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068B1 - 사다리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사다리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068B1
KR102472068B1 KR1020200138988A KR20200138988A KR102472068B1 KR 102472068 B1 KR102472068 B1 KR 102472068B1 KR 1020200138988 A KR1020200138988 A KR 1020200138988A KR 20200138988 A KR20200138988 A KR 20200138988A KR 102472068 B1 KR102472068 B1 KR 10247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adder
pedestal
support
li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975A (ko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0013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0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0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콘과 같은 일정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설치, 수리, 청소 등의 작업시에 안전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일반 사다리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사다리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다리의 디딤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와, 물체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용 리프트{a lift for a ladder}
본 발명은 사다리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콘과 같은 일정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설치, 수리, 청소 등의 작업시에 안전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일반 사다리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사다리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작업자가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작업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디딤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지지대를 벽면에 세운 상태에서 작업자가 디딤대를 밟고 올라가 작업하기 위한 기구이다.
특히, 절첩식 사다리는 중앙부를 접는 타입이 주류를 이루며, 힌지 연결수단을 통해 일측과 타측의 사다리를 연결하되 사다리가 일정각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벽면에 지지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사다리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절첩식 사다리(10)는 한 쌍의 사다리몸체(11) 사이에 다수개의 발판(13)를 가로방향으로 고정한 두 개의 사다리몸체(11)의 상부를 절첩브라켓(15)으로 결합하여 벌리거나 작은 부피로 포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사다리(10)는 두 사다리몸체(11)의 상부를 삼각형상으로 넓게 벌려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별도의 공구함(미도시)을 준비하여 작업을 할 경우, 작업중 공구를 교체하기 위해 사다리(10)를 오르내리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고, 작업위치의 이동이 있을 경우 사다리(10)와 공구함을 각각 작업할 수 있는 적당한 위치로 옮겨야 하므로 그 만큼의 시간과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977512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지지대(100a)와, 상기 지지대(100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한 쌍의 지지대(100a)에 각각 양끝단이 연결되는 디딤대(100b)로 구성되는 제1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와 상기 제1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의 지지대(110a)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고,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부(151)가 구비되는 브라켓(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100a)의 일측에는 작업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공구거치대(180)가 구비되고, 상기 공구 거치대(180)는 상기 지지대(100a)의 외면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이스(190)와, 상기 이동바이스(19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힌지어셈블리(200)에 의해 상기 지지대(100a)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바이스(190)는 상기 지지대(100a)의 일측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판(163)과; 상기 지지판(163)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면에는 지지판에 형성된 조임공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조임쇠(166)가 구비되는 고정판(165)과; 상기 이동바이스(190)가 상기 지지대(100a)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977512호에 기재된 기술은 절첩식 사다리에 공구 거치대(18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작업자가 천장형 에어콘 등을 설치나 수리를 하거나 청소를 하여야할 경우 상당한 하중을 가지는 제품을 들고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당한 하중의 제품을 들고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제품을 떨어트려 파손시키거나 사람과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7512호(2010.08.17.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칩식 사다리의 디딤대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와 물체를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받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져 천장형 에어콘과 같은 제품을 설치하거나 수리 및 청소할 때, 하부에서 받치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기존 사다리에도 설치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사다리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는 하부 받침대와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로 이루어져 지지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 받침대의 양측에 절첩가능한 날개부재를 구비하여 지지할 물체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사다리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다리의 디딤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와, 물체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받침대의 하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 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는 하부 받침대의 길이방향 전부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면에는 후부에 치우치도록 지지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받침대의 양측에는 절첩 가능하도록 날개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 부재는 일측 단부에는 상기 상부 받침대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방으로 절곡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디딤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디딤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의 양측을 상하 관통하여 조임 결합하는 조임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판의 양측에는 고정 돌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부에는 상기 조임 볼트가 결합되는 제1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공은 측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에는 승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이 지지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부를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볼트는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하 관통하여 하부에 너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디딤대의 상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딤대를 상부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절칩식 사다리의 디딤대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와 물체를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받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져 천장형 에어콘과 같은 제품을 설치하거나 수리 및 청소할 때, 하부에서 받치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기존 