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736A -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736A
KR20080011736A KR1020060072095A KR20060072095A KR20080011736A KR 20080011736 A KR20080011736 A KR 20080011736A KR 1020060072095 A KR1020060072095 A KR 1020060072095A KR 20060072095 A KR20060072095 A KR 20060072095A KR 20080011736 A KR20080011736 A KR 2008001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rk
forklift
fram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김대수
김창수
라상일
유재우
한완택
한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736A/ko
Publication of KR2008001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부(10)와, 포크부(20)와, 구동부(30)와, 조작부(40)로서 구비되는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20)의 상부에서 한 쌍의 포크(21)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후방측 단부간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각 후방측 단부는 일정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포크부(20)의 홀더(22)에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50)와; 상기 승강 프레임(12)의 상단부와 상기 누름부(50)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그 상부면으로부터 가압 접촉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60); 및 상기 감지부(60)로부터 감지되는 접촉 신호에 의해 상기 포크부(20)의 승강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반도체 제조 설비 라인에서 반도체 제조를 위한 설비의 부품을 적재 및 운송하는 도중 인접하는 설비의 주요 시설물들과의 접촉이나 충돌 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포크의 승강 구동이 즉시 중단되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시설물 관리와 안정적인 공정 수행을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포크리프트, 충돌예방, 운반, 시설물

Description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Forklift having member to prevent collision}
도 1은 일반적인 포크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의 실시예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부
11 : 가이드 프레임
12 : 승강 프레임
13 : 차대
14 : 바퀴
20 : 포크부
21 : 포크
22 : 홀더
30 : 구동부
31 : 실린더
40 : 조작부
50 : 누름부
60 : 감지부
70 : 제어부
본 발명은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라인에서 각 단위 설비에 사용되는 비교적 중량이 나가는 설비 부품을 적재하거나 운반 중 인접하는 중요 시설물들과의 충돌 시 이를 감지하여 이들 중요 시설물들의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forklift)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 쌍의 포크(fork)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수단으로서, 포크리프트는 동력원에 따라 디젤 또는 LPG를 이용하는 엔진식, 전동식으로도 나누고, 형식에 따라서는 카운터 밸런스 타 입(counter balance type)과 리치 타입(leach type)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주로 카운터 밸런스 타입은 엔진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무거운 중량물을 적재 및 운반하는데 사용되는데 반해 리치 타입은 포크리프트의 전후진 및 조향은 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다만 화물의 승강만은 전동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므로 비교적 소규모의 작업장 및 좁은 통로를 갖는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약1톤 미만의 가벼운 중량물을 중,단거리로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수단이다.
이런 포크리프트는 오래전부터 이미 다양한 형상으로 알려져 있는 바 일본특허공개 제2004-189000호(명칭:화물반송용대차)는 이러한 포크리프트를 대표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포크리프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포크리프트는 크게 프레임부(10)와 포크부(20)와 구동부(30) 및 조작부(4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포크리프트는 조작부(40)에서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30)를 구동시켜 포크부(20)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프레임부(10)는 외측의 가이드 프레임(11)을 따라 포크부(20)의 승강 시 가이드 프레임(11) 내측에 구비되는 승강 프레임(12)이 동시에 승강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반도체 제조 라인에서 사용하는 포크리프트는 전진과 후진 및 방향 전환을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11)에 형성한 손잡이(H)를 잡고 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1톤 미만의 가벼운 중량물 즉 진공 펌프 또는 배기 장치 등을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포크리프트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 또는 운반하는 반도체 제조 라인에는 대단히 중요한 시설물들이 매우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어 포크리프트에 의한 화물 적재 시 또는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도중 화물 또는 포크리프트가 이들 중요 시설물들과의 충돌에 의해 심각한 작업 오류 및 위험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초래되기도 한다.
