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411B1 -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 Google Patents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411B1
KR100549411B1 KR1020030075109A KR20030075109A KR100549411B1 KR 100549411 B1 KR100549411 B1 KR 100549411B1 KR 1020030075109 A KR1020030075109 A KR 1020030075109A KR 20030075109 A KR20030075109 A KR 20030075109A KR 100549411 B1 KR100549411 B1 KR 10054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ssembly
frame
assembl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007A (ko
Inventor
이수광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4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 및 틀을 구비하는 캐리어에 복수의 상기 차량용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는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제공한다. 상기 공정은 : 캐리어를 파지하여 2개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2개의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시키는 조립 공정과; 캐리어를 파지하여 복수의 회동축에 의해 연결된 링크프레임을 이용하여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 공정과; 캐리어 상에 가조립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부품을 정밀한 소정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여러 방향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부품들을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캐리어 상에 조립하고 이송하며 정밀 조립 및 검사하는 일련의 공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용 부품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조립, 검사, 정밀조립, 이송장치, 링크구조, 파지, 캐리어

Description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Process for assembling and testing vehicle components using a carri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작업대상의 예로서 차량용 부품조립을 위한 캐리어의 조립 전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작업대상의 예로서 차량용 부품조립을 위한 캐리어의 조립 후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위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장치 중 작업대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작업대에서 파지수단의 위치를 캐리어가 장착된 경우에 측면에서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도 4의 작업대에서 파지수단의 위치를 캐리어가 없는 경우에 측면에서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도 3의 장치 중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이송장치에서 파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이송장치에서 파지장치(130)에 캐리어(10)가 장착된 경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11은 도 9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도 7의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도 3의 장치 중 조립·검사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조립·검사대의 부분적으로 생략된 대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5는 도 13의 조립·검사대의 일부분인 대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6은 도 15의 대차에 작업대상 중 캐리어가 배치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7은 도 13의 조립·검사대의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의 위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8은 도 13의 조립·검사대의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의 정면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9는 도 13의 조립·검사대의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작업대상에 대한 위치를 위에서 보여주는 개략도.
도 20은 도 19의 위치에서 작업대상에 근접한 상태의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의 위치를 위에서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리어 100 : 작업대
200 : 이송장치 300 : 정밀조정 조립·검사대
본 발명은,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작업대상 즉 캐리어를 파지하여 2개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한 작업자가 여러 방향에서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한 작업대를 이용하는 조립 공정과, 캐리어를 파지하여 복수의 회동축에 의해 연결된 링크프레임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비교적 크고 무거운 작업대상을 정확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이송 공정, 및 캐리어를 미리 결정된 기준 위치에 안내하여 파지하고 여러 가조립된 부품들을 정밀 조립을 위한 정확한 위치로 각각 가입하여 한 작업자가 부품을 정밀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한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하나의 제품을 완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한번에 하나씩의 부품을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라인을 거쳐 제품을 완성하는 방식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 라인 공정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숙련도가 적어도 되며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 공정에 있어서는, 제품 조립을 위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장의 규모가 커져야만 하므로, 대형의 공장 형태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하 나의 조립 라인에서 동시에 일을 하여야 하는 작업자의 수도 조립되어져야 할 부품 수에 따라 많아져야만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일정 수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대량 생산 체제가 아닌 경우에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에는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 점차 채용되어가고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 즉 단일 규격의 제품을 소량 생산한 다음 다시 다른 규격의 제품을 소량 생산하여야 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각각의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각 제품에 대하여 각각의 조립 라인을 다수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여 채산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조립 라인 방식은, 반제품 조립 방식의 생산 공정에 적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었다. 예컨대, 차량의 헤드램프, 혼, 냉각팬 등을 조립한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조립체와 같이, 서너개의 부품만으로 이루어진 반제품을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컨베이어 조립 방식을 채용하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상당한 작업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는데 걸리는 단위 조립 시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추가 장치가 필요하거나 조립 라인의 길이가 길어져야만 하며, 조립 후 검사 공정을 위한 공간도 더 필요하게 된다. 더구나 차량의 헤드램프나 혼, 냉각팬 등을 조립하기 위한 캐리어와 같은 작업 대상, 즉 금속재질의 무겁고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부품을 조립하는 방향이 작업성에 중요한 변수가 되는 경우에는,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조립하는 작업이 오히려 비효율적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서, 종래에 이러한 캐리어를 이용하는 조립 공정에서는, 소위 "박스" 타입의 조립 방식이 채용되었다. "박스"타입이란, 작업자가 정해진 작업공간에서 상기 캐리어 상에 여러 개의 부품을 직접 조립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예컨대 크고 무거운 캐리어의 다양한 부분에 있는 부품 삽입 위치에 해당 부품을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하며 조립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대상에 여러 개의 부품을 여러 방향의 여러 위치에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지하여 움직여주는, 그리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성 높은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박스 타입의 조립 방식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대상 즉 차량용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캐리어를 파지하여 여러 방향에서 조립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두 작업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대상을 파지하여 쉽게 이송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대상의 각각의 가조립된 부품을 정밀한 위치로 조립하기 쉽게 하도록 하는 새로운,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 는 공간 및 틀을 구비하는 캐리어에 복수의 상기 차량용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는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제공한다. 