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618U -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618U
KR20140002618U KR2020120009713U KR20120009713U KR20140002618U KR 20140002618 U KR20140002618 U KR 20140002618U KR 2020120009713 U KR2020120009713 U KR 2020120009713U KR 20120009713 U KR20120009713 U KR 20120009713U KR 20140002618 U KR20140002618 U KR 201400026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gondola
wall
pow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618U/ko
Publication of KR201400026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18U/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승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선체의 상부에 지지부, 지지부에 연결되어서 선체의 벽을 따라서 승강되는 곤돌라, 및 곤돌라를 선체의 벽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ELEVATING EQUIPMENT USED IN SHIPBUIDING}
본 고안은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각 공정 및 의장 공정을 적용받아서 제조된다. 상기 선각 공정은 복수 개의 강재 블럭들을 결합시켜서 선체를 형성하도록 수행된다. 상기 의장 공정은 선체에 페인트의 도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페인트의 도장 단계는 선각 공정의 수행 동안에 발생된 선체의 벽의 녹(rust)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선체의 벽의 높이가 도장 단계의 작업자의 키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작업자는 선체의 벽을 따라서 자유로이 이동하는 승강 수단에 탑승해서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선체의 벽의 녹을 제거한다. 이 경우에, 상기 승강 수단이 선체로부터 자유로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 수단은 선체의 주변을 흐르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상기 승강 수단은 바람의 강도 및/ 또는 방향에 대응해서 선체의 벽 상에서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작업자는 승강 수단을 이용해서 도장 단계를 목적하는 시간 내에 끝낼 수 없다. 상기 도장 단계의 수행 시간의 지연은 전체적으로 선박 건조의 납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체의 주변을 흐르는 바람의 영향에 관계없이 선체의 벽 상에서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데 적합한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앞서 언급한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선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 도르래 및 상기 도르래에 연결되는 로프를 이용해서 상기 선체의 벽을 따라서 승강되는 곤돌라, 및 상기 곤돌라를 상기 선체의 상기 벽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곤돌라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선체의 상기 상부를 향하여 돌출하면서 상기 선체의 상기 벽을 향하여 개구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상기 선체의 상기 벽에 탈착되는 자석, 및 상기 곤돌라의 상기 프레임에 묶여져서 상기 곤돌라 및 상기 자석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곤돌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동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상기 곤돌라의 상기 전동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거나 공급받지 못해서 상기 선체의 상기 벽으로부터 착탈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곤돌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전원 및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전동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상기 곤돌라의 상기 전동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 및 상기 공기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지 못해서 상기 선체의 상기 벽으로부터 착탈되는 에어 흡착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승강 장치는 선체의 주변을 흐르는 바람의 영향에 관계없이 선체의 벽 상에서 이동 범위를 최소한으로 한정해서 선체의 벽의 녹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는 선체의 벽 상에서 이동 범위를 최소한으로 한정해서 선체의 벽의 녹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때문에 의장 공장에서 도장 단계의 수행 시간을 목적하는 시간 내에 끝낼 수 있게 한다.
상기 승강 장치는 의장 공장에서 도장 단계의 수행 시간을 목적하는 시간 내에 끝낼 수 있기 때문에 선박 건조를 납기 내 완료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곤돌라 및 고정 부재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 장치는 도 1 및 2 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승강 장치(170)는 지지부(120), 곤돌라(150) 및 고정 부재들(174, 178)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선체(10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권선 장치(112), 지지 부재(114), 도르래(116)들 및 로프(118)를 포함한다. 상기 권선 장치(112)는 얼레(reel) 수단을 이용해서 로프를 감거나 로프를 풀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선 장치(112)는 지지 부재(11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 부재(114)는 선체(100)의 상부에 도르래(116) 및 로프(118)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르래(116)들은 로프(118)의 진행 방향을 권선 장치(12)로부터 선체(100)의 벽(105)을 향하여 바꾸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프(118)는 일 단을 통해서 권선 장치(112)에 고정되고 그리고 타 단을 통해서 곤돌라(150)에 고정된다.