즉 반도체 제조 라인에는 각 단위 설비로의 다양한 가스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들과 배기용 또는 전선 가설용 덕트 등과 같은 시설물들이 매우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진공 펌프 등과 같은 화물을 포크부(20)에 안치시켜 상승시키게 될 때 이 화물의 상단부가 직접 시설물들과 충돌하거나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위치로 운반할 때 운반 도중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포크부(20)를 상승시키면서 동시에 상승된 승강 프레임(12)의 상단부가 배관 등의 시설물과 충돌하면서 자칫 심각한 가스 누출이나 누전 또는 압력 누설을 발생시키게 되면 인체에 치명적이거나 화재 등과 같은 대단히 큰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고, 또는 반도체 공정에 심각한 오류를 유발시켜 대량의 반도체 불량을 초래하기도 하는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구조물이나 시설물들과의 접촉 시 접촉 압력이 감지되면 그 즉시 승강 작동이 멈추도록 하여 시설 물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내측에는 승강 가능하게 승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부는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연장하여 대차를 이루며, 상기 대차의 각 단부에는 바퀴가 장착되도록 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어 임의의 높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로서 구비되는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의 상부에서 한 쌍의 포크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후방측 단부간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각 후방측 단부는 일정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포크부의 홀더에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누름부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그 상부면으로부터 가압 접촉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접촉 신호에 의해 상기 포크부의 승강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포크리프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 라인에서 공정별 단위 설비들에 필요한 진공 펌프 또는 배기 장치등과 같은 비교적 손으로 옮기기에는 어려운 부품을 운반하기 위해 구비되는 운반 수단이다.
반도체 제조 라인에서 사용되는 포크리프트는 이동을 인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며, 다만 화물을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키도록 하는 작동만을 전기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포크리프트는 전술한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구성에서 종전과 동일한 구성에는 도시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포크리프트는 프레임부(10)와 포크부(20)와 구동부(30)와 조작부(40)의 구성에 누름부(50)와 감지부(60)와 제어부(70)가 부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프레임부(10)는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과, 이 가이드 프레임(11)의 안쪽에서 내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 프레임(12)과, 가이드 프레임(11)의 하단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연장되도록 한 대차(13)와, 대차(13)의 각 단부에 장착되는 바퀴(14)를 구비한 구성이다.
즉 가이드 프레임(11)은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 양측에서 나란하게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간 하단부와 소정의 높이에서 연결 프레임(11a)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 구성이다.
승강 프레임(12)은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11) 사이에서 승강 프레임(12)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간을 연결하여 사각의 틀 형상으로 형성시킨 구성이다.
이때 가이드 프레임(11)으로부터 승강 프레임(12)은 이탈 방지되게 결합되도록 한다.
대차(13)는 가이드 프레임(11)의 양측 하단부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수평의 하부 받침 부재이다.
그리고 대차(13)의 전단부와 후단부측으로는 각각 바퀴(14)가 구비되도록 하여 프레임부(10)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11)에는 일정한 높이에 후방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H)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포크부(20)는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을 적재시켜 임의의 높이로 승강되게 하는 구성으로써 포크부(20)는 다시 "ㄴ"자 형상인 한 쌍의 포크(21)와 이들 한 쌍의 포크(21)를 연결되게 하면서 프레임부(1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홀더(2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포크(21)는 수평 부위가 화물이 적재되도록 하는 받침 부위이며, 이 수평 부위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한 후단부는 홀더(2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구비된다.
홀더(22)는 일측면으로 포크(21)의 수직의 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면에는 승강 프레임(12)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 홈에 이탈 방지되게 삽입되도록 하는 로울러를 구비한 구성이다.
구동부(30)는 포크부(20)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승강 프레임(12)과 함께 포크부(20)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구동부(30)는 보다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승강 프레임(12)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과 포크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별개로 구비하면서 승강 프레임(12)은 실린더(31)에 의해 승강되고, 포크부(20)는 체인(32)에 의해 승강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특히 포크부(20)의 승강용 구성은 체인(32) 외에도 와이어나 로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강 프레임(12)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으로 적용한 실린더(31)는 본체(31a)의 하단부가 가이드 프레임(11)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본체(31a)로부터 인출입되는 피스톤(31b)의 상단부는 승강 프레임(12)의 상단부로부터 하향 연장한 연결구(12a)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하며, 본체(31a)의 중간 부위는 다시 가이드 프레임(11)의 중간 높이에서 양측의 가이드 프레임(11)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1a)에 U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체인(32)은 일단이 가이드 프레임(11)의 중간 높이를 연결한 연결 프레임(11a)에 고정되고, 타단은 포크부(20)의 홀더(22)에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승강 프레임(12)의 상단부에 형성한 연결구(12a)는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연장되게 하여 이 연장단부에 각각 스프로켓(32a)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고, 가이드 프레임(11)과 포크부(20)의 홀더(22)간을 연결한 체인(32)의 중간 부위가 스프로켓(32a)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이드 프레임(11)과 홀더(22)간을 연결한 체인(32)을 와이어 또는 로프 등으로 사용할 때에는 연결구(12a)에 고정시킨 스프로켓(32a)을 로울러로서 사용하도록 한다.
