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111A -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111A
KR20100111111A KR1020090029511A KR20090029511A KR20100111111A KR 20100111111 A KR20100111111 A KR 20100111111A KR 1020090029511 A KR1020090029511 A KR 1020090029511A KR 20090029511 A KR20090029511 A KR 20090029511A KR 20100111111 A KR20100111111 A KR 20100111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unit
clamping
mounting fram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836B1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83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 설치하여 타이어가 휠과 조립된 상태로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이송 시,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확인하도록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 설치되어 휠과 조립된 상태로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해당라인으로 이송되는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이어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타이어를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는 타이어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제1, 제2 클램핑 유닛; 및 상기 제2 클램핑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클램핑 유닛에 의한 상기 타이어의 클램핑 시, 상기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타이어, 승하강 유닛, 타이어 펑크, 제1, 제2 클램핑 유닛, 센싱유닛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FLAT TIRE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가 휠과 조립된 상태로,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해당라인으로 이송 시,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확인하도록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한 대의 완성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선택에서부터 제품양산까지 여러 가지 공정라인을 거쳐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정들은 공장 자동화의 추세에 맞추어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공정라인 중 타이어를 자동차의 의장공장의 생산라인에 공급 및 장착하기 위한 운반설비의 일부 구성으로, 타이어 공급 시스템이 상기한 생산라인에 설치된다.
상기 타이어 공급 시스템 중, 공급되는 타이어를 해당 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는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는 휠과 결합된 타이어를 각각 해당 라인의 투입지점까지 이송하게 된다.
즉, 적재 컨베이어 상에 휠과 결합된 다수개의 타이어는 의장공장의 생산라인에서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하나씩 개별적으로 이송되고, 해당라인으로 이송이 완료된 타이어는 해당 차량에 각각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는 휠과 결합된 타이어를 단순히 해당라인으로 이송시킬 뿐 이송되는 타이어의 펑크 유무는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의 펑크 유무의 확인이 불가능함에 따라, 차량에 불량한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로 출고되면, 주행 중 타이어 펑크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 설치하여 타이어가 휠과 조립된 상태로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이송 시,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확인하도록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는,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 설치되어 휠과 조립된 상태로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해당라인으로 이송되는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이어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타이어를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는 타이어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제1, 제2 클램핑 유닛; 및 상기 제2 클램핑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클램핑 유닛에 의한 상기 타이어의 클램핑 시, 상기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 유닛은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장 착 프레임을 통해 상향 장착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하부 중앙이 연결되며, 승하강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의 사이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장착 블록을 통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타이어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 유닛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슬라이드 봉과, 상기 각 슬라이드 봉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가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클램핑 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중앙에 두고, 일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장착 프레임; 상기 제1 장착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장착되는 제1 클램핑 실린더; 상기 제1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서 각 제1 가이드 레일에 제1 레일블록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하부가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어 승하강 유닛을 통해 상승되는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제1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클램퍼는 선단 양측에 상기 타이어의 외주면과 슬립 접촉되도록 제 1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클램핑 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중앙에 두고, 타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장착 프레임;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2 가이드 레일;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장착되는 제2 클램핑 실린더;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서 각 제2 가이드 레일에 제2 레일블록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하부가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제2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어 승하강 유닛을 통해 상승되는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제2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클램퍼는 선단 양측에 상기 타이어의 외주면과 슬립 접촉되도록 제2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이격되게 장착되고, 제어기와 각각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제2 감지센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감지도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에 의하면,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서 휠과 조립된 상태로 이송되는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펑크난 타이어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방 지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는 작업자를 통해 펑크난 타이어를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서 미리 제거하여 라인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펑크난 타이어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출고된 차량에서 주행 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클램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는 휠과 조립된 상태로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100)는 구동유 닛(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1)와,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가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5)으로 구성된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승하강 유닛(200), 제1, 제2 클램핑 유닛(300, 400), 및 센싱유닛(500)으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200)은 타이어(600)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타이어(600)를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승하강 유닛(200)은 승하강 실린더(210), 승하강 플레이트(220), 및 다수개의 타이어 지지대(2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승하강 실린더(210)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5)의 하부에 장착 프레임(211)을 통해 상향 