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06Y1 -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06Y1
KR200332006Y1 KR20-2003-0023930U KR20030023930U KR200332006Y1 KR 200332006 Y1 KR200332006 Y1 KR 200332006Y1 KR 20030023930 U KR20030023930 U KR 20030023930U KR 200332006 Y1 KR200332006 Y1 KR 200332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guide
shaft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안
Original Assignee
이종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안 filed Critical 이종안
Priority to KR20-2003-0023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고 정숙하게 유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문틀의 중앙에 해당하는 바닥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판과, 승강판의 상부에 장착되며 문짝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구름접촉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와,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승강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문짝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구름접촉하는 제3 롤러와, 하우징과 승강판 사이에 장착되어 승강판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제1 롤러 내지 제3 롤러 중 하나 이상의 위치를 나머지에 대하여 조절하는 롤러위치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문짝의 가이드홈을 따라 구름접촉하여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안내하는 하부의 롤러들을 문짝의 가이드홈에 정확하게 장착시킴으로써, 문짝의 여닫음 동작시의 흔들림,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문짝을 원활하고 정숙하게 여닫을 수 있다. 또한, 롤러들이 바닥에 대하여 출몰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문짝을 세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 결과 미닫이문의 신뢰성과 경제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롤러장치{ROLLER DEVICE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窓戶)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고 정숙하게 유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창호는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창호는 여닫는 방식에 따라 미닫이와 여닫이로 구분하고 있다. 미닫이는 문짝 또는 창을 문틀의 홈에 끼우고 홈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여닫으며, 여닫이는 경첩을 중심으로 문짝을 회전시켜 여닫는다. 그리고 문짝이 하나로 구성된 것은 외미닫이문, 두 짝으로 구성된 것은 쌍미닫이문으로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문의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0472호를 살펴보면,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며 문짝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를 지지하여 문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갖는 문틀의 상부프레임과,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고 문짝의 하단을 지지하는 문틀의 하부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문짝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채널(Channel)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는 문짝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문짝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미닫이문은 상부프레임의 채널과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돌기에 문짝의 상·하단부를 맞춤하기 위해서는 문틀에 대하여 문짝을 기울인 상태로 상부프레임의 채널에 문짝의 상단부를 맞춤한 후, 문짝을 세우면서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돌기에 문짝의 가이드홈을 맞춤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문짝의 설치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고,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문짝의 조립과 여닫음 동작을 위하여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돌기와 문짝의 가이드홈 사이에 적당한 여유 틈새를 주어야 한다. 그러나 미닫이문에 있어서 여유 틈새는 문짝을 여닫을 때 문짝의 흔들림을 유발하여 진동과 소음을 크게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문짝의 경사 열림으로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의 억지끼움을 유발하여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힘들고 어렵게 하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이러한 문짝의 여닫음 동작시 발생하는 문제는 신뢰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문짝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고 정숙한 여닫음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나, 이를 만족할 만한 미닫이문의 롤러장치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짝의 가이드홈을 따라 구름접촉하여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안내하는 하부의 롤러들을 문짝의 가이드홈에 정확하게 장착시켜 문짝을 원활하고 정숙하게 여닫을 수 있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롤러들이 바닥에 대하여 출몰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문짝을 세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문틀의 좌·우방향으로 여닫히는 문짝을 안내하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있어서, 문틀의 중앙에 해당하는 바닥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판과; 승강판의 상부에 장착되며, 문짝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구름접촉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와;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승강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문짝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구름접촉하는 제3 롤러와; 하우징과 승강판 사이에 장착되어 승강판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제1 롤러 내지 제3 롤러 중 하나 이상의 위치를 나머지에 대하여 조절하는 롤러위치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장치가 적용되는 미닫이문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장치가 적용되는 미닫이문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장치가 