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07Y1 -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07Y1
KR200332007Y1 KR20-2003-0023931U KR20030023931U KR200332007Y1 KR 200332007 Y1 KR200332007 Y1 KR 200332007Y1 KR 20030023931 U KR20030023931 U KR 20030023931U KR 200332007 Y1 KR200332007 Y1 KR 200332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bracket
gu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안
Original Assignee
이종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안 filed Critical 이종안
Priority to KR20-2003-0023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6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고 정숙하게 유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문틀의 좌·우방향으로 여닫히는 제1 문짝과 제2 문짝과, 제2 문짝과 근접하도록 제1 문짝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는 제1 롤러와, 제1 문짝과 근접하도록 제2 문짝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는 제2 롤러로 구성된다. 제1 롤러는 제1 브래킷에 의하여 제2 문짝에 지지되고, 제2 롤러는 제2 브래킷에 의하여 제1 문짝에 지지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문틀의 좌·우방향으로 여닫히는 제1 및 제2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서로에 대하여 직선운동으로 안내함으로써, 문짝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원활하고 정숙한 여닫음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문짝의 경사 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문짝을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으므로, 미닫이문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APPARATUS FOR GUIDING OPENING AND CLOSING OF SLIDING DOOR}
본 고안은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窓戶)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고 정숙하게 유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창호는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창호는 여닫는 방식에 따라 미닫이와 여닫이로 구분하고 있다. 미닫이는 문짝 또는 창을 문틀의 홈에 끼우고 홈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여닫으며, 여닫이는 경첩을 중심으로 문짝을 회전시켜 여닫는다. 그리고 문짝이 하나로 구성된 것은 외미닫이문, 두 짝으로 구성된 것은 쌍미닫이문으로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문의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0472호를 살펴보면,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며 문짝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를 지지하여 문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갖는 문틀의 상부프레임과,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고 문짝의 하단을 지지하는 문틀의 하부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문짝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채널(Channel)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는 문짝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문짝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미닫이문에 있어서는 두 문짝의 조립과 롤러의 구름운동에 의한 여닫음 동작을 위하여 가이드레일과 롤러,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 사이에 적당한 여유 틈새를 주어야 한다. 미닫이문의 여유 틈새는 문짝을 여닫을 때 문짝의 흔들림을 유발하여 진동과 소음을 크게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문짝의 경사 열림으로 가이드레일과 롤러,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억지끼움을 유발하여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힘들고 어렵게 한다. 특히, 문짝의 여유 틈새가 큰 경우에는 문짝의 흔들림이 가중되며, 여유 틈새가 작을 경우에는 롤러의 구름운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짝의 여닫음 동작시 발생하는 문제는 신뢰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문짝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정숙한 여닫음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미닫이문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를 만족할 만한 미닫이문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두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서로에 대하여 직선운동으로 안내함으로써, 문짝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원활하고 정숙한여닫음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 문짝의 경사 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문짝을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문틀의 좌·우방향으로 여닫히는 제1 문짝과 제2 문짝을 안내하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있어서, 제2 문짝과 근접하도록 제1 문짝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는 제1 롤러와; 제1 문짝과 근접하도록 제2 문짝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는 제2 롤러와; 제2 문짝에 제1 롤러를 지지하는 제1 브래킷과; 제1 문짝에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음 안내장치가 적용되는 미닫이문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음 안내장치가 적용되는 미닫이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음 안내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음 안내장치가 문짝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에서 브래킷, 제3 롤러와 조절축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를 조립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의 제1 내지 제6 롤러가제1 문짝의 안내홈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에서 여닫음 안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과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의 제1 내지 제6 롤러가 문짝의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문틀 11: 상부프레임
12: 가이드레일 20: 제1 문짝
21: 테두리 24: 가이드레일
30: 제3 문짝 21: 테두리
34: 가이드레일 40: 롤러조립체
41: 상부롤러 44: 하부롤러
50, 60, 80: 여닫음 안내장치 51, 61, 81: 제1 롤러
52, 62, 82: 제2 롤러 53, 63, 83: 제1 브래킷
54, 64, 84: 제2 브래킷 66, 86: 제3 롤러
67, 87: 제4 롤러 68, 88: 제5 롤러
69, 89: 제6 롤러 70, 90: 롤러위치조절장치