장착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210)의 작동로드와 하부 중앙이 연결되며, 승하강 실린더(210)의 전, 후진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개의 타이어 지지대(230)는 4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각 타이어 지지대(23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부에서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장착블록(231)을 통해 상기 승하 강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유닛(200)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2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240)은 다수개의 슬라이드 봉(241)과 다수개의 가이더(243)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봉(241)과 가이더(243)가 각각 4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각 슬라이드 봉(241)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하부에서 각 모서리부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더(243)는 상기 각 슬라이드 봉(241)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211)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더(243)는 원통형상으로 중앙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봉(241)은 상기 관통홀(미도시)을 통하여 가이더(24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승하강 실린더(21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클램핑 유닛(300, 400)은 상기 승하강 유닛(200)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유닛(200)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는 타이어(600)의 외주면을 클램핑 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제1 클램핑 유닛(300)은 제1 장착 프레임(310), 제1 가이드 레일(320), 제1 클램핑 실린더(330), 제1 이동 프레임(340), 및 제1 클램퍼(350)로 이루어지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 장착 프레임(310)은 상기 승하강 유닛(200)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중앙에 두고, 일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장착 프레임(310)의 상면 양측에는 제1 가이드 레일(320)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330)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 프레임(310)의 상면 중앙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40)은 상기 제1 장착 프레임(310)의 상부에서 각 제1 가이드 레일(320)에 제1 레일블록(341)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하부가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330)의 작동로드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이동 프레임(340)은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330)의 전,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장착 프레임(310) 상에서 상기 각 제1 가이드 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램퍼(350)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40)의 선단에 장착되어 승하강 유닛(200)의 작동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600)를 클램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클램퍼(350)는 선단 양측에 상기 타이어(600)의 외주면과 슬립 접촉되어 상기 타이어(6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제1 롤러(351)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램핑 유닛(400)은 제2 장착 프레임(410), 제2 가이드 레일(420), 제2 클램핑 실린더(430), 제2 이동 프레임(440), 및 제2 클램퍼(450)로 이루어지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2 장착 프레임(410)은 상기 승하강 유닛(200)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를 중앙에 두고, 타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장착 프레임(410)의 상면 양측에는 제2 가이드 레일(420)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430)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 프레임(410)의 상면 중앙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440)은 상기 제2 장착 프레임(410)의 상부에서 각 제2 가이드 레일(420)에 제2 레일블록(441)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하부가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430)의 작동로드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이동 프레임(440)은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430)의 전,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장착 프레임(410) 상에서 상기 각 제2 가이드 레일(4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퍼(450)는 상기 제2 이동 프레임(440)의 선단에 장착되어 승하강 유닛(200)의 작동에 의해 상승된 타이어(600)를 상기 제1 클램핑 유닛(300)의 제1 클램퍼(350)의 반대측에서 클램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클램퍼(450)는 선단 양측에 상기 타이어(600)의 외주면과 슬립 접촉되어 상기 타이어(6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제2 롤러(451)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유닛(50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클램핑 유닛(4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클램핑 유닛(400)에 의한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 시, 감지신호를 제어기(540)로 출력하여 상기 타이어(600)의 펑크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센싱유닛(500)은 제1, 제2 감지센서(510, 520), 및 감지도그(5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제2 감지센서(510, 520)는 상기 제2 장착 프레임(410)의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각각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제어기(540)와 각각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제어기(54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도그(530)는 상기 제1, 제2 감지센서(510, 520)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이동 프레임(440)의 일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감지도그(530)는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4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440)과 함께 이동되고, 이 때, 상기 제1 감지센서(510), 또는 제2 감지센서(520)는 상기 제2 이동 프레임(440)과 함께 이동되는 상기 감지도그(530)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기(540)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540)는 출력된 감지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클램핑 유닛(400)을 통해 클램핑 되는 상기 타이어(600)의 펑크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430)가 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제2 클램퍼(450)를 통해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 시, 상기 감지도그(530)가 제2 이동 프레임(440)과 함께 이동되어 제1 감지센서(510)에 근접한 위치에 올 경우, 상기 제1 감지센서(510)는 감지신호를 제어기(540)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기(540)는 출력된 감지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게 되는데, 상기 제1 감지센서(510)에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타이어(600)에 펑크가 났다는 것을 판단하고, 미도시된 경고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켜 상기 타이어(600)의 펑크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동시에,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의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2 클램퍼(450)가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 시, 상기 감지도그(530)가 제2 감지센서(520)에 근접한 위치에 올 경우에는, 상기 제2 감지센서(520)는 감지신호를 제어기(540)로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감지센서(520)로부터 감지신호를 출력받은 제어기(540)는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타이어(600)에 펑크가 나지 않았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제1, 제2 클램핑 유닛(300, 400)을 작동시켜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을 해제시키고, 해당 라인으로 상기 타이어(600)를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휠과 조립된 타이어(600)는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에서 구동유닛(미도시)을 통해 회전되는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를 통해 해당라인으로 이송된다.