상기 조립 및 검사 공정은: 캐리어를 파지하여 2개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2개의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부품을 상기 캐리어 상에 조립하는 조립공정과; 캐리어를 파지하여 복수의 회동축에 의해 연결된 링크프레임을 이용하여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공정과; 캐리어 상에 가조립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부품을 정밀한 소정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여러 방향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부품들을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캐리어 상에 조립하고 이송하며 정밀 조립 및 검사하는 일련의 공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용 부품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립공정은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작업대는,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제 1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제 1 회전프레임과; 상기 제 1 회전프레임에 제 2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프레임에 대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제 2 회전프레임; 및 상기 제 2 회전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작업 대상을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된 작업 대상, 예컨대 차량의 헤드램프, 사이드램프, 및 냉각팬 등과 같은 단위 부품들을 여러 위치에 조립하기 위한 기초 부품인 캐리어를, 예컨대 좌우방향으로 돌리고 다시 위아래방향으로 돌림으로써, 한 작업자가 조립이나 또는 검사 등의 작업을 하기 편하도록 도와주는 작업대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프레임은 U자 형태로서 그 하부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회전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의 U자보다 작은 U자 형태로서 그 측부 프레임에 상기 제 2 회전축이 설치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은, 예컨대 서보모터 및/또는 에어실린더와 같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 대상의 경우에도 자동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은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보모터의 작동은 상기 작업 대상의 소정 위치에 소정 부품의 장착여부를 검출하는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원하는 부품을 조립하는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조립과정 전체가 자동화될 수 있는 작업대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공정은 소정의 작업대상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파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장치는 : 수직으로 고정된 기준프레임에 복수의 링크프레임이 복수의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링크장치; 및 링크장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작업대상을 파지하는 파지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파지장치는: 작업대상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작업대상을 중력에 대해 지지하는 삽입부재와; 삽입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작업대상의 소정 부위로 이동하여 삽입부재에 대해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동부재; 및 사용자가 손으로 쥐어서 파지장치를 다룰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파지장치로 작업대상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링크장치에 의해 쉽게 목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축의 회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및 상기 파지장치의 가동부재의 운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 근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대상을 옮기는 도중에 손잡이 근처에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브레이크 및 가동부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은, 하나 이상의 부품이 가조립되어 있는 캐리어를 파지하여 정밀 조립하기 위한 조립·검사대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밀 조립·검사대는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지지프레임에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작업대상이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포지셔닝 수단과;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수직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미리 결정된 지점에 배치된 작업대상으로 접근하도록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메인 플레이트가 작업대상으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 대상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파지하는 파지수단; 및 메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메인 플레이트가 작업대상으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대상의 다른 미리 결정된 부분의 위치를 정밀하게 지지하는 정밀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작업대상을 지지하여 포지셔닝 수단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는 대차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차는: 작업대상의 하단과 후면 및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작업대상을 파지하여 지지하는 파레트와; 파레트의 하부로부터 지지하여 파레트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대상의 규격이 다른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배설된 다른 메인 플레이트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정밀 조립·검사대는, 가조립된 여러 부품들이 각각 조립되어야할 정확한 정밀한 위치에 오도록 자동으로 각각 가압하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정밀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조립·검사대이다. 작업자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정밀 위치가 제어되고 에어실린더와 같은 동력을 사용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손쉽게 각 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대, 이송장치, 및 정밀 조립·검사대를 이용하는 조립공정과 이송공정 및 정밀 조립 및 검사공정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에 의해, 차량용 헤드램프와 혼, 냉각팬, 백빔, 후드래치 등등의 다양한 부품을 캐리어에 조립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공정의 생산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특징들과 기타 다른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도중에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조립 및 검사 공정에서 다루어질 작업대상 즉 캐리어(10)의 일예가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의 헤드램프와 혼(경적) 및 냉각팬 등을 조립한 반제품을 만들기 위한 캐리어(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캐리어(10)는 차량 부품이 조립 장착될 공간(22, 24, 26, 28) 및 각 부품을 지지하고 장착되는 기본을 제공하는 뼈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품의 성질상 금속재질로 되어 있고, 차량의 크기에 따른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캐리어(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예컨대 조립장치에 의해서 파지될 부분 예컨대 이송장치에 의해 파지될 부분 즉 개구 형태의 삽입공(12, 14)과 가입될 부위(16, 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밖에도 작업대나 정밀조립·검사대에서 파지될 부분도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10)는 각 부품 장착 공간(22, 24, 26, 28)에 장착되는 각 부품들이 조립되어야 할 방향이 여러 방향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혼자서 조립하는 경우에, 조립될 부품에 따라 캐리어(10)를 돌려가면서 작업하여야만 하거나, 작업자가 캐리어(10) 주변을 돌면서 작업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에 있어서 특히 작업대(100)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한 작업자가 한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서도 조립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캐리어(10)의 각 부품 장착 공간(22, 24, 26, 28)을 3차원적으로 적절하게 회전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캐리어(10)는 차량용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특성상 금속재 질이며 한 작업자가 다루기에는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캐리어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맨손으로 옮기기 어렵고 별도의 이송장치를 사용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에 있어서 특히 이송장치(200)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원하는 두 위치 사이에서 캐리어를 쉽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캐리어(10)에는 예컨대 차량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여러 가지 부품들 즉 헤드램프(38), 후드래치(34), 백빔(36), 그리고 쿨링팬이나 혼 등과 같은 부품들이 캐리어 프레임에 가조립되어 있거나 고정 장착된다. 헤드램프(38)는 그 조립위치가 특히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헤드램프(38)의 조립위치에 따라 차량의 조명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후드래치(34)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실을 덮는 후드가 물리는 부품으로서, 조립 위치에 따라 후드가 잠겨지지 않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백빔(36)은 차량의 범퍼를 차량 내부에서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엔진실 내부의 각종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서 견고하게 정밀 위치에서 고정되어야만 할 부품이다. 정밀 조립·검사대(300)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렇게 각각의 정밀 조립 위치에 각각의 부품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및/또는 각 정밀 조립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작업자를 도와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캐리어(10)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들(100,200,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복수의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 및 틀을 구비하는 캐리어(10)에 복수의 상기 차량용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는 장치이다. 장치는 크게, 캐리어를 파지하여 2개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2개의 회전축을 가지고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작업대(100)와, 캐리어를 파지하여 복수의 회동축에 의해 연결된 링크프레임을 이용하여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송장치(200), 및 캐리어 상에 가조립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부품을 정밀한 소정 위치로 가압함으로써 정밀 조립 및 검사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밀 조립·검사대(3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작업자는 예컨대 이송장치(200) 또는 다른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 전 상태의 캐리어(10)를 운반하여 작업대(100)에 설치함으로써, 조립공정을 개시할 수 있다. 작업대는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제 1 회전축(120)을 통해 제 1 회전프레임(130)이 연결되고, 제 1 회전프레임(130) 상에 제 1 회전축(120)과는 예컨대 수직으로 설치된 제 2 회전축(140)을 통해 제 2 회전프레임(150)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한다. 제 2 회전프레임(150)에는 캐리어(10)를 파지할 수 있는 캐리어 파지수단(160)이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10)는 이 파지수단(160)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된다. 고정된 캐리어(10)는 제 1 회동축(120) 및 제 2 회동축(140)에 의해 3차원 공간 상에서 회전됨으로써, 작업자가 적절한 방향에서 적절한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게 한다.