적용되는 미닫이문의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에서 롤러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장치에서 제3 롤러와 편심캠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장치의 제1 내지 제3 롤러가 문짝의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장치의 로커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로커의 캠홈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선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에서 롤러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롤러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롤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와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롤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롤러장치의 제1 내지 제3 롤러가 문짝의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문틀 11: 상부프레임
12: 가이드레일 15: 좌측프레임
16: 우측프레임 20: 문짝
21: 테두리 23: 가이드홈
30: 롤러조립체 31: 상부롤러
40, 140: 롤러장치 41, 141: 제1 롤러
42, 142: 제2 롤러 43, 143: 제3 롤러
44: 하우징 45, 145: 승강판
46: 편심캠 47: 조절축
48: 고정나사축 49: 스프링
50: 로커 54: 캠홈
57: 로킹홈 60: 캠종동자
61: 핀 62: 피봇
150: 롤러위치조절장치 151: 가이드브래킷
152: 직선슬롯 154: 작동브래킷
155: 경사슬롯 157: 조절나사축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문틀(10)은건물의 천장(1)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11)의 하면 양쪽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2)과 하부가 트인 채널(Channel: 13)이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레일(12)과 채널(13) 사이에는 통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11)의 양단에는 벽체(2)의 양쪽에 양립되도록 설치되는 좌측프레임(15)과 우측프레임(16)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좌·우측프레임(15, 16)의 하단은 건물의 바닥(3)에 고정되어 있다. 문틀(10)은 상부프레임(11)과 좌·우측프레임(15, 16)의 조합에 의하여 출입구(17)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건물의 바닥(3)에 설치되어 문틀(10)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이 나타나 있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은 필요에 따라 건물의 바닥(3)에 매립형 또는 돌출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미닫이문은 문틀(10)의 출입구(17)를 좌·우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문짝(20)을 구비한다. 문짝(20)은 사각형상의 테두리(21)와, 이 테두리(21)에 고정되어 있는 판유리(22)로 구성되어 있다. 테두리 (21)의 상단부는 상부프레임(11)의 채널(13)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은폐되며, 테두리(21)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문짝(20)의 테두리(21)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압출성형한 각재나 사각단면의 목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문짝(20) 전체는 필요에 따라 목재나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 MDF)을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미닫이문은 문틀(10)의 가이드레일(12)을 따라 문짝(20)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문짝(20)의 상부 양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31)를 갖는 롤러조립체(30)를 구비한다. 롤러조립체(30)의 롤러(31)는 문틀(10)의 가이드레일(12)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며, 롤러(31)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문짝(20)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롤러조립체(30)의 롤러 (31)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32)은 나사(33)의 체결에 의하여 테두리(21)에 고정된다.
도 2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40)는 문틀(10)의 중앙에 해당하는 건물의 바닥(3)에 설치되며 문짝(20)의 가이드홈(23)에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문짝(20)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제1 롤러(41), 제2 롤러(42)와 이 제1 및 제2 롤러(41, 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 롤러(43)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 각각은 축(41a, 42a, 43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볼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41, 42, 43)들의 숫자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도 2,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롤러장치(40)의 하우징(44)은 건물의 바닥(3)에 형성되어 있는 매립홈(4)에 매립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하우징(44)의 내측에는 승강판(45)이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승강판(45)의 관통구멍(45a, 45b)에는 제1 및 제2 롤러(41, 42)의 축(41a, 42a)이 고정되어 있으며, 제3 롤러(43)의 축(43a)은 승강판(45)의 관통구멍(45c)에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롤러(43)의 축(43a)에는 승강판(45)의 상·하면에 지지되어 관통구멍(45c)으로부터 축(43a)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링(43c, 43d)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롤러(41)의 축(41a)에 관통구멍(41b)과 나사구멍(41c)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제3 롤러(43)의 축(43a)에는 제1 롤러(41)의 관통구멍(41b)과 정렬되는 캠구멍(43b)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롤러(43)의 캠구멍(43b)에는 회전에 의하여 캠구멍(43b)의 내면과 간섭하여 축(43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캠구멍(43b)의 수평중심축선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는 롤러위치조절수단으로 편심캠(46)이 장착되어 있으며, 편심캠(46)은 제1 롤러(41)의 관통구멍(41b)을 관통하는 조절축(47)에 고정되어 있다. 조절축(47)의 머리(47a)는 제1 롤러(41)의 축(41a)에 지지되어 있고 편심캠(46)을 관통하는 선단에는 제3 롤러(43)의 축(43a)에 지지되는 결합링(47b)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축(47)을 회전시키면 캠구멍(43b)의 내면에 지지되는 편심캠(46)의 회전에 의하여 제3 롤러(43)의 축(43a)이 승강판(45)의 관통구멍(45c)에서 운동된다.
