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447Y1 - 열융착기 - Google Patents

열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447Y1
KR200432447Y1 KR2020060024749U KR20060024749U KR200432447Y1 KR 200432447 Y1 KR200432447 Y1 KR 200432447Y1 KR 2020060024749 U KR2020060024749 U KR 2020060024749U KR 20060024749 U KR20060024749 U KR 20060024749U KR 200432447 Y1 KR200432447 Y1 KR 200432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cooling
heat
uni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호 filed Critical 윤성호
Priority to KR2020060024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4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4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29C66/0342Cooling, e.g. transporting through welding and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을 가하여 복수의 융착부재를 접착시키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융착부재를 하부의 고정거치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부에서 가열판과 냉각판이 순차적으로 승강 및 전후.좌우이동하여 가열융착 및 냉각시키는 수단으로 융착부재의 가열융착과 냉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수 있도록 하여 불량발생률을 줄이면서 융착부재를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융착기에 관한것이다.
즉,융착부재가 안착되는 고정거치대와, 고정거치대 상방에 설치되어 고정거치대에 안착된 융착부재를 가열융착하게되는 가열판이 구비된 가열부와, 상기 가열융착된 상태의 융착부재를 냉각하게되는 냉각판이 구비된 냉각부와,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를 승강 및 전후.좌우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열융착기를 특징으로 한다.
고정거치대, 가열부, 냉각부, 융착부재, 제어부, 열융착기

Description

열융착기 { Fusion splicer }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거치대 직상방에 가열부가 위치한 전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거치대에 가열판이 하강하여 밀착된 전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거치대에 가열판이 하강한 상태 측면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부와 냉각부의 후진과정을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8은 도 7의 구성에서 고정거치대 직상방에 가열부가 위치한 전면도
도 9는 도 7의 구성에서 고정거치대에 가열판이 하강하여 밀착된 전면예시도
도 10은 도 7의 구성에 따른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구성에서 가열부와 냉각부의 후진과정을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거치대 12 : 완충부재
14 : 고정후레임 20 : 가열부
22 : 가열판 24 : 히터
30 : 냉각부 32 : 냉각판
40 : 좌우이동대 42 : 좌우작동실린더
50 : 수평지지대 52 : 가이드레일
54 : 가이드봉 60.60' :승강작동실린더
62 : 완충가압부 70 : 전후이동대
72 : 전후작동실린더 80 : 고정지지대
82 : 가이드레일 90 : 제어부
본 고안은 열을 가하여 복수의 융착부재를 접착시키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융착부재를 하부의 고정거치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부에서 가열판과 냉각판이 순차적으로 승강 및 전후, 좌우이동하여 가열융착 및 냉각시키는 수단으로 융착부재를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케이스등과 같이 서로 다른 부재를 서로 대응되게 맞닿은상태로 결합하여 가열융착하는 열융착기에서는 결합부위가 정위치에 놓여져야 정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불량발생률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특허등록 제516185호에 개시된 열융착기에서는 복수의 융착부 재를 안착시키는 거치대가 이송되게 한 것이어서 거치대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요동 및 충격발생으로 거의 얹혀진 상태로 안착된 융착부재의 결합부위가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불량발생의 우려가 많았을 뿐만 아니라 작업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거치대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하는 경우에는 결합부위가 쉽게 이탈되기 때문에 작업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열융착기의 구성에서는 단순히 일반적인 프레스와 같이 거치대를 고정설치하고 그 거치대의 직상방에 스톱퍼가 설치되어 융착부재를 압박고정하도록 함과 아울러 스토퍼의 하단 끝지점보다 높은 지점에 히터봉들이 외부돌출되게 설치되어 융착부재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바, 특히 소형의 열융착기인 경우에는 협소한 공간에 위치한 거치대에 융착부재를 안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고 히터봉들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고 융착완료후 냉각시키는데도 어려움이 있는등 작업조건이 좋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융착부재를 안착시키는 고정거치대와 그 상부에 가열판과 냉각판이 순차적으로 승강 및 전후, 좌우 이동되게 설치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화상위험없이 융착부재를 고정거치대에 안전하게 안착 및 인출시킬 수 있고 융착부재의 가열융착과 냉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수 있도록 하여 불량발생률을 줄이면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융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열융착기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융착부재가 안착되는 고정거치대와, 고정거치대 상방에 설치되어 고정거치대에 안착된 융착부재를 가열융착하게되는 가열판이 구비된 가열부와, 상기 가열융착된 상태의 융착부재를 냉각하게되는 냉각판이 구비된 냉각부와,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를 승강 및 전후, 좌우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거치대는 융착부재의 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완충부재에 의해 탄성완충 되게 구비되어 하부 고정후레임에 고정설치된다.
