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96Y1 - 건구용 호차 - Google Patents

건구용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96Y1
KR960004196Y1 KR2019930009834U KR930009834U KR960004196Y1 KR 960004196 Y1 KR960004196 Y1 KR 960004196Y1 KR 2019930009834 U KR2019930009834 U KR 2019930009834U KR 930009834 U KR930009834 U KR 930009834U KR 960004196 Y1 KR960004196 Y1 KR 960004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er
side wall
support cap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466U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2019930009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196Y1/ko
Publication of KR950001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05Y2201/614Anti-derai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구용 호차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사시도.
제3a, b도는 호차의 롤러가 상승된 상태와 하강된 상태에서 문틀재의 레일에 상치된 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제4a, b도는 본 고안에서 롤러의 높이에 따라 탈선방지구가 승강되면서 레일에 끼워지는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조절볼트 6 : 롤러
8 : 지지캡 9 : 볼트공
9a : 괘지공 10 : 탈선방지구
11 : 지지핀 12 : 안내홈
13 : 레일삽지부 14 : 요홈
16 : 걸고리 17 : 삽지홈
20 : 작동구 21 : 핀궤도
22 : 괘지부 23 : 절결홈
본 고안은 샷시로된 문이나 창문의 저면에 내설되는 건구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러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승강 조절되는 탈선방지구를 호차에 설치하여 문설주나 문끼리의 벌어지는 틈을 맞추고자 조절볼트로 호차의 롤러 위치를 낮추었을때 탈선방지구가 낮아진 롤러 위치만큼 하강하여 레일에 깊이 끼워지게 하므로서 문틀재의 레일로 부터 문이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샷시문이나 샷시 창문(이하 문이라 칭함) 등의 설치 공사시에는 양측 문설주와 상하의 문틀재를 먼저 고정시킨후 문을 끼워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문을 시공설치할 때는 물론 문의 시공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문과 문 사이, 또는 문과 문설주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러한 경우 문설주와 문틀 또는 문 프레임 자체를 뜯어서 다시 맞추려면 상당한 작업시간과 인력소모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폐단으로 인해 문 설치시에 벌어진 틈새를 문설주나 문틀재등을 뜯지 않고서도 보다 간편히 맞추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문의 저면에 내설되는 호차의 롤러 높낮이를 조절볼트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문의 벌어진 방향과 틈새 정도에 따라 좌, 우에 내설되는 호차의 롤러 높낮이를 서로 달리 승강시켜서 벌어진 틈새를 맞추고 있는 시공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3a도는 하부 문틀재(30)에 문(40)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문(40)의 하부가 문틀재(30)의 측벽(31) 내에 깊이 끼워져 있고, 특히 방음용 솔이 식모된 양측 지지간(41)이 문틀재(30)의 레일(32)에 깊이 끼워져 있으므로 문(40)이 레일(32)이나 문틀재(30)로부터 탈선될 우려는 없다.
그러나 문과 문사이의 벌어진 틈새를 맞추고자 호차의 조절볼트를 돌려서 제3b도와 같이 호차본체(1)로부터 롤러(6)를 하강시키면 그만큼 문(40)이 올라가서 문(40)의 저면에 문틀재(30)의 측벽(31)이나 레일(32)과 같은 높이가 됨에 따라 문(40)을 여닫을때 문(40)이 레일(32)이나 문틀재(30)로부터 쉽게 탈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문에 설치된 호차의 롤러가 문틀재의 레일로부터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차에 탈선방지구를 설치한 것이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화 48-12444호로 공개된 것이 있는데, 이는 호차의 롤러가 본체 내부에서 상승된 위치로 사용될 경우에는 탈선방지구가 문틀재의 레일에 깊숙히 삽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상기 일본의 고안은 탈선방지구가 호차 본체에 고정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문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조절하고자 조절나사를 돌려 호차 본체로부터 롤러를 아래로 점차 하강시키면 롤러가 하강되는 만큼 호차 본체의 위치가 점차 높아지면서 호차 본체에 고정된 탈선방지구의 위치도 높아짐에 따라 문틀재의 레일에 끼워진 탈선방지구의 괘지력이 점차 약해지므로 탈선방지구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레일로 부터 문이 탈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호차에 롤러와 함께 승강 작동되는 탈선방지구를 설치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건구용 호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차본체(1)의 볼트공(4)으로 삽입되는 조절볼트(3)의 두부를 회동시키면 조절볼트(3)에 나합된 내몸체(2)가 좌, 우 이동되면서 경사진 축공(5)을 따라 롤러(6)가 승강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호차본체(1)의 측벽(7) 내면에는 구경이 넓은 볼트공(9)과 구경이 좁은 괘지공(9a)이 "" 형으로 형성된 지지캡(8)을 고정 설치한 후 상측에 지지핀(11)과 안내홈(12)이 형성되고 하부에 노루발형의 레일 삽지부(13)가 형성된 탈선방지구(10)를 승강되게 지지캡(8)에 끼운다.
