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485B1 - 정밀 조립·검사대 - Google Patents

정밀 조립·검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485B1
KR100566485B1 KR1020030066908A KR20030066908A KR100566485B1 KR 100566485 B1 KR100566485 B1 KR 100566485B1 KR 1020030066908 A KR1020030066908 A KR 1020030066908A KR 20030066908 A KR20030066908 A KR 20030066908A KR 100566485 B1 KR100566485 B1 KR 100566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recision
main plate
suppor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768A (ko
Inventor
이수광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48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 조립·검사대(100)로서, 고정된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지지프레임에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정밀 작업대상이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포지셔닝 수단(112,114,140)과;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수직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미리 결정된 지점에 배치된 작업대상으로 접근하도록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180)와;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메인 플레이트가 작업대상으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대상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파지하는 파지수단(220,240); 및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메인 플레이트가 작업대상으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대상의 다른 미리 결정된 부분의 위치를 정밀하게 지지하는 정밀지지수단(220a;320,340,360,380;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한 작업자가 한 장소에서 정밀한 위치에 부품을 조립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정밀 조립·검사대가 제공될 수 있다.
조립·검사대, 2차원이동, 정밀 위치 가압, 포지셔닝

Description

정밀 조립·검사대{A PRECISED ASSEMBLING MACHINE OF HEAD LAM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에서 정밀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차량용 부품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부분적으로 생략된 대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은 도 2의 H-H를 자른 면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일부분인 대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도 5의 대차에 작업대상 중 캐리어프레임이 배치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포지션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클램핑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의 위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의 정면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도 9의 A 및 B-B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2는 도 9의 C-C 및 D-D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3은 도 9의 E-E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4는 도 9의 F-F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5는 도 9의 G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검사대의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작업대상에 대한 위치를 위에서 보여주는 개략도.
도 17은 도 16의 위치에서 작업대상에 근접한 상태의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의 위치를 위에서 보여주는 개략도.
도 18은 관통구의 위치를 보여주는 조립체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작업대상 12 : 캐리어 프레임
14 : 후드래치 16 : 백빔
18 : 헤드램프 100 : 정밀조정 조립·검사대
110 : 고정프레임 120 : 대차
130 : 제어유닛 150 : 수직이동유닛
160 : 연결플레이트 170 : 수평이동유닛
220 : 삽입지지로드 240 : 클램핑유닛
320 : 하단지지유닛 330 : 후드래치조정유닛
340 : 측부가압유닛 360 : 측부가압유닛
380 : 상단가압유닛
본 발명은 여러 부품을 가조립된 상태의 작업대상에 대하여 각 부품을 정밀위치로 미세 조정하여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정밀 조립·검사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대상을 미리 결정된 기준 위치에 안내하여 파지하고, 여러 가조립된 부품들을 정밀 조립을 위한 정확한 위치로 각각 가입하여 한 작업자가 부품을 정밀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한 정밀 조립·검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하나의 제품을 완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한번에 하나씩의 부품을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라인을 거쳐 제품을 완성하는 방식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 라인 공정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숙련도가 적어도 되며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 공정에 있어서는, 제 품 조립을 위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장의 규모가 커져야만 하므로, 대형의 공장 형태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하나의 조립 라인에서 동시에 일을 하여야 하는 작업자의 수도 조립되어져야 할 부품 수에 따라 많아져야만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일정 수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대량 생산 체제가 아닌 경우에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에는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조립 라인 방식은, 반제품 조립 방식의 생산 공정에 적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었다. 