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153B1 -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153B1
KR102208153B1 KR1020200157426A KR20200157426A KR102208153B1 KR 102208153 B1 KR102208153 B1 KR 102208153B1 KR 1020200157426 A KR1020200157426 A KR 1020200157426A KR 20200157426 A KR20200157426 A KR 20200157426A KR 102208153 B1 KR102208153 B1 KR 10220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elevating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섭
이수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산
Priority to KR102020015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되는 로울러 휠의 둘레면을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휠(2)을 가압고정하는 회전부재(40)의 측면에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2)가 휠(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b)에 삽입되어, 회전부재(40)가 회전될 때 회전부재(40)와 휠(2)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휠(2)의 둘레면을 정확히 가공하지 못하거나, 휠(2)의 양면에 긁힌 자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자동으로 휠(2)을 공급한 후, 가공하여 배출함으로, 휠(2)을 가공하는 과정 전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roller wheel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되는 로울러 휠의 둘레면을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의 창문들에 설치되는 창호용 로울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의 상하측에 고정되는 금속재의 바디(1)와, 상기 바디(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휠(2)로 구성된다.
상기 휠(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측면이 매끈한 평면을 이루면서, 중앙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a)이 형성된 디스크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휠(2)의 둘레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할 때는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휠(2)의 둘레면을 정해진 형태대로 가공하게 된다.
상기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상기 휠(2)이 올려지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휠(2)의 관통공(2a)에 대응되는 결합공(3b)이 형성되며 구동모터(3a)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부재(3)와, 상기 지지부재(3)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하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부재(3)의 결합공(3b)에 삽입되는 지지축(4a)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4b)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재(4)와,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후진구동수단(5a)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에 올려진 휠(2)의 둘레면으로 전후진되는 가공용 툴(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의 상면에 휠(2)이 공급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4)가 하강되어 지지축(4a)이 휠(2)의 관통공(2a)을 관통하여 지지부재(3)의 결합공(3b)에 십압되며, 상기 지지부재(3)가 회전되면, 상기 가공용 툴(5)이 휠(2)의 둘레면으로 전진하여 지지부재(3)와 함께 회전되는 휠(2)의 둘레면을 정해진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둘레면이 매끈한 평면형태를 구성됨으로, 휠(2)이 상기 지지부재(3)와 승강부재(4)에 의해 양면이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용 툴(5)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할 때, 휠(2)에 가해지는 저항력에 의해 휠(2)과 지지부재(3) 및 승강부재(4)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휠(2)의 둘레면을 정확히 가공하지 못하거나, 휠(2)의 양면에 긁힌 자국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상기 지지부재(3)의 상면에 정확히 휠(2)을 올려놓고, 가공이 완료된 휠(2)은 배출을 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지지부재(3)에 휠(2)을 올려놓거나 가공이 완료된 휠(2)을 배출하는 작업이 수작업을 이루어짐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8743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호에 설치되는 로울러 휠(2)의 둘레면을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되는 로울러용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휠(2)의 중앙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a)이 형성되고, 상기 로울러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2b)이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된 공급가이드(20)와, 상기 공급가이드(20)에 연결되어 공급가이드(20)의 내부로 관통공(2a)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공급하는 정렬공급수단(31)과, 상기 공급가이드(20)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진구동수단(32a)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내부로 공급된 휠(2)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바(32)와, 상기 지지대(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33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블록(33)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승강블록(3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부재(34b)에 의해 하단에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가압되어 상기 푸쉬바(32)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는 휠(2)의 전방 둘레부를 가압하여 휠(2)이 상기 푸쉬바(32)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바(34)와, 일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41)에 의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45)에 의해 회전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휠(2)에 형성된 삽입홈(2b)에 삽입되는 돌출부(42)가 형성되고 타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휠(2)의 관통공(2a)에 대응되는 결합홈(43)이 형성된 회전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40)와 마주보도록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 타측에 위치되어 측방향실린더기구(53)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0)쪽으로 전후진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홈(43)에 삽입되는 지지축(52a)이 구비된 가압부재(50)와,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에 구비되며 전방실린더기구(61)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휠(2)쪽으로 슬라이드되어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하는 가공용 툴(60)과, 상기 전후진구동수단(32a)과 승강구동수단(33a)과 구동모터(45)와 측방향실린더기구(53) 및 전방실린더기구(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상부지지대(1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2)는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판(12a)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12a)에는 상기 휠(2)이 통과하는 공급공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a)의 전면에는 상기 공급공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판(71,72)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하부지지대(1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5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1)에서 상기 회전부재(40)를 향하는 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52a)이 구비된 