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79Y1 - 크레인 리프트 트럭 - Google Patents

크레인 리프트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79Y1
KR200322579Y1 KR20-2003-0009020U KR20030009020U KR200322579Y1 KR 200322579 Y1 KR200322579 Y1 KR 200322579Y1 KR 20030009020 U KR20030009020 U KR 20030009020U KR 200322579 Y1 KR200322579 Y1 KR 200322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boom
lift truck
cable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기
Original Assignee
김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기 filed Critical 김수기
Priority to KR20-2003-0009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중량의 물건을 이동시켜 들어올림으로서 적재시키는 리프트 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트럭의 마스트에 물건을 높이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설치하여 종래 리프트 트럭으로는 적재할 수 없는 높이까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크레인이 구비된 크레인 리프트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프레임과 구동부, 조종실과 엔진부, 카운터 웨이트로 구성된 트럭 차체와 차체 전면에 설치된 다단 마스트로 구성된 리프트 트럭에 있어서, 상기 다단 마스트의 이너 마스트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부착된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붐과, 상기 붐의 끝단에 절곡 형성된 수평대와, 상기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견인하는 유압모터윈치와, 상기 붐의 상단 절곡부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제 1 풀리와, 상기 수평대의 끝단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제 2 풀리와,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고정되어 화물을 연결하는 후크와, 일단이 상기 힌지단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붐의 고정깃에 힌지 결합된 유압 실린더를 더욱 포함하는 크레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 트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레인 리프트 트럭{Crane Lift Truck}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포크 리프트로 알려져 있으나 이 기계의 올바른 명칭은 포크 리프트 트럭이다. 이름을 가리키는 바와 같이 포크가 달린 트럭을 말한다. 상기 포크 리프트 트럭은 여러가지 형태의 자재를 옮기기 위해 트럭 몸체와 작업장치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 1은 종래 포크 리프트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포크 리프트 트럭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포크리프트 트럭은 구동부(2)와 프레임(6), 조종실(4), 카운터 웨이트(5)(Counter Weight)를 포함하는 차체와, 차체 전방에 앞뒤로 틸팅되는 마스트(3)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마스트(3)에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7)와 상기 어태치먼트(7)의 일단에 부착되는 포크(1)로 구성된다.
트럭 몸체는 카운터웨이트(5)와 주요 이동장치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작업 장치는 포크(1)와 마스트(3)로 나뉘어져 있다. 마스트(3)는 차체의 앞쪽에 장착되어 틸팅되어지며 복수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고 두 개의 포크(1)는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두개의 포크(1)는 마스트(3)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승 하강하는 포크 케리지에 의해 지탱되고 있으며 짐을 들어올리는 포크(1)와 포크(1)를 올리기 위한 리프트 체인과 리프트 실린더, 포크(1)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인 이너마스트 및 아웃 마스트(3)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마스트(3)를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 실린더 어태치먼트가 부착된다.
포크 리프트 트럭은 일반적으로 앞바퀴로 차체를 끄는 전륜 구동 방식이며이와 반대되는 후륜 구동 방식의 차량은 뒷바퀴로 차체를 끈다. 양쪽 끝단의 하중(한쪽 끝은 작업장치 위의 하물이고 다른 한쪽은 차체의 카운터 웨이트)은 가장 하중이 많이 걸리는 중간지점에서 균형이 이루어진다. 이것이 통상적으로 뒷바퀴보다 지렛대의 지점에 해당하는 앞바퀴가 큰 이유이며 그래서 무거운 짐에 잘 견디고 보다 효율 좋게 포크 리프트 트럭을 운전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포크 리프트 트럭이 후륜 구동 방식이라면 짐을 운반할 때 뒷바퀴가 부하를 적게 받게 될 것이고 토크 손실로 인해 드라이브휠이 미끄러질 것이다. 그래서 포크 리프트 트럭은 짐을 나를 때 하중이 걸리는 앞바퀴로 구동되어지는 것이다.