예컨대, 차량의 헤드램프, 혼, 냉각팬, 후드래치(hood latch), 백빔(back beam) 등을 조립한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조립체와 같이, 여러개 부품만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을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컨베이어 조립 방식을 채용하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상당한 작업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헤드램프나 혼, 냉각팬, 후드래치, 백빔 등을 캐리어 프레임에 가조립하는 공정은 물론이고, 가조립 공정 이후 이를 정밀 조립하는 공정과 같은 경우와 같이 각각의 부품이 배치되어야 할 정확한 위치에 정밀 조립하는 공정에서는, 금속재질의 무겁고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부품을 조립하는 방향이 각기 다르고 그 정밀 조립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작업성에 중요한 변수가 되는 경우에는,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조립하는 작업이 오히려 비효율적이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서, 종래에 소위 "박스" 타입의 조립 방식이 채용되었다. "박스"타입이란, 한 작업자가 정해진 작업공간에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 상에 여러 개의 가조립된 부품을 직접 정밀 조립하는 방식을 일컫는 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예컨대 크고 무거운 캐리어의 다양한 부분에 있는 가조립된 부품들을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해당 부품을 고정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정밀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불편하며 결과적으로 작업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 대상에 여러 개의 가조립된 부품을 여러 방향의 여러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장착하는 작업이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여 주는, 그리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성 높은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밀 조립·검사대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박스 타입의 조립 방식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성 높은 정밀 조립 작업이 한 작업자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정밀 조립·검사대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이동축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놓여진 작업대상의 여러 가조립된 부품들을 원하는 조립 위치로 가압함으로써, 작업자가 단순한 조립 작업에 의해서도 각 부품을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정밀 조립·검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용 헤드램프와 같이 특히 정밀한 위치에 조 립하여야 할 부품의 경우에는 게이지 센서 수단을 이용하여 계측한 수치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로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한 정밀 조립·검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들에 대해 용이하게 정밀한 위치로 안내되도록 구성한 정밀 조립·검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를 교체하면 여러 가지 규격의 작업대상에 대해서도 정밀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정밀 조립·검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서 필요에 따라 더 정밀하게 위치조정되도록 미세조정함으로써 약간씩 규격이 달라지는 여러 작업대상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정밀 조립 및 검사 작업이 가능하게 구성한 정밀 조립·검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부품이 가조립되어 있는 작업대상을 파지하여 정밀 조립하기 위한 조립·검사대를 제공한다. 정밀 조립·검사대는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지지프레임에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작업대상이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포지셔닝 수단과; 지지프레 임에 대하여 서로 수직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미리 결정된 지점에 배치된 작업대상으로 접근하도록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메인 플레이트가 작업대상으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 대상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파지하는 파지수단; 및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메인 플레이트가 작업대상으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대상의 다른 미리 결정된 부분의 위치를 정밀하게 지지하는 정밀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작업대상을 지지하여 포지셔닝 수단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는 대차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차는: 작업대상의 하단과 후면 및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작업대상을 파지하여 지지하는 파레트와; 파레트의 하부로부터 지지하여 파레트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를 포함한다.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대차의 파레트의 위치가 대체로 미리 결정된 지점 근처로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안내수단에 의해 안내된 파레트를 위로 들어올려 미리 결정된 지점에 작업대상이 배치되도록 하는 포지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지수단은: 작업대상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형성된 제 1 관통구에 삽입되어 그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삽입지지로드와; 작업대상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형성된 제 2 관통구를 관통한 후 다시 후진하여 제 2 관통구 주변에서 후크걸림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관통구 및 제 2 관통구는 대체로 서로 직각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밀지지수단은: 메인 플레이트가 작업대상에 접근하였을 때, 작업대상 의 정밀지지할 부분 근처에 정밀지지수단이 배치되도록, 정밀지지수단을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마운팅부재와;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에서 작업대상의 정밀지지할 부분을 지지하는 접촉부재; 및 접촉부재를 정밀지지할 부분에 접하도록 이동시켜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까지 가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정밀지지수단은,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에 작업대상의 정밀지지할 부분이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게이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대한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대상의 규격이 다른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배설된 다른 메인 플레이트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업대상은 헤드램프, 후드래치, 백빔이 캐리어 프레임에 가조립되어 있는 차량부품 조립체이다.