작업대(100)에서 1차 조립작업 즉 조립공정이 완료되면, 그 다음으로 2차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위하여, 이송공정으로서 작업자는 이송장치(200)를 이용하 여 조립상태의 캐리어(10)(도 2 참조)를 파지하고 정밀 조립·검사대(300) 쪽으로 이송한다. 이송장치는 카운터웨이트(250)가 설치된 수직의 기본프레임(210) 및 다른 링크 프레임들이 다수의 회동축(220)으로 연결된 링크 구조를 하고 있으며, 링크 구조의 단부에는 캐리어 파지장치(230)를 갖추고 있다. 작업자는 캐리어 파지장치(230)를 이용하여 작업대에 있는 즉 제 1 위치(1)에 있는 캐리어(10)를 집어 도면에서 예시되어 있는 경로(3)를 거쳐 정밀 조립·검사대(300) 쪽의 제 2 위치(2)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장치(200)를 통해 캐리어(10)가 이송되어 오면, 정밀 조립·검사대(300)에서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정밀 조립·검사대는, 캐리어(10)를 1차로 배치하는 대차(320)와, 대차에 놓인 캐리어(10)를 소정의 위치로 들어올려 포지셔닝하기 위한 정밀 포지셔닝 수단(340)을 포함한다. 캐리어가 포지셔닝되면, 수직이동장치(350)에 의해 각 정밀조정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는 메인플레이트(380)가 캐리어(10)쪽으로 하강한다. 그 다음에, 수평이동장치(370)에 의해 메인플레이트(380)가 캐리어(10)에 근접한 위치로 수평이동됨으로써 정밀조정장치들이 캐리어(10) 상에 가조립되어 있는 각 부품들을 검사하고 정밀 위치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각 부품을 정밀 위치로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에 따라, 여러 방향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부품들을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캐리어 상에 조립하고 이송하며 정밀 조립 및 검사하는 일련의 공정이 한 작업자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용 부품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 이 향상될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중 특히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작업대(100)의 구조 및 이를 사용하는 조립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작업대(100)가 도시된다. 도 4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작업대(100)는 작업대상 즉 캐리어(10)를 파지하고 예컨대 좌우(도면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또는 상하(도면에서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조립 등의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쉽게 이루어지게 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작업대(100)는, 고정된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10)에 예컨대 z축인 제 1 회전축(120)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대해 예컨대 z축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에서 반시계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제 1 회전프레임(130)과; 제 1 회전프레임(130)에 예컨대 x축인 제 2 회전축(140)으로 연결되어 제 1 회전프레임(130)에 대해 예컨대 x축을 중심으로 수직면상에서 회전하는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제 2 회전프레임(150); 및 제 2 회전프레임(150)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캐리어(10)를 파지하는 파지수단(160)을 포함한다. 이밖에, 제어부(170) 및 모니터(180), 그리고 조립 작업을 위한 각종 공구들을 장착할 수 있는 보조 걸이(19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된 지지프레임(110)은 작업 장소에 상기 작업대가 놓여질 수 있게 하는 기초를 제공함과 동시에 캐리어(10)를 회전시킬 때의 기준좌표를 제공한다. 지지프레임(110)은 받침대 역할을 하는 하부프레임(112)과 이를 받치는 다수의 레그(11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작업대(10)의 상부에 모니터(180)나 다른 공구용 보조 걸이(190) 등을 장착하기 위한 상부프레임(118)을 더 갖출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레그(114)에는 바퀴가 장착되어, 전체 작업대(10)를 이동시키기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8)은 하부프레임(112)에 양 측부프레임(116)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의 크기는 한 작업자가 작업하기 충분한 공간을 차지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10)에는 두 개의 회전축(120, 140)에 의해 각각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프레임(130, 150)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전프레임(130, 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U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프레임(130)은 그 하부 프레임(132)에서 제 1 회전축(120)에 의해 지지프레임(110)의 하부 프레임(112) 상에 연결된다. 제 1 회전축(120)은 예컨대 에어실린더인 구동모터(122)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축(124)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 1 회전프레임(130)은 도면의 z축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에서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회전프레임(150)은 그 하부 프레임(152)에서 제 2 회전축(140)에 의해 제 1 회전프레임(130)의 측부 프레임(134, 136)에 각각 연결된다. 제 2 회전축(140)은 예컨대 서보모터인 구동모터(142) 및 연결축(144,146)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 2 회전프레임(150)은 구동모터(142)의 구동에 따라 도면의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회전축을 가진 작업대(100)에 의해,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 대상의 경우에도 자동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 경우, 모니터(180)에는 에어실린더나 서보모터와 같은 구동모터 등이 작동여부가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어부(170)에 설치된 푸시버튼과 같은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180)에는 완료된 부품 조립단계, 현재 진행 중인 부품 조립단계, 진행예정인 부품 조립단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120,140), 예컨대 제 2 회전축(140)은 서보모터(142)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서보모터의 작동은 캐리어(10)의 소정 위치에 소정 부품의 장착여부를 검출하는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기(미도시됨)는 예컨대 헤드램프 조립체가 장착된 후 자동으로 서보모터(142)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따라 캐리어(10)의 사이드램프를 조립하는 위치가 작업자에게 향하도록 제 2 회전프레임(1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원하는 부품을 조립하는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조립과정 전체가 자동화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120)과 제 2 회전축(140)은 서로 평행한 면에 위치하며 서로 직교하도록, 예컨대 z축 및 x축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직교하는 두 회전축만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회전축(120, 140)이 예각을 가지도록 교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프레임들(110, 130, 150), 특히 제 2 회전프레임(150) 상에 캐리어(10)가 장착될 때 캐리어(10)를 고정시키는 파지수단(160)이 제공된다. 파지수단(160)은, 캐리어(10)의 하단을 받쳐주는 하단 지지부재(161)와, 캐리어(10)를 뒤에서 받쳐주는 후면 지지부재(162, 165, 166)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고정된 위치에서 캐리어(10)를 지지하는 고정된 지지부재이다. 이러한 고정된 지지부재로서, 캐리어(1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즉 개구에 삽입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삽입지지형 고정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캐리어(10)의 상단의 양측을 잡아주는 돌출 지지부재(167)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지수단(160)의 각 지지부재는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10)의 형상이나 규격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파지수단의 각 지지부재의 형상이나 위치가 달라져야만 한다. 