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436Y1 - 창문용 호차 - Google Patents
창문용 호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7436Y1 KR200187436Y1 KR2020000002824U KR20000002824U KR200187436Y1 KR 200187436 Y1 KR200187436 Y1 KR 200187436Y1 KR 2020000002824 U KR2020000002824 U KR 2020000002824U KR 20000002824 U KR20000002824 U KR 20000002824U KR 200187436 Y1 KR200187436 Y1 KR 2001874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guide
- window
- inner body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면에 형성된 삽지부의 양측에 볼트공을 갖는 고정편을 고정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설치공을 갖는 접촉부를 형성하며, 그 설치공의 양측으로는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편이 형성된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삽지부를 통해 결합되어 내부몸체의 중앙부에는 내부로 절곡된 돌출편을 갖는 안내장공을 형성히고, 그 안내장공의 양측에는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면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편이 슬라이드 될 수 있게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위치 조절공이 형성 내부몸체와, 상기 위치 조절공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너트와, 상기 내부몸체의 결합공에 축설되는 로울러로 구성하여 창문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로울러 뿐만 아니라 너트, 가이드편 및 가이드부, 안내장공에 축설된 리벳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창문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고, 또한 내부몸체에 마찰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의 닿는 면적이 점접촉하게 되어 창문을 여닫을 시 발생되는 마찰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창문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창문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창문용 호차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무게를 감소시키며, 창문을 여닫을 시 발생되는 마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창문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용 호차는 미닫이 문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울러가 레일을 타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문을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창문용 호차를 도 1 및 도 2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안내장공(102)이 형성되고 그 안내장공(102)의 양측으로 높이조절용 수직 장홈부(104)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볼트공(106)이 형성된 외부몸체(100)와, 상기 외부몸체(100)에 내설되고 중앙에는 상기 안내장공(102)에 끼워지는 돌기(112)가 형성되며, 그 돌기(112)의 양측에는 상기 높이조절용 수직 장홈부(104)에 교차하는 높이 조절용 경사 장홈부(114)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 단부는 후면측으로 절곡되어 고정될 수 있게 조절공(116a)을 갖는 연장단(116)이 형성되어 조절나사(12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내부몸체(110)와, 상기 높이조절용 수직 장홈부(104)와 높이조절용 경사 장홈부(114)에 축설된 로울러(13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문용 호차의 로울러(130)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볼트공(106)과 조절공(116a)에 관통된 조절나사(120)를 돌려주게 되면 내부몸체(110)가 좌우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높이조절용 경사 장홈부(114)와 높이조절용 수직 장홈부(104)의 교차지점에 위치한 축이 상하로 이동되어 로울러(13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렇게 로울러(13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창문용 호차는 창문이 대형화되고 있는 현재 추세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형화된 창문에 창문용 호차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창문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2개의 로울러(130)에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하는데, 창문을 여닫는 과정에서 한쪽 로울러(130)에만 하중이 집중되어 조기에 마모가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이에 따라 창문이 흔들거리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요인이 야기되었다.
또한, 내부몸체(110)가 외부몸체(100)의 내부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있어 닿는 면적이 많아 창문을 여닫을 경우 마찰음이 크게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부몸체(110)의 연장단(116)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창문용 호차의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창문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창문용 호차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무게를 감소시키며, 창문을 여닫을 시 발생되는 마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저면에 삽지부가 형성되고, 그 삽지부의 양측에는 중앙에 볼트공을 갖는 고정편이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설치공을 갖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의 양측으로는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편이 형성된 외부몸체; 상기 외부몸체의 삽지부를 통해 결합되어 리벳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중앙부에 내부로 절곡된 돌출편을 갖는 안내장공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안내장공의 양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면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편이 슬라이드 될 수 있게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위치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내부몸체; 중앙에 너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위치 조절공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볼트공과 너트공을 통해 끼워져 내부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결합공을 통해 끼워지는 리벳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몸체의 전후면에는 마찰방지돌기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용 호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호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호차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7a,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몸체 12 : 삽지부
14 : 고정편 14a : 볼트공
16 : 접촉부 16a : 설치공
18 : 가이드편 20 : 내부몸체
21 : 안내장공 21a : 돌출편
22 : 결합공 23 : 가이드부
24 : 위치 조절공 25 : 개구부
26 : 마찰방지돌기 30 : 너트
32 : 너트공 40 : 조절나사
50 : 로울러 60,62 : 리벳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호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호차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C-C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7a,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써, 본 고안 창문용 호차는 외부몸체(10), 내부몸체(20), 너트(30), 로울러(50)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몸체(10)는 저면에 삽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삽지부(12)의 양측에는 중앙에 볼트공(14a)을 갖는 고정편(14)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설치공(16a)을 갖는 접촉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공(16a)의 양측 상단부에는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편(18)으로 구성된 것이다.