원리적으로, 이상의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정밀 조립·검사대는, 가조립된 여러 부품들이 각각 조립되어야할 정확한 정밀한 위치에 오도록 자동으로 각각 가압하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정밀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조립·검사대이다. 작업자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정밀 위치가 제어되고 에어실린더와 같은 동력을 사용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손쉽게 각 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밀 조립·검사대에서 조립할 작업대상(10)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차량부품 조립체의 일종으로서, 차량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여러 가지 부품들 예컨대 헤드램프(18), 후드래치(14), 백빔(16), 그리고 쿨링팬이나 혼 등과 같은 부품들이 캐리어 프레임(12)에 가조립되어 있거나 고정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 조립체(10)이다. 헤드램프(18)는 그 조립위치가 특히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헤드램프(18)의 조립위치에 따라 차량의 조명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후드래치(14)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실을 덮는 후드가 물리는 부품으로서, 조립 위치에 따라 후드가 잠겨지지 않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백빔은 차량의 범퍼를 차량 내부에서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엔진실 내부의 각종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서 견고하게 정밀 위치에서 고정되어야만 할 부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정밀 조립·검사대는, 이러한 조립체 형태의 작업대상을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고, 작업대상에 가조립, 즉 조립위치에 임시로 장착되어 있는 여러 부품들을, 자동으로 동력을 사용하여, 정밀한 위치로 밀어 가압함으로써 작업자가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립되어 있는 각 부품이 양호하게 작동하는지 여부 등을 작업자가 쉽게 검사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조립체(10)뿐 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조립체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조립·검사대에서 정밀 조립 및 검사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래에서 더 명확하게 드러나는 바와 같이, 말할 필요없이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조립·검사대(100)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도 2에는 조립체(10)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이 개시되기 바로 직전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2에 보이는 몇몇 장치들이 생략된 형태로 조립·검사대(100)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지시하는 "상", "하", "전", "후", "좌", "우"는 특별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도 2를 기준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조립체(10)를 기준으로 메인 플레이트(180)가 하측으로 내려오고 다시 조립체(10)를 향해 수평으로 전진, 즉 도면에서는 후진함으로써, 정밀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며, 그 반대방향으로 조립체(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 즉 도면에서는 전진한 다음 상측으로 올라감으로써 메인 플레이트(180)가 처음 위치로 복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밀 조립·검사대(100)는 특히 하나 이상의 부품이 가조립되어 있는 작업대상 예컨대 차량부품 조립체의 일종인 캐리어 조립체(10)를 전체적으로 지지고정한 후, 각 부품을 정밀 위치로 가압 지지하여, 정밀 위치로 각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고 또한 각 부품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립·검사대이다. 이 조립·검사대(100)는 지지프레임(110), 포지셔닝 수단(112,114,140), 메인 플레이트(180), 파지수단(220,240) 및 정밀지지수단(220a,320,330,340,360,380)을 포함하며, 이밖 에 제어유닛(130) 및 모니터(미도시됨), 그리고 조립 작업을 위한 각종 공구들을 장착할 수 있는 보조 걸이(미도시됨)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검사대(100)에는 캐리어 조립체(10)와 같은 작업대상을 초기 위치로 제공하기 위한 대차(120)가 더 포함된다.
지지프레임(110)은 작업 장소에 상기 정밀 조립·검사대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초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 조립체(10)에 정밀지지수단 즉 정밀위치 조정장치들(220a,320,330,340,360,380) 등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 플레이트(180)가 2차원 상에서 이동할 때의 기준좌표를 제공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지지 기둥 역할을 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5,116)과 이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17)을 포함한다. 수직프레임(115, 116)은 충분한 폭을 가지고 있어서 조립·검사대 전체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한다. 지지프레임(110)의 크기는 한 작업자가 작업하기 충분한 공간을 차지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차(120)는 각종 부품들이 가조립된 상태의 캐리어 조립체(10)를 지지하여, 조립·검사대(100)에서 작업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정밀 조립 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캐리어 조립체(10)를 다시 후속 공정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대차(120)의 구조는 도 5와 도 6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캐리어 조립체(10)가 없는 상태의 대차(120)를 도시하는데, 도 5 및 도 6의 (a)는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의 (b)는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의 (c)는 평면도이다. 간단히 하기 위해, 도 6에서는 캐리어 조립체(10) 중에서 캐리어 프레임(12)만이 나타나 있다. 대차(120)는, 조립체(10)의 여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26,127,128)와, 파레트(124), 그리고 운반차(122)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조립체(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재(126)와 조립체(10)의 후면을 지지하는 부재(127), 그리고 상단을 지지하는 부재(128)가 있다. 상단을 지지하는 부재(128)는 돌기(128a)가 형성되어 조립체(10)의 양 상단 구석을 걸어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단 지지부재(128)는 프레임(129)으로 연결되어 조립체(10)의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들(126, 127, 128)은 대체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인 파레트(124) 상에 고정 설치된다.