밀착판(52)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50)쪽에 위치된 제1 연장판(71)에는 상기 밀착판(52)이 통과하는 관통공(7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71a)의 지름은 상기 휠(2)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밀착판(52)이 상기 회전부재(40)쪽으로 전진한 후 후퇴될 때 상기 지지축(52a)에 결합된 휠(2)이 상기 제1 연장판(71)에 걸려 지지축(52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상부지지대(1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11)는 평면형태의 상판(11a)을 갖는 테이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1a)에는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단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출공(11b)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b)에는 배출가이드(11c)가 연결되어, 가공이 완료된 휠(2)이 상기 배출공(11b)과 배출가이드(11c)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가이드(11c)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지름을 측정하는 지름측정수단(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름측정수단(90)은 상기 배출공(11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출가이드(11c)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부재(91)와, 상기 승강부재(91)에 연결되어 승강부재(91)를 정해진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승강에어실린더(92)와, 상기 승강부재(91)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94)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보조승강부재(93)와, 상기 보조승강부재(93)의 상면에 측방향의 회전축(95a)을 갖도록 결합되며 승강부재(91)의 상승시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착휠(95)과, 보조승강부재(93)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에 의해 승강부재(9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출몰되는 높이를 측정하는 리니어스케일(96)과, 상기 밀착휠(95)에 구비되어 밀착휠(95)이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97)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된 경보수단(98)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회전감지수단(97)과 리니어스케일(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를 제어하여 승강부재(91)가 정해진 높이만큼 상승되도록 한 후 상기 회전감지수단(9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밀착휠(95)이 회전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밀착휠(95)이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둘레면에 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리니어스케일(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하강된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값이 미리 입력된 높이값과 다를 경우, 상기 휠(2)의 가공에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98)을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휠(2)을 가압고정하는 회전부재(40)의 측면에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2)가 휠(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b)에 삽입되어, 회전부재(40)가 회전될 때 회전부재(40)와 휠(2)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휠(2)의 둘레면을 정확히 가공하지 못하거나, 휠(2)의 양면에 긁힌 자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자동으로 휠(2)을 공급한 후, 가공하여 배출함으로, 휠(2)을 가공하는 과정 전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호용 로울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로울러용 휠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와 (b)는 일반적인 로울러용 휠의 형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휠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휠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창호용 로울러 휠(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a)이 형성되어, 창호에 설치되는 로울러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로울러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2b)이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된 공급가이드(20)와, 상기 공급가이드(20)에 연결되어 공급가이드(20)의 내부로 관통공(2a)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공급하는 정렬공급수단(31)과, 상기 공급가이드(20)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진구동수단(32a)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내부로 공급된 휠(2)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바(32)와, 상기 지지대(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33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블록(33)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승강블록(3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바(34)와,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푸쉬바(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휠(2)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회전부재(40) 및 가압부재(50)와,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에 구비되며 전방실린더기구(61)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휠(2)쪽으로 슬라이드되어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하는 가공용 툴(60)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상부지지대(1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1)는 평면형태의 상판(11a)을 갖는 테이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판(11a)에는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단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출공(11b)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b)에는 배출가이드(11c)가 연결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공이 완료된 휠(2)이 상기 배출공(11b)과 배출가이드(11c)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12)는 상기 상판(11a)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판(12a)과, 상기 지지판(12a)의 상단에 결합된 수평판(12b)과, 상기 수평판(12b)의 전방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12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a)에는 상기 휠(2)이 통과하는 공급공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급가이드(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양측판(21)과, 상기 양측판(21)의 후단부를 막는 후면판(2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판(12)의 후측면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후면판(22)의 상하방향 길이는 양측판(21)의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되어, 공급가이드(20)의 후측면 상단에 상기 휠(2)이 공급되는 공급부(23)가 형성되고, 공급가이드(20)의 후측면 하단에는 상기 푸쉬바(32)가 삽입되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가이드(20)는 내부에 상기 휠(2)을 공급하면, 휠(2)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렬공급수단(3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2a)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부지지대(11)의 상판(11a)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급된 진동식 피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공급가이드(20)의 공급부(23) 연결되는 연결관(31a)이 구비된다.