71: 조절축 75: 고정나사
91: 가이드브래킷 92: 직선슬롯
94: 작동브래킷 95: 경사슬롯
97: 조절나사축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문틀(10)은 건물의 천장(1)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11)의 하면 양쪽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2)과 하부가 트인 채널(Channel: 13)이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레일(12)과 채널(13) 사이에는 통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11)의 양단에는 벽체(2)의 양쪽에 양립되도록 설치되는 좌측프레임(15)과 우측프레임(16)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좌·우측프레임(15, 16)의 하단은 건물의 바닥(3)에 고정되어 있다. 문틀(10)은 상부프레임(11)과 좌·우측프레임(15, 16)의 조합에 의하여 출입구(17)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건물의 바닥(3)에 설치되어 문틀(10)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이 나타나 있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은 필요에 따라 건물의 바닥(3)에 매립형 또는 돌출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미닫이문은 문틀(10)의 출입구(17)를 좌·우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문짝(20, 30)은 사각형상의 테두리(21, 31)와, 이 테두리(21, 31)에 고정되어 있는 판유리(22, 32)로 구성되어 있다. 테두리(21, 31)의 상단부는 상부프레임(11)의 채널(13) 각각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은폐되며, 테두리(21, 31)의 하면에는 가이드홈 (23, 33)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테두리(21, 31)의 서로 근접하는 하면에는 하방이 트인 가이드레일(24, 34)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테두리(21, 31)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압출성형한 각재나 사각단면의 목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문짝(20, 30) 전체는 필요에 따라 목재나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 MDF)을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미닫이문은 문틀(10)의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제1 및 제2 문짝 (20, 30)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상부 양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롤러(41)를 갖는 롤러조립체(40)를 구비한다. 롤러조립체(40)의 롤러(41)는 문틀(10)의 가이드레일(12)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며, 롤러(41)는 문틀(10)의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여닫음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롤러조립체(40)의 롤러(41)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42)은 나사(43)의 체결에 의하여 테두리(21, 31)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가이드홈(23, 33)에는 하부롤러(44)가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롤러(44)는 문틀(10)의 중앙에 해당하는 건물의 바닥(3)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여닫음 안내장치(50)는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가이드레일(24, 34)을 따라 구름접촉하여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제1 롤러(51)와 제2 롤러(52)를 구비한다. 제1 문짝(20)의 가이드레일(24)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롤러(51)는 제1 브래킷(53)에 의하여 제2 문짝 (30)에 지지되며, 제2 문짝(30)의 가이드레일(34)에 장착되어 있는 제2 롤러(52)는 제2 브래킷(54)에 의하여 제1 문짝(2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롤러(51, 52)는 제1 및 제2 브래킷(53, 54)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축(51a, 5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볼베어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래킷(53, 54)은 나사(55)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및 제2 문짝(20, 30)에 각각 고정된다. 제1 롤러(51)는 제1 브래킷(53)에 의하여 제1 문짝(20)의 우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 롤러(52)는 제2 브래킷(54)에 의하여 제2 문짝 (30)의 좌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롤러(51, 52)는 제1 및 제2 문짝(20, 30)을 닫았을 때 제1 및 제2 문짝(20, 30)이 서로에 대하여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가 도시되어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60)는 제1 롤러(61)와 제2 롤러(62)가 제1 브래킷(63)과 제2 브래킷(63, 64) 각각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브래킷(63)은 나사(65)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문짝(20)의 우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 브래킷(64)은 나사(65)의 체결에 의하여 제2 문짝(30)의 좌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롤러(61)의 양측에 제3 롤러(66)와 제4 롤러(67)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제3 및 제4 롤러(66, 67)의 축(66a, 67a)은 제1 브래킷(63)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롤러(62)의 양측에 제5 롤러(68)와 제6 롤러(69)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5 및 제6 롤러(68, 69)의 축(68a, 69a)은 제2 브래킷(64)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6 롤러(61, 62, 66, 67, 68, 69) 각각은 제1 및 제2 롤러(51, 52)와 마찬가지로 축(61a, 62a, 66a, 67a, 68a, 69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볼베어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및 제4 롤러(66, 67)와 제5 및 제6 롤러(68, 69) 중 하나, 예를 들어 제4 롤러(67)와 제6 롤러(69)는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60)는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에 대하여 제1 및 제2 롤러(61, 62) 각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위치조절장치(70)를 구비한다. 롤러위치조절장치(70)의 조절축 (71)은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3a, 64a)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조절축(71)의 상면에는 수직중심축선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축구멍(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구멍(72)에는 제1 및 제2 롤러(61, 62)의축(61a, 62a)이 고정되어 있다. 조절축(71)의 수평중심축선에는 제3 및 제4 롤러 (66, 67)와 제5 및 제6 롤러(68, 69)가 정렬된다.