파레트(124)는 예컨대 바퀴가 달려있는 운반차(122)에 실려 있으며, 운반차(122)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된다. 한편, 파레트(124)는 운반차(122)에서 들려 상부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122)의 상단 측부에 돌기(12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파레트(124)의 측부에는 홈부(122a)가 형성되어 서로 물리는 형태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돌기(122a)와 홈부(122a)가 서로 물리면 파레트(124)는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상태를 더 견고히 하기 위하여 운반차(122)의 측단에 접하도록 파레트(124)의 하단부에 돌기(124b, 124c)를 각각 만들어, 운반차(122)의 상부가 상기 돌기(124b, 124c) 사이에 끼이도록 하는 구조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와 홈의 형태를 예시적인 것이며, 파레트(124)를 운반차(12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하는 다른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대차(120)에 캐리어 조립체(10)가 실려서 조립·검사대(100)의 초기 위치로 배치된다. 다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조립·검사대(100)의 대차(120)가 안내되어 조립체(10)가 미리 결정된 위치 즉 작업개시 위치 또는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수단(112,114,14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포지셔닝 수단은, 도 4에 더 자세히 나타나 있는 안내 수단(112, 114) 및 도 7에 더 자세히 나타나 있는 포지션 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내수단은 대차(120)의 특히 파레트(124)가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이고, 포지션유닛(140)은 파레트(124)를 약간 들어올려 정확한 작업개시 위치로 배치시키는 수단이다. 도 4는 도 2의 H-H선에서 본 평면도로서 안내수단의 형태를 보여준다. 안내수단은 지지프레임(110)의 양 수직프레임(115,116)에서부터 연장된 안내프레임(113) 한 쌍이 형성되어, 대차(120)가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공간을 이룬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차(120)가 두 안내프레임(113) 사이에 도착하면 적당한 지점에서 멈추도록 하는 스톱 수단이 더 형성되어 있다. 안내프레임(113)에는 보조안내프레임(112, 114)이 더 형성되어 대차(120) 또는 파레트(124)의 위치를 더 정밀하게 안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파레트(124) 양단을 각각 밀어 들어올리기 위한 유닛인 포지션유닛(140)이 안내프레임(11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의 (a)는 부분 정면도이며, 도 7의 (b)는 측면도이고, 도 7의 (c)는 평면도이다. 포지션유닛(140)은 에어 실린더(144)와 가동축(146) 및 접 촉부재(148)을 포함하며, 접촉부재(148)가 다수인 경우 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47)을 더 포함한다. 대차(120)가 조립·검사대에 도착하면, 포지션유닛(140)의 에어 실린더(144)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여 파레트(124)를 운반차(122)로부터 약간 들어올린다. 이는, 작업 장소의 바닥 상태 등과 같은 여러 조건에 의해 위치 제어 동작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포지션유닛(140)에 의해 작업개시 위치로 캐리어 조립체(10)가 배치되면, 메인 플레이트(180)가 하강하게 된다. 메인 플레이트(180)는 도 2 및 도 3, 도 9 및 도 10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차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메인 플레이트(180)는 수직이동장치(150)와 수평이동장치(170)에 의해, 먼저 수직으로 하강하고 그 다음에 수평하게 조립체(10)와 가까운 방향으로 전진한다.
수직이동장치(150)는 지지프레임의 두 수직프레임(115, 116)을 따라 나란하게 메인 플레이트(180)를 수직으로 즉 상하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장치(150)는, 에어실린더(15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드(154)가 링크부재(156)를 개재하여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어 있는 종동가이드(158)에 연결되어 있다. 종동가이드(158)는 수직프레임(115, 116)을 따라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가이드(157)에 의해 안내되어 미끄러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실린더(152)가 작동하면 구동로드(154)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로드(154)의 운동은 링크부재(156)를 통해 종동가이드(158)로 전해지고, 종동가이드(158)가 이송가이드(157)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종동가이드(158)의 이동과 함께 메인 플레이트(18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수직이동장치(150)의 구동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18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180)와 함께, 수평이동장치(170)도 상하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평이동장치(170)는,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수직이동장치(150)의 종동가이드(158)에 연결플레이트(160)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동가이드(158)의 이동에 따라, 연결플레이트(160)와 수평이동장치(170) 그리고 메인 플레이트(180)가 함께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장치(170)는 수직이동장치(150)의 운동과는 독립적으로 메인 플레이트(1800를 수평방향에서 조립체(10)에 대해 전진 및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수평이동장치(170)는 연결플레이트(160)에 고정된 에어실린더(17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드(174)가 링크부재(175, 176)를 개재하여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어 있는 종동가이드(178)에 연결되어 있다. 종동가이드(178)는 연결플레이트(160)을 따라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가이드(177)을 따라 미끄러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실린더(172)가 작동하면 구동로드(174)가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하게 되고, 구동로드(174)의 운동은 링크부재(175,176)를 통해 종동가이드(178)로 전해지고, 종동가이드(178)가 이송가이드(177)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종동가이드(178)의 이동과 함께 메인 플레이트(180)가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인 플레이트(180)에는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체(10)를 전체적으로 파지하는 파지수단(220,240)과 가조립되어 있는 여러 부품들을 정밀하게 가압지지하는 정밀위치 조정장치들(220a, 320, 330, 340, 360, 380)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파지수단 및 정밀위치 조정장치는 메인 플레이트(180) 상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체(10)의 