150)에 패드가 고정된 후, 승하강 슬라이더(150)를 상승시키고, 부착 플레이트(150)가 천정면을 향하도록 로테이팅축을 회전시킨다. 그 다음 부착 플레이트(150)를 천정면을 향하여 상승시켜 패드가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승하강슬라이더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승하강 슬라이더(150)와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로테이팅축(142)으로 승하강 슬라이더(150)와 연결되어, 로테이팅축(142)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40)가 180 또는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를 바닥면에 놓은 상태에서 부착 플레이트(15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회전구조는 천정면이 수평면이 아닌 경사면일 대, 패드를 그 경사에 대응하여 천정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부착 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도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위쪽에 부착 플레이트(150)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부착 플레이트(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부착 플레이트(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 면에 대하여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부착 플레이트(150)의 X축 방향이동은 X축 이송손잡이(144)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X축 이송손잡이(144)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부착 플레이트(140)를 연결하는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X축 이송손잡이(144)의 조작에 의하여 부착 플레이트(15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부착 플레이트(150)의 Y축 방향이동은 Y축 이송손잡이(144)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Y축 이송손잡이(144)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부착 플레이트(150)를 연결하는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Y축 이송손잡이(144)의 조작에 의하여 부착 플레이트(14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부착 플레이트(150)의 X축 이송과, Y축 이송은 작업자의 상기 손잡이(142, 144)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들(142, 144)은 패드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때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의 부착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착 플레이트(150)는 패드와 접촉하는 면에 전자석(154)을 구비한다. 전자석(154)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전원을 차단하여 자기력을 소멸시킬 수 있다.
바닥에 놓여진 패드에 부착 플레이트(150)를 밀착시킨 후, 상기 전자석(154)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기력으로 패드가 부착 플레이트(150)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자기력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패드를 천정면 까지 이동시켜 부착면에 위치시킨 후, 패드가 천정면에 가용접하고, 그 후 전원을 차단하고, 부착 플레이트(150)를 패드에서 이격시켜 분리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52는 부착 플레이트(150)를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를 나타낸 것이다. 승하강실린더(152)는 유압을 이용하여 승하강하거나,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승하강하며, 승하강실린더(152)의 동작에 의하여 부착 플레이트(150)가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승하강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110 : 대차
120 : 수직프레임
130 : 승하강 슬라이더
140 : 베이스 플레이트
142 : 로테이팅축
150 : 부착 플레이트
154 : 전자석

Claims (8)

  1. 이동바퀴를 구비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슬라이더와, 상기 승하강슬라이더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패드가 고정되는 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X축 방향 및 Y축 방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수평방향 슬라이딩은 이송스크류와 그에 연결된 X축 이송손잡이 및 Y축 이송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패드와 접촉하는 면에 전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슬라이더는
    모터의 구동력 또는 유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승하강슬라이더에 로테이팅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슬라이더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팅축의 회전각도는 전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134931A 2011-12-14 2011-12-14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KR10132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931A KR101322959B1 (ko) 2011-12-14 2011-12-14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931A KR101322959B1 (ko) 2011-12-14 2011-12-14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894A KR20130067894A (ko) 2013-06-25
KR101322959B1 true KR101322959B1 (ko) 2013-10-29

Family

ID=4886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931A KR101322959B1 (ko) 2011-12-14 2011-12-14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32B1 (ko) * 2001-04-27 2005-03-31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산화세륨계 고체 전해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068B1 (ko) * 2020-10-26 2022-11-30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사다리용 리프트
CN113501461B (zh) * 2021-06-24 2022-09-06 因特帕克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升降导轮及安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899U (ja) * 1991-10-14 1993-05-21 村田機械株式会社 制御盤等の扉組立台車
KR200438238Y1 (ko) * 2006-11-17 2008-02-01 (주)에스아이티 릴 로더
KR100938157B1 (ko) * 2007-11-16 2010-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899U (ja) * 1991-10-14 1993-05-21 村田機械株式会社 制御盤等の扉組立台車
KR200438238Y1 (ko) * 2006-11-17 2008-02-01 (주)에스아이티 릴 로더
KR100938157B1 (ko) * 2007-11-16 2010-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32B1 (ko) * 2001-04-27 2005-03-31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산화세륨계 고체 전해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894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3474A (zh) 焊接工装的夹持组件
KR20140038635A (ko) 오버헤드 그라인더 장치
KR101322959B1 (ko)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JP5791206B2 (ja) 巻上機揚重治具ユニット、及び、巻上機揚重方法
KR20130000863A (ko) 방향키 탑재용 대차
JP2002205227A (ja) 部品取付装置
KR20140004732U (ko) 선장 작업용 대차
KR20140002618U (ko)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KR20120122054A (ko) 장비 이동 장치
KR20060116413A (ko) 폴리싱용 항공기 스킨 홀딩장치
KR20070066238A (ko) 위보기 자세 용접로봇 시스템의 운반장치
US11629036B2 (en) Outrigger pad hoist apparatus
JP2007313585A (ja) 電機設備盤の組立作業用装置及び組立作業方法
JPH0769592A (ja) 高所作業用移動テーブルと機器の吊り込み方法
KR20140041072A (ko) 고소부위 부착용 패드 리프트 장치
KR20130000861A (ko) 샤프트 탑재용 대차
JP6022007B1 (ja) ブレーキ着脱治具
KR200482087Y1 (ko) 샤클 체결용 치구
KR20080054730A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3760B1 (ko) 러그 취부 장치
JP2016116331A (ja) 高所作業車
JPH05149080A (ja) アンカードリル用昇降作業台
CN211414054U (zh) 激光手工焊接机
CN220618209U (zh) 一种避免晃动的石墨吊装装置
CN109103137A (zh) 一种半导体搬运设备的抓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