조작부(40)는 구동부(30)의 실린더(31)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실린더(31)는 유압 또는 공압을 사용하며, 그중에서도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는 전기적인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며, 다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누름부(50)와 감지부(60)와 제어부(70)를 부가하여 인접하는 중요 시설물들과의 접촉 시 구동부(30)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누름부(50)는 포크부(20)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포크부(20)의 상부에서 한 쌍의 포크(21)와 평행하게 구비되고, 후방측 단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일정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도록 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누름부(50)의 후방측 하향 연장 단부는 포크부(20)의 홀더(22)에서 상부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이때의 누름부(50)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홀더(22)의 일측에서는 고정핀(51)이 끼워지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누름부(50)를 임의의 높이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홀더(22)의 일측으로부터 고정핀(51)을 끼워 누름부(50)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누름부(50)의 높이는 포크부(20)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조정이 되도록 하며, 화물보다는 높으면서 누름부(50)에는 화물의 상단부가 접촉되지 않는 정도의 높이를 이격한 상태에서 고정핀(5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감지부(60)는 상부로부터 어떠한 압력이 일정 이상 가해지거나 접촉이 되기만 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감지부(60)는 우선 승강 프레임(12)의 상단부측 상부면에 구비되도록 하면서 포크(21)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누름부(50)의 수평 부위의 상부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감지부(60)는 설치하고자 하는 승강 프레임(12)측 상부면이나 누름부(50)의 상부면이 일정한 면적을 갖는 구성이므로 통상의 접촉 센서를 사용하기보다는 스위치 타입으로 구비하면서 형성 면적의 어느 부위에 접촉 및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이때의 접촉 또는 압력 신호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의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제어부(70)는 감지부(60)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부(3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어부(70)는 만일 감지부(60)에서 접촉 신호가 수신되면 그 즉시 구동부(30)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승강 프레임(12)이나 누름부(50)에 의해 설비의 특정 시설물에 접 촉되면 이들 특정 시설물들에 변형이 가해지기 전에 구동부(30)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70)는 감지부(60)를 통해서 접촉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30)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엔지니어나 본 발명을 운전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신호 확인이 가능하도록 램프나 벨 및 버저와 같은 경고 수단(80)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순수하게 인력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는 운반 수단이다.
다만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을 포크부(20)에 적재시키고자 할 때에는 본 발명의 포크리프트를 화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화물의 위치에서 포크부(20)의 포크(21)에 화물이 적재되도록 화물의 밑으로 포크(21)를 밀어넣고 포크(21)의 상부면에 화물이 적재될 때까지 구동부(3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30)를 구동시키게 되면 실린더(31)가 작동하면서 피스톤(31b)을 상향 인출시켜 승강 프레임(12)이 상승하도록 하고, 이때 가이드 프레임(11)과 스프로켓(32a) 및 포크부(20)의 홀더(22)를 연결한 체인(32)에 의해서 포크부(20)를 동시에 상승시키게 된다.
포크부(20)는 일단이 가이드 프레임(11)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프로켓(32a)이 설치된 승강 프레임(12)이 상승하게 되면 가이드 프레임(11)의 고 정 단부와 스프로켓(32a)에 감겨지는 부위간 길이가 길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스프로켓(32a)과 포크부(20)측 연결 단부간 길이는 보다 짧아지게 되므로 자동적으로 포크부(20)가 상승되는 상태가 된다.