형상이나 규격에 따라, 이러한 고정 위치들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각각의 규격에 따라 여러 개의 메인 플레이트가 제작되고, 필요에 따라 적당한 메인 플레이트를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플레이트(180) 상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수단은, 포지션유닛(140)에 의해 작업개시 위치로 배치된 조립체(10)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지수단은 조립체(10)의 적절한 부위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들(220b, 240b)(도18 참조)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지지로드(220)와 클램핑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지지로드(220)는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80)의 중심부분에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길다란 창과 같은 형상을 할 수 있다. 삽입지지로드(220)는, 메인 플레이트(180)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조립체(10)로 접근함에 따라, 조립체(10)의 미리 결정된 부분 예컨대 중심부분에 형성된 제 1 관통구(220b)에 삽입됨으로써 그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클램핑유닛(240)은, 도 8에 더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80)가 조립체(10)를 향해 전진할 때 일단 조립체(10)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관통구(240b)에 삽입된 후 다시 자체 동작으로 후진하여 조립체(10) 를 후면에서 후크걸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클램핑유닛(240)은 에어실린더(242)의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243)를 개재하여 연결된 긴 창과 같은 회전로드(247)를 구비한다. 이 회전로드(247)은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하우징(244)에 수용되어 그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244)에는 캠홈(246)이 형성되고 회전로드(247)의 대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돌기(2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로드(247)의 단부에는 캠후크(248)가 형성된다. 일단 회전로드(247)가 메인 플레이트(180)의 이동에 따라 조립체(10)의 관통구(240b)에 삽입된다. 그후, 에어 실린더(242)의 동작에 따라 회전로드(247)가 하우징(244) 안에서 회동하면, 가이드돌기(245)가 캠홈(246)을 따라 안내되고, 결과적으로 회전로드(247)는 메인 플레이트(18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로드(247)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캠후크(248)가 조립체(240)의 관통구(240b)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체(10)는 삽입지지로드(220)의 메인 플레이트(180) 쪽 단부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클램핑유닛(240)의 캠후크(248)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조립체(10)는 삽입지지로드(220)와 클램핑유닛(240)에 의해 그 무게가 지지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도 고정된다.
여기서, 조립체(10)에 형성되는 제 1 관통구(220b) 및 제 2 관통구(240b)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서로 직각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립체(10)가 삽입지지로드(220)와 클램핑유닛(240)을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이동을 규제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 및 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파지수단(220, 240)에 의해 상, 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단단하게 고정되어진 조립체(10)를 기준으로 하여, 이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220a, 320, 330, 340, 360, 380)에 의해, 각 가조립된 부품들이 조정된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파지수단(220, 240)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되는 부분은 조립체(10)의 캐리어 프레임이며, 각각의 가조립되어 있는 부품들인 헤드램프 등은 이 캐리어 프레임에 대하여 임시적인 위치에서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각 가조립되어 있는 상태의 부품들은 파지수단에 의해 고정된 프레임 캐리어를 기준으로 위치가 정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가조립되어 있는 부품에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조정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메인 플레이트(180)가 조립체(10)에 접근하였을 때, 조립체(10)의 정밀지지할 부분 즉 각각의 가조립된 부품들 근처에 조정장치가 각각 배치되도록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마운팅부재와;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에서 조립체(10)의 각 가조립된 부품들을 접촉하여 가압하는 접촉부재; 및 접촉부재를 정밀지지할 부분에 접하도록 이동시켜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까지 가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정밀한 위치인지 여부를 계측하기 위한 게이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조정장치들의 메인 플레이트에 대한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는 이러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의 구체적인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11은 도 9의 A 및 B-B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인 헤드램프 하단 가압장치(320)의 모습을 보여주며, 도 12는 도 9의 C-C 및 D-D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인 헤드램프 상단 가압장치(380)의 모습을 보여주며, 도 13은 도 9의 E-E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인 헤드램프 제 1 측부 가압장치(340)의 모습을 보여주며, 도 14는 도 9의 F-F선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인 헤드램프 제 2 측부 가압장치(360)의 모습을 보여주고, 도 15는 도 9의 G에서 본 정밀위치 조정장치인 후드래치 가압장치(330)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헤드램프 하단 가압장치(320)는, 조립체(10)의 헤드램프(18)를 하단에서 받쳐주는 장치이다. 이 가압장치(320)는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는 마운팅부재(321, 322, 323)와, 이 마운팅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324) 및 에어 실린더(324)의 구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가동로드(325)를 포함한다. 가동로드(325)의 단부에는 접촉부재(326)가 형성되어 헤드램프(18)의 하단을 미리 결정된 정밀한 위치로 가압하거나 또는 지지한다.