그리고 내몸체(2)에는 핀궤도(21)가 경사지게 요설된 작동구(20)를 설치하여 조절볼트(3)의 회동에 따라 내몸체(2)와 작동구(20)가 함께 이동되게 하며, 지지캡(8)의 고정 수단으로는 지지캡(8) 상측에 요홈(14)을 형성하여 측벽(7) 내면의 상측에 타발 형성한 걸고리(16)에 끼워지게 하고 지지캡(8) 하부 양단에는 삽지부(15)를 돌설하여 측벽(7)저면 양측의 삽지홈(17)에 끼워지게 한다.
또한, 내몸체(2)에 작동구(20)의 설치 수단으로는 절결홈(23)이 형성된 괘지부(22)를 작동구(20) 하부에 연설하여 나합공(25)이 있는 측벽(24)에 끼워지게 하므로서 조립작업시 별도의 스크류나 접착제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어 신속, 용이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a)는 조절볼트(3)의 괘지홈이고, (6a)는 롤러(6)의 핀축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탈선방지구(10)가 끼워진 지지캡(8)을 호차본체(1)의 측벽(7) 내면으로 약간 밀어 끼워 볼트공(4)(9)을 일치시키므로서 조절볼트(3)의 삽입이 쉽게된다.
그후 조절볼트(3)를 삽입하여 괘지홈(3a)과 지지캡(8)의 구경이 넓은 볼트공(9)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지지캡(8)을 완전히 밀어 끼우면 지지캡(8)의 요홈(14) 부위는 측벽(7) 내면의 걸고리(16)에 끼워지고 하부 양단의 삽지부(15)는 측벽(7) 저면의 삽지홈(17)에 끼워지면서 조절볼트(3)의 괘지홈(3)으로 지지캡(8)의 구경이 좁은 괘지공(9a)이 끼워지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키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조절볼트(3)가 볼트공(9)에서 빠질 우려가 없어 조립이 신속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작동구(20)가 측벽(24)에 끼워져 있는 내몸체(2)를 호차본체(1)에 끼워 나합공(25)을 조절볼트(3)의 끝단에 나합시킨후 롤러(6)를 축공(5)에 핀축(6a)으로 축설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인데,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중 탈선방지구(10), 지지캡(8), 작동구(20)가 없는 일반호차 즉, 조절볼트에 의해 롤러만을 승강 자동시키기는 호차에서도 호차본체(1)의 측벽(7)에 형성되는 볼트공(4)을 "" 형으로 형성하면 키플레이트없이 조절볼트를 쉽게 조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조절볼트(3)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내몸체(2)가 조절볼트(3)로부터 풀려나가면서 롤러(6)의 핀축(6a)이 경사진 축공(5)의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롤러(6)는 점차 상승되고, 이때 내몸체(2) 상단에 일체로 설치된 작동구(20)가 내몸체(2)를 따라 이동되면서 그 핀궤도(21)에 끼워진 탈선방지구(10)의 지지핀(11)이 핀궤도(21)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탈선방지구(10) 역시 점차 상승이 된다.