또한, 제1 롤러(41)의 나사구멍(41c)에 체결되는 고정나사축(48)의 선단은 제3 롤러(43)의 축(43a)에 지지되어 제3 롤러(43)의 위치를 고정하며, 고정나사축 (48)의 머리(48a)는 제1 롤러(41)의 축(41a)에 지지된다. 롤러장치(40)의 하우징 (44)과 승강판(45) 사이에는 승강판(45)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으로 스프링 (49)이 장착되어 있으며, 승강판(45)의 상승위치는 바닥(3)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우징(44)의 스토퍼(Stopper: 44a)에 의하여 구속된다. 하우징(44)의 스토퍼 (44a)는 하우징(44)의 상단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 도 5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44)의 바닥에는하우징(44)에 대하여 승강판(45)의 승강운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으로 로커(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커(50)는 좌·우로 분할되는 제1 분할몸체(51)와 제2 분할몸체 (52)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로커(50)의 전방에 그 내측과 통하는 입구(53)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내면, 즉 제1 분할몸체(51)의 내면에 캠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캠홈(54)은 전방의 입구(53)쪽에서 그 수평중심선(55)을 기준으로 아래, 즉 후방을 향하여 완만한 내리막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웨이(Guide way: 56a)와, 제1 가이드웨이(56a)와 로킹홈(57)을 갖는 대략 파형의 제2 가이드웨이(56b)에 의하여 연결되며 후방에서 수평중심선(55)을 기준으로 입구(53)를 향하여 완만한 오르막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 가이드웨이(56c)를 갖는다. 캠홈(54)의 전체적인 형상은 제1 내지 제3 가이드웨이(56c)에 의해서 대략 하트형을 이루게 된다. 캠홈(54)의 전방과 후방에는 수평중심선(55)을 기준으로 전방걸림턱(58a)과 후방걸림턱(58b)이 각각 형성된다. 전방걸림턱(58a)은 제1 가이드웨이(56a)쪽이 낮고 제3 가이드웨이(56c)쪽이 높게 형성되며, 후방걸림턱(58b)은 제1 가이드웨이(56a)쪽이 높고 제3 가이드웨이(56c)쪽이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캠홈(54)의 전방과 후방에는 수평중심선(55)에 근접되도록 캠홈(54)을 향하여 전방돌기(59a)와 후방돌기 (59b)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구속수단은 승강판(45)의 승강운동에 대응하여 로커(50)의 캠홈(54)을 따라 운동하여 승강판(45)의 운동, 즉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를 구속할 수 있도록 승강판(45)에 연결되어 있는 캠종동자(60)를 갖추고 있다. 캠종동자(60)의 후단에 로커(50)의 입구(53)를 통하여 캠홈(54)에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는 핀(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은 승강판(45)의 하면 중앙에 피봇(Pivot: 62)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캠종동자(60)가 피봇(62)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에 의하여 캠종동자(60)의 핀(61)이 캠홈(54)을 따라 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 12 내지 도 17에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에 있어서 롤러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다른 예의 롤러장치(140)는 롤러장치(40)의 승강판(45)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승강판(145)을 갖는다. 승강판 (145)은 앞에서 설명한 하우징(44)에 스프링(49)의 탄성력에 의하여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며, 로커(50)와 캠종동자(60)는 승강판(145)에 의하여 승강운동을 구속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러장치(140)의 제1 롤러 (141)와 제2 롤러(142) 사이에 위치되는 제3 롤러(143)의 축(143a)은 승강판(145)의 관통구멍(145c)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롤러(141, 142)의 축(141a, 142a)이 끼워지는 승강판(145)의 관통구멍(145a, 145b)은 축(141a, 142a)이 세로방향, 즉 문짝(20)의 여닫음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슬롯(Slot)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예의 롤러장치(140)는 제3 롤러(143)에 대하여 제1 및 제2 롤러(141, 14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위치조절장치 (150)를 구비한다. 