도 12에 도시된 헤드램프 상단 가압장치(380)는 조립체(10)의 헤드램프(18)를 상단에서 눌러주는 장치이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가압장치(380)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가압장치(380)는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는 제 1 마운팅부재(381, 382, 383) 및 제 2 마운팅부재(387)를 포함한다. 이 마운팅부재들은 미세조정나사(384)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이 미세조정나사(384)는 제 2 마운팅부재(387)을 제 1 마운팅부재(383)에 대하여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즉 미세조정나사(384)를 작업자가 조정하면, 이에 연결된 나사축(385)이 회전하고 여기에 나사물림되어 있는 이동가이드(386)가 나사축(385)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가이드(386)의 이동에 따라 제 2 마운팅부재(387)의 위치가 미세조정될 수 있다. 제 2 마운팅부재에는 에어 실린더(396) 및 에어 실린더(396)의 구동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접촉부재(39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압장치가 설치되어, 헤드램프(18)의 상단을 미리 결정된 정밀한 위치로 가압하거나 또는 지지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에 더하여 상기 제 2 마운팅부재에 게이지유닛(392, 394)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 게이지유닛(392, 394)은 일종의 접촉센서로서 헤드램프(18)가 정밀 조립 위치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작업자의 눈이 아니라 기계적으로 자동 검출하여 작업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3에 도시된 헤드램프 제 1 측부 가압장치(340)는 조립체(10)의 헤드램프(18)를 측단에서 가압하는 장치이다. 이 가압장치(340)는 도 11에 도시된 하단 가압장치(320)와 유사한 구성을 하는데, 도면에서는 도 1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고 있는 점만 다르다. 측부 가압장치(340)는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는 마운팅부재(341, 342)와, 이 마운팅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344) 및 에어 실린더(344)의 구동에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가동로드(345)를 포함한다. 가동로드(345)의 단부에는 접촉부재(346)가 형성되어 헤드램프(18)의 측부를 미리 결정된 정밀한 위치로 가압하거나 또는 지지한다.
도 14에 도시된 헤드램프 제 2 측부 가압장치(360)는 조립체(10)의 헤드램프(18)를 측부에서 가압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 1 측부가압장치(340)와는 반 대되는 쪽에 설치된다. 이 가압장치(360)는 도 12에 도시된 상단 가압장치(380)와 유사한 구성을 하는데, 도면에서는 도 12과는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고 한 쌍의 가압장치(360)를 모두 보여주고 있는 점만 다르다. 이 가압장치(360)는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는 제 1 마운팅부재(361, 363) 및 제 2 마운팅부재(365)를 포함한다. 이 마운팅부재들은 미세조정나사(364)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이 미세조정나사(364)는 제 2 마운팅부재(365)을 제 1 마운팅부재(363)에 대하여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제 2 마운팅부재에는 에어 실린더 및 에어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압장치(373)가 설치되어, 헤드램프(18)의 상단을 미리 결정된 정밀한 위치로 가압하거나 또는 지지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에 더하여 상기 제 2 마운팅부재에 게이지유닛(371)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정밀위치 조정장치(320, 340, 360, 380)들은 헤드램프(18)를 각각 상하좌우에서 가압지지하면서, 게이지유닛을 통해 기계적으로 자동으로 조립되어야할 정밀한 위치로 배치되도록 한다는 공통의 목적을 가진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후드래치 가압장치(330)는 조립체(10)의 후드래치(14)를 상단에서 가압하는 장치이다. 이 가압장치(330)는 메인 플레이트(180)에 고정되는 마운팅부재(331, 332, 333)와, 이 마운팅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334) 및 에어 실린더(334)의 구동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가동로드(335)를 포함한다. 가동로드(335)의 단부에는 접촉부재(337)가 형성되어 후드래치(14)를 미리 결정된 정밀한 위치로 가압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작업대상인 조립체(10)가 대차(120)에 실려 조립·검사대(100)에 도착한 후, 포지션유닛(140)이 작동하여 대차의 파레트(124)를 약간 들어올린다. 그러면, 메인 플레이트(180)가 하강하여, 조립체(10)의 전면에 위치될 때까지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된 후의 모습을 위에서 본 모습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메인 플레이트(180)와 거기에 장착된 각종의 파지 및 조정장치들이 조립체(10)에 접근한 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삽입지지로드(220)가 조립체(10)의 제 1 관통구(220b)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지지로드(220)의 메인 플레이트(180)측에 계단면(220a)을 형성하여 조립체(10)의 백빔(16)을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조립·검사대(100)를 사용하면, 조립체(10)가 대차(120)에 실려 운반된 후, 메인플레이트(180)가 하강한 후 수평이동하고, 그후 각 부품에 대해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가압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정밀위치로 고정되어 있는 각 가조립 상태의 부품에 대하여, 해당 정밀위치에 완전히 고정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각 에어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들의 동작은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짜여져 제어유닛(130)에 내장되어 있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구동장치들의 동작은 작업자가 키보드나 리모콘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조립·검사대(100)의 각 구동장치들의 동작상태는 예컨대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헤드램프의 경우, 게이지유닛에 의 해 측정된 결과가 모니터에 출력됨으로써, 정확한 위치값인지 여부를 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정확한 위치값이 아닌 경우, 작업자는 헤드램프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게이지유닛의 계측된 값이 정확한 값과 동일한 값이 되는 위치까지 헤드램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밀 조립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램프의 점등 상태나 쿨링팬의 작동 여부, 그리고 혼의 작동 여부 등이 검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러한 장치들 및 기타 수직이동장치 등등에 포함된 액추에이터 수단이 에어실린더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정밀 조립·검사대에서 사용하는 동력수단이 반드시 에어실린더만을 사용하여야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전기 등을 이용하는 스텝모터 등과 같은 구동모터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채용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말할 필요도 없이 당연하게 예상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정밀 조립·검사대(100)는, 가조립된 여러 부품들이 각각 조립되어야할 정확한 정밀한 위치에 오도록 자동으로 각각 가압하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정밀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조립·검사대이다. 