즉 실린더(31)의 구동에 의해 승강 프레임(12)을 상승시키게 되면 스프로켓(32a)에서의 체인(32)의 회전에 의해 포크부(20)가 상승하게 되면 포크부(20)에 적재된 화물이 비치되어 있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포크부(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름부(50)는 화물을 적재 시 그 높이를 적절히 체크하여 적재되는 화물의 상단부에 접촉되지 않는 정도로 근접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한 다음 포크(21)와 누름부(50) 사이로 화물이 적재되도록 하거나 우선 포크(21)에 화물이 적재되게 한 상태에서 누름부(50)을 상단부에 접촉되지 않는 정도의 근접한 위치에까지 하강시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포크부(20)에 화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포크부(20)를 상승시키게 될 때 만일 승강 프레임(12)의 상단부측 상부면 또는 누름부(50)의 상부면으로 설비의 중요 시설물 등이 접촉되거나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면 이를 감지부(60)가 감지하여 이때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70)에 전달하게 되면 제어부(70)에서는 그 즉시 구동부(30)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화물을 적재하는 순간의 구동부(30) 작동 즉 실린더(31)의 구동에 의한 설비의 중요 시설물들과의 충돌로 인한 이들 중요 시설물들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 중이거나 적재한 화물을 내려놓는 하역 작업 중에도 승강 프레임(12)과 누름부(50)에 설비의 시설물들이 충돌하거나 접촉하기도 하는데 이때 만일 구동부(30)를 구동중이라면 구동부(30)의 구동이 자동으로 멈춰지도록 하고, 구동부(30)가 구동되지 않을지라도 제어부(70)에 의해서 경고 수단(80)을 작동시켜 이런 상황을 즉각적으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제조 라인에서 비교적 중량이 나가는 부품을 운반하면서 인접한 주요 시설물들과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시설물 보호와 함께 반도체 제조 공정의 안정된 공정 수행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는 반도체 제조 설비 라인에서 반도체 제조를 위한 설비의 부품을 적재 및 운송 도중 인접하는 설비의 구조물들과 주요 시설물들과의 접촉이나 충돌 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포크의 승강 구동이 즉시 중단되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의 구조물들과 주요 시설물들의 손상 및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시설물 관리와 안정적인 공정 수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 다.

Claims (7)

  1.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내측에는 승강 가능하게 승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연장시켜 대차를 이루며, 상기 대차의 각 단부에는 바퀴가 장착시킨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어 임의의 높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로서 구비되는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의 상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한 쌍의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각 후방측 단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하면서 일정한 길이를 하향 연장되도록 한 연장 단부는 상기 포크부의 홀더에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누름부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누름부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그 상부면으로부터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접촉 신호에 의해 상기 포크부의 승강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수신되는 접촉 신호에 의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고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포크부에 삽입 끼워지는 후방측의 하향 연장 단부를 상기 포크부의 홀더 일측에서 고정핀에 의해 높이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부로부터의 접촉 유무에 따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부로부터의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가해지는 압력의 강도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면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여부에 따라서 신호 확인이 가능하도록 경고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 는 포크리프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은 램프로서 구비되는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20060072095A 2006-07-31 2006-07-31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KR20080011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095A KR20080011736A (ko) 2006-07-31 2006-07-31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095A KR20080011736A (ko) 2006-07-31 2006-07-31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736A true KR20080011736A (ko) 2008-02-11

Family

ID=3934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095A KR20080011736A (ko) 2006-07-31 2006-07-31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7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8810A (zh) * 2012-09-14 2013-01-16 宁波华辉磁业有限公司 一种磁性产品烧结炉的专用进料装置
CN106915715A (zh) * 2017-04-20 2017-07-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可攀高的便携式堆高车
KR102180713B1 (ko) 2020-04-13 2020-11-19 이기현 리프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8810A (zh) * 2012-09-14 2013-01-16 宁波华辉磁业有限公司 一种磁性产品烧结炉的专用进料装置
CN106915715A (zh) * 2017-04-20 2017-07-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可攀高的便携式堆高车
KR102180713B1 (ko) 2020-04-13 2020-11-19 이기현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659B1 (ko) 핸드 파렛트 트럭용 전도방지장치
KR102100070B1 (ko) 노면 요철 감지장치가 구비된 지게차
KR20080011736A (ko)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JP2018500256A (ja) パレットトラック互換床置き型荷物用エレベータ
KR102526988B1 (ko)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지게차
GB2440676A (en) Restraint for fork-lift truck
KR20130117219A (ko) 상하층 천장크레인 작업간섭 방지장치
JP3388422B2 (ja) 台車段積装置
JPH06345397A (ja) 移載装置付無人搬送車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CN111517246A (zh) 一种便携式的手扶电动叉车
JP2002178956A (ja) 大型運搬車両
CN219384671U (zh) 一种叉车移动装置
JP2005187158A (ja) 移載装置
JP3056190B1 (ja) コンテナ搬送用クレ―ンのスプレッダ―
CN221370467U (zh) 一种双起升堆高移动机器人
JPH0615973Y2 (ja) 親子フォークリフト
CN218841608U (zh) 叉车
JP2540193Y2 (ja) 高所荷役機械
JPH06282328A (ja) コイル端垂れ下りの自動検知制御装置
KR20110009849U (ko) 무인운반차용 견인장치
JP2623456B2 (ja) 搬送台車装置
KR100229740B1 (ko) 자동차 조립공정의 시저 리프터 공용화장치
JPH0637277B2 (ja) 親子リフトの前方物体検出装置
KR20060032170A (ko) 핸드 팔레트 트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