상기 곤돌라(150)는 지지부(120)의 도르래(116)들 및 로프(118)를 이용해서 선체(100)의 벽(105) 상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곤돌라(150)는 하부 측에 제 1 바퀴(134)들 및 측부에 제 2 바퀴(138)들을 포함한다. 상기 곤돌라(150)의 최저 레벨이 선체(100)의 바닥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곤돌라(150)는 제 1 바퀴(134)들을 이용해서 선체(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곤돌라(150)가 선체(100)의 벽(105)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곤돌라(150)는 제 2 바퀴(138)들을 이용해서 선체(100)의 벽(105) 상에서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곤돌라(150)는 선체(100)의 벽(105)에 생긴 녹을 제거시키는 작업자(180)를 탑승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들(174, 178)은 곤돌라(150) 내에 장착된다.
상기 선체(100)의 벽(105)의 소정 영역 상에 곤돌라(150)의 전기적인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 부재들(174, 178)은 선체(100) 및 곤돌라(150) 사이에 위치해서 선체(100)에 곤돌라(15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의 곤돌라 및 고정 부재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곤돌라(150)는 지지판(142), 프레임(144) 및 전동장치(14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42)은 곤돌라(150)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지지판(142)은 선체(100)의 상부를 향해서 개구되는 박스(box)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144)은 지지판(142)의 테두리로부터 선체(100)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44)은 지지판(142)에서 작업자(180)에게 작업 공간을 한정한다. 상기 프레임(144)은 선체(100)의 벽(105)을 향해서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44)은 선체(100)의 벽(105)을 향해서 좌측 및 우측의 단부들에 제 2 바퀴(138)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바퀴(138)들은 선체(100)의 벽(105)에 접촉해서 선체(100)의 벽(105)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44)은 전동장치(146)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장치(146)는 도 1 의 지지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지지부(120)에 대해서 곤돌라(150)의 승강을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전동장치(146)는 곤돌라(150)에 탑승된 작업자(190)에게 작업 환경에서 필요시 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선체(100)의 벽(105)의 소정 영역 상에 곤돌라(150)의 전기적인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상기 곤돌라(150) 내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들(174, 178)은 선체(100) 및 곤돌라(150) 사이에서 선체(100) 및 곤돌라(15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승강장치의 곤돌라의 이용 방법은 도 1 및 2 를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상기 선체(100)의 벽(105)의 소정 영역 상에 곤돌라(150)의 전기적인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상기 작업자(190)는 고정 부재들(174, 178)을 이용해서 선체(100)의 벽(105) 상에 곤돌라(150)의 이동 범위를 한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74, 178)들의 각각은 손잡이(163), 와이어(166) 및 전자석(electromagnet, 169)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자(190)는 손잡이(163)를 이용해서 곤돌라(150)의 지지판(142)으로부터 와이어(166) 및 전자석(electromagnet, 169)을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적업자는 와이어(166)를 프레임(144)의 전동 장치(146)에 연결시키고 그리고 전동 장치(146)의 버튼(148)들 중 일부를 눌러서 와이어(166)를 통하여 전자석(169)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190)는 손잡이(163)를 이용해서 전자석(169)을 선체(100)의 벽(105)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석(169)은 프레임(144)의 전동 장치(146)의 전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 자성을 잃어서 선체(100)의 벽(105)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형으로서, 상기 전자석(169)은 일반적인 자석(magnet)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손잡이(163)를 이용해서 선체(100)의 벽(105)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와이어(166)는 일 단을 통해서 자석에 고정되고 그리고 타 단을 통해서 프레임(144)에 묶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변형으로서, 상기 전자석은 에어 흡착기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에어 흡착기는 와이어(166)를 통해서 프레임(144)의 전동 장치(146)로부터 전원 및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지 못해서 선체(100)의 벽(105)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190)는 곤돌라(150)에 구비되는 그라인더(180)를 전동 장치(146)에 연결시키고 그리고 전동 장치(146)의 버튼(148)들 중 나머지를 눌러서 그라인더(1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190)는 그라인더(180)를 선체(100)에 접촉시켜서 선체(100)의 벽(105)의 녹을 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 선체(100)의 벽(105)의 녹을 제거시킨 후에, 상기 작업자(190)는 프레임(144)의 전동 장치(146)로부터 전자석(16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서 전자석(169)을 선체(100)의 벽(105)으로부터 떨어트릴 수 있다.