사다리에도 설치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는 하부 받침대와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로 이루어져 지지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 받침대의 양측에 절첩가능한 날개부재를 구비하여 지지할 물체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첩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절첩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개선된 절첩 사다리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고정부가 사다리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고정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상부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상부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고정부가 사다리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고정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측면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상부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상부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용 리프트의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사다리(600)의 디딤대(610)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500)와 물체를 지지하는 받침부(200)와 상기 고정부(500)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200)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600)는 통상적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A'자 형상의 사다리로서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디딤대(610)에 고정부(500)를 설치하는데, 상기 고정부(500)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다리(600)에 설치한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절첩식 사다리(6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받침부(200)는 천장형 에어콘과 같은 천장에 설치되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재(300)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천장형 에어콘 등을 설치, 수리 또는 청소할 때, 작업자가 사다리(600)에 올라가 작업시에 물체가 받침부(200)에 의해 적절한 높이로 지지되도록 하여 물체를 떨어뜨리거나 사다리(600)에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승강부재(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210)와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상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받침대(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받침대(220)의 하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22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22)에 삽입되는 가이드 롤러(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상면에는 롤러 브라켓(214)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212)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 롤러(212)가 가이드 레일(222)의 내측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받침대(220)가 하부 받침대(21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천장에 설치된 천장형 에어콘 등의 일부를 분리하여 상부 받침대(22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한 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분리된 부분이 수리 또는 청소할 부분의 하부를 가지리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상기 고정부(500)가 사다리(600)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받침부(200)의 위치가 물체의 하부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받침대(220)를 이동시켜 물체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 수리 또는 청소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212)는 상기 가이드 레일(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받침대 (220)가 하부 받침대(210)와 어긋나게 되더라도 전후 한 쌍씩의 가이드 롤러(212)가 구비됨으로써, 상부 받침대(220)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롤러(212)는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하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부에 치우치도록 위치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부에 치우치도록 지지 롤러(216)가 더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받침대(210)의 일측 하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212)가 지지하게 되고, 타측 하부는 상기 지지 롤러(216)가 지지하게 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하중을 가지는 물체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받침대(220)의 양측에는 날개 부재(2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날개 부재(230)는 상기 상부 받침대(220)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할 물체에 따라 접거나 펼쳐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 부재(230)는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는 힌지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받침대(210)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부(232)가 삽입되는 삽입홈(226)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232)가 삽입홈(226)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날개 부재(230)의 타측 단부에는 이탈방지턱(234)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턱(234)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받침대(220)의 상부에 지지되는 물체가 측방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대(210)의 상부에 지지되는 물체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물체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상기 날개 부재(230)를 힌지부(232)를 기준으로 절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하고, 물체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날개 부재(230)를 힌지부(232)를 기준으로 펼친 상태로 지지하도록 하여 물체의 크기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500)는 사다리(600)의 디딤대(610)에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디딤대(6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판(510)과 상기 디딤대(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판(520)과 상기 상부 고정판(510)과 하부 고정판(520)의 양측을 상하 관통하여 조임 결합하는 조임 볼트(5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고정판(510)과 하부 고정판(52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데, 상기 하부 고정판(520)의 양측에는 상하 관통되는 제2고정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판(510)의 양측에는 상기 제2고정공(522)에 대응되도록 제1고정공(514)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 볼트(530)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판(510)과 하부 고정판(520)이 상기 디딤대(610)의 상부와 하부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판(510)의 양측에는 고정 돌부(512)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부(512)에는 상기 제1고정공(514)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고정공(514)은 일측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하부 고정판(520)을 디딤대(61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제2고정공(522)에 조임 볼트(530)를 삽입한 후, 상기 제1고정공(514)의 개방부를 통하여 조임 볼트(530)를 삽입하게 됨으로써, 제1,2고정공(514,522)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1고정공(514)에 조임 볼트(53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00)에는 상기 승강부재(300)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4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대(400)는 상기 