포크 리프트 트럭은 통상의 트럭 또는 일반 자동차와는 달리 뒷바퀴에 의해 조향이 되어진다. 뒷바퀴 조향 방식은 포크 리프트 트럭이 소선회가 가능토록 해준다. 기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축간거리 2배 이내의 작은 회전 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통상의 트럭과 달리 뒷바퀴로 조향하는 포크 리프트 트럭은 운전할 때 조심해야 한다.
포크 리프트 트럭의 운전자는 포크 리프트 트럭을 물건이 있는 곳까지 운전한 후, 상기 마스트(3)를 약간 전방으로 기울인 다음, 상기 포크(1)를 물건의 하단부에 끼워 넣고 유압에 의해 상기 포크(1)를 들어올림으로서 물건을 원하는 위치에 적재하게 된다. 물론, 물건을 내리는 경우에도 그 방식은 같다.
그러나 종래의 포크 리프트 트럭은 상기 포크(1)가 상기 마스트(3)의 높이만큼만 올려지게 되어 있어 적재를 원하는 높이가 상기 마스트(3)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적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등록실용신안 20-0299763호(이하 인용 참증이라 한다.)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인용 참증은 크레인이 장착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일정 위치에 360도 회전되는 수직 프레임부, 수직 프레임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부 및 수평프레임부의 끝단에 매달려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후크로 구성되는 크레인을 설치하는 구조이다.
상기 인용참증의 도 1에서 보면 상기 크레인이 장착된 지게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용 참증의 크레인은 마스트부의 후방, 즉 조종실의 바로 앞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는 종래의 포크크레인이 작업할 수 없는 환경에서 더욱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진 것이지만, 크레인이 마스트부 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크기에 있어 제약을 받으며 이로 인해 견인력이 작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이 조종실 바로 앞에 장치되어 조종시 조종사의 시야를 가려 조종에 방해를 줄 뿐만 아니라, 장착 위치와 크기의 제약과 한계로 인해 종래 포크리프트의 작업량을 능가하는 작업이 어려운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자유로이 운행되며 중량물의 이송 및 적재가 편리한 포크 리프트 트럭의 마스트에 포크 대신 크레인을 장착함으로서, 종래 포크리프트 크레인으로는 작업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 운반 효율의 극대화를 확보할 수 있는 크레인 리프트 트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포크 리프트 트럭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크레인 장치와 업리프트 상태의 다단 마스트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크레인 장치와 다운리프트 상태의 다단 마스트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 마스트의 틸딩 범위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장치의 견인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사용을 도시한 상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과 구동부, 조종실과 엔진부, 카운터 웨이트로 구성된 트럭 차체와 차체 전면에 설치된 다단 마스트로 구성된 리프트 트럭에 있어서, 상기 다단 마스트의 이너 마스트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부착된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붐과, 상기 붐의 끝단에 절곡 형성된 수평대와, 상기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견인하는 유압모터윈치와, 상기 붐의 상단 절곡부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제 1 풀리와, 상기 수평대의 끝단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제 2 풀리와,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고정되어 화물을 연결하는 후크와, 일단이 상기 힌지단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붐의 고정깃에 힌지 결합된 유압 실린더를 더욱 포함하는 크레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 트럭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크레인 장치와 업리프트 상태의 다단 마스트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다운 리프트 상태의 마스트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마스트의 틸팅 범위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또다른 실시예의 의한 크레인의 견인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사용례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요소 중 종래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포크 리프트 트럭은 차체 전방에 유압에 실린더(103)에 의해 약간의 각도를 가지면서 전, 후방 틸팅되는 다단 마스트(101) 및 상기 다단 마스트(101)를 따라 상, 하 수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어태치먼트(102)에 장착된 크레인을 구비한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어태치먼트(102)에 장착된 힌지단(106)과, 상기 힌지단(106)에 힌지 연결된 붐(107), 그리고 상기 붐(107)의 끝단에 절곡 형성되는 수평대(111)으로 기본 프레임을 이루고 있다.