상기 작업자(190)는 프레임(144)의 전동 장치(146)를 이용해서 선체(100)의 벽(105) 상에 곤돌라(15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선체, 105; 벽
112; 권선장치, 114; 지지 부재
116; 도르래, 118; 로프
120; 지지부, 134, 138; 바퀴
142; 지지판, 144; 프레임
146; 전동 장치, 148; 버튼
150; 곤돌라, 163; 손잡이
166; 와이어, 169; 전자석
174, 178; 고정 부재, 180; 그라인더
190; 작업자

Claims (4)

  1. 선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 도르래, 및 상기 도르래에 연결되는 로프를 이용해서 상기 선체의 벽을 따라서 승강되는 곤돌라; 및
    상기 곤돌라를 상기 선체의 상기 벽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선체의 상기 상부를 향하여 돌출하면서 상기 선체의 상기 벽을 향하여 개구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상기 선체의 상기 벽에 탈착되는 자석, 및 상기 곤돌라의 상기 프레임에 묶여져서 상기 곤돌라 및 상기 자석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동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상기 곤돌라의 상기 전동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거나 공급받지 못해서 상기 선체의 상기 벽으로부터 착탈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전원 및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전동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상기 곤돌라의 상기 전동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 및 상기 공기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지 못해서 상기 선체의 상기 벽으로부터 착탈되는 에어 흡착기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KR2020120009713U 2012-10-25 2012-10-25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Withdrawn KR201400026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13U KR20140002618U (ko) 2012-10-25 2012-10-25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13U KR20140002618U (ko) 2012-10-25 2012-10-25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18U true KR20140002618U (ko) 2014-05-07

Family

ID=5244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713U Withdrawn KR20140002618U (ko) 2012-10-25 2012-10-25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61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569A (ko) 2015-03-16 2016-09-27 (주)에이딕 비계 및 족장 기자재 인양기
KR20190138409A (ko) * 2018-06-05 2019-12-13 코리아테크 주식회사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CN111661792A (zh) * 2020-05-18 2020-09-15 章文民 一种外墙设备用的可移动保护装置
KR102218253B1 (ko) * 2019-08-30 2021-02-2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엔지 카고의 자동 스캐폴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569A (ko) 2015-03-16 2016-09-27 (주)에이딕 비계 및 족장 기자재 인양기
KR20190138409A (ko) * 2018-06-05 2019-12-13 코리아테크 주식회사 건축구조물 내설형 승강장치
KR102218253B1 (ko) * 2019-08-30 2021-02-2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엔지 카고의 자동 스캐폴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1661792A (zh) * 2020-05-18 2020-09-15 章文民 一种外墙设备用的可移动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618U (ko)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승강장치
JP6675225B2 (ja) 巻上げ装置
JP5951104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100511672B1 (ko) 선박내부 작업용 이동대차.
KR20080036457A (ko) 위보기 용접로봇의 분리식 대차
KR20140004732U (ko) 선장 작업용 대차
CN203715209U (zh) 船体分段升降焊接装置
KR20130072571A (ko) 미세조정장치를 가지는 크레인
KR20120122054A (ko) 장비 이동 장치
KR100531510B1 (ko) 호이스트
KR101322959B1 (ko)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KR101113798B1 (ko) 러그 및 피스 절단 장치
KR20130000861A (ko) 샤프트 탑재용 대차
KR20120008965U (ko) 선체 외판 전처리 장치
JP5928523B2 (ja) 案内車の溝加工方法
KR200341232Y1 (ko) 호이스트
JP2013245033A (ja) 巻上機据付方法
KR101254427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JP5872653B1 (ja) 搬入用台車
KR20130012604A (ko) 리프팅 장치
CN105460795A (zh) 一种稳定吊具起重机
CN105540445A (zh) 一种龙门架起重机
KR100841820B1 (ko) 엘엔지선의 트렁크 데크부용 도장 작업대
KR20140003176U (ko) 정반 청소 기능을 제공하는 천정 크레인 구조물
CN104370219B (zh) 一种专门用于生产电泳漆用的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0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