내부몸체(20)는 상기 외부몸체(10)의 삽지부(12)를 통해 내설되는 것으로, 상면에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내부로 절곡된 돌출편(21a)을 갖는 안내장공(2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내장공(21)의 양측에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편(18)이 슬라이드 될 수 있게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마찰방지돌기(26)가 돌출 형성된 구성이다.
너트(30)는 중앙에 너트공(32)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몸체(20)에 형성된 위치 조절공(24)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몸체(20)의 결합공(22)과 너트(30)의 너트공(32)에는 조절나사(40)가 결합되어 내부몸체(2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로울러(50)는 상기 내부몸체(20)의 개구부(25)를 통해 삽입되고 결합공(22)을 통해 끼워진 리벳(62)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창문용 호차는 내부몸체(20)의 개구부(25)를 통해 로울러(50)을 끼운다. 그러면 내부몸체(20)의 결합공(22)과 로울러(50)의 삽지공(52)은 일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공(22)과 삽지공(52)을 통해 리벳(62)으로 로울러(50)를 축설시키고, 위치 조절공(24)에는 너트(30)를 결합시킨다.
상기한 내부몸체(20)에 로울러(50)가 설치되면, 상기 내부몸체(20)를 외부몸체(10)의 삽지부(12)에 결합시키면 내부몸체(20)의 가이드부(23)가 외부몸체(10)의 가이드편(18)에 위치하게 되고, 내부몸체(20)의 전후면에 형성된 마찰방지돌기(26)는 외부몸체(10)의 내측면에 점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설치공(16a)과 안내장공(21)에 리벳(60)을 관통 시켜 내부몸체(20)와 외부몸체(10)를 결합시키고, 조절나사(40)를 외부몸체(10)에 설치된 고정편(14)의 볼트공(14a)과 내부몸체(20)에 설치된 너트(30)의 너트공(32)에 나사 결합시키면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 본 고안 창문용 호차는 종래 기술에 비해 무게를 감소시키고, 창문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로울러(50) 뿐만 아니라 너트(30) 등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7a,b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창문(미도시)에 설치된 창문용 호차의 내부몸체(20)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먼저 내부몸체(20)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나사(40)를 조여주게 되면 내부몸체(2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즉, 조절나사(40)를 조여주게 되면 내부몸체(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부몸체(20)의 위치 조절공(24)에 설치된 너트(30)가 위치 조절공(2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가이드편(18)이 가이드부(23)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부(23)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안내장공(21)의 상부에는 리벳(60)이 위치하게 되어 내부몸체(2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7a참조)
이와는 반대로 내부몸체(20)를 낮춰주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나사(40)를 풀러주게 되면 내부몸체(2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즉, 조절나사(40)를 풀어주게 되면 내부몸체(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부몸체(20)의 위치 조절공(24)에 설치된 너트(30)가 위치 조절공(2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가이드편(18)이 가이드부(23)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부(23)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며 안내장공(21)의 하단부에는 리벳(60)이 위치하게 되어 내부몸체(2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도 7b참조)
이와 같이 조절나사(40)에 의해 내부몸체(20)가 높아지고 낮아진 상태에서 창문을 여닫으면 창문에서 작용하는 하중은 로울러(50), 너트(30), 가이드편(18) 및 가이드부(23), 안내장공(21)에 축설된 리벳(60)으로 분산되고, 또한 내부몸체(20)에 형성된 마찰방지돌기(26)가 외부몸체(10)의 내측면에 점접촉되어 있어 마찰이 감소되어 소음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창문용 호차에 따르면 삽지부의 양측에 볼트공을 갖는 고정편을 고정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설치공을 갖는 접촉부를 형성하며, 그 설치공의 양측으로는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편이 형성된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삽지부를 통해 결합되어 내부몸체의 중앙부에는 내부로 절곡된 돌출편을 갖는 안내장공을 형성히고, 그 안내장공의 양측에는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면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편이 슬라이드 될 수 있게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위치 조절공이 형성 내부몸체와, 상기 위치 조절공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너트와, 상기 내부몸체의 결합공에 축설되는 로울러로 구성하여 창문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로울러 뿐만 아니라 너트, 가이드편 및 가이드부, 안내장공에 축설된 리벳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창문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고, 또한 내부몸체에 마찰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의 닿는 면적이 점접촉하게 