상기 푸쉬바(3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사각의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공급가이드(20)의 개구부(24)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단부 하측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내부에 적재된 휠(2)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2b)가 형성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32a)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판(11a)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가이드(20)에 연결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32a)에 의해 푸쉬바(32)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내부에 적재된 휠(2)이 상기 푸쉬바(32)의 전면과 지지부(32b)에 안착되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32a)에 의해 푸쉬바(32)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휠(2)이 지지부(32b)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공급공(12d)을 통해 지지판(12a)의 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승강블록(33)은 상기 지지판(12a)의 전면에 상기 공급공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전면에는 회동브라켓(33b)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33a)은 상기 지지판(12a)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블록(33)에 연결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가압바(34)는 상단이 회동축(34a)에 의해 상기 회동브라켓(33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34b)에 의해 하단에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가압되어 상기 푸쉬바(32)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는 휠(2)의 전방 둘레부를 가압하여 휠(2)이 상기 푸쉬바(32)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4b)는 상기 회동축(34a)에 결합되며 양단이 회동브라켓(33b)과 가압바(34)에 고정되어, 가압바(34)의 하단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회전부재(4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측방향(전방에서 볼 때 좌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41)에 의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 일측, 즉,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공급공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45)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우측면에는 상기 휠(2)에 형성된 삽입홈(2b)에 삽입되는 돌출부(42)가 형성되고, 우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휠(2)의 관통공(2a)에 대응되는 결합홈(4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블록(44)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45)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2)의 상면에 구비되며, 풀리(47)와 벨트(46)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40)에 연결된다.
상기 가압부재(5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0)를 마주보도록 공급가이드(20)의 전방 타측, 즉,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공급공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판(11a)에 구비되어, 측방향실린더기구(53)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0)쪽으로 전후진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판(11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5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1)의 좌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면에는 상기 회전블록의 결합홈(43)에 삽입되는 지지축(52a)이 구비된 밀착판(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방향실린더기구(53)는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51)에 연결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밀착판(52)은 지름이 상기 휠(2)의 지름에 비해 작은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우측면에 구비된 회전축(52b)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블록(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측방향실린더기구(53)는 상기 하부지지대(11) 상판(11a)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51)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51)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a)의 전면에는 상기 공급공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판(71,7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50)쪽, 즉, 상기 공급공의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연장판(71)은 상기 가압부재(50)의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제1 연장판(71)에는 상기 밀착판(52)이 통과하는 관통공(71a)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71a)은 지름이 상기 밀착판(52)의 지름에 비해 크고 상기 휠(2)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된다.
상기 가공용 툴(60)은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휠(2)이 고정되는 위치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11a)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공구대(62)와, 상기 공구대(62)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바이트(63)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실린더기구(61)는 상기 공구대(62)에 연결되어 가공용 툴(6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80)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전후진구동수단(32a)과 승강구동수단(33a)과 구동모터(45)와 측방향실린더기구(53) 및 전방실린더기구(6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32)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고, 승강블록(33)과 가압바(34)가 하강되며 상기 가압부재(50)가 우측으로 후퇴되고 가공용 툴(6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공급수단(31)이 작동되어 상기 공급가이드(20)에 복수개의 휠(2)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공급한다.