롤러위치조절장치(150)의 가이드브래킷(Guide bracket: 151)은 승강판(145)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151)의 상·하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직선슬롯(Linear slot: 152)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면에는 관통구멍(153)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151)의 내측에는 가이드브래킷(151)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작동브래킷(154)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브래킷(154)의 상·하면에는 가이드브래킷(151)의 직선슬롯(152)과 중첩되도록 경사슬롯(Slant slot: 15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전·후면에는 가이드브래킷(151)의 관통구멍(153)과 정렬되도록 나사구멍(15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브래킷(151)의 직선슬롯(152)과 작동브래킷(154)의 경사슬롯(155)에는 직선슬롯(152)과 경사슬롯 (15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롤러(141, 142)의 축(141a, 142a)이 각각 끼워져 장착되며, 가이드브래킷(151)의 직선슬롯(152)을 관통하는 축(141a, 142a)의 양단에는 축(141a, 142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브래킷(151)의 상·하면에 지지되는 결합링(141b, 142b)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 (151)의 관통구멍(153)을 관통하여 작동브래킷(154)의 나사구멍(156)에 조절나사축 (157)이 체결되어 있다. 조절나사축(157)의 머리(157a)는 가이드브래킷(151)의 일측 외면에 지지되고 선단은 가이드브래킷(151)의 타측 외면에 지지되는 너트(158)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나사축(157)을 회전시키면 조절나사축 (157)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작동브래킷(154)은 회전되는 조절나사축(157)을 따라 나사운동하는 나사구멍(156)에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운동한다. 세로방향으로 운동하는 작동브래킷(154)의 경사슬롯(155)은 제1 및 제2 롤러(141, 142)의 축(141a, 142a)을 밀게 되고, 작동브래킷(154)의 경사슬롯(155)에 의하여 밀리는 축(141a, 142a)은 가이드브래킷(151)의 직선슬롯(152)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안내된다. 한편,다른 예의 롤러장치(140)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롤러(141, 142)의 축(141a, 142a)은 승강판(145)에 고정하고, 롤러위치조절장치(150)에 의하여 제3 롤러(14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문짝(20)의 설치에 있어서 우선 작업자는 상부프레임(11)의 가이드레일(12)에 문짝(2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롤러조립체(30)의 롤러(31)가 놓이도록 롤러조립체(30)를 설치한다. 롤러조립체(30)가 설치되어 있는 문틀(10)의 상부프레임(11)을 건물의 천장(1)에 설치한 후, 건물의 벽체(2)에 좌·우측프레임(15, 16)을 설치하여 문틀(10)의 설치를 완료한다.
도 2,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바닥(3)의 매립홈(4)에 롤러장치(40)의 하우징(44)을 매립형으로 설치한다. 초기위치에서 승강판(45)은 하우징(44)의 스토퍼 (44a)에 걸려 상승위치를 구속받으며, 제1 및 제2 롤러(41, 42)와 제3 롤러(43)는 바닥(3)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도 4, 도 5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하우징(44)의 내측으로 승강판(45)을 눌러 하강시키면, 하강하는 승강판(45)의 이동에 대응하여 캠홈(54)의 선단쪽에 있던 캠종동자(60)의 핀(61)이 제1 가이드웨이(56a)를 따라 제2 가이드웨이(56b)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캠종동자(60)의 핀(61)은 전방걸림턱(58a)에 걸려 제3 가이드웨이(56c)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전방돌기(59a)에 의하여 제2 가이드웨이(56b)쪽으로 안내되어 이동한다. 승강판(45)이 계속해서 하강되면, 캠종동자(60)의 핀(61)은 제2 가이드웨이(56c)의 최후단쪽에 위치된다. 캠종동자(60)의 핀(61)이 로킹홈(54)에 위치되면, 승강판(45)은 작업자가 누르던 힘을 제거하더라도 승강판(45)은 제1 및 제2 롤러(41, 42)와 제3 롤러(43)가 하우징(44)에 완전히 몰입되는 위치에 정지되어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문짝(20)을 세워서 상부프레임 (11)의 채널(13)에 문짝(20)의 상단부를 각각 맞춤하고,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 위에 문짝(20)의 가이드홈(23)을 정렬한다. 이와 같이 건물의 바닥(3)에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가 몰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프레임(11)의 채널(13)에 문짝(20)의 상단부를 맞춤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문짝(20)을 세워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미닫이문의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3, 도 14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 위에 문짝(20)의 가이드홈(23)을 정렬한 후, 작업자가 롤러장치(40)의 하우징(44)에 몰입되어 있는 승강판(45)을 누르면, 승강판(45)은 하강하려는 힘을 받는다. 승강판(45)이 하강하려는 힘에 의하여 로킹홈(57)에 위치되어 있던 캠종동자(60)의 핀(61)은 로킹홈(57)을 벗어나 제2 가이드웨이(56b)를 따라 제3 가이드웨이(56c)쪽으로 이동된다. 캠종동자(60)의 핀(61)은 로킹홈(57)을 벗어날 때 후방걸림턱(58b)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제1 가이드웨이(56a)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후방돌기(59b)의 안내를 받아 제3 가이드웨이(56c)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캠종동자(60)의 핀(61)이 로킹홈(57)을 벗어나게 되면, 스프링(49)의 탄성에 의하여 승강판(45)은 상승되고, 승강판(45)의 상승에 대응하여 캠종동자(61)의 핀(61)은 제2 가이드웨이(56b)쪽에서 제3 가이드웨이(56c)를 따라 입구 (53)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승강판(45)은 하우징(44)의 스토퍼(44a)에 걸려 상승위치가 구속된다. 승강판(45)의 상승에 의하여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 (41, 42, 43)는 문짝(20)의 가이드홈(23)에 각각 위치된다.