상기 붐(107)의 하단에는 대각선으로 장착되며 상기 붐(107)을 상, 하로 선회시켜주는 각도 조절 실린더(110)가 배치되는데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110)의 일단은 힌지단(106)에 고정되고 타단은 붐(107)의 고정깃(116)에 힌지 결합되는 형태이며, 상단에는 케이블(108)을 견인하는 유압 모터 윈치 장치(10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붐(107)의 상단 절곡부에는 케이블(108)을 안내하는 제 1 풀리(112)가, 상기 수평대(111)의 끝단에도 역시 케이블(108)을 안내하는 제 2 풀리(113)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크(114)는 윈치(109)에서 연장되어 제 1 풀리(112)를 경유하고 수평대(111) 끝단의 제 2 풀리(113)에 의해 하향하고 있는 케이블(108)에 연결된다.
도 3은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다단 마스트(101)가 수직으로 펼쳐져 상기 크레인이 업리프트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다단 마스트(101)가 중첩된 상태로 크레인이 다운리프트 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붐(107)의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두개의 수평대(211)가 두 개의 관절부(210)에 의해 가변이 가능하며 상기 수평대(211)에도 역시 제 1 풀리(212)와 제 2 풀리(213)가 결합되는 형태이다. 붐(107)에서 절곡 연장된 두개의 수평대(211)는 붐(107)과의 사이에 관절부(201)가 형성되어 화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구성을 보인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크레인이 리프트 트럭의 동작은 일반적인 포크 리프트 트럭과 마찬가지로 동작하게 된다. 즉, 운전자는 리프트 트럭을 물건이 있는 위치까지 핸들 및 제어레버를 조작하여 이동시키고, 화물을 로프로 안전하게 묶은 다음, 상기 화물을 크레인에 장착된 후크(114)에 매단 후 크레인을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려 다음 물건을 적재할 곳으로 리프트 트럭을 이동시킨 후 크레인의 높이를 조절하여 물건을 내려놓거나 적재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을 사용하여 물건을 적재하는 높이보다 높은 곳에 물건을 적재하게 되는 경우에는 리프트 트럭을 후크(114)가 물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고 후크(114)가 물건의 일측에 걸릴 수 있도록, 물건의 일측에 걸릴 수 있는 높이까지 내려오도록 윈치(109)를 회전시켜 상기 후크(114)가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물건에 건다.
그 후, 물건을 이동시키기 용이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윈치(109)를 회전시켜 후크(114)를 끌어올리고 포크 리프트 트럭을 운전하여 물건을 적재할 장소로 이동한다. 물건을 적재할 장소에 도달하면 물건을 정확한 위치에 적재할 수 있도록 붐(107)과 수평대(111)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은 일반 포크리프트 트럭으로는 사용이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크레인 리프트 트럭은 활동 반경은 넓지만 상부 또는 하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작은 공장에서 기계 또는 저층 아파트의 이사짐을 옮길 때, 빌딩 지하 주차장 주차기계설치 시, 아파트 지하의 기계실 기계설치시, 대형 건물 철거작업시, 공항에서 엑스레이 검색대 등을 다른 층으로 옮길 때, 항만에서 등의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크레인 리프트 트럭을 공항에서 사용할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항은 각 층이 격리되어 있지 않고 상위층이 테라스 형식의 개방형으로 설계되어지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화물이나 엑스레이 검색대를 상위층이나 하위층으로 옮길 때 기존에는 화물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이용하였는데 화물이나 보안 검색대의 크기가 클 경우 계단을 이용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게다가, 인력으로 옮길 경우하루에 소화할 수 있는 작업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효율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나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을 이용할 경우 종래에 비해 단시간에 많은 화물량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 포크 리프트 트럭을 마스트부분만 개조하고 차체 부분은 그대로 사용함으로서 새로운 건설 장비의 개발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크레인은 건설장비이므로 등록을 해야하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은 일반 장비로 분류되어 등록 절차없이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 트럭은 종래의 사용되는 리프트 트럭의 마스트에 물건을 높이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설치하여 종래 리프트 트럭으로는 적재할 수 없는 높이까지 물건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어, 고가의 전문 건설장비를 구입하지 않고 기존의 리프트 트럭을 계량함으로서 저비용, 고효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

  1. 프레임과 구동부, 조종실과 엔진부, 카운터 웨이트로 구성된 트럭 차체와 차체 전면에 설치된 다단 마스트로 구성된 리프트 트럭에 있어서,
    상기 다단 마스트의 이너 마스트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부착된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붐과,
    상기 붐의 끝단에 절곡 형성된 수평대와,
    상기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견인하는 유압모터윈치와,
    상기 붐의 상단 절곡부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제 1 풀리와,
    상기 수평대의 끝단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제 2 풀리와,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고정되어 화물을 연결하는 후크와,
    일단이 상기 힌지단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붐의 고정깃에 힌지 결합된 유압 실린더를 더욱 포함하는 크레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 트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에서 절곡 연장된 두 개의 수평대와,
    상기 붐과 두 개의 수평대 사이에 각각 형성된 관절부와.