상기 타이어(600)가 회전되는 각 컨베이어 롤러(3)를 통해 이송 시, 상기 승하강 유닛(200)의 위치에 위치되면, 도 6의 (S1)과 같이,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상기 승하강 유닛(200)의 승하강 실린더(2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210)가 작동하여 작동로드가 전진하면, 도 6의 (S2)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는 상승된다.
이 경우, 상기 각 슬라이드 봉(241)은 상기 각 가이더(24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함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에 각각 장착블록(231)를 통해 장착된 상기 각 타이어 지지대(230)는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의 사이에서 상승되면서, 상기 타이어(600)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타이어(600)를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 상에서 상부로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 유닛(200)의 작동을 통해 상기 타이어가 상승되면, 도 6의 (S3)과 같이, 상기 제1 클램핑 유닛(300)의 제1 클램핑 실린더(330)는 전진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340)는 상기 각 제1 가이드 레일(320) 상에서 상기 각 제1 레일블록(341)을 통해 상승된 상기 타이어(600)의 일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동된 상기 제1 클램퍼(350)는 상기 각 제1 롤러(351)가 상기 타이어(600)의 외주면 일측과 슬립 접촉됨으로써,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을 완료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제1 롤러(351)는 상기 타이어(600)의 외주면에 슬립 접촉됨으로써, 클램핑에 따른 상기 타이어(600)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클램핑 유닛(300)을 통해 상기 타이어(600)의 일측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도 7의 (S4)와 같이, 상기 제2 클램핑 유닛(400)의 제2 클램핑 실린더(430)가 전진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440)는 상기 각 제2 가이드 레일(420) 상에서 각 제2 레일블록(441)을 통해 상승된 상기 타이어(600)의 타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동된 상기 제2 클램퍼(450)는 상기 각 제2 롤러(451)가 상기 타이어(600)의 외주면 타측과 슬립 접촉됨으로써,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을 완료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클램핑 유닛(300)이 상기 타이어(600)의 외주면 일측을 클램핑 할 때와 같이, 상기 각 제2 롤러(451)는 상기 타이어(600)의 외주면 타측에 슬립 접촉됨으로써, 클램핑에 따른 상기 타이어(600)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440)의 일측에 장착된 감지도그(530)와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되는 상기 제1 감지센서(510), 또는 제2 감지센서(520)가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기(540)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클램퍼(450)의 클램핑 완료 후에 상기 감지도그(530)의 위치가 제1 감지센서(510)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제어기(540)는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타이어(600)가 펑크가 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540)는 미도시된 경고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작업자는 이 경고음에 따라 펑크난 타이어(600)를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 상에서 외부로 언로딩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감지도그(530)의 위치가 제2 감지센서(520)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제어기(540)는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타이어(600)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고, 다음 작업을 진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센싱유닛(500)을 통한 타이어(600)의 펑크 유무의 확인이 완료되면, 도 7의 (S5)와 같이, 상기 제1, 제2 클램핑 유닛(300, 400)은 상기 각 제1, 제2 클램핑 실린더(330, 430)를 각각 후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2 클램퍼(350, 450)는 상기 타이어(600)의 반대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타이어(600)의 클램핑 해제가 완료되면, 도 7의 (S6)과 같이, 상기 승하강 유닛(200)의 승하강 실린더(210)가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를 하강시키게 된다.