도 3,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부프레임(11)의 채널(13)에 문짝(20)의 상단부를 맞춤한 후, 롤러조립체(30)의 고정브래킷(32)은 나사(33)의 체결에 의하여 문짝(20)의 테두리(2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롤러조립체(30)의 장착은 문짝(20)의 가이드홈(23)에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를 위치시키기 전에 문짝(20)의 하단부를 바닥(3)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문짝(20)의 설치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문틀(10)의 출입구(27)에 문짝(20)을 설치한 후, 작업자가 롤러장치(40)의 조절축(47)을 회전시키면, 캠구멍(43b)의 내면에 지지되는 편심캠(46)의 회전에 의하여 제3 롤러(43)의 축(43a)이 승강판(45)의 관통구멍(45c)에서 운동되면서 제3 롤러(43)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3 롤러(43)가 가이드홈(23)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면, 제1 및 제2 롤러(41, 42)는 가이드홈(23)의 타측 내면에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미닫이문에 있어서 문짝(20)을 열게 되면, 롤러조립체(30)의 상부롤러(31)는 상부프레임(11)의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문짝(20)의 열림 동작을 안내하고, 문짝(20)의 가이드홈(34)은 구름운동하는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때,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 각각은 가이드홈 (23)의 양측 내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구름운동하므로, 문짝(20)의 열림 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안내하여 흔들림,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다른 예의 롤러장치(140)에 있어서 작업자가 롤러위치조절장치(150)의 조절나사축(157)을 회전시키면, 작동브래킷(154)의 나사구멍(156)은 회전되는 조절나사축(157)을 따라 나사운동하며, 작동브래킷(154)은 세로방향으로 운동한다. 세로방향으로 운동하는 작동브래킷(154)의 경사슬롯(155)은 제1 및 제2 롤러(141, 142)의 축(141a, 142a)을 각각 밀게 되고, 작동브래킷 (154)의 경사슬롯(155)에 의하여 밀리는 축(141a, 142a)은 가이드브래킷(151)의 직선슬롯(152)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운동한다. 축(141a, 142a)의 운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롤러(141, 142)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1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롤러(141, 142)가 가이드홈(23)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면, 제3 롤러(143)는 가이드홈(23)의 타측 내면에 지지된다. 롤러장치(140)의 제1 내지 제3 롤러(141, 142, 143) 각각은 롤러장치(40)의 제1 내지 제3 롤러(41, 42, 43)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홈(23)의 양측 내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구름운동하므로, 문짝(20)의 열림 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안내하여 흔들림,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의하면, 문짝의 가이드홈을 따라 구름접촉하여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안내하는 하부의 롤러들을 문짝의 가이드홈에 정확하게 장착시킴으로써, 문짝의 여닫음 동작시의 흔들림,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문짝을 원활하고 정숙하게 여닫을 수 있다. 또한, 롤러들이 바닥에 대하여 출몰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문짝을 세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 결과 미닫이문의 신뢰성과 경제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문틀의 좌·우방향으로 여닫히는 문짝을 안내하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중앙에 해당하는 바닥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문짝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구름접촉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판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문짝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구름접촉하는 제3 롤러와;
    상기 하우징과 승강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판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제1 롤러 내지 제3 롤러 중 하나 이상의 위치를 나머지에 대하여 조절하는 롤러위치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서 상기 제3 롤러를 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롤러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상기 제3 롤러의 축에 형성되어 있는 캠구멍의 수평중심축선에 편심되도록 장착되는 편심캠과;