이와 같이 롤러(6)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제3a도와 같이 문(40)이 문틀재(30)의 측벽(31)에 깊이 끼워지면서 문(40)의 양측지지간(41)이 문틀재(30)의 레일(32)에 깊숙이 끼워진 상태이고, 또한 제4a도와 같이 탈선방지구(10)가 상승되는 롤러(6)를 따라 함께 상승함에 따라 탈선방지구(10)의 레일삽지부(13)가 레일(32)에 적당히 끼워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서, 문(40)이 레일(32)이나 문틀재(30)로 부터 탈선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조절볼트(3)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작동구(20)가 설치된 내몸체(2)가 제4b도와 같이 당겨지면서 롤러(6)의 핀축(6a)이 경사진 축공(5)의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롤러(6)는 호차본체(1)로 부터 점차 하강되고, 안내홈(12)에 의해 조절볼트(3)에 간섭받지 않고 승강 가능한 탈선방지구(10)는 내몸체(2)와 일체로 이동되는 작동구(20)가 가까이 다가옴에 따라 지지핀(21)이 점차 핀궤도(21)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서서히 아래로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호차본체(1)로 부터 롤러(6)가 하강되어 제3b도와 같이 문(40)의 하단이 문틀재(30)의 측벽(31)이나 레일(32)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제4b도와 같이 하강된 탈선방지구(10)의 레일 삽지부(13)가 레일(32)에 깊숙이 삽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문(40)이 레일(32)에서 탈선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틈새가 벌어지게 설치된 문을 해체하지 않고 호차본체의 롤러 높이만을 조절하여 문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맞출때, 특히 호차본체로부터 롤러의 높이를 낮추어 맞출때 롤러를 따라 승강되는 탈선방지구의 레일삽지부가 레일에 항시 소정깊이로 안전하게 끼워져 있으므로 문이 문틀재의 레일로부터 탈선될 우려가 전혀없는 것으로서 건축공사시 문 설치로 인한 작업시간과 인력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조절볼트(3)를 회동시키면 조절볼트(3)에 나합된 내몸체(2)가 호차본체(1)내에서 좌, 우로 이동되면서 경사진 축공(5)에 의해 롤러(6)의 위치가 승강 조절되고, 측벽(7)에는 레일삽지부(13)가 하부에 형성된 탈선방지구를 설치한 호차에 있어서, 상단에 지지핀(11)이 설치되고 안내홈(12)이 형성된 탈선방지구(10)를 볼트공(9)이 형성된 지지캡(8)에 끼운 후 호차본체(1)의 측벽(7) 내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내몸체(2)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핀(11)용 핀궤도(21)가 상기 축공(5)과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요설된 작동구(20)를 결합하여 조절볼트(3)로 내몸체(2)를 이동시켜 롤러(6)의 위치를 승강시키면 탈선방지구(10)가 함께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구용 호차.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캡(8)의 고정수단으로 호차본체(1)의 측벽(7) 내 상면에는 걸고리(16)를 타발 형성하고 저면 양단에는 삽지홈(17)을 형성하며, 지지캡(8)의 상측에는 상기 걸고리(16)가 삽지될 수 있는 요홈(14)을 형성하고 지지캡(8) 하부 양단에는 삽지부(15)를 돌출시켜서 상기 삽지홈(17)에 끼워져 고정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구용 호차.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구(20)의 설치수단으로 절결홈(23)이 구비된 괘지부(22)를 작동구(20) 하단에 연설하여 작동구(20)가 내몸체(2)의 측벽(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구용 호차.
KR2019930009834U 1993-06-07 1993-06-07 건구용 호차 KR960004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834U KR960004196Y1 (ko) 1993-06-07 1993-06-07 건구용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834U KR960004196Y1 (ko) 1993-06-07 1993-06-07 건구용 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66U KR950001466U (ko) 1995-01-04
KR960004196Y1 true KR960004196Y1 (ko) 1996-05-22

Family

ID=1935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834U KR960004196Y1 (ko) 1993-06-07 1993-06-07 건구용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1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66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363A (en) Adjustable roller assembly
US6381904B1 (en) Track mounted bath doors with clip anti-derailer
KR960004196Y1 (ko) 건구용 호차
JP2881720B2 (ja) 吊り戸用戸車
ATE325247T1 (de) Bandanordnung für türen, fenster und dergleichen
KR940004825Y1 (ko) 방충망 샤시 이탈방지용 호차
KR960001564B1 (ko) 호차
KR0131708Y1 (ko) 건구용 호차
KR200223137Y1 (ko) 창문용 로울러
KR200235937Y1 (ko) 높이조절형롤러
EP0646211B1 (en) Bifold door
GB2407845A (en) Hinge
KR940000181Y1 (ko) 중장비 전면유리창의 자동잠금장치
JPS6212051Y2 (ko)
JPS6115189Y2 (ko)
JPH0222468Y2 (ko)
JPH0335038Y2 (ko)
KR900004288Y1 (ko) 샷수 창문용 호차
KR200411484Y1 (ko) 미닫이의 개폐를 위한 보조호차
KR200265436Y1 (ko) 샤워부스용 슬라이딩 도어 구동장치
JPH08184250A (ja) 折 戸
JPS6023422Y2 (ja) 上下調整機構付の戸車
JP2001020640A (ja) 網戸用外れ止め
KR200163558Y1 (ko) 도어용롤러
JPH0620863Y2 (ja) 折り畳み扉のピボツトアジヤ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