가열부는 융착부재에 접촉하여 가열융착할수 있는 형태의 가열판이 구비되고 그 가열판의 내부에 히터가 내장설치되어 가열할 수 있게한다.
냉각부는 융착부재에 접촉하여 압축공기를 분출할 수 있는 분출구멍이 형성된 냉각판이 구비되어 가열융착된 융착부재를 냉각할 수 있게한다.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의 구동수단은 승강작동실린더에 의해 고정거치대 상측에서 승강되어 가열 및 냉각이 이루어지게 하되 좌우작동실린더에 의해 가열부와 냉각부가 고정거치대의 직상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게하여 가열 및 냉각할 수 있게 하며 전후작동실린더에 의해 고정거치대의 후방으로 가열부와 냉각부가 위치되게 하여 고정거치대에 융착부재를 안착하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상기 가열부와 냉각부의 승강작동 및 전후.좌우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의 동작은 제어부에서 제어상태를 설정한 입력정보에 의해서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열융착기는 서로 다른 부재를 서로 대응되게 맞닿은 상태로 결합하여 가열융착하기 위한 융착부재의 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고정거치대(10)(융착부재의 구성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임)를 구성하되 고정거치대(10)의 하단부는 스프링등으로 탄성지지된 완충부재(12)가 설치되고 그 완충부재(12)의 하단은 하부 고정후레임(14)에 설치되어 고정거치대(10)가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항상 놓여지도록 한다.
상기 고정거치대(10)의 상방에는 융착부재에 접촉하여 가열융착할수 있는 형태의 가열판(22)이 구비되고 그 가열판(22)의 내부에 히터(24)가 내장설치되어 가열할 수 있게한 가열부(20)와, 융착부재에 접촉하여 압축공기를 분출할 수 있는 분출구멍(도시되지않음)이 형성된 냉각판(32)이 구비되어 가열융착된 융착부재를 냉각할 수 있게한 냉각부(30)를 각각 설치하되 가열부(20)와 냉각부(30)는 좌우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융착부재를 가열융착 및 냉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열부(20)와 냉각부(30)의 상단은 좌우이동대(40)가 설치되고 좌우이동대(40)상측은 수평지지대(50)에 좌우로 횡설된 가이드레일(52)에 접속한 구성으로 좌우작동실린더(42)에 의해 가이드레일(52)을 따라 좌우이동되게 하여 고정거치대(10)의 직상방으로 가열부(20)와 냉각부(30)가 순차적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수평지지대(50)양단은 가이드봉(54)이 장착되어 승강작동실린더(60.60')에 의해 가이드봉(54)을 따라 승강작동하고 스프링등으로 탄성작용하는 완충가압부(62)가 구비되어 가압조절되게 한 구성의 가열부(20)와 냉각부(30)가 정위치에 놓여진 고정거치대(10)에 근접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수평지지대(50)상측은 전후이동대(70)가 설치되고 전후이동대(70)상측은 고정지지대(80)의 전후로 횡설된 가이드레일(82)에 접속되어 전후작동실린더(72)에 의해 가이드레일(82)을 따라 전후이동되게 한 구성으로 전진이동시에는 고정거치대(10)에 안착된 융착부재에 가열부(20)와 냉각부(30)가 가열융착 및 냉각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지게 하고 후진이동시에는 고정거치대(10)에 융착부재를 안착 또는 인출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가열부(20) 및 냉각부(30)의 승강작동과, 전후이동과, 좌우이동을 하는 구동수단의 동작제어는 제어부(90)에 설정한 입력정보에 의해 수행하게 됨과 아울러 가열부(20)의 융착가열온도와 냉각부(30)의 압축공기 분출압력등도 설정된 입력정보에 의해 수행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열부(20) 및 냉각부(30)를 승강수단은 도1내지 도3에서와 같이 단일 승강작동실린더(60.60')가 구비되어 가열부(20) 및 냉각부(30)를 동시에 승강작동되게 하거나, 도7내지 도9에서와 같이 가열부(20)와 냉각부(30)에 각각 승강작동실린더(60.60')가 구비되어 가열부(20)와 냉각부(30)가 개별적으로 