    상기 제1 롤러의 축을 관통하여 상기 편심캠에 고정되는 조절축과;
    상기 제1 롤러의 축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3 롤러의 축을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고정나사축으로 구성되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상기 제3 롤러에 대하여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각각을 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롤러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제3 롤러의 좌우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판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하면에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축이 각각 끼워지는 직선슬롯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내측에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하면에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직선슬롯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축이 각각 끼워지는 경사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직선슬롯과 상기 작동브래킷의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상부롤러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작동축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작동브래킷을 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브래킷에 체결되는 조절나사축으로 구성되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하강위치를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장착되고, 전방의 입구쪽에서 그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1 가이드웨이와, 제1 가이드웨이와 로킹홈을 갖는 제2 가이드웨이에 의하여 연결되며 후방에서 상기 입구를 향하여 형성되는 제3 가이드웨이로 이루어지는 캠홈을 갖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캠홈을 따라 운동하는 핀을 가지며, 상기 핀이 상기 캠홈의 로킹홈에 걸리면 상기 승강판의 하강위치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어 있는 캠종동자로 구성되는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KR20-2003-0023930U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KR200332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30U KR200332006Y1 (ko)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30U KR200332006Y1 (ko)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006Y1 true KR200332006Y1 (ko) 2003-11-03

Family

ID=4933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930U KR200332006Y1 (ko)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661B1 (ko) * 2019-10-02 2021-03-11 (주)에이.티.아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승강장 안전문용 비상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661B1 (ko) * 2019-10-02 2021-03-11 (주)에이.티.아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승강장 안전문용 비상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31513A (ja) 調節機構
JP4847462B2 (ja) 封止する引き戸のための吊り下げ装置および走行キャリッジ
KR200332006Y1 (ko)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KR100512253B1 (ko) 미닫이문
JP4625345B2 (ja) 吊り戸装置における密閉機構
US20220389753A1 (en) Adjustable flush threshold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JP4090962B2 (ja) 建具キャリア
KR200325917Y1 (ko) 미닫이문
KR200389929Y1 (ko) 냉동컨테이너의 슬라이드도어 개폐장치
JP2011196103A (ja) 上吊式引戸装置
KR200312172Y1 (ko) 폴딩도어의 이동 가이드장치
KR101148120B1 (ko) 도어 개폐구조
KR200332007Y1 (ko)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JP3623300B2 (ja) 引戸用の上部案内装置
CN101616860B (zh) 用于操作电梯门的机构
KR200187436Y1 (ko) 창문용 호차
JP4114151B2 (ja) 耐震上吊り引戸構造型引戸における引戸装置構造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JP4477462B2 (ja) 扉の密閉装置
KR910009332Y1 (ko) 진열장의 도어
CN218234786U (zh) 一种可调缓冲器挡件
US20230383583A1 (en) Pressing device for a window or a door
KR200269331Y1 (ko) 창문용 호차
KR960004196Y1 (ko) 건구용 호차
JPWO201817322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