작업자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정밀 위치가 제어되고 에어실린더와 같은 동력을 사용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손쉽게 각 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 명의 기술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둔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을 변형하고 수정하며 조합한 다른 실시예들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박스 타입의 조립 방식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성 높은 정밀 조립 작업이 한 작업자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이동축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놓여진 작업대상의 여러 가조립된 부품들을 원하는 조립 위치로 가압함으로써, 작업자가 단순한 조립 작업에 의해서도 각 부품을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와 같이 특히 정밀한 위치에 조립하여야 할 부품의 경우에는 게이지 센서 수단을 이용하여 계측한 수치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로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들에 대해 용이하게 정밀한 위치로 안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하나의 메인 플레이트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를 교체하면 여러 가지 규격의 작업대상에 대해서 도 정밀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서 필요에 따라 더 정밀하게 위치조정되도록 미세조정함으로써 약간씩 규격이 달라지는 여러 작업대상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정밀 조립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부품이 가조립되어 있는 작업대상(10)을 파지하여 정밀 조립하기 위한 조립·검사대(100)로서:
    고정된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작업대상(10)이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포지셔닝 수단(112,114,140)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수직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에 배치된 상기 작업대상으로 접근하도록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18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작업대상으로 접근하였을 때 상기 작업대상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파지하는 파지수단(220,240);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작업대상(10)으로 접근하였을 때 상기 작업대상의 다른 미리 결정된 부분의 위치를 정밀하게 지지하는 정밀지지수단(220a;320,340,360,380;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조립·검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상(10)을 지지하여 상기 포지셔닝 수단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는 대차(120)를 더 포함하는, 정밀 조립·검사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120)는:
    상기 작업대상(10)의 하단과 후면 및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6,127,128)가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상을 파지하여 지지하는 파레트(124)와;
    상기 파레트(124)의 하부로부터 지지하여 상기 파레트(124)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밀 조립·검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상기 대차(120)의 상기 파레트(124)의 위치가 대체로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 근처로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112,113,114)과;
    상기 안내수단에 의해 안내된 상기 파레트(124)를 위로 들어올려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에 상기 작업대상(10)이 배치되도록 하는 포지션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밀 조립·검사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220,240)은:
    상기 작업대상(10)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형성된 제 1 관통구(220b)에 삽입되어 그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삽입지지로드(220)와;
    상기 작업대상(10)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형성된 제 2 관통구(240b)를 관통 한 후 다시 후진하여 상기 제 2 관통구 주변에서 후크걸림되는 클램핑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밀 조립·검사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구 및 상기 제 2 관통구는 대체로 서로 직각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인, 정밀 조립·검사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지지수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180)가 상기 작업대상(10)에 접근하였을 때, 상기 작업대상의 정밀지지할 부분 근처에 상기 정밀지지수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정밀지지수단을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마운팅부재와;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에서 상기 작업대상의 정밀지지할 부분을 지지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정밀지지할 부분에 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까지 가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밀 조립·검사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지지수단은, 상기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에 상기 작업대상의 정밀지지할 부분이 배치되었는지를 계측하기 위한 게이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밀 조립·검사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지지수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대한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밀 조립·검사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180)는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정밀 조립·검사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상(10)은 헤드램프(18), 후드래치(14), 백빔(16)이 캐리어(12) 프레임에 가조립되어 있는 차량부품 조립체인, 정밀 조립·검사대.