따라서 캐리어의 형상 및 규격에 따르는 적절한 파지수단을 교체 장착함으로서, 여러 가지 크기 및 규격을 가지는 다양한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작업대(100)를 계속 상기 조립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라, 이들 고정된 지지부재(161, 162, 165, 166, 167)는, 각각 상기 제 2 회전프레임(150)의 하부프레임(152) 및 양 측부프레임(154, 156)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58)을 따라 미끄러짐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여러 가지 규격을 가지는 작업 대상에 따라 그 파지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파지수단(160)에는 전면 파지부재(163) 및 상단 파지부재(168)가 포함 되는데, 이들은 캐리어(10)가 작업대(100)에 없는 상태에서는 열린상태(도 6 참조)인 제1위치에 있다가, 캐리어(10)가 도착하면 이동하여 캐리어(10)의 전면 및 상단을 붙잡는 닫힌상태인 제2위치(도 5 참조)로 이동하는 구성부품을 가진다. 이러한 이동하는 구성부품을 갖는 지지부재는 구체적으로 각각 다수의 관절을 포함하는 링크 구조와 상기 링크 구조(1686; 1636)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1684; 16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링크 구조의 단부에는 캐리어에 접촉되는 접촉부재(1688; 1683)가 형성되어 이 접촉부재가 캐리어를 가압하게 된다. 더 나아가, 삽입지지형 이동 지지부재로서 후면 걸림부재(164)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지지형 이동 지지부재는 캐리어가(10) 소정 위치에 도착한 후 캐리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 안으로 삽입하도록 이동하는 걸림축(1644) 및 상기 걸림축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파지수단의 형태를 갖춘 작업대는, 작업 대상의 장착이 용이하고 장착후에는 작업 대상을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대상을 좌우 및 상하로의 회전 운동시키는 과정이 안정감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2개의 회전축을 가진 작업대(100)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160)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된 예컨대 차량의 헤드램프, 사이드램프, 및 냉각팬 등과 같은 단위 부품들을 여러 위치에 조립하기 위한 기초 부품인 캐리어(10)를, 3차원 상에서 서로 다른 2개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립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중 이송공정에서 사용되는 이송장치(200)의 구조 및 이송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는 이송장치(200)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된다. 이송장치(200)는 캐리어(10)를 이송되기 전 제 1 위치 즉 초기위치(1)에서 목적하는 제 2 위치 즉 타겟위치(2)로 예컨대 화살표(3)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경로를 따라 이송하려는 목적으로 가진다. 도시된 이송 경로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경로가 존재하는 것은 물론이다. 캐리어(10)는 이송장치(200)에 의해 파지되어 3차원 상의 임의의 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조립전 캐리어 입고 위치)에서 캐리어(10)를 작업대(100) 상의 제 1 위치(1)로 이송할 수도 있고, 상기 제 2 위치(2)에서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조립완료후 캐리어 출고 위치)로 이송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장치(200)는 크게, 링크장치 및 파지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장치는 수직으로 고정된 기준프레임(210)에 복수의 링크프레임(212,214,216)이 복수의 회동축(222, 224, 226)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링크프레임이 3개의 회동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링크프레임 및 회동축의 개수가 반드시 3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2개 혹은 4개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송장치(200)는 캐리어(10)를 초기위치(1)에서 파지하여 이송하는 동안 붙잡고 있다가 타겟위치(2)에서 놓아주기 위한 파지장치(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지장치(230)는 링크장치의 일단 즉 기준프레임(210)에서 연결되 어 연장되어 있는 링크프레임들 중 마지막 링크프레임(216)의 단부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파지장치(230)는 캐리어(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2, 14)에 삽입되어 캐리어를 중력에 대해 지지하는 대체로 창 형태의 삽입부재(236)와; 삽입부재(2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캐리어의 소정 부위(16, 18)로 이동하여 삽입부재에 대해 가압하여 지지하는 대체로 링크구조의 가압봉 형태인 가동부재(2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부재(236)와 가동부재(234)에 의해 캐리어(10)는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다. 캐리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장치(230)는 작업자에 의해 초기위치(1)에서 타겟위치(2)로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파지장치(2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어서 파지장치를 다룰 수 있는 손잡이(2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공(12, 14) 및 소정 부위(16, 18)는, 작업대(100)의 파지수단(160)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위치와는 중복되지 않게 형성되며, 또한 정밀 조립·검사대(300)에 의해 파지될 위치와도 중복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장치의 복수의 회동축(222, 224, 226)은 모두 수평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수평회전에 따라, 링크프레임(212, 214, 216)은 기준프레임(21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임의의 거리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회동축(222, 224, 226)의 회전 각도는 작업자가 파지장치(230)에 가하는 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동축(222, 224, 226)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즉 도시된 예에서는 기준프레임(21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제 1 회동축(222)은 수직회전 및 수평회전이 모두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기준프레임(210)에 연결된 제 1 링크프레임(212)이 회동축(222)을 기준으로 위 아래로 움직여져 있는 것이 나타나있는데, 이는 간단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링크프레임(212)의 상하운동에 따라 제 1 링크프레임(212)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회동축(224)과 제 2 링크프레임(214)과 제 3 회동축(226)과 제 3 링크프레임(216)과 연결프레임(218)과 파지장치(230) 및 캐리어(10)도 모두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링크장치를 통하여 캐리어(10)를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3차원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200)에 의하면, 사용자 즉 작업자가 손잡이(232)를 잡아서 파지장치(230)를 초기위치(1)에 놓여져 있는 캐리어(10)에 대해 접근시킨다. 그 다음, 삽입부재(236)를 캐리어(10)의 삽입공(12, 14)에 삽입시키고, 가동부재(234)를 움직여 캐리어의 소정 부위(16, 18)를 가압함으로써 파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손잡이(232)를 잡고 링크프레임(212, 214, 216)을 적절하게 각 회동축(222, 224, 226)에 대해 회동시키면서 목적하는 타겟위치(2)로 이송시킬 수 있다. 타겟위치(2)로 이동한 후, 초기위치(1)에서의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을 통해 캐리어를 타겟위치(2)에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자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무거운 작업대상 예컨대 캐리어(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쉽게 목적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이송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이러한 이송장치(200)는 무거운 캐리어(10)의 무게에 의해 이송장치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카운터웨이트(250)는 캐리어(10)와 다른 링크프레임 등의 무게를 지탱할 정도의 무 게를 가지며, 기준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장치는 제어부(2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특히 손잡이(232)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캐리어(10)를 이송하는 도중에라도 손잡이(232) 근처에 쉽게 손이 닿을 있기 때문에 제어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어부(240)는 다수의 제어 스위치들로 구성된다. 