승강작동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융착부재의 특성이나 가열융착 및 냉각에 따른 정밀도, 속도등의 각종변수등에 대처할 수 있도록 감안하여 그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융착부재를 가열융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제어부(90)에서 융착부재를 열융착하기 위한 가열부(20)의 가열온도 및 시간등을 설정함과 아울러 냉각부(30)의 냉각온도 및 시간등을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게 한 후 전후작동실린더(72)로 고정거치대(10) 후방에 가열부(20)와 냉각부(30)를 후진시켜 작업자가 화상의 염려없이 고정거치대(10)에 융착부재를 안착시킬 수 있게 한 다음 고정거치대(10)에 휴대폰케이스등과 같이 서로 다른 부재를 서로 대응되게 맞닿은 상태로 결합하는 가열융착 작업을 하게 된다.
즉, 고정후레임(14)에 고정설치된 고정거치대(10)에 복수의 융착부재(통상적으로 상부커버와 열융착되는 필름형태의 접착테이프와 하부커버등으로 이루어짐)를 안착시키게 되면 전후작동실린더(72)가 작동하여 가열부(20)와 냉각부(30)를 고정거치대(10)의 상측 부분으로 전진이동이 되고 이어서 좌우작동실린더(42)에 의해 가열부(20)를 직상방 위치로 이동시킨다음 승강작동실린더(60.60')에 의해 가열부(20)를 하강하여 가열부(20)의 가열판(22)이 고정거치대(10)에 밀착되어 고정거치대(10)에 안착된 융착부재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복수의 융착부재를 가열융착하는 접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열융착이 완료되면 가열부(20)는 상승되어 가열판(22)이 고정거치대(10)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며, 이어서 냉각부(30)가 고정거치대(10)의 직상방위치로 이동하고 곧이어 하강하여 냉각부(30)의 냉각판(32)이 고정거치대(10)에 밀착됨과 아울러 냉각판(32)의 분출공기에 의해 융착부재를 냉각하게 되고 설정된 냉각시간이 지나면 냉각부(30)가 상승되어 냉각판(32)이 고정거치대(10)에서 분리가 되 며, 이어서 전후작동실린더(72)에 의해 전후이동대(70)가 후진된 상태가 되면 고정거치대(10)상측에 놓여진 융착부재를 인출하고 융착하고자 하는 또다른 융착부재를 고정거치대(10)에 안착시켜 상기와 같은 가열융착수단 및 냉각수단으로 연속반복적인 작업을 할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후레임(14)에 고정되어 정위치에 놓여진 고정거치대(10)에 가열융착하고자 하는 복수의 융착부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열부(20)와 냉각부(30)가 순차적으로 승강 및 전후, 좌우이동하여 가열융착 및 냉각시키는 수단으로 융착부재를 접착하게 되므로 융착부재가 요동되거나 흔들림이 없는 상태에서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고 가열부(20)와 냉각부(30)의 이동속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 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수의 융착부재를 접착시키는 열융착기는 복수의 융착부재를 하부의 고정거치대에 안착시킨상태에서 상부에서 가열판과 냉각판이 순차적으로 승강 및 전후, 좌우이동하여 가열융착 및 냉각시키는 수단으로 작업자가 화상위험없이 융착부재를 고정거치대에 안전하게 안착 및 인출시킬 수 있고 융착부재의 가열융착과 냉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수 있도록 하여 불량발생률을 줄이면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융착부재가 안착되는 고정거치대와, 고정거치대 상방에 설치되어 고정거치재에 안착된 융착부재를 가열융착하게되는 가열판이 구비된 가열부와, 상기 가열융착된 상태의 융착부재를 냉각하게되는 냉각판이 구비된 냉각부와,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를 승강 및 전후, 좌우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거치대는 융착부재의 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완충부재에 의해 탄성완충되게 구비되어 하부 고정후레임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의 상단은 좌우이동대가 설치되고 좌우이동대 상측은 