이때, 상기 휠(2)은 후측면과 하측면이 상기 푸쉬바(32)의 전면과 지지부(32b)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32a)을 제어하여 푸쉬바(32)를 전방으로 밀어내면, 상기 휠(2)이 상기 공급공(12d)을 통해 지지판(12a)의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가압바(34)의 하단 후측면이 상기 휠(2)의 전면에 밀착되며, 휠(2)이 전진됨에 따라 상기 가압바(34)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휠(2)이 상기 푸쉬바(32)의 전면과 지지부(32b)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푸쉬바(32)가 완전히 전방으로 전진되면, 상기 휠(2)은 관통공(2a)이 상기 회전부재(40)에 형성된 결합홈(43)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방향실린더기구(53)를 제어하여 상기 가압부재(50)가 상기 회전부재(40)쪽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50)의 밀착판(52)은 상기 제1 연장판(71)의 관통공(71a)을 통과한 후, 밀착판(52)의 지지축(52a)이 상기 휠(2)의 관통공(2a)에 삽입되며, 밀착판(52)이 더욱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면, 밀착판(52)이 상기 푸쉬바(32)에 의해 지지된 휠(2)의 우측면에 밀착되어 휠(2)을 좌측으로 밀어냄으로써, 휠(2)이 상기 회전부재(40)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휠(2)의 양측면이 회전부재(40)와 밀착판(52)에 밀착되면서, 회전부재(40)의 돌출부(42)가 휠(2)에 형성된 삽입홈(2b)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45)를 구동시켜 회전부재(40)와 휠(2) 및 밀착판(52)이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구동수단(33a)을 제어하여 승강블록(33)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가압바(34)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바(34)가 상승되면, 상기 탄성부재(34b)에 의해 가압바(34)의 하단이 후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전방실린더기구(61)를 제어하여 가공용 툴(60)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용 툴(60)의 바이트(63)가 상기 회전부재(40)와 밀착판(52)에 이해 회전되는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공용 툴(60)이 정해진 거리만큼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휠(2)의 둘레면이 정해진 형태대로 가공되면,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실린더기구(61)를 제어하여 가공용 툴(6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고, 상기 측방향실린더기구(53)를 제어하여 가압부재(50)를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휠(2)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때, 상기 휠(2)은 상기 밀착판(52)의 지지축(52a)에 끼워진 상태로 우측으로 후퇴되는데, 상기 가압부재(50)의 밀착판(52)은 상기 제1 연장판(71)에 형성된 관통공(71a)을 통과하여 후퇴됨으로, 밀착판(52)의 지지축(52a)에 끼워진 휠(2)이 상기 제1 연장판(71)에 걸려 지지축(52a)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지축(52a)으로부터 이탈된 휠(2)은 하측으로 낙하하여 상기 배출공(11b)과 배출가이드(11c)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어, 배출가이드(11c)의 하측에 위치된 수집통에 수집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휠(2)을 가압고정하는 회전부재(40)의 측면에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2)가 휠(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b)에 삽입되어, 회전부재(40)가 회전될 때 회전부재(40)와 휠(2)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휠(2)의 둘레면을 정확히 가공하지 못하거나, 휠(2)의 양면에 긁힌 자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자동으로 휠(2)을 공급한 후, 가공하여 배출함으로, 휠(2)을 가공하는 과정 전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의 지지판(12a)에는, 상기 휠(2)이 통과하는 공급공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a)의 전면에는 상기 공급공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판(71,72)이 구비되고, 제1 연장판(71)에는 상기 밀착판(52)이 통과하는 관통공(7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71a)의 지름은 상기 휠(2)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밀착판(52)이 상기 회전부재(40)쪽으로 전진한 후 후퇴될 때 상기 지지축(52a)에 결합된 휠(2)이 상기 제1 연장판(71)에 걸려 지지축(52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밀착판(52)을 후퇴시킬 때, 휠(2)이 상기 지지축(52a)에 걸린 상태로 밀착판(52)과 함께 후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출가이드(11c)에는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지름을 측정하는 지름측정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지름측정수단(90)은 상기 배출공(11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출가이드(11c)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부재(91)와, 상기 승강부재(91)에 연결되어 승강부재(91)를 정해진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승강에어실린더(92)와, 상기 승강부재(91)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94)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보조승강부재(93)와, 상기 보조승강부재(93)의 상면에 측방향의 회전축(95a)을 갖도록 결합되며 승강부재(91)의 상승시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착휠(95)과, 보조승강부재(93)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에 의해 승강부재(9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승강되는 높이를 측정하는 리니어스케일(96)과, 상기 밀착휠(95)에 구비되어 밀착휠(95)이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97)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된 경보수단(98)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가이드(11c)에는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고정된 휠(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가이드공(11d)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9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삽입공(91a)이 오목하게 형성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1d)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보조승강부재(93)는 하단이 상기 삽입공(9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단에 브라켓(93a)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94)는 보조승강부재(93)의 하단에 연결되어 보조승강부재(93)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밀착휠(95)은 상기 브라켓(93a)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9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리니어스케일(96)은 상기 삽입공(91a)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승강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80)으로 출력한다.