동시에, 상기 각 타이어 지지대(230)는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 사이로 하강되어 상기 타이어(600)를 각 컨베이어 롤러(3) 상에 다시 로딩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220)은 상승할 때와 같이, 상기 각 슬라이드 봉(241)과 각 가이더(243)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안정적으로 하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100)를 통해 이송되는 타이어(600)의 펑크 유무 확인이 완료되면, 제어기(540)는 미도시된 구동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를 다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3) 상에 로딩된 상기 타이어(600)는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를 통해 해당 라인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100)는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 상에 승하강 유닛(200), 제1, 제2 클램핑 유닛(300, 400) 및 센싱유닛(500)으로 구성하여 설치함으로써, 휠과 조립된 상태로 이송되는 타이어(600)의 펑크 유무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미연에 펑크난 타이어(600)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100)는 작업자를 통해 펑크난 타이어(600)를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1) 상에서 미리 제거하여 라인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펑크난 타이어(600)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미리 방지함으로써, 출고된 차량에서 주행 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클램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8)

  1.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 설치되어 휠과 조립된 상태로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해당라인으로 이송되는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이어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타이어를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는 타이어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제1, 제2 클램핑 유닛; 및
    상기 제2 클램핑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클램핑 유닛에 의한 상기 타이어의 클램핑 시, 상기 타이어의 펑크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유닛은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 프레임을 통해 상향 장착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하부 중앙이 연결되며, 승하강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각 컨베이어 롤러의 사이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장착 블록을 통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타이어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유닛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슬라이드 봉과, 상기 각 슬라이드 봉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가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 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중앙에 두고, 일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장착 프레임;
    상기 제1 장착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장착되는 제1 클 램핑 실린더;
    상기 제1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서 각 제1 가이드 레일에 제1 레일블록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하부가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어 승하강 유닛을 통해 상승되는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제1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퍼는 선단 양측에 상기 타이어의 외주면과 슬립 접촉되도록 제1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 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어 이송 스토리지 장치를 중앙에 두고, 타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장착 프레임;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2 가이드 레일;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장착되는 제2 클램핑 실린더;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서 각 제2 가이드 레일에 제2 레일블록을 통 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 하부가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제2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어 승하강 유닛을 통해 상승되는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제2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퍼는 선단 양측에 상기 타이어의 외주면과 슬립 접촉되도록 제2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제2 장착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이격되게 장착되고, 제어기와 각각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제2 감지센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감지도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KR1020090029511A 2009-04-06 2009-04-06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KR10105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511A KR101055836B1 (ko) 2009-04-06 2009-04-06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511A KR101055836B1 (ko) 2009-04-06 2009-04-06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111A true KR20100111111A (ko) 2010-10-14
KR101055836B1 KR101055836B1 (ko) 2011-08-09

Family

ID=4313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511A KR101055836B1 (ko) 2009-04-06 2009-04-06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8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53B1 (ko) 2015-08-17 2017-02-21 선운(주) 타이어 펑크 점검장치
CN111468420A (zh) * 2020-04-29 2020-07-31 长春一汽富维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查验车轮的分拣设备及摆差检测系统
CN113172915A (zh) * 2021-03-12 2021-07-27 清研瀚高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轮胎检查及刺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667B1 (ko) * 1996-07-25 1999-05-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압력검사장치
ITTO20010389A1 (it) * 2001-04-20 2002-10-20 Bridgestone Firestone Tech Impianto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pmeumatici con controllo in linea della conducibilita' elettric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53B1 (ko) 2015-08-17 2017-02-21 선운(주) 타이어 펑크 점검장치
CN111468420A (zh) * 2020-04-29 2020-07-31 长春一汽富维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查验车轮的分拣设备及摆差检测系统
CN113172915A (zh) * 2021-03-12 2021-07-27 清研瀚高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轮胎检查及刺孔方法
CN113172915B (zh) * 2021-03-12 2022-07-12 清研瀚高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轮胎检查及刺孔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836B1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308B1 (ko) 타이어 시험기용 타이어 팽창 방법
KR102185908B1 (ko) 파이프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JP5313943B2 (ja) タイヤ試験機のリム交換装置及びリム交換方法
JP6005276B2 (ja) タイヤ搬送方法、タイヤ搬送固定装置、および、タイヤ検査システム
KR20170133994A (ko) 롤 운반용 무인운반차
KR101240990B1 (ko) 차량용 토잉 너트 검사장치
CN108394594B (zh) 一种轮胎打包机及流水线
KR101055836B1 (ko)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CN205156852U (zh) 轮毂单元法兰盘的端跳和径跳检测设备
KR20160128398A (ko) 타이어 유지장치, 및 타이어 시험 시스템
KR20180068791A (ko) 타이어 조립용 자동 공급 장치
KR101479569B1 (ko) 그린타이어 형상 복원장치
KR100901573B1 (ko) 자동차 부품용 품질측정장치
KR20140116246A (ko) 타이어 적재장치
KR102208153B1 (ko) 창호용 로울러 휠 가공장치
CN213336045U (zh) 柱状工件自动检测装置
KR101592367B1 (ko) 대형 타이어 마운터
CN204642859U (zh) 应用于载板搬运车的交换机
KR101133170B1 (ko) 중간소재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20283451U (zh) 升车装置
JP3404217B2 (ja) タイヤ測定装置のタイヤ嵌込み異常防止方法およびそのタイヤ嵌込み異常防止装置
KR101332525B1 (ko) 타이어 시트고무의 이송장치
JP2020040771A (ja) 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
CN219076606U (zh) 成型机胎胚自动输送装置和轮胎成型机
CN214269474U (zh) 一种快开式侧帘箱的货物自动装卸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