수평지지대에 좌우로 횡설된 가이드레일에 접속한 구성으로 좌우작동실린더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이동되게 하여 고정거치대의 직상방에 가열부와 냉각부가 순차적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 양단은 가이드봉이 장착되어 승강작동실린더에 의해 가이드봉을 따라 승강작동하고 스프링등으로 탄성작용하는 완충가압부가 구비되어 가압조절되게 한 구성의 가열부와 냉각부가 고정거치대에 근접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 상측은 전후이동대가 설치되고 전후이동대상측은 고정지지대의 전후로 횡설된 가이드레일에 접속되어 전후작동실린더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이동되게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KR2020060024749U 2006-09-14 2006-09-14 열융착기 KR200432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49U KR200432447Y1 (ko) 2006-09-14 2006-09-14 열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49U KR200432447Y1 (ko) 2006-09-14 2006-09-14 열융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903A Division KR100815454B1 (ko) 2006-09-14 2006-09-14 열융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447Y1 true KR200432447Y1 (ko) 2006-12-01

Family

ID=4178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749U KR200432447Y1 (ko) 2006-09-14 2006-09-14 열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4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08B1 (ko) 2007-03-22 2008-05-22 서기원 회전식 가열판과 냉각판을 갖는 합성수지 시트용 열용착프레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08B1 (ko) 2007-03-22 2008-05-22 서기원 회전식 가열판과 냉각판을 갖는 합성수지 시트용 열용착프레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497B1 (ko) 차량의 루프 용접용 지그장치
US20230031507A1 (en) Roof laser brazing system
KR100815454B1 (ko) 열융착기
US20170028496A1 (en) Brazing assembly for roof laser-brazing system
KR100937241B1 (ko) 도어샤시의 용접부 사상장치
KR100768921B1 (ko) 로우터리형 열 융착기
KR100986074B1 (ko) 플라스틱 접합용 레이저 접합 장치
KR101765362B1 (ko) 창호프레임 열 융착장치
KR102001579B1 (ko) 온도제어 방식 복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KR101059369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KR200432447Y1 (ko) 열융착기
KR100516185B1 (ko) 열융착기
KR200472699Y1 (ko) 열융착장치
KR100566485B1 (ko) 정밀 조립·검사대
JPWO2004037635A1 (ja) 車体組立て方法
JP4162062B2 (ja) シャトルテーブル装置
CN110421258A (zh) 激光焊接及焊点检测一体机
KR101283481B1 (ko) 팔레트 중판 용접장치
KR101118956B1 (ko)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1001896B1 (ko) 창틀 가공 자동화 설비 및 방법
KR200378955Y1 (ko) 취출장치를 구비하는 도어트림의 열융착 및 웨더스트립의벤딩 동시성형기
JP2001105169A (ja) レーザ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テーブル
JP3486040B2 (ja) 車体組立装置
CN114524036B (zh) 一种车辆门槛安装装置及方法
JPH11115059A (ja) パレット溶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