또한,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구멍(63a, 64a)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조절축(71)의 하단에는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하면에 지지되는 손잡이 (7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구멍(63a, 64a)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조절축(71)의 상단에는 구멍(63a, 64a)으로부터 조절축(7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링(74)이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하면에 연장판(63b, 64b)이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판(63b, 64b)에는 나사구멍(63c, 64c)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판(63b, 64b)의 나사구멍(63c, 64c)에는 고정나사(75)가 체결되어 있고, 고정나사(75)의 선단은 조절축(71)의 손잡이(73)에 지지되어 조절축(71)을 고정한다.
도 10 내지 도 1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에 있어서 여닫음 안내장치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80)는 제1 롤러(81)와 제2 롤러(82)의 축(81a, 82a)이 제1 브래킷(83)과 제2 브래킷(84) 각각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80)에 있어서 제1 브래킷(83)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60)의 제1 브래킷(63)과 마찬가지로 나사(85)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문짝(20)의 우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제2 브래킷(84)은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60)의 제2 브래킷(64)과 마찬가지로 나사(85)의 체결에 의하여 제2 문짝(30)의 좌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그리고 제1 롤러(81)의 양측에 제3 롤러(86)와 제4 롤러(87)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제2 롤러(82)의 양측에 제5 롤러(88)와 제6 롤러 (89)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또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80)는 제1 및 제2 롤러(81, 82)에 대하여 제3 내지 제6 롤러(86∼87) 각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위치조절장치 (90)를 구비한다. 롤러위치조절장치(90)의 가이드브래킷(Guide bracket: 91)은 제1 및 제2 브래킷(83, 8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91)의 상·하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직선슬롯(Linear slot: 92)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면에는 관통구멍(93)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 (91)의 내측에는 가이드브래킷(91)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작동브래킷(94)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브래킷(94)의 상·하면에는 가이드브래킷(91)의 직선슬롯(92)과 중첩되도록 경사슬롯(Slant slot: 9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전·후면에는 가이드브래킷(91)의 관통구멍(93)과 정렬되도록 나사구멍(9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브래킷(91)의 직선슬롯(92)과 작동브래킷(94)의 경사슬롯(95)에는 직선슬롯(92)과 경사슬롯(9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내지 제6 롤러(86∼89)의 축(86a∼89a)이 각각 끼워져 장착되며, 가이드브래킷(91)의 직선슬롯(92)을 관통하는 축(86a∼89a)의 양단에는 축(86a∼89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브래킷(91)의 상·하면에 지지되는 결합링(86b∼89b)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91)의 관통구멍(93)을 관통하여 작동브래킷(94)의 나사구멍(96)에 조절나사축(97)이 체결되어 있다. 조절나사축(97)의 머리(97a)는 가이드브래킷(91)의 일측 외면에 지지되고 선단은 가이드브래킷(91)의 타측 외면에 지지되는 너트(98)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나사축(97)을 회전시키면 조절나사축(97)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작동브래킷(94)은 회전되는 조절나사축(97)을 따라 나사운동하는 나사구멍(96)에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운동한다. 세로방향으로 운동하는 작동브래킷(94)의 경사슬롯(95)은 제3 내지 제6 롤러(86∼89)의 축(86a∼89a)을 밀게 되고, 작동브래킷(94)의 경사슬롯(95)에 의하여 밀리는 축(86a∼89a)은 가이드브래킷(91)의 직선슬롯(92)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안내된다. 한편,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80)에 있어서 제3 내지 제6 롤러(86∼89)의 축(86a∼89a)은 제1 및 제2 브래킷(83, 84) 각각에 고정하고, 롤러위치조절장치(90)에 의하여 제1 및 제2 롤러(81, 8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설치에 있어서 우선 작업자는 상부프레임(11)의 가이드레일(12)에 제1 및 제2 문짝(20, 3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롤러조립체(30)의 상부롤러(31)가 놓이도록 롤러조립체(30)를 설치한다. 롤러조립체(30)가 설치되어 있는 문틀(10)의 상부프레임(11)을 건물의 천장(1)에 설치하고, 건물의 벽체(2)에 좌·우측프레임(15, 16)을 설치하여 문틀(10)의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상부프레임(11)의 채널(13)에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상단부를 각각 맞춤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가이드홈(23, 33)에 하부롤러(44)를 장착한다. 