    상기 수평대의 상단에 각각 요설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 1 풀리와,
    상기 수평대의 끝단에 각각 요설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풀리를 더욱 포함하는 크레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 트럭.
KR20-2003-0009020U 2003-03-26 2003-03-26 크레인 리프트 트럭 KR200322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020U KR200322579Y1 (ko) 2003-03-26 2003-03-26 크레인 리프트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020U KR200322579Y1 (ko) 2003-03-26 2003-03-26 크레인 리프트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79Y1 true KR200322579Y1 (ko) 2003-08-09

Family

ID=4933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020U KR200322579Y1 (ko) 2003-03-26 2003-03-26 크레인 리프트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033A2 (ko) * 2008-11-26 2010-06-03 에스엠중공업 주식회사 동시 작동 기능을 갖는 지게차 겸 자동차
KR101058389B1 (ko) * 2009-01-12 2011-08-25 송진걸 스크랩 받이통 및 그를 사용한 스크랩 처리 시스템
CN105857214A (zh) * 2016-05-20 2016-08-17 湖北先行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作业汽车的安全控制装置和方法
CN106004712A (zh) * 2016-05-20 2016-10-12 湖北先行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作业汽车的安全控制装置和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033A2 (ko) * 2008-11-26 2010-06-03 에스엠중공업 주식회사 동시 작동 기능을 갖는 지게차 겸 자동차
WO2010062033A3 (ko) * 2008-11-26 2010-07-29 에스엠중공업 주식회사 동시 작동 기능을 갖는 지게차 겸 자동차
KR101058389B1 (ko) * 2009-01-12 2011-08-25 송진걸 스크랩 받이통 및 그를 사용한 스크랩 처리 시스템
CN105857214A (zh) * 2016-05-20 2016-08-17 湖北先行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作业汽车的安全控制装置和方法
CN106004712A (zh) * 2016-05-20 2016-10-12 湖北先行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作业汽车的安全控制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913B2 (en) Multipurpose machine
US5201629A (en) Container transporter
EP1855982B1 (en) Lift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EP1829815B1 (en) A forklift truck
EP0775666B1 (en) Fork lift
US4699558A (en) Mobile cargo loader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building modules and the like
AU2002329704A1 (en) Multipurpose machine
US6378652B1 (en) Lateral jib for vertical mast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US6799935B1 (en) Lifting apparatus for user in the bed of a pickup truck
KR102188659B1 (ko) 핸드 파렛트 트럭용 전도방지장치
CN207016422U (zh) 铲车附件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US8322968B1 (en) Fork lift for trucks, methods, and associated devices
EP1806312B1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loads
US20060239807A1 (en) Transporter for ride-on power trowel
JPH0628548Y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の吊り装置
CN111747343A (zh) 一种手推式电动叉砖车
US3504815A (en) Tandem wheel steering mechanism for a lift vehicle
KR200360337Y1 (ko) 포크레인 결착용 지게포크
JP3179312B2 (ja) 荷役車両のマスト装置
JP7392820B2 (ja) クレーンの連結ビーム取付方法
CN210620066U (zh) 一种起吊车设备
US20030108413A1 (en) Load lifting attachment for skid-steer loader
CN113669105B (zh) 一种多功能的搬运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