이들 스위치는 회동축의 회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247, 249)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파지장치(230)의 가동부재(234)의 운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캐리어를 옮기는 도중에 손잡이 근처에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브레이크(247, 249) 및 가동부재(23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브레이크(247, 249)는 액추에이터(미도시됨)의 동작에 따라 회동축(222, 224)의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위치 및 방해하지 않는 위치를 왕복 이동하는 브레이크편(미도시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는 이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스위치(242)(도 10 및 도 1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재(23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에어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262)와 이에 연결된 링크구조(264) 및 링크구조(264)의 일단에 연결되어 캐리어(10)를 가압하기 위한 접촉부재(26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는 이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가동부재 스위치(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파지장치(230)를 캐리어(10)가 장착되는 쪽에서 더 자세히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파지장치(230)가 제 3 링크프레임(216)의 단부에서 연결프 레임(218)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 도시된다. 파지장치(230)는 캐리어의 하단측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면 종이의 상부측으로 길게 돌출된 창 형태의 삽입부재(236)와 캐리어의 상단 위측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 링크구조의 가동부재(234)를 포함한다. 이 삽입부재(236)와 가동부재(234)는 대체로 사각형 프레임(231) 및 가로대 형태의 일자 프레임(235)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부재(236) 및 가동부재(234)의 위치는 캐리어(10)의 규격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캐리어(10)의 규격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링크프레임(216)에 연결된 파지장치(230) 만을 따로 분리하여 다른 규격의 파지장치를 붙임으로써 이송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231)에는 캐리어(10)와 일차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예컨대 고무재질의 완충부재(237)가 더 부착됨으로써, 캐리어와 파지장치 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파지장치(230)에 캐리어(10)가 파지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0)의 삽입공(12, 14)에 삽입부재(236)가 삽입되어 그 무게가 지지되고, 가동부재(234)의 접촉부재(266)가 소정 부위(16, 18)를 가압함으로서 캐리어(10)가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캐리어(10)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장치(230)를 위에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손잡이(232)의 위치와 이 손잡이(232)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 즉 브레이크 스위치(242) 및 가동부재 스위치(244)의 위치가 잘 나타나 있다. 또한 가동부재(234)와 삽입부재(236)가 캐리어(10)를 파지하고 있는 형태도 잘 나타나 있다.
도 11은 도 9의 캐리어(10)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장치(230)를 측면에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가동부재(234)의 위치변화가 잘 나타나 있으며, 제어부(240)의 조작 방법이 화살표로 잘 나타나 있다. 즉 작업자는 회동축(222, 224)의 회전을 멈추게 하기 위한 브레이크(247, 249)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스위치(242)의 돌출 바를 위로 꺽어 올리고, 브레이크(247, 249)를 풀어 회동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컨대 스위치(242)의 돌출 바를 아래로 꺽어 내리는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가동부재(234)의 접촉부재(266)가 캐리어(10)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캐리어(10)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예컨대 가동부재 스위치(244)를 한번 누를 수 있다. 그러면, 가동부재(234)의 예컨대 에어 실린더 형태인 액추에이터(262)에 에어가 공급되고 링크구조(264)가 움직여서 결국 접촉부재(266)가 캐리어의 소정 부위(16)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단 접촉부재(266)가 캐리어(10)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부재(266)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 센서 즉 예컨대 리미트스위치(246)가 작동하여 액추에이터(262)가 정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재(266)는 캐리어(10)를 가압하는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후 작업자는 가동부재 스위치(244)를 한번 더 눌러 액추에이터(262)를 다시 작동시키고 이번에는 가동부재가 캐리어를 놓아주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구조의 형상에 따라 멈추게 된다.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이송장치(200)는 제 1 위치(1)에서 제 2 위치(2)로 작업대상 즉 예컨대 차량용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기저부품인 캐리어(10)와 같이 크고 무거운 작업대상을 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송하게 도와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장치(200)의 구체적인 사용예로서, 도 12에는 작업대(100)와 정밀 조립검사대의 대차(320) 사이의 이송을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작업대(100)에서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이송장치(200)를 이용하여 여러 부품이 조립된 상태의 캐리어(10)를 다음의 정밀 조립 및 검사공정을 위한 다른 장치에서 쓰이는 대차(320) 상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송장치(200)의 지지프레임(210)이 제 1 위치(1) 근처, 예컨대 작업대(100)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만 가능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프레임(210)은 필요에 따라, 제 2 위치(2) 근처에 고정될 수도 있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중 특히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에서 사용되는 정밀 조립·검사대(300)의 구조 및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정밀 조립·검사대(300)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다. 도 13에는 캐리어 조립체(10)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이 개시되기 바로 직전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도 13에 보이는 몇몇 장치들이 생략된 형태로 조립·검사대(300)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지시하는 "상", "하", "전", "후", "좌", "우"는 특별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도 13을 기준으로 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캐리어 조립체(10) 를 기준으로 메인 플레이트(380)가 하측으로 내려오고 다시 캐리어 조립체(10)를 향해 수평으로 전진, 즉 도면에서는 후진함으로써,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이 이루어지며, 그 반대방향으로 조립체(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 즉 도면에서는 전진한 다음 상측으로 올라감으로써 메인 플레이트(380)가 처음 위치로 복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 조립·검사대(300)는 특히 하나 이상의 부품이 가조립되어 있는 작업대상 예컨대 차량부품 조립체의 일종인 캐리어 조립체(10)를 전체적으로 지지고정한 후, 각 부품을 정밀 위치로 가압 지지하여, 정밀 위치로 각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고 또한 각 부품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립·검사대이다. 이 조립·검사대(300)는 지지프레임(310), 포지셔닝 수단(312,314,340), 메인 플레이트(380), 파지수단(420,440) 및 정밀지지수단(420a,520,530,540,560,580)을 포함하며, 이밖에 제어유닛(330) 및 모니터(미도시됨), 그리고 조립 작업을 위한 각종 공구들을 장착할 수 있는 보조 걸이(미도시됨)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검사대(300)에는 캐리어 조립체(10)와 같은 작업대상을 초기 위치로 제공하기 위한 대차(320)가 더 포함된다.