고정부(500)를 구성하는 상부 고정판(510)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400)의 일측에는 지지 브라켓(4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 브라켓(4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단이 지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400)에는 상기 지지 브라켓(4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 클램프(420)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300)의 측부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단에는 고정 볼트(315)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볼트(315)는 상기 지지 브라켓(410)을 상하 관통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 볼트(315)의 하부에는 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부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300)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310)와 상기 유압 실린더(3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200)의 하부 받침대(210)의 하면이 연결되는 로드(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드(320)의 상단에는 설치판(330)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하면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실린더(310)의 제어에 의해 안정적으로 승하강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에어콘 등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승강부재(300)를 제어하여 받침부(200)이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310)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유압잭, 스크류 타입의 잭 등 공지된 다양한 승하강 장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0)는 상부 고정판(510)과 상기 상부 고정판(5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다리(600)의 디딤대(510)를 고정하는 고정구(5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540)는 유클램프 등의 디딤대(61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기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콘과 같은 일정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설치, 수리, 청소 등의 작업시에 안전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일반 사다리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사다리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200 : 받침부 210 : 하부 받침대
220 : 상부 받침대 230 : 날개부재
300 : 승강부재 310 : 실린더
320 : 로드 330 : 설치판
400 : 지지대 410 : 지지 브라켓
420 : 고정 클램프 500 : 고정부
510 : 상부 고정판 520 : 하부 고정판
530 : 조임볼트 600 : 사다리
610 : 디딤대

Claims (10)

  1. 사다리의 디딤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와,
    물체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받침대의 양측에는 절첩 가능하도록 날개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대의 하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 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하부 받침대의 길이방향 전부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면에는 후부에 치우치도록 지지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부재는 일측 단부에는 상기 상부 받침대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방으로 절곡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디딤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디딤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의 양측을 상하 관통하여 조임 결합하는 조임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양측에는 고정 돌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부에는 상기 조임 볼트가 결합되는 제1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공은 측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승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이 지지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부를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볼트는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하 관통하여 하부에 너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디딤대의 상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딤대를 상부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리프트.
KR1020200138988A 2020-10-26 2020-10-26 사다리용 리프트 Active KR10247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88A KR102472068B1 (ko) 2020-10-26 2020-10-26 사다리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88A KR102472068B1 (ko) 2020-10-26 2020-10-26 사다리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75A KR20220054975A (ko) 2022-05-03
KR102472068B1 true KR102472068B1 (ko) 2022-11-30

Family

ID=8159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88A Active KR102472068B1 (ko) 2020-10-26 2020-10-26 사다리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35555B (zh) * 2022-10-21 2024-07-23 塔里木大学 一种分体式果园自行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987A (ja) * 2002-05-07 2003-11-14 Taku Yoshizaki 脚立に装着するリフト装置及びリフト装置を備えた脚立
KR102080407B1 (ko) * 2018-09-14 2020-02-21 문홍찬 차량용 소방리프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816B2 (ja) * 1993-01-18 2002-09-17 ビニフレーム工業株式会社 手摺り支柱の立設方法
KR100977512B1 (ko) 2008-03-06 2010-08-23 (주)이랜드건설 절첩식 사다리
KR101322959B1 (ko) * 2011-12-14 2013-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KR200483649Y1 (ko) * 2015-06-18 2017-06-08 김재철 비계 수직봉 연장 설치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987A (ja) * 2002-05-07 2003-11-14 Taku Yoshizaki 脚立に装着するリフト装置及びリフト装置を備えた脚立
KR102080407B1 (ko) * 2018-09-14 2020-02-21 문홍찬 차량용 소방리프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75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653B2 (en) Adjustable work platform
CN201002252Y (zh) 工具支撑设备
US4941547A (en) Safety featured ladder scaffolding
JP5349322B2 (ja) 可動式アンカ固定落下防止装置
US7909138B2 (en) Ladder security bracket and safety system
US5535974A (en) Scaffold bracket
EP3165706A1 (en) Stepladder adapted for use as a single ladder or an extension ladder
KR102180064B1 (ko)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US4401184A (en) Roof skid
US20040016600A1 (en) Low level adjustable scaffold with workbench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20200048121A (ko) 수직 승강식 작업대
US20020084141A1 (en) Scaffolding units and platforms for use with scaffolding units
KR102472068B1 (ko) 사다리용 리프트
US20230106905A1 (en) Adjustable Platform Work Tray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US20050224287A1 (en) I-beam mounted work ladder
US20070246301A1 (en) Ladder leveling apparatus for adapting a ladder to an uneven surface
KR102381438B1 (ko) 말비계 겸용 a자형 안전사다리
KR102080056B1 (ko) 대구경관용 안전 작업대
KR20140079058A (ko) 협착 방지용 폴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
KR102447971B1 (ko) 롤링 타워
US4556126A (en) Adjustable vehicle platform for a mechanic
KR101552245B1 (ko)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KR102452300B1 (ko) 천장패널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