상기 회전감지수단(97)은 상기 회전축(95a)에 구비된 회전감지센서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가공용 툴(60)을 전진시켜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의 사이에 고정된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한 후,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용 툴(60)을 후퇴시키고,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를 제어하여 승강부재(91)를 정해진 거리만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가 승강부재(91)를 상승시키는 거리는, 상기 승강부재(91)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휠(95)의 상면으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휠(2)의 하측면까지의 거리에 비해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를 제어하여 승강부재(91)를 상승시키면, 먼저 상기 밀착휠(95)이 가공이 완료된 휠(2)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밀착휠(95)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91)를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시키면, 상기 탄성부재(94)가 압축되면서 보조승강부재(93)가 승강부재(91)의 내부로 하강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회전감지수단(9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밀착휠(95)이 회전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밀착휠(95)이 회전부재(40)와 밀착부재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휠(2)의 하측면에 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리니어스케일(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하강된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값이 미리 입력된 값과 다를 경우, 상기 휠(2)의 가공에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98)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불량이 발생된 것을 알리게 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91)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휠(95)의 상측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재(40)와 밀착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휠(2)의 중앙부까지의 거리는 알려져 있음으로, 상기 승강부재(91)를 정해진 거리만큼 상승시겼을 때,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승강부재(91)내부로 삽입되는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휠(2)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상기 휠(2)이 정확한 지름으로 가공되었을 때, 상기 승강부재(91)를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시키면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승강부재(91)의 내부로 삽입되는 높이값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승강부재(91)가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리니어스케일(96)에 의해 측정된 높이값이 미리 입력된 높이값과 다를 경우, 상기 휠(2)의 가공에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98)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는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가공장치의 작동오류나 바이트(63)의 마모에 따라 휠(2)이 정확히 가공되지 못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대 20. 공급가이드
31. 정렬공급수단 32. 푸쉬바
33. 승강블록 34. 가압바
40. 회전부재 50. 가압부재
60. 가공용 툴 80. 제어수단

Claims (3)

  1. 창호에 설치되는 로울러용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휠(2)의 중앙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a)이 형성되고,
    상기 로울러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2b)이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된 공급가이드(20)와,
    상기 공급가이드(20)에 연결되어 공급가이드(20)의 내부로 관통공(2a)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공급하는 정렬공급수단(31)과,
    상기 공급가이드(20)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진구동수단(32a)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내부로 공급된 휠(2)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바(32)와,
    상기 지지대(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33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블록(33)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승강블록(3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부재(34b)에 의해 하단에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가압되어 상기 푸쉬바(32)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는 휠(2)의 전방 둘레부를 가압하여 휠(2)이 상기 푸쉬바(32)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바(34)와,
    일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41)에 의해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45)에 의해 회전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휠(2)에 형성된 삽입홈(2b)에 삽입되는 돌출부(42)가 형성되고 타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휠(2)의 관통공(2a)에 대응되는 결합홈(43)이 형성된 회전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40)와 마주보도록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 타측에 위치되어 측방향실린더기구(53)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0)쪽으로 전후진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홈(43)에 삽입되는 지지축(52a)이 구비된 가압부재(50)와,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방에 구비되며 전방실린더기구(61)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휠(2)쪽으로 슬라이드되어 휠(2)의 둘레면을 가공하는 가공용 툴(60)과,
    상기 전후진구동수단(32a)과 승강구동수단(33a)과 구동모터(45)와 측방향실린더기구(53) 및 전방실린더기구(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상부지지대(1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2)는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판(12a)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12a)에는 상기 휠(2)이 통과하는 공급공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a)의 전면에는 상기 공급공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판(71,72)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하부지지대(1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5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1)에서 상기 회전부재(40)를 향하는 쪽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52a)이 구비된 밀착판(52)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50)쪽에 위치된 제1 연장판(71)에는 상기 밀착판(52)이 통과하는 관통공(7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71a)의 지름은 상기 휠(2)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밀착판(52)이 상기 회전부재(40)쪽으로 전진한 후 후퇴될 때 상기 지지축(52a)에 결합된 휠(2)이 상기 제1 연장판(71)에 걸려 지지축(52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상부지지대(1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11)는 평면형태의 상판(11a)을 갖는 테이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1a)에는 상기 공급가이드(20)의 전단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출공(11b)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b)에는 배출가이드(11c)가 연결되어, 가공이 완료된 휠(2)이 상기 배출공(11b)과 배출가이드(11c)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가이드(11c)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지름을 측정하는 지름측정수단(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름측정수단(90)은