지지프레임(310)은 작업 장소에 상기 정밀 조립·검사대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초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 조립체(10)에 정밀지지수단 즉 정밀위치 조정장치들(420a,520,530,540,560,580) 등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 플레이트(380)가 3차원 상에서 이동할 때의 기준좌표를 제공한다.
지지프레임(310)은 전체적으로 지지 기둥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15,316)과 이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317)을 포함한다. 수직프레임(315, 316)은 충분한 폭을 가지고 있어서 조립·검사대 전체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한다. 지지프레임(310)의 크기는 한 작업자가 작업하기 충분한 공간을 차지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차(320)는 각종 부품들이 가조립된 상태의 캐리어 조립체(10)를 지지하여, 조립·검사대(300)에서 작업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정밀 조립 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캐리어 조립체(10)를 다시 후속 공정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대차(320)의 구조는 도 16 및 도 17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6는 캐리어 조립체(10)가 없는 상태의 대차(320)를 도시하는데, 도 16 및 도 17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6 및 도 17의 (b)는 측면도이며, 도 16 및 도 17의 (c)는 평면도이다. 간단히 하기 위해, 도 17에서는 캐리어 조립체(10) 중에서 캐리어 프레임만이 나타나 있다. 대차(320)는, 조립체(10)의 여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26,327,328)와, 파레트(324), 그리고 운반차(322)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조립체(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재(326)와 조립체(10)의 후면을 지지하는 부재(327), 그리고 상단을 지지하는 부재(328)가 있다. 상단을 지지하는 부재(328)는 돌기(328a)가 형성되어 조립체(10)의 양 상단 구석을 걸어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단 지지부재(328)는 프레임(329)으로 연결되어 조립체(10)의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들(326, 327, 328)은 대체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인 파레트(324) 상에 고정 설치된다.
파레트(324)는 예컨대 바퀴가 달려있는 운반차(322)에 실려 있으며, 운반차(322)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된다. 한편, 파레트(324)는 운반차(322)에서 들려 상부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322)의 상단 측부에 돌기(32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파레트(324)의 측부에는 홈부(322a)가 형성되어 서로 물리는 형태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돌기(322a)와 홈부(322a)가 서로 물리면 파레트(324)는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상태를 더 견고히 하기 위하여 운반차(322)의 측단에 접하도록 파레트(324)의 하단부에 돌기(324b, 324c)를 각각 만들어, 운반차(322)의 상부가 상기 돌기(324b, 324c) 사이에 끼이도록 하는 구조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와 홈의 형태를 예시적인 것이며, 파레트(324)를 운반차(32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하는 다른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대차(320)에 캐리어 조립체(10)가 실려서 조립·검사대(300)의 초기 위치로 배치된다. 조립·검사대(300)의 대차(320)가 안내되어 조립체(10)가 미리 결정된 위치 즉 작업개시 위치 또는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수단(312,314,34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포지셔닝 수단은, 안내 수단(312, 314) 및 포지션 유닛(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내수단은 대차(320)의 특히 파레트(324)가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이고, 포지션유닛(340)은 파레트(324)를 약간 들어올려 정확한 작업개시 위치로 배치시키 는 수단이다. 도 15는 도 13의 H-H선에서 본 평면도로서 안내수단의 형태를 보여준다. 안내수단은 지지프레임(310)의 양 수직프레임(315,316)에서부터 연장된 안내프레임(313) 한 쌍이 형성되어, 대차(320)가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공간을 이룬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차(320)가 두 안내프레임(313) 사이에 도착하면 적당한 지점에서 멈추도록 하는 스톱 수단이 더 형성되어 있다. 안내프레임(313)에는 보조안내프레임(312, 314)이 더 형성되어 대차(320) 또는 파레트(324)의 위치를 더 정밀하게 안내하게 할 수 있다. 파레트(324) 양단을 각각 밀어 들어올리기 위한 유닛인 포지션유닛(140)이 안내프레임(113)에 고정되어 있다. 포지션유닛(340)은 에어 실린더(344)와 가동축(346) 및 접촉부재(348)를 포함하며, 접촉부재(348)가 다수인 경우 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47)를 더 포함한다. 대차(320)가 조립·검사대에 도착하면, 포지션유닛(340)의 에어 실린더(344)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여 파레트(324)를 운반차(322)로부터 약간 들어올린다. 이는, 작업 장소의 바닥 상태 등과 같은 여러 조건에 의해 위치 제어 동작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포지션유닛(340)에 의해 작업개시 위치로 캐리어 조립체(10)가 배치되면, 메인 플레이트(380)가 하강하게 된다. 메인 플레이트(380)는 도 13 및 도 14, 도 17 및 도 18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차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메인 플레이트(380)는 수직이동장치(350)와 수평이동장치(370)에 의해, 먼저 수직으로 하강하고 그 다음에 수평하게 조립체(10)와 가까운 방향으로 전진한다.