롤러조립체(40)의 상부롤러(41)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 (42)은 나사(43)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테두리(21, 31)에 각각 고정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설치 후,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가이드레일(24, 34)에 여닫음 안내장치(50)의 제1 및 제2 롤러 (52)를 각각 장착한다. 제1 브래킷(53)은 나사(55)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문짝(20)의 우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하고, 제2 브래킷(54)은 나사(55)의 체결에 의하여 제2 문짝(30)의 좌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롤러 (51, 52)는 제1 및 제2 문짝(20, 30)을 닫았을 때 제1 및 제2 문짝(20, 30)이 서로에 대하여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므로, 여닫음 안내장치(5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60)는 앞에서 설명한 여닫음 안내장치(50)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문짝(20, 3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여닫음 안내장치(50)를 설치한 후, 제1 및 제2 문짝(20, 3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2 문짝(30)에 대하여 제1 문짝(20)을 열거나 닫을 때, 제1 및 제2 하부롤러(51, 52)는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가이드레일(24, 34)을 따라 각각 구름운동하여 제1 문짝(20)의 여닫음 동작을 흔들림 없는 직선운동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여닫음 동작이 원활하고 정숙하게 유지되고,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경사 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결과, 미닫이문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60)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나사구멍(63c, 64c)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75)를 풀면, 조절축(71)은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구멍(63a, 64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손잡이(73)를 이용하여 조절축(71)을 회전시키면, 조절축(71)의 축구멍(72)에 축(61a, 62a)이 편심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제1 및 제2 롤러(61, 62)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롤러(61, 62)가 가이드레일(24, 34)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면, 제3 및 제4 롤러(66, 67)와 제5 및 제6 롤러(68, 69)는 가이드레일(24, 34)의 타측 내면에 지지된다. 제1 및 제2 롤러(61, 62)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나사(75)를 다시 체결하여 고정나사(75)의 선단을 조절축(73)의 손잡이(73)에 지지시키면, 조절축(73)은 제1 및 제2 브래킷(63, 64)의 구멍(63a, 64a)에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 6과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문짝(20, 3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문짝(20)을 열게 되면, 롤러조립체(40)의 상부롤러(41)는 상부프레임(11)의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제1 문짝(20)의 열림 동작을 안내하고, 제1 문짝(20)의 가이드홈(23)은 구름운동하는 하부롤러(44)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와 같은 제1 문짝(20)의 열림 동작 중, 제1 문짝(20)의 가이드레일(24)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롤러(61), 제3 롤러(66), 제4 롤러(67)와 제2 문짝(30)의 가이드레일(34)에 장착되는 제2 롤러(62), 제5 롤러(68), 제6 롤러(69) 각각은 가이드레일(24, 34)의 양측 내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구름운동하여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열림 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흔들림, 소음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의 여닫음 안내장치(80)에 있어서 작업자가 롤러위치조절장치(90)의 조절나사축(97)을 회전시키면, 작동브래킷(94)의 나사구멍(96)은 회전되는 조절나사축(97)을 따라 나사운동하며, 작동브래킷(94)은 세로방향으로 운동한다. 세로방향으로 운동하는 작동브래킷(94)의 경사슬롯(95)은 제3 내지 제6 롤러(86∼89)의 축(86a∼89a)을 각각 밀게 되고, 작동브래킷(94)의 경사슬롯(95)에 의하여 밀리는 축(86a∼89a)은 가이드브래킷(91)의 직선슬롯(92)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운동한다. 축(86a∼89a)의 운동에 의하여 제3 내지 제6 롤러(86∼89)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1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3 내지 제6 롤러(86∼89)가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가이드레일(24, 34)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면, 제3 롤러(143)는 가이드레일(24, 34)의 타측 내면에 지지된다. 