되어 창문을 여닫을 시 발생되는 마찰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저면에 삽지부(12)가 형성되고, 그 삽지부(12)의 양측에는 중앙에 볼트공(14a)을 갖는 고정편(14)이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설치공(16a)을 갖는 접촉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6a)의 양측으로는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편(18)이 형성된 외부몸체(10);상기 외부몸체(10)의 삽지부(12)를 통해 결합되어 리벳(60)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중앙부에 내부로 절곡된 돌출편(21a)을 갖는 안내장공(21)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안내장공(21)의 양측에는 결합공(22)이 형성되며, 상면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편(18)이 슬라이드 될 수 있게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부(23)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위치 조절공(24)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개구부(25)가 형성된 내부몸체(20);중앙에 너트공(32)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5)를 통해 위치 조절공(24)에 결합되는 너트(30);상기 볼트공(14a)과 너트공(32)을 통해 끼워져 내부몸체(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40);상기 개구부(25)를 통해 삽입되고 결합공(22)을 통해 끼워지는 리벳(62)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울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전후면에는 마찰방지돌기(26)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2824U KR200187436Y1 (ko) | 2000-02-02 | 2000-02-02 | 창문용 호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2824U KR200187436Y1 (ko) | 2000-02-02 | 2000-02-02 | 창문용 호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7436Y1 true KR200187436Y1 (ko) | 2000-07-01 |
Family
ID=1964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2824U KR200187436Y1 (ko) | 2000-02-02 | 2000-02-02 | 창문용 호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7436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7572B1 (ko) * | 2000-05-31 | 2003-09-13 |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 창문용 호차 |
KR100785706B1 (ko) * | 2006-09-21 | 2007-12-17 | 김영록 | 창문용 호차 |
KR102208153B1 (ko) | 2020-11-23 | 2021-01-27 | 주식회사 기산 |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
KR102285654B1 (ko) | 2020-12-08 | 2021-08-03 | 신영균 |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문용 호차 |
-
2000
- 2000-02-02 KR KR2020000002824U patent/KR2001874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7572B1 (ko) * | 2000-05-31 | 2003-09-13 |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 창문용 호차 |
KR100785706B1 (ko) * | 2006-09-21 | 2007-12-17 | 김영록 | 창문용 호차 |
KR102208153B1 (ko) | 2020-11-23 | 2021-01-27 | 주식회사 기산 |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
KR102285654B1 (ko) | 2020-12-08 | 2021-08-03 | 신영균 |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문용 호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45363A (en) | Adjustable roller assembly | |
US7430832B2 (en) | Sliding door having automatic closing structure | |
US6588061B2 (en) | Enhanced performance tandem roller for patio doors | |
JPH10331513A (ja) | 調節機構 | |
US20030123928A1 (en) | Corner bracket assembly | |
CN110029900B (zh) | 一种具有预紧调节功能的防变形铰链 | |
CN110735573B (zh) | 一种多功能欧标u槽隐形铰链 | |
KR200187436Y1 (ko) | 창문용 호차 | |
KR102285654B1 (ko) |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문용 호차 | |
KR101493735B1 (ko) | 창호용 호차 | |
KR20190052325A (ko) |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 |
KR200269331Y1 (ko) | 창문용 호차 | |
KR200180534Y1 (ko) | 미닫이 창문의 개폐 로울러 구조 | |
US5472248A (en) | Surface/cremone bolt | |
KR200253955Y1 (ko) | 창문용 호차 | |
CN218029536U (zh) | 锁点结构 | |
JP2002349131A (ja) | 引戸の振れ止め装置 | |
KR20200116701A (ko) | 창호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 |
KR200252525Y1 (ko) | 가구용 손잡이 | |
KR200497611Y1 (ko) | 플로어 힌지의 하부 피봇 위치 조절 장치 | |
JPS6133803Y2 (ko) | ||
KR200332006Y1 (ko) |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 |
CN211818942U (zh) | 一种平开窗的中间锁紧装置 | |
KR20010000570U (ko) | 창문용 호차 | |
JP4462628B2 (ja) | 建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