수직이동장치(350)는 지지프레임의 두 수직프레임(315, 316)을 따라 나란하 게 메인 플레이트(380)를 수직으로 즉 상하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도 14 및 도 18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장치(350)는, 에어실린더(35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드(354)가 링크부재(356)를 개재하여 메인 플레이트(380)에 고정되어 있는 종동가이드(358)에 연결되어 있다. 종동가이드(358)는 수직프레임(315, 316)을 따라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가이드(357)에 의해 안내되어 미끄러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실린더(352)가 작동하면 구동로드(354)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로드(354)의 운동은 링크부재(356)를 통해 종동가이드(358)로 전해지고, 종동가이드(358)가 이송가이드(357)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종동가이드(358)의 이동과 함께 메인 플레이트(38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수직이동장치(350)의 구동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38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380)와 함께, 수평이동장치(370)도 상하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평이동장치(370)는, 도 14 및 도 17을 참조하면, 수직이동장치(350)의 종동가이드(358)에 연결플레이트(360)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동가이드(358)의 이동에 따라, 연결플레이트(360)와 수평이동장치(370) 그리고 메인 플레이트(380)가 함께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장치(370)는 수직이동장치(350)의 운동과는 독립적으로 메인 플레이트(380)를 수평방향에서 조립체(10)에 대해 전진 및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수평이동장치(370)는 연결플레이트(360)에 고정된 에어실린더(37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드(374)가 링크부재(375, 376)를 개재하여 메인 플레이트(380)에 고정되어 있는 종동가이드(378)에 연결되어 있다. 종동가이드(378)는 연결플레이트(360)을 따라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가이드(377)을 따라 미끄러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실린더(372)가 작동하면 구동로드(374)가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하게 되고, 구동로드(374)의 운동은 링크부재(375,376)를 통해 종동가이드(378)로 전해지고, 종동가이드(378)가 이송가이드(377)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종동가이드(378)의 이동과 함께 메인 플레이트(380)가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인 플레이트(380)에는 도 17 및 도 18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체(10)를 전체적으로 파지하는 파지수단(420,440)과 가조립되어 있는 여러 부품들을 정밀하게 가압지지하는 정밀위치 조정장치들(420a, 520, 530, 540, 560, 580)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파지수단 및 정밀위치 조정장치는 메인 플레이트(380) 상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체(10)의 형상이나 규격에 따라, 이러한 고정 위치들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각각의 규격에 따라 여러 개의 메인 플레이트가 제작되고, 필요에 따라 적당한 메인 플레이트를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플레이트(380) 상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수단은, 포지션유닛(340)에 의해 작업개시 위치로 배치된 조립체(10)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지수단은 조립체(10)의 적절한 부위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들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지지로드(420)와 클램핑유닛(44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지지로드(420)는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380)의 중심부분에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길다란 창과 같은 형상을 할 수 있다. 삽입지지로드(420)는, 메인 플레이트(380)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조립체(10)로 접근함에 따라, 조립체(10)의 미리 결정된 부분 예컨대 중심부분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됨으로써 그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클램핑유닛(440)은, 메인 플레이트(380)가 조립체(10)를 향해 전진할 때 일단 조립체(10)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에 삽입된 후 다시 자체 동작으로 후진하여 조립체(10)를 후면에서 후크걸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클램핑유닛(440)은 에어실린더의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긴 창과 같은 회전로드를 구비한다. 조립체(10)는 삽입지지로드(420)의 메인 플레이트(380) 쪽 단부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클램핑유닛(440)의 캠후크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조립체(10)는 삽입지지로드(420)와 클램핑유닛(440)에 의해 그 무게가 지지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도 고정된다.
이와 같이 파지수단(420, 440)에 의해 상, 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단단하게 고정되어진 조립체(10)를 기준으로 하여, 이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420a, 520, 530, 540, 560, 580)에 의해, 각 가조립된 부품들이 조정된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파지수단(420, 440)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되는 부분은 조립체(10)의 캐리어 프레임이며, 각각의 가조립되어 있는 부품들인 헤드램프 등은 이 캐리어 프레임에 대하여 임시적인 위치에서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각 가조립되어 있는 상태의 부품들은 파지수단에 의해 고정된 프레임 캐리어를 기준으로 위치가 정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가조립되어 있는 부품에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조정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메인 플레이트(380)가 조립체(10)에 접근하였을 때, 조립체(10)의 정밀지지할 부분 즉 각각의 가조립된 부품들 근처에 조정장치가 각각 배치되도록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마운팅부재와;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에서 조립체(10)의 각 가조립된 부품들을 접촉하여 가압하는 접촉부재; 및 접촉부재를 정밀지지할 부분에 접하도록 이동시켜 미리 결정된 정밀 위치까지 가압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정밀한 위치인지 여부를 계측하기 위한 게이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조정장치들의 메인 플레이트에 대한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밀위치 조정장치(520, 540, 560, 580)들은 헤드램프(38)를 각각 상하좌우에서 가압지지하면서, 게이지유닛을 통해 기계적으로 자동으로 조립되어야할 정밀한 위치로 배치되도록 한다는 공통의 목적을 가진다. 한편, 후드래치 가압장치(530)는 조립체(10)의 후드래치(34)를 상단에서 가압하는 장치이다.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작업대상인 캐리어 조립체(10)가 대차(320)에 실려 조립·검사대(300)에 도착한 후, 포지션유닛(340)이 작동하여 대차의 파레트(324)를 약간 들어올린다. 그러면, 메인 플레이트(380)가 하강하여, 조립체(10)의 전면에 위치될 때까지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된 후의 모습을 위에서 본 모습이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메인 플레이트(380)와 거기에 장착된 각종의 파지 및 조정장치들이 조립체(10)에 접근한 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삽입지지로드(420)가 조립체(10)의 관통구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지지로드(420)의 메인 플레이트(380)측에 계단면(420a)을 형성하여 조립체(10)의 백빔(36)을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밀 조립·검사대(300)를 사용하는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에서, 조립체(10)가 대차(320)에 실려 운반된 후, 메인플레이트(380)가 하강한 후 수평이동하고, 그후 각 부품에 대해 정밀위치 조정장치들이 가압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정밀위치로 고정되어 있는 각 가조립 상태의 부품에 대하여, 해당 정밀위치에 완전히 고정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각 에어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들의 동작은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짜여져 제어유닛(330)에 내장되어 있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구동장치들의 동작은 작업자가 키보드나 리모콘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조립·검사대(300)의 각 구동장치들의 동작상태는 예컨대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헤드램프의 경우, 게이지유닛에 의해 측정된 결과가 모니터에 출력됨으로써, 정확한 위치값인지 여부를 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정확한 위치값이 아닌 경우, 작업자는 헤드램프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게이지유닛의 계측된 값이 정확한 값과 동일한 값이 되는 위치까지 헤드램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밀 조립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램프의 점등 상태나 쿨링팬의 작동 여부, 그리고 혼의 작동 여부 등이 검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러한 장치들 및 기타 수직이동장치 등등에 포함된 액추에이터 수단이 에어실린더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정밀 조립·검사대에서 사용하는 동력수단이 반드시 에어실린더만을 사용하여야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전기 등을 이용하는 스텝모터 등과 같은 구동모터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채용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말할 필요도 없이 당연하게 예상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정밀 조립·검사대(300)는, 가조립된 여러 부품들이 각각 조립되어야할 정확한 정밀한 위치에 오도록 자동으로 각각 가압하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정밀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조립·검사대이다. 