KR1020030066908A 2003-09-26 2003-09-26 정밀 조립·검사대 KR10056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08A KR100566485B1 (ko) 2003-09-26 2003-09-26 정밀 조립·검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08A KR100566485B1 (ko) 2003-09-26 2003-09-26 정밀 조립·검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68A KR20050030768A (ko) 2005-03-31
KR100566485B1 true KR100566485B1 (ko) 2006-03-31

Family

ID=3738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908A KR100566485B1 (ko) 2003-09-26 2003-09-26 정밀 조립·검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4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5467A (zh) * 2016-11-20 2017-02-22 嘉兴顾翔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安装装置
KR20230056169A (ko) * 2021-10-20 2023-04-27 (주)신흥기업 자동차부품 자동 검사 및 조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70B1 (ko) * 2015-05-08 2017-01-13 일윤주식회사 자동차 캐리어 조립체의 자동 검사장치
KR101834141B1 (ko) * 2017-11-22 2018-02-28 박수기 조립 및 검사용 지그 인터체인지 작업대
KR101963085B1 (ko) 2018-07-11 2019-03-27 박수기 작업대용 작업대지그 인터체인지 지그 일체형 이동대차
KR20240029827A (ko) 2022-08-29 2024-03-07 서전이엔지 주식회사 자동 툴체인지형 정밀 시험 검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5467A (zh) * 2016-11-20 2017-02-22 嘉兴顾翔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安装装置
KR20230056169A (ko) * 2021-10-20 2023-04-27 (주)신흥기업 자동차부품 자동 검사 및 조립 장치
KR102572687B1 (ko) 2021-10-20 2023-08-30 (주)신흥기업 자동차부품 자동 검사 및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68A (ko)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39941A1 (fr) Procede d&#39;assemblage d&#39;un corps de vehicule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KR100566485B1 (ko) 정밀 조립·검사대
CN109940574B (zh) 抓手通用柔性支撑定位系统及柔性工装定位控制方法
CN219426060U (zh) 一种汽车座椅骨架连接焊接设备
CN211682482U (zh) 保险杠冲孔及安装雷达支架的一体化工装设备
KR100783573B1 (ko) 조립을 위한 글래스 위치 고정 장치
CN108161405B (zh) 一种伺服驱动器外壳的装配工作站
CN110712993A (zh) 一种适用于装夹不规则电池的检测设备
KR100549411B1 (ko)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CN202336686U (zh) 一种补焊夹具
KR20050023543A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CN204867943U (zh) 一种新型吹灰器主梁定位组焊工装
KR101637236B1 (ko) 자동차 사이드 미러 히터의 자동 조립장치
KR200378955Y1 (ko) 취출장치를 구비하는 도어트림의 열융착 및 웨더스트립의벤딩 동시성형기
CN219900749U (zh) 一种门板门横梁焊接机构
CN220362186U (zh) 一种电瓶叉车电池箱焊接模具
CN212127434U (zh) 轮胎抱夹装置
CN114939752B (zh) 一种用于腹板拼焊生产的焊接加工系统及方法
CN219590211U (zh) 一种影像检查装置
CA2536141C (en) Method and device for machining flange part of wheel arch
CN210789806U (zh) 一种多车型、柔性化、四面体地板焊接夹具
JP2790576B2 (ja) エンジン組立体の移載方法、及び装置
CN216151565U (zh) 一种发动机罩盖装配设备
CN110315225B (zh) 板簧自动上料及装配的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