제1 문짝(20)의 열림 동작 중, 제1 문짝(20)의 가이드레일(24)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롤러(81), 제3 롤러 (86), 제4 롤러(87)와 제2 문짝(30)의 가이드레일(34)에 장착되는 제2 롤러(82), 제5 롤러(88), 제6 롤러(89) 각각은 가이드레일(24, 34)의 양측 내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구름운동하여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열림 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제1 및 제2 문짝(20, 30)의 흔들림,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의하면, 문틀의 좌·우방향으로 여닫히는 제1 및 제2 문짝의 여닫음 동작을 서로에 대하여 직선운동으로 안내함으로써, 문짝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원활하고 정숙한 여닫음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문짝의 경사 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문짝을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으므로, 미닫이문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문틀의 좌·우방향으로 여닫히는 제1 문짝과 제2 문짝을 안내하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짝과 근접하도록 상기 제1 문짝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문짝과 근접하도록 상기 제2 문짝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구름접촉하도록 장착되는 제2 롤러와;
    상기 제2 문짝에 상기 제1 롤러를 지지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문짝에 상기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문짝을 닫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문짝이 서로에 대하여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롤러 각각의 위치를 조절하는 롤러위치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 각각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 각각의 축이 수직중심축선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조절축과;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 각각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조절축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나사로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양측에 제3 롤러와 제4 롤러가 상기 조절축의 수평중심축선에 정렬되도록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롤러의 양측에 제5 롤러와 제6 롤러가 상기 조절축의 수평중심축선에 정렬되도록 더 배치되어 있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축은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에 각각 고정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1 롤러의 양측에 제3 롤러와 제4 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롤러의 양측에 제5 롤러와 제6 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대하여 상기 제3 롤러 내지 제6 롤러 각각의 위치를 조절하는 롤러위치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각각의 좌우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하면에 상기 제3 롤러 내지 제6 롤러의 축이 각각끼워지는 직선슬롯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내측에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하면에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직선슬롯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3 롤러 내지 제6 롤러의 축이 각각 끼워지는 경사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직선슬롯과 상기 작동브래킷의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상부롤러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작동축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작동브래킷을 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브래킷에 체결되는 조절나사축으로 구성되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KR20-2003-0023931U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KR200332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31U KR200332007Y1 (ko)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31U KR200332007Y1 (ko)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007Y1 true KR200332007Y1 (ko) 2003-11-03

Family

ID=4941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931U KR200332007Y1 (ko) 2003-07-24 2003-07-24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9133A (en) Insulated garage door
KR20140008249A (ko) 안내장치, 캐리지 및 주행레일
CA2393990A1 (en) A window with multi-way for opening
KR200332007Y1 (ko) 미닫이문의 여닫음 안내장치
KR200396496Y1 (ko) 접이식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0512253B1 (ko) 미닫이문
JP3007619B1 (ja) 引戸装置
US11371277B2 (en) Biaxial track system for fenestration panels
JP3671036B2 (ja) 引戸構造
JP2019148138A (ja) ブース用の円弧状ドア装置
JP2008025149A (ja) 面一サッシ
JP3228158B2 (ja)
JP3623300B2 (ja) 引戸用の上部案内装置
KR200332006Y1 (ko)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KR200325917Y1 (ko) 미닫이문
KR200402489Y1 (ko) 여닫이 겸용 미닫이 창문
JP2000199377A (ja) 引戸装置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KR102200207B1 (ko) 창호 틀의 배수구멍 가공장치
CN112681935B (zh) 一种四联动吊轨推拉门
TWI736849B (zh) 門窗滑輪、門窗扇體及門窗
KR200327473Y1 (ko) 미닫이문
JP5243208B2 (ja) 引戸ユニット
KR960000882Y1 (ko) 자동 출입문의 가이드 로울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