작업자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정밀 위치가 제어되고 에어실린더와 같은 동력을 사용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손쉽게 각 부품을 조립할 수 있어, 차량용 부품의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작업대(100), 이송장치(200) 밀 정밀 조립·검사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공정, 이송공정 및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에 따라, 여러 방향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부품들을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캐리어 상에 조립하고 이송하며 정밀 조립 및 검사하는 일련의 공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용 부품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둔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을 변형하고 수정하며 조합한 다른 실시예들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박스 타입의 조립 방식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대상 즉 차량용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캐리어를 파지하여 여러 방향에서 조립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두 작업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대상을 파지하여 쉽게 이송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작업대상의 각각의 가조립된 부품을 정밀한 위치로 조립하기 쉽게 하도록 하여, 차량용 부품의 조립공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생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복수의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 및 틀을 구비하는 캐리어(10)에 복수의 상기 차량용 부품을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는 조립 및 검사 공정으로서,
    상기 캐리어를 파지하여 2개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2개의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부품을 상기 캐리어 상에 조립하는 조립공정과;
    상기 캐리어를 파지하여 복수의 회동축에 의해 연결된 링크프레임을 이용하여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공정과;
    상기 캐리어 상에 가조립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부품을 정밀한 소정 위치로 가압하여 조립하거나 검사하기 위한 정밀 조립·검사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립공정은
    작업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제 1 회전축으로 연결된 제 1 회전프레임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회전프레임에 제 2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프레임에 대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정; 및
    상기 제 2 회전프레임 상에서 상기 캐리어를 파지하는 파지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공정.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축은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회전 작동은 상기 캐리어의 소정 위치에 소정 부품의 장착여부를 검출하는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정은 :
    상기 캐리어를 삽입부재(236)에 대해 가압하여 파지하는 공정; 과
    상기 삽입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기 캐리어의 소정부위로 가동부재(234)가 이동하여 가압 지지하는 공정; 및
    상기 캐리어가 복수의 링크프레임에 의해 기준프레임으로 된 기본축과 복수의 회동축을 회전하도록 된 공정; 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정은 ;
    상기 회동축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파지장치(230)의 가동부재(234)의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조립 및 검사 공정은 :
    지지프레임(310)에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상기 캐리어(10)가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포지셔닝 공정 ; 과
    메인 플레이트(380)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수직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에 배치된 상기 캐리어로 접근하는 공정 ; 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캐리어로 접근하였을 때 상기 캐리어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파지하고 상기 캐리어가 지지되도록 미리 결정된 부분의 위치를 정밀하게 지지하는 공정 ; 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공정은
    캐리어(10)가, 상기 캐리어를 파지하여 지지하는 파레트(324)와 상기 파레트(324)의 하부로부터 지지하여 상기 파레트(324)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322)로 이루어진 대차에 의해 안내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
KR1020030075109A 2003-10-27 2003-10-27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KR10054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09A KR100549411B1 (ko) 2003-10-27 2003-10-27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09A KR100549411B1 (ko) 2003-10-27 2003-10-27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007A KR20050040007A (ko) 2005-05-03
KR100549411B1 true KR100549411B1 (ko) 2006-02-03

Family

ID=3724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109A KR100549411B1 (ko) 2003-10-27 2003-10-27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77B1 (ko) 2016-06-29 2017-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런트 판넬 휀더 헤드 램프 마운팅부 검수 게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1382B (zh) * 2012-09-10 2014-12-10 方新宇 一种自动纠偏排线分割器
KR101963085B1 (ko) * 2018-07-11 2019-03-27 박수기 작업대용 작업대지그 인터체인지 지그 일체형 이동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77B1 (ko) 2016-06-29 2017-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런트 판넬 휀더 헤드 램프 마운팅부 검수 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007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4131B2 (ja) 加工品における製造工程を行なうための装置
JP4367666B2 (ja) ねじ締付装置
CN111590226B (zh) 一种汽车车身侧围外板总成的焊接产线
CN106824829A (zh) Ict转盘测试机
US20140230230A1 (en) Reconfigurable interface assembly, adaptable assembly line work-piece processor, and method
CN107263076B (zh) 一种自动拧紧工作站
JP2016159363A (ja) ロボット式ハンドラーを備えた鍛造成型機
WO2016152968A1 (ja) 加工装置
KR2015008078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US6918577B2 (en) Tooling plate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CN207076683U (zh) Ict转盘测试机
KR100549411B1 (ko) 캐리어를 이용하는 차량 부품 조립 및 검사 공정
KR100566485B1 (ko) 정밀 조립·검사대
KR100710748B1 (ko) 다기능 작업대
JP2001205485A (ja) 自動加工装置
KR101670712B1 (ko) 부품 제조용 리벳팅 머신
JP2002239787A (ja) 溶接方法及び溶接システム
JP4336667B2 (ja) 組立方法及び組立装置
KR100541169B1 (ko) 이송장치
US20040055147A1 (en) Process line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CN219212137U (zh) 用于本体与焊接件相焊接的全自动焊接工装机
CN114799688B (zh) 搅拌车的前台铆焊定位工装、制作产线及方法
CN211997687U (zh) 一种工件移载机
CN220612181U (zh) 一种基于视觉定位的双工位铆钉机
JP2549036Y2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