    상기 배출공(11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출가이드(11c)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부재(91)와,
    상기 승강부재(91)에 연결되어 승강부재(91)를 정해진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승강에어실린더(92)와,
    상기 승강부재(91)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94)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보조승강부재(93)와,
    상기 보조승강부재(93)의 상면에 측방향의 회전축(95a)을 갖도록 결합되며 승강부재(91)의 상승시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착휠(95)과,
    보조승강부재(93)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에 의해 승강부재(9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출몰되는 높이를 측정하는 리니어스케일(96)과,
    상기 밀착휠(95)에 구비되어 밀착휠(95)이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97)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된 경보수단(98)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회전감지수단(97)과 리니어스케일(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에어실린더(92)를 제어하여 승강부재(91)가 정해진 높이만큼 상승되도록 한 후 상기 회전감지수단(9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밀착휠(95)이 회전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밀착휠(95)이 상기 회전부재(40)와 가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가공이 완료된 휠(2)의 둘레면에 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리니어스케일(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승강부재(93)가 하강된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값이 미리 입력된 높이값과 다를 경우, 상기 휠(2)의 가공에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98)을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KR1020200157426A 2020-11-23 2020-11-23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KR10220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426A KR102208153B1 (ko) 2020-11-23 2020-11-23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426A KR102208153B1 (ko) 2020-11-23 2020-11-23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153B1 true KR102208153B1 (ko) 2021-01-27

Family

ID=7423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426A KR102208153B1 (ko) 2020-11-23 2020-11-23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26A1 (en) * 2021-06-11 2022-12-15 Bmc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r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of back pressure unit automaticall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794A (en) * 1993-03-01 1994-03-15 Mosey George N Turning and boring machine for rings
KR200187436Y1 (ko) 2000-02-02 2000-07-01 향상산업주식회사 창문용 호차
CN203791634U (zh) * 2014-04-09 2014-08-27 常山县双明轴承有限公司 轴承车加工自动化装置
KR20170044936A (ko) * 2015-10-16 2017-04-26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용 호차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797175B1 (ko) * 2017-03-24 2017-11-13 최준익 링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KR101970189B1 (ko) * 2018-04-12 2019-04-19 김순득 샤프트 가공장치
CN209139832U (zh) * 2018-11-29 2019-07-23 宁波三钻工业有限公司 一种圆钢的端部车削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794A (en) * 1993-03-01 1994-03-15 Mosey George N Turning and boring machine for rings
KR200187436Y1 (ko) 2000-02-02 2000-07-01 향상산업주식회사 창문용 호차
CN203791634U (zh) * 2014-04-09 2014-08-27 常山县双明轴承有限公司 轴承车加工自动化装置
KR20170044936A (ko) * 2015-10-16 2017-04-26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용 호차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797175B1 (ko) * 2017-03-24 2017-11-13 최준익 링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KR101970189B1 (ko) * 2018-04-12 2019-04-19 김순득 샤프트 가공장치
CN209139832U (zh) * 2018-11-29 2019-07-23 宁波三钻工业有限公司 一种圆钢的端部车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26A1 (en) * 2021-06-11 2022-12-15 Bmc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r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of back pressure unit automatical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273B1 (ko) 풀리 자동검사장치
KR102208153B1 (ko)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KR102272903B1 (ko) 수평식 드릴링 가공장치
CN110285151B (zh) 一种自动铆钉球安装设备
CN112974284B (zh) 一种集成ic检测系统
CN214445463U (zh) 一种全自动型多级油缸抛光机
CN113418809A (zh) 一种钢板硬度在线检测设备
CN111420891A (zh) 轮毂圆度自动检测分料装置
KR101979549B1 (ko) 금속봉 자동 절단장치
CN113814187B (zh) 一种全自动上下料齿轮轴扭矩检测装置及方法
CN110617789A (zh) 快速准确检测厚度的软包电池测厚机及测厚方法
CN116174322A (zh) 一种轴类零件长度自动检测设备
CN113042930B (zh) 电枢片自动检测设备
CN205465069U (zh) 一种具有检测装置的凸轮轴自动装配设备
KR102260070B1 (ko) 판재절단장치
CN111085457B (zh) 一种雨刮传动组件扭矩在线检测自动化系统
CN210565837U (zh) 一种自动铆钉球安装设备
CN112474437A (zh) 微电机换向器片间耐电压全自动智能检测设备
KR20100111111A (ko)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CN117367239B (zh) 一种塑料制品厚度检测装置
KR19980023276A (ko) 패널과 편광판 부착장치 및 방법
CN213714278U (zh) 同轴度检测机构
CN213762941U (zh) 一种微电机换向器片间耐电压全自动智能检测设备
CN117324967B (zh) 重载生产线
CN